KR101015245B1 -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245B1
KR101015245B1 KR1020070069840A KR20070069840A KR101015245B1 KR 101015245 B1 KR101015245 B1 KR 101015245B1 KR 1020070069840 A KR1020070069840 A KR 1020070069840A KR 20070069840 A KR20070069840 A KR 20070069840A KR 101015245 B1 KR101015245 B1 KR 10101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capacity informa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474A (ko
Inventor
어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2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이 전자기기에 적합한지 판단하여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변환장치, 전자기기 및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수단(20)과;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제공하는 출력전원의 공급용량정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40)과; 전자기기(100)의 연결포트(200)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변환수단(2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상기 전자기기(100)에 전달하는 전원공급잭(30)과; 상기 신호발생수단(40)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10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잭(30)에 구비되는 공급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전원변환장치와 전자기기 사이의 전원공급잭과 연결포트의 표준화 및 공용화를 이룸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단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부적합한 용량을 공급하는 전원변환장치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069840
전원변환장치, 아답터, 전원공급잭

Description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 Power conversion device, Electronic system powered by the same and Power supply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원변환장치와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변환장치와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변환장치 10':전원변환장치본체
20: 전원변환수단 30: 전원공급잭
40: 공급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 50: 공급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
60: 필요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 70: 송신전원제어수단
80: 송신전원공급스위치 100: 전자기기
200: 연결포트 300: 공급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
400: 수신전원제어수단 500: 수신전원공급스위치
600: 시스템 700: 필요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
800: 필요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
본 발명은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이 전자기기에 적합한지 판단하여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변환장치, 전자기기 및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가정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주는 전원변환장치가 상기 전자기기와 함께 사용된다.
이때 전자기기의 용도, 종류, 제조사마다 전자기기에 요구되는 전원의 용량이나 전압, 전류값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전원변환장치가 제공하는 전원의 용량이나 전압, 전류값 등도 다양하게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원변환장치들 사이의 용량 등의 차이가 크므로, 전자기기에 부적합한 전원변환장치를 잘못 연결하면 전자기기가 기능수행을 하지 못하거나 충전이상, 시스템 오동작, 고장 등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큰 용량이 필요한 전자기기 에 적은 용량만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변환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원변환장치나 전자기기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종류나 필요용량, 제조사 등의 차이에 따라 전원변환장치의 전원공급잭과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의 형상을 달리 설계하여 제조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전원공급잭과 연결포트의 형상이 같더라도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이 전자기기에 부적합한 경우, 기기의 고장 및 수명단축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원공급잭과 연결포트의 형상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필요용량이나 전자기기 종류에 따라 전원공급잭과 연결포트의 형상이 다르므로 자재수급 및 재고관리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기기의 필요용량과 동일 용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변환장치라도 전원공급잭과 연결포트의 형상이 다르게 제조되면 전자기기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포트와 전원공급잭의 표준화 및 공용화를 이룰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전원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적합한 전원의 공급을 방지하여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전원변환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수단과;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제공하는 출력전원의 공급용량정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전원공급잭과;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잭에 구비되는 공급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는, 상기 전원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되어 제공되는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에는, 상기 전원변환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공급용 어댑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수단과;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전원공급잭과; 상기 전원공급잭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의 필요용량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단자와; 상기 신호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를 공급용량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원변환장치의 전원공급잭과 연결되는 연결포트와; 상기 연결포트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변환장치로부터의 공급용량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신 호입력단자와; 상기 연결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원공급스위치;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를 필요용량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에는, 상기 전원공급스위치의 제어상태 및 전원공급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신호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요용량코드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코드화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공급용 어댑터이고; 상기 전자기기는, 노트북 컴퓨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원변환장치의 전원공급잭과 연결되는 연결포트와; 필요용량정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 그리고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전원변환장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포트에 구비되는 필요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용량정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공급용량정보와 필요용량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그리고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공급스위치를 제어하 는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용량정보는, 공급받는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요용량정보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방법은, 상기 공급용량정보와 필요용량정보를 비교하기 위하여, 입력받은 용량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코드화하는 신호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의 수행결과, 상기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의 필요용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의 필요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단계의 수행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전원변환장치와 전자기기 사이의 전원공급잭과 연결포트의 표준화 및 공용화를 이룸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단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부적합한 용량을 공급하는 전원변환장치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원변환장치와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원변환장치(10)는 전원변환장치본체(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본체(10') 내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수단(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변환수단(20)은 AC/DC컨버터나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10)는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 어댑터(Adapter) 등의 장치이다.
