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205B1 - 편수관 - Google Patents

편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205B1
KR101008205B1 KR1020080047975A KR20080047975A KR101008205B1 KR 101008205 B1 KR101008205 B1 KR 101008205B1 KR 1020080047975 A KR1020080047975 A KR 1020080047975A KR 20080047975 A KR20080047975 A KR 20080047975A KR 101008205 B1 KR101008205 B1 KR 10100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cradle
construction
water m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854A (ko
Inventor
한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08004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2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시공에 사용되는 편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부 내주연에 거치되는 거치대 및 이탈방지링의 구성으로 타관의 상기 소켓부에 삽입만으로 관 이음시공이 완성되며, 시공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사하중,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의 변화,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한 인장력을 수용할 수 있으며, 수밀링에 거치대 및 이탈방지링이 구성되어 수밀한 관 이음시공은 물론 수밀링의 탄성이 거치대 및 이탈방지링에 더해져서 더욱 견고한 관 이음시공이 가능한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제 1관, 제 2관, 클립부, 암, 거치대, 이탈방지링

Description

편수관{A JOINT PIPE}
본 발명은 관 연결시공에 사용되는 편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수관에 일체로 형성된 소켓부 내주연에 거치되는 거치대 및 이탈방지링의 구성으로 타관의 상기 소켓부에 삽입만으로 관 이음시공이 완성되며, 시공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사하중,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의 변화,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 등에 의한 인장력을 수용할 수 있으며, 수밀링에 거치대 및 이탈방지링이 구성되어 수밀한 관 이음시공은 물론 수밀링의 탄성이 거치대 및 이탈방지링에 더해져서 더욱 견고한 관 이음시공이 가능한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시공에 사용하는 PVC관은 그 성형성이 양호하므로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통상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런 관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있는 관을 순차적으로 매설해가면서, 각각의 관 하나 하나를 편수관으로 연결 하여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배관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에 사용되는 이음관(편수관)은 다수 존재하며, 그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99년 등록실용신안 15745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관을 협지할 수 있도록 관 삽입구를 절개하고 이 절개부를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이음관을 제공하고, 단순 나사결합에 의한 가압접속구조에 의거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음관을 제공하고자, 관체를 내삽입할 수 있도록 적의의 직경을 갖으며 기밀 유지용 패킹을 갖는 이음관의 단부에 절개단부를 형성하여 이 절개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관을 분기하거나 이을 수 있도록 된 이음관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은 이음관에 어떠한 가변구조가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관 연결 시공후 사후적으로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이 작용하는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이음부분의 강성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이음관 또는 관 부분에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 및 도 2b에서 종래 기술로써 관 이음장치가 제시되고 있는 바, 제 2관(200)의 일단에 소켓부(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관(100)의 일단이 상기 소켓부(210)에 삽입되며, 상기 제1관과 상기 제2관을 체결하는 구성으로 제 1관의 외주연을 감싸는 장착부(320)와 상기 장착부(320) 양단에 형성되어 각각 대향하도록 체결되는 플랜지(310)로 구성되는 클립부(300)가 구성되며, 각각의 플랜지(310)가 대향하도록 하여 볼트결합(도면번호 도 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플랜지(310)에는 대향하는 제어돌기(312)를 형성하여 플랜지(310) 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간부의 형성으로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313)에 암(400)의 연결봉(410)이 각각의 관통공(313)에 삽입되어 힌지결합 되고 상기 암(400)이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연결봉(410)을 축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암(400)은 직봉(420)에 일체형으로 직각방향의 연결봉(410)을 구성하여 상기 연결봉(410)의 양단을 상기 관통공(313)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며 상기 직봉(420)에는 상기 연결봉(410)과 반대방향으로 후크(430)가 구성된다. 상기 후크(430)는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부(50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20)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렇게 암(400)이 연동되도록 구성됨에 의해 시공 후 상재하중 등에 의해 제 1관과 제 2관의 이음부분이 절곡되는 경우라도 상기 암(400)이 연동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 이음장치의 경우는 관 이외에 별도의 장치에 의해 관 이음을 하여야만 하므로 시공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관 이음장치가 필요 없이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열팽창에 의한 신축, 사하중, 활하중에 의한 상재하중 등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편수관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직관형상의 타관을 직관형상의 일단에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관의 일단이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는 편수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그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과; 상기 안치홈의 일측에 안치되는 수밀링과; 상기 안치홈의 타측에 상기 수밀링과 접하면서 그 내주연에 요입된 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기 거치홈에서 장착되는 이탈방지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삽입되는 제 1관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제 1관의 역 삽입이 제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그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이탈방지링이 제1관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밀링보다 경도가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거치대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이 관 이음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이탈방지링의 구성으로 인해 관 이음의 체결력이 주어지며,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 부등침하, 상재하중(사하중, 활하중), 온도변화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축을 이음된 타관이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밀링과 이탈방지링이 소켓부에 같이 구성됨으로써 관 이음 시공에 있어 수밀링에 의한 수밀 시공은 물론 수밀링의 탄성이 이탈방지링에 더해져서 견고한 연결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편수관에 타관이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편수관에 타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수밀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이탈방지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편수관에 있어 특히 소켓부의 내부에 수밀링, 거치대 및 이탈방지링이 구성되는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210)의 내주연에 그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220)이 구성된다.
상기 안치홈(220)의 일측에는 수밀링(230)이 구성되는 바, 상기 수밀링(23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치홈(220)에서 타관(100) 방향의 일측에 구성되는데, 상기 수밀링(230)의 형상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밀링(230)의 일측에는 받침테두리(231)가 요입되도록 구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거치대(240)의 외주연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테두리(231)가 구성됨에 의해 상기 거치대(240)에 탄성이 부여되어 삽입되는 타관(100)을 수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치홈(220)의 타측에는 상기 수밀링(230)과 접하도록 거치대(240)가 구성되는 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테두리(231)의 내주연에 상기 거치대(240)의 외주연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240)의 내주연에는 요입된 형상으로 거치홈(241)이 구성되는 바, 상기 거치홈(241)은 이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링(250)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거치홈(241)의 너비를 이탈방지링(250) 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이탈방지링(250)이 거치홈(241)에서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24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안치홈(220)(받침테두리(231) 내주연)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240)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242)이 구성되는데, 상기 돌출단(242)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연에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 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가압의 경우 외주연 상으로 삽입되고,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본래의 돌출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렇게 돌출단(242)이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240)가 상기 안치홈(220)(받침테두리(231) 내주연)에 장착되는 경우 돌출단(24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240)의 거치홈(241)에서 슬라이드 되는 이탈방지링(250)에 압력이 계속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서 결국 이탈방지링(250)의 내주연과 접하는 타관(100)과의 접속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240)는 상기 수밀링(230)보다 경도가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한바, 예로써 상기 수밀링(230)은 수밀에 적당한 경도(55~70)로 구성하고 상기 거치대(240)는 이탈방지링(250)에 의한 압력에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경도(100)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한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링(25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일 측이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내주연의 확장,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250)의 단면형상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타관(100)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251)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압돌기(251)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대(2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켓부(210) 입구 측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경사끝단에서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됨으로서 타관(100)의 삽입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삽입된 타관(100)이 인장력의 작용으로 역 삽입 되는 경우에는 가압돌기(251)의 마찰력으로 역 삽입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탈방지링(250)에 있어 소켓부(210) 입구 측에서 거치홈(241)의 측면과 접하는 면은 평면(253)으로 구성하고, 상기 평면(253)의 반대면은 곡면(252)으로 구성하여 삽입된 제1관(100)이 인장력의 작용으로 역 삽입 되는 경우에 거치홈(241)의 측면과 상기 평면(253)의 접촉으로 역 삽입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링(25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함으로서 탄성력을 부여함은 물론 수분과 접촉 시에도 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음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관 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편수관에 타관이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편수관에 타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수밀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이탈방지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구성요소인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타관 200 : 편수관
210 : 소켓부 220 : 안치홈
230 : 수밀링 240 : 거치대
250 : 이탈방지링

