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929B1 -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929B1
KR101007929B1 KR1020100015758A KR20100015758A KR101007929B1 KR 101007929 B1 KR101007929 B1 KR 101007929B1 KR 1020100015758 A KR1020100015758 A KR 1020100015758A KR 20100015758 A KR20100015758 A KR 20100015758A KR 101007929 B1 KR101007929 B1 KR 10100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butanol
guava
filtrate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권
정혜광
정영철
정원철
하은진
서효정
강경희
서인승
강신권
전성식
Original Assignee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바 잎으로부터 아토피 피부염, 대장균, 무좀균 억제에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방법에 따라 수득한 물질의 바람직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은, 구아바(Psidium guajava) 잎을 메탄올(MeOH)에 침출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침출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로 현탁하는 제2단계; 제2단계의 현탁액에 헥산(Hexane)을 가하여 헥산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3단계; 제3단계의 분리여액에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4단계; 제4단계의 분리여액에 부탄올(Butanol)을 가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구아바로부터 수득한 항균활성 물질은, 아토피 피부염, 무좀, 내장균 감염을 억제하기 위한 각종 조성물(약학 제제, 화장품, 식품 등) 제조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Method for obtaining antibacterial substance from guava and uses of the substance}
본 발명은 구아바 잎으로부터 아토피 피부염, 대장균, 무좀균 억제에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방법에 따라 수득한 물질의 바람직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 소아기에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재발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 습진성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황색포도상구균이라고 알려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라는 세균이 발병과 악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로서 기존의 스테로이드제의 단독사용보다는 황색포도상구균을 타깃으로 한 항생제의 병용이 더 좋은 효과를 보인다는 보고도 있다.
그런데 항생제의 사용은 부작용과 내성균 출현 문제가 뒤따른다. 실제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증 치료의 경우 1950년대 이후 페니실린(penicillin)이 널리 보급되면서 효과적으로 이용되었으나 1964년 이후 항생제 남용으로 페니실린(penicillin)에 잘 듣지 않는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최근에는 항생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노력의 하나로 천연물로부터 항생효과를 나타내는 항균활성 물질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구아바(Psidium guajava)는 열대 미국 원산의 도금양과에 속하는 식물로, 열대 각지, 대만, 오키나와 등에서 재배된다. 구아바 열매는 과즙이 많고 달콤하고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보통 날로 먹거나 통조림·과바젤리·과바치즈·잼 등의 원료로 쓴다. 구아바 잎은 폴리페놀계 물질, 타닌계 물질, 사포닌, 에라그산 배당체나 플라보노이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구아바 잎의 추출물에 대한 약리효과로 항아토피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구아바 잎의 추출물에 대한 항아토피 효과의 연구 결과를 발전시켜 구아바 잎으로부터 항아토피에 유효한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아바 잎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수득한 항균활성 물질의 바람직한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방법으로 수득한 항균활성 물질의 바람직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은, 구아바(Psidium guajava) 잎을 메탄올(MeOH)에 침출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침출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로 현탁하는 제2단계; 제2단계의 현탁액에 헥산(Hexane)을 가하여 헥산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3단계; 제3단계의 분리여액에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4단계; 제4단계의 분리여액에 부탄올(Butanol)을 가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방법에 따라 구아바로부터 수득한 항균활성 물질은, 아토피 피부염, 무좀, 내장균 감염을 억제하기 위한 각종 조성물(약학 제제, 화장품, 식품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구아바 잎으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을 집약시키면서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둘째, 구아바 잎을 항균활성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소재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구아바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부탄올 분획물을 아토피 피부염은 물론 무좀과 대장균 감염의 억제를 위한 각종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의 주원료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한 구아바 잎의 추출 및 분획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구아바 잎으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수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아바(Psidium guajava) 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하여 항균활성 물질을 수득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은, 구아바(Psidium guajava) 잎을 메탄올(MeOH)에 침출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침출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로 현탁하는 제2단계; 제2단계의 현탁액에 헥산(Hexane)을 가하여 헥산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3단계; 제3단계의 분리여액에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4단계; 제4단계의 분리여액에 부탄올(Butanol)을 가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구아바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정제한 부탄올 분획물을 항균활성 물질로 제안하는데, 이는 하기 실시예를 통해 확인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부탄올 분획물의 바람직한 용도로 아토피 피부염의 억제제, 무좀 억제제, 대장균 감염의 억제제로 제안한다.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등의 억제제로 이용할 때에는 부탄올 분획물을 감압 농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구아바 잎의 추출 및 분획(도 1 참조)
1. 메탄올(MeOH) 침출
구아바 잎 건조시료 500g을 메탄올(MeOH) 9L에 90시간 침지하고, 여과한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침출농축액 1.5L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메탄올 침출농축액은 pH가 4.45이고, 고형분 함량이 0.3 Brix이고, 총산이 0.012이었다.