상기 전원변환수단(20)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목표전압과 목표전력 등에 맞춰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환된 직류전원은 케이블을 통해 전원공급잭(30)에 도달하고, 상기 전원공급잭(30)을 통하여 상기 전원변환장치(10)와 연결되는 전자기기(100)에 공급된다.
상기 전원공급잭(30)은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전원 연결포트(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잭(30)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연결포트(2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본체(10')에는 공급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용량정보는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전원변환수 단(20)에 의하여 변환되는 출력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값이다.
위와 같은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등은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설계시에 목표한 목표전압과 목표전력 그리고 그에 따른 전류값과 같고, 이는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고유값으로서 일정하므로, 이러한 값을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40)에 설정하여 일정신호로 출력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40)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상기 전원공급잭(30)에 함께 구비되는 공급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50)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100)로 전달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잭(30)이 상기 연결포트(200)에 삽입되면,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50)는 상기 전자기기(100)의 상기 연결포트(200) 내에 구비되는 공급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300)와 접촉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300)로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가 전달되고, 전달된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는, 상기 전자기기(100) 내에서 상기 전원변환장치(10)가 상기 전자기기(100)의 전원공급에 적합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100)에는,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전원공급잭(30)이 삽입되는 상기 연결포트(20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포트(200)는 상기 전원공급잭(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상 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잭(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금속의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포트(200)에는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30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300)는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전원공급잭(30)이 상기 연결포트(200)에 삽입되면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50)와 접속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100)가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40)에서 발생한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100)에는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은 상기 전자기기(100)의 중앙처리장치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수신전원제어만을 위하여 구비된 임베디드 컨트롤러(Embeded controller)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은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정보와 비교한다.
이때 상기 필요용량정보는 상기 전자기기(100)의 구동에 적합한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등으로서,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 내에 구비되는 저장장치나 상기 전자기기(100) 내에 구비되는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필요용량정보는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에 의해 상기 공급 용량정보와 비교처리되기 용이하도록 코드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은 상기 공급용량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필요용량정보와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기기(100)에는 ADC(Analoge to digital converter)가 구비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수신된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필요용량정보와 마찬가지로 코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100)에는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는 상기 연결포트(20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에 구비되어 입력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의 온, 오프는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에 의하여 상기 공급용량정보가 상기 필요용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은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를 연결하여 상기 전자기기(100)의 시스템(60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은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를 차단시킴으로서 상기 시스템(600)을 보호한다.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적으면, 입력전원이 상기 전자기기(100)를 구동하기에 부적절하거나, 상기 전원변환 장치(10) 또는 상기 전자기기(100)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또는 상기 전자기기(100)에는 표시수단(도면 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수단에는 상기 전자기기(10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혹은 차단되었는지 등 전원공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수단은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표시수단은 LED 램프로 구비되어 전원공급상태에 따라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전원공급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기기(100)의 표시부를 통하여 전원공급여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변환장치(10)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구동되고, 상기 전자기기(100)가 상기 전원변환장치(10)로부터 공급용량정보신호를 수신받아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를 제어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상기 전자기기(100)에서 소모되는 전원은 상기 전자기기(10)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변환장치와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변환장치(10) 역시 상기 전원변환장치본체(10') 내에 상기 전원변환수단(20)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본체(10')와 케이블로 연결된 상기 전원공급잭(3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원변환장치본체(10')와 상기 전원변환수단(20)과 상기 전원공급잭(30)은 그 구성이나 작용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잭(30)에는 필요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60)가 제공된다.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60)는 상기 전원변환장치(10)와 연결되는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정보가 입력되는 단자로서, 이때 상기 필요용량정보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필요용량정보와 같다.