Claims (5)

  1. 직관형상의 일단에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직관형상의 타관의 일단이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는 편수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그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과;
    상기 안치홈의 일측에 안치되는 수밀링과;
    상기 안치홈의 타측에 상기 수밀링과 접하면서 그 내주연에 요입된 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거치홈에 장착되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밀링과 접하면서 구성되되, 상기 수밀링의 일측에는 받침테두리가 요입되어 구성되며, 상기 받침테두리의 내주연과 상기 거치대의 외주연이 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삽입되는 상기 타관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밀링보다 경도가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관.
KR1020080047975A 2008-05-23 2008-05-23 편수관 KR10100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75A KR101008205B1 (ko) 2008-05-23 2008-05-23 편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75A KR101008205B1 (ko) 2008-05-23 2008-05-23 편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54A KR20090121854A (ko) 2009-11-26
KR101008205B1 true KR101008205B1 (ko) 2011-01-17

Family

ID=4160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975A KR101008205B1 (ko) 2008-05-23 2008-05-23 편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131B1 (ko) 2013-08-20 2014-06-12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94B1 (ko) * 2010-06-14 2013-09-06 이종태 탐지능동형 합성수지관
KR200471551Y1 (ko) * 2011-03-04 2014-03-03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차단을 위한 배관 체결 조립체
CN112172772A (zh) * 2020-10-13 2021-01-05 杭州源航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防抱死三桥同步继动阀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169A (ja) 2001-06-28 2003-01-15 Nippon Kokan Pipe Fittings Mfg Co Ltd 差込み式管継手に差し込まれる管の端部構造
KR20050120613A (ko) * 2005-12-07 2005-12-22 최의영 이탈방지용 일체형 편수 이음관
KR100675065B1 (ko) * 2006-06-21 2007-01-30 주식회사 뉴보텍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169A (ja) 2001-06-28 2003-01-15 Nippon Kokan Pipe Fittings Mfg Co Ltd 差込み式管継手に差し込まれる管の端部構造
KR20050120613A (ko) * 2005-12-07 2005-12-22 최의영 이탈방지용 일체형 편수 이음관
KR100675065B1 (ko) * 2006-06-21 2007-01-30 주식회사 뉴보텍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131B1 (ko) 2013-08-20 2014-06-12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54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778B2 (en) Modular rooftop pipe support
KR101008205B1 (ko) 편수관
KR200430113Y1 (ko)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100675065B1 (ko)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101051267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JP3140637U (ja) ケーブル、可撓管固定連接装置
KR102100056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장치
KR102134970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KR100915524B1 (ko) 이중벽관 이음관
KR102632634B1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KR101352538B1 (ko)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KR10105108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GB2350656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nduit with a corrugated outer surface to another element
KR200377139Y1 (ko) 이탈방지턱을 갖는 이중벽관 소켓 결합구조
KR100683425B1 (ko)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JP2015124510A (ja) 自在継手
KR200447330Y1 (ko)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407158Y1 (ko) 호스의 연결장치
JP2007303147A (ja) 竪樋の取付具及びこれを用いた竪樋の取付構造。
CN217653441U (zh) 一种活动式直壁卡扣接头
KR101331816B1 (ko) 주름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100891151B1 (ko) 이중벽관의 관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이음방법
KR200339748Y1 (ko) 파이프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