2. 메탄올 침출농축액 분획
구아바 잎의 메탄올 침출농축액 50ml에 증류수(D.W) 150ml를 가한 후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부탄올(Butanol), 에틸아세테이트(EtOAc)를 순차적으로 각각 200ml을 가하면서 분액여두에서 분리하였다.
[실시예2] 항균활성 검증
1. 실험시료 준비
상기 [실시예1]을 통해 분리한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항균활성 검증을 위한 실험시료로 준비하였다. 또한 추출용매에 따른 항균활성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1]의 메탄올 침출농축액, 그리고 같은 조건에서 추출 농축한 열수 추출농축액과 에탄올 침출농축액도 실험시료로 준비하였다. 이들 실험시료 각각은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건조하고, 그 건고분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50g/L, 100g/L, 250g/L, 500g/L의 농도로 만들었다.
2. 항균활성 검증 방법
준비한 실험시료에 대해 하기 [표 1]의 실험 균주와 배지를 이용하여 Disc paper법에 의해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배양 검사시 가장 흔히 검출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과, 부패세균의 기초적인 지표라 할 수 있는 대장균(E. Coli), 그리고 무좀균(Trichophyton mentagrophytes)을 실험 균주로 이용하였다. 실험시료 각각을 60㎕의 Disc paper에 주입하였으며, 각 균주의 생육특성에 따라 28℃와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생육억제환(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실험 균주와 배지
microorganisms culture medium
Staphylococcus aureus Nutrient Agar (NA)
Escherichia coli Lactose Broth Agar (LB)
Trichophyton mentagrophytes Sabourauds Agar (SA)
비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
3.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육억제환 측정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육억제환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냈다.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탄올 분획물에서 생육억제환이 가장 크게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구아바 잎의 추출물 중에서 부탄올 분획물이 아토피 피부염의 억제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결국 구아바 잎의 부탄올 분획물은 항아토피용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의 주원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육억제환
시료 Diameter of Clear zone (mm)
50g/L 100g/L 250g/L 500g/L
Hot water extraction 15 18 22 25
EtOH 14 15 24 27
MeOH 12 14 18 21
Hexane(A) 20 20 18 x
Chloroform(B) 13 14 15 14
Butanol(C) 20 20 30 35
EtOAc(D) 14 15 24 27
Final water(E) - 15 15 20
D.W(증류수) 8 8 8 8
4. 무좀균에 대한 생육억제환 측정
무좀균에 대한 생육억제환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냈다.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탄올 분획물에서 생육억제환이 가장 크게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구아바 잎의 추출물 중에서 부탄올 분획물이 무좀균 억제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결국 구아바 잎의 부탄올 분획물은 무좀균의 억제를 위한 의약품, 식품 등의 주원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무좀균에 대한 생육억제환
시료 Diameter of Clear zone (mm)
50g/L 100g/L 250g/L 500g/L
Hot water extraction 13 15 20 23
EtOH 8 19 23 30
MeOH 8 13 16 17
Hexane(A) 8 8 8 8
Chloroform(B) 15 15 8 8
Butanol(C) 18 22 25 35
EtOAc(D) 15 20 22 30
Final water(E) 8 8 8 8
D.W(증류수) 8 8 8 8
5. 대장균에 대한 생육억제환 측정
대장균에 대한 생육억제환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냈다. 하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탄올 분획물에서 생육억제환이 가장 크게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구아바 잎의 추출물 중에서 부탄올 분획물이 대장균 억제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결국 구아바 잎의 부탄올 분획물은 대장균 감염의 억제를 위한 의약품, 식품 등의 주원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장균에 대한 생육억제환
시료 Diameter of Clear zone (mm)
50g/L 100g/L 250g/L 500g/L
Hot water extraction 14 15 16 12
EtOH 10 14 23 20
MeOH 12 12 18 18
Hexane(A) 17 17 15 8
Chloroform(B) 13 13 12 11
Butanol(C) 15 17 30 34
EtOAc(D) 13 15 27 32
Final water(E) 8 8 13 13
D.W(증류수) 8 8 8 8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구아바(Psidium guajava) 잎을 메탄올(MeOH)에 침출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침출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로 현탁하는 제2단계;
    제2단계의 현탁액에 헥산(Hexane)을 가하여 헥산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3단계;
    제3단계의 분리여액에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과 분리여액으로 분리하는 제4단계;
    제4단계의 분리여액에 부탄올(Butanol)을 가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
  4. 제3항에 따라 수득한 부탄올 분획물을 항균활성 물질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억제용 조성물.