그리고 상기 필요용량정보입력단자(60)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정보와 비교하는 송신전원제어수단(70)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공급용량정보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공급용량정보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10)에는 상기 송신전원제어수단(70)의 제어를 받는 송신전원공급스위치(80)가 구비된다. 상기 송신전원공급스위치(80)는 상기 전원공급잭(30)으로 공급될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송신전원제어수단(70)의 판단결과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신전원제어수단(70)이 상기 송신전원공급스위치(80)를 연결하여 상기 전자기기(10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 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신전원제어수단(70)은 상기 송신전원공급스위치(80)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100)로 필요용량과 다른 용량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10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100)와 마찬가지로 연결포트(200)와 시스템(60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포트(200)와 시스템(600) 등은 그 구성이나 작용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연결포트(200)에는 필요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700)가 구비된다.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700)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전원공급잭(30)이 상기 연결포트(200)에 삽입되면, 상기 전원공급잭(30)에 구비되는 상기 필요용량정보입력단자(60)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필요용량정보출력단자(60)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정보가 상기 전원변환장치(10)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필요용량정보는 각 전자기기마다 다를 수 있으나, 하나의 전자기기는 일정한 필요용량을 가지므로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700)는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자기기(100)에는 신호발생수단(8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신호발생수단(800)은 미리 설정된 일정 신호를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700)를 통하여 출력하고, 이를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내의 상기 송 신전원제어수단(70)이 상기 공급용량정보와 비교하여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또는 상기 전자기기(100) 내에 상기 표시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수단의 구성이나 기능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전원변환장치(10)와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정보와 공급용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전원변환장치(10)가 상기 전자기기(100)에 적합한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변환장치(10)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구동되고, 상기 전자기기(100)가 상기 전원변환장치(10)로 필요용량정보신호를 발생시키고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기기(100)가 소모하는 전원은 상기 전자기기(100)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에 의하여 공급된다.
여기서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이 상기 전원변환장치(10) 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전자기기(100) 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우선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40)에서 발생된 상기 공급용량정보가 상기 전자기기(100)에서 수신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3000).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100)에서 상기 공급용량정보를 수신하면, 입력받은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가 수행되나(S3100), 이러한 단계는 입력신호가 상기 필요용량정보와 비교가능한 형태로 입력되었다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100) 내에 구비된 수신전원제어수단(400)에서 상기 공급용량정보와 상기 필요용량정보를 비교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3200).
이때 상기 공급용량정보와 상기 필요용량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제 320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에서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를 연결하여 상기 시스템(6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S3300).
위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원변환장치(10)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10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이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전원변환장치(1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 3200단계에서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은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를 열어 전원공급을 차단한다(S3400).
이때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의 초기상태는 오프상태이어야만 부적합한 전원공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수신전원제어수단(400)은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의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수신전원공급스위치(500)를 제어하게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에 부적합하여, 전원공급을 할 수 없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또는 상기 전자기기(100)에 구비된 상기 표시수단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었음을 표시한다(S360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변환장치(10)에서 상기 전자기기(100)의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4000).
상기 전자기기(100) 내에 구비된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발생수단(800)에서 발생된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는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입력단자(60)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내에서 신호처리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S4100).
한편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상기 송신전원제어수단(70)에서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 다(S4200). 여기서 상기 필요용량정보와 상기 공급용량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 4200단계에서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내에 구비된 상기 송신전원제어수단(70)은 상기 송신전원공급스위치(8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100)로 전원을 공급한다(S4300).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에 적합하여, 전원공급이 되고 있음을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또는 상기 전자기기(100)에 구비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500).
그러나, 상기 제 4200단계에서 상기 전원변환장치(10)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100)의 필요용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신전원제어수단(70)은 상기 송신전원공급스위치(80)를 오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100)로 부적합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S4400).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상기 전원변환장치(10) 또는 상기 전자기기(100)에 구비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모든 단계가 종료된다(S4600).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변환장치, 전자기기 및 전원공급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전원변환장치와 전자기기 사이의 전원공급잭과 연결포트의 표준화 및 공용화를 이룸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단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변환장치, 전자기기 및 전원공급방법에서는, 전자기기에 부적합한 용량을 공급하는 전원변환장치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변환장치, 전자기기 및 전원공급방법에서는, 전자기기의 고장을 방지하여 불필요하게 사용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수단과;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제공하는 출력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급용량정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전원공급잭과;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잭에 구비되는 공급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여부가 표시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변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공급용 어댑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변환장치.
  5.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수단과;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전원공급잭과;
    상기 전원공급잭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용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요용량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단자와;
    상기 전원공급잭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스위치와;
    상기 신호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필요용량정보신호를 공급용량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른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여부가 표시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변환장치.
  6. 전원변환장치의 전원공급잭과 연결되는 연결포트와;
    상기 연결포트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변환장치로부터 상기 전원변환수단에서 제공하는 출력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급용량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단자와;
    상기 연결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원공급스위치;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공급용량정보신호를 필요용량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른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여부가 표시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신호입력단자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용량코드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될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코드화한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장치는,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공급용 어댑터이고;
    상기 전자기기는, 노트북 컴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전원변환장치의 전원공급잭과 연결되는 연결포트와;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용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요용량정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전원변환장치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포트에 구비되는 필요용량정보신호출력단자;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장치로부터의 전원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용량정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정보와 상기 전원변환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필요용량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공급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단계의 수행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량정보는,
    공급받는 전원의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제어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용량정보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제어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방법은,
    상기 공급용량정보와 필요용량정보를 비교하기 위하여, 입력받은 용량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코드화하는 신호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의 수행결과,
    상기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의 필요용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변환장치의 공급용량이 상기 전자기기의 필요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전원공급스위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제어방법.
  18. 삭제
KR1020070069840A 2007-07-11 2007-07-11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KR10101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40A KR101015245B1 (ko) 2007-07-11 2007-07-11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40A KR101015245B1 (ko) 2007-07-11 2007-07-11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74A KR20090006474A (ko) 2009-01-15
KR101015245B1 true KR101015245B1 (ko) 2011-02-18

Family

ID=4048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840A KR101015245B1 (ko) 2007-07-11 2007-07-11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614B1 (ko) * 2012-10-25 2014-05-14 주식회사 코아리버 외부 어댑터와 연결된 전기기기 및 모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88A (ja) * 1994-07-19 1996-02-02 Brother Ind Ltd Acアダプタを用いて作動する電気機器
JP2000050522A (ja) 1998-07-24 2000-02-18 Toshiba Corp バッテリ充電装置
KR100605737B1 (ko) * 1998-03-10 2006-07-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원공급 어댑터, 전자기기 및 신호전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88A (ja) * 1994-07-19 1996-02-02 Brother Ind Ltd Acアダプタを用いて作動する電気機器
KR100605737B1 (ko) * 1998-03-10 2006-07-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원공급 어댑터, 전자기기 및 신호전송시스템
JP2000050522A (ja) 1998-07-24 2000-02-18 Toshiba Corp バッテリ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74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9122B (zh) 电源传输控制模块
EP2545631B1 (en) External power source voltage drop compensation for portable devices
EP3178145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0487686C (zh) 通用串行总线设备和用于执行内部通信的装置
US2008005254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US20090212735A1 (en) Reconfigurable charging control module
US8232762B2 (en) Computer and battery charging method thereof
KR100630964B1 (ko) 어댑터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US10312725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identification code updating capability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00097032A1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1868445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US20170346304A1 (en) Electronic device
US20080002509A1 (en) Power adapter with discriminate recharging
US20200313442A1 (en) Multi-power management system and multi-power management method
KR101015245B1 (ko) 전원변환장치 및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CN108811279B (zh) 闪光灯的驱动方法及电子设备
US7525282B2 (en) Battery-operated equipment including a microcomputer
US2011024142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471463A (zh) 电子装置及其充电方法
KR20100010649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스탠드 조명장치
CN212183174U (zh) 充电电路、辅助电源和作业设备
KR100765234B1 (ko) 인증 코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15126515A (ja) 電子機器
JP2007116772A (ja) 電源装置
US20100067265A1 (en) Electronic system and power supply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