  5. 제3항에 따라 수득한 부탄올 분획물을 항균활성 물질로 포함하는 무좀 억제용 조성물.
  6. 제3항에 따라 수득한 부탄올 분획물을 항균활성 물질로 포함하는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KR1020100015758A 2010-02-22 2010-02-22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KR10100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58A KR101007929B1 (ko) 2010-02-22 2010-02-22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58A KR101007929B1 (ko) 2010-02-22 2010-02-22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929B1 true KR101007929B1 (ko) 2011-01-14

Family

ID=4361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758A KR101007929B1 (ko) 2010-02-22 2010-02-22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475A (ko) * 2017-07-14 2019-01-24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항염, 항산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22523A1 (ko) * 2021-08-20 2023-02-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구아바(Psidiuma guajava)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수득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7, 1~27 (2008.)*
논문2: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475A (ko) * 2017-07-14 2019-01-24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항염, 항산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4663B1 (ko) * 2017-07-14 2019-07-01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항염, 항산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22523A1 (ko) * 2021-08-20 2023-02-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구아바(Psidiuma guajava)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수득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ef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four Ficus carica latex fractions against resistant human pathogens (antimicrobial activity of Ficus carica latex)
Rashed et al.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and phenolic compounds from Diospyros virginiana L.
Sadi et al. Cytotoxicity of some edible mushrooms extracts over liver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n conjunction with thei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Sonibare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nalysis of Dioscorea dumetorum (Kunth) Pax and Dioscorea hirtiflora (Linn.) and their bioactive metabolites from Nigeria
Patel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Asparagus racemosus wild from leaf extracts–a medicinal plant
Elmhdwi et al.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different extracts from the leaves of Juniperus phoenicea
Martins et al. Inhibition of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ticus by guaraná (Paullinia cupana Kunth) and jucá (Libidibia ferrea Mart) extracts
Bertél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chemical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Lentinus crinitus basidiocarp
Sevindik et al. Bioactivity of EtOH and MeOH extracts of Basidiomycetes mushroom (Stereum hirsutum) on atherosclerosis
Guha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s and extracted phenols from gametophytes and sporophytes of two species of Adiantum
KR101723089B1 (ko) 시코닌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007929B1 (ko) 구아바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항균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무좀, 대장균 감염 억제용 조성물
GHOSH et al. Comparative phytochemical analysis of mature mango leaves from nineteen cultivars of Murshidabad district, India
Semwal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Phoebe lanceolata and Stephania glabra; preliminary screening studies
EP2585087B1 (en) A preparation for balancing the composition of the oral microbial flora
Altuner et al. Investigation on antimicrobial effects of some moss species collected from Kastamonu region
Aref et al. Variability in antimicrobial activity of latex from two varieties of Ficus carica
KR102545535B1 (ko)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Parkash et al. In vitro efficacy of bracket fungi for their potential antimicrobial activity
KR101894874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질리스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Mehdi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herbal extracts against Malassezia species
Lu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 naturally wild kiwifruit, Actinidia macrosperma
Antwi-Boasiako et al. Anti-Microbi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Crude Extracts of Garcinia kola Heckel Stems Used for Oral Health
Ramesh et al. Phytochemical and in vitro Antimicrobial assay of Fruit extracts of Morinda tinctoria Roxb
Al-Ghamdi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tem extract of Coleus forskohlii L. collected from Al-Baha Area, Saudi Arab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26

Effective date: 20101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