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562B1 -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562B1
KR101007562B1 KR1020080046452A KR20080046452A KR101007562B1 KR 101007562 B1 KR101007562 B1 KR 101007562B1 KR 1020080046452 A KR1020080046452 A KR 1020080046452A KR 20080046452 A KR20080046452 A KR 20080046452A KR 101007562 B1 KR101007562 B1 KR 10100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ive memory
memory device
electrode
layer
resi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573A (ko
Inventor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4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5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6Complex metal oxides, e.g. perovskites, spi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저항성 메모리 소자는, 기판 상의 절연막; 상기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와 접속되는 저항층; 및 상기 저항층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저항층 하부에 복수개의 플러그형 하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센싱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저항성 메모리 소자, ReRAM, 저항층, 플러그

Description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휘발성 Re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소자와 같이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램과 플래시 메모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메모리 소자 중 하나는, 인가되는 바이어스에 따라 저항이 급격히 변화하여 적어도 서로 다른 두 저항 상태 사이를 스위칭(switching)할 수 있는 물질 즉, 저항층을 이용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저항층 물질로는 전이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이원 산화물이나 PrCaMnO3(PCMO) 등과 같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물질이 이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저항성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저항성 메모리 소자는 기판(10), 기판(10) 상부에 위치하며 콘택 플러그(12)를 구비하는 절연막(11) 및 상기 절연막(11)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콘택 플러그(12)와 접속되는 하부 전극(13), 저항층(14) 및 상부 전극(15)의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전극(13), 저항층(14) 및 상부 전극(15)의 적층 구조를 저항부(100)라 한다.
이와 같은 저항성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하부 전극(13) 및 상부 전극(15)에 인가되는 바이어스에 따라 저항층(14)은 저저항 상태와 고저항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며, 그에 따라 각 저항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의 스위칭 기작(switching mechanism)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나, 인가되는 바이어스에 따라서 낮은 저항의 필라멘트 전류 통로(filamentary current path)가 형성되거나 이미 형성된 필라멘트 전류 통로가 사라지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저항성 메모리 소자는 우수한 스위칭 특성을 제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는 하부 전극(13)의 면적이 저항층(14)보다 크거가 같기 때문에 하부 전극(13)과 저항층(14)의 접촉 면적은 전적으로 저항층(14)의 크기에 의존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하부 전극(13) 및 상부 전극(15)에 소정 바이어스를 인가할 때 저항층(14) 전체가 스위칭 영역이 되기 때문이다. 저항층(14) 전체가 스위칭 영역이 되면 필라멘트 전류 통로의 위치나 크기, 개수가 일정하지 않아서 두가지 저항 상태의 구별이 모호해지고 소자의 셋/리셋(set/reset)에 따른 전압/전류 분포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2005년 IEEE의 논문 "Multi-layer Cross-point Binary Oxide Resistive Memory (OxRRAM) for Post-NAND Storage Application"에는 하부 전극을 플러그 형태로 만들어 저항층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종래의 또다른 저항성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또다른 저항성 메모리 소자는 기판(20), 기판(20) 상부에 위치하며 콘택 플러그(22)를 구비하는 절연막(21) 및 상기 절연막(21)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콘택 플러그(22)와 접속되는 저항층(24) 및 상부 전극(25)의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항부(200)는 콘택 플러그(22), 저항층(24) 및 상부 전극(2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도1과 같이 하부 전극을 별도로 형성하는 대신, 콘택 플러그(22)를 하부 전극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1과 같이 저항층 전체가 스위칭 영역이 되는 것이 아니라, 콘택 플러그(22)와 접하는 저항층(24) 부분만이 스위칭 영역(음영 부분 "A" 참조)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소자에서는 콘택 플러그(22)의 면적 및 위치 등을 조절함으로써 필라멘트 전류 통로의 위치나 크기, 개수 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자의 스위칭 특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소자의 스위칭 특성 향상은 도3의 그래프에 잘 나타나 있다.
도3a 및 도3b는 도1의 플래너(planar) 형 하부 전극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와 도2의 플러그(plug) 형 하부 전극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a를 참조하면, 플래너형 하부 전극("Planar BE" 참조)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에 비하여 플러그형 하부 전극("Plug BE" 참조)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전류 분포가 균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3b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고저항(R_off)/저저항(R_on) 상태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플래너형 하부 전극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좌측 도면 참조)의 고저항/저저항 상태 차이에 비하여 플러그형 하부 전극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고저항/저저항 상태 차이가 더 크기 때문에 두가지 저항 상태의 구별이 더욱 명확하여 짐을 알 수 있다.
즉, 하부 전극을 플러그 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하부 전극이 플래너 형인 경우에 비하여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스위칭 특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 증가에 따라 메모리 소자의 크기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부 전극을 플러그 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하부 전극과 저항층의 접촉 면적이 지나치게 감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필라멘트 전류 통로가 너무 작아져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항층 하부에 복수개의 플러그형 하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센싱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항성 메모리 소자는,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각 단위 셀이,
기판 상의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와 접속되는 저항층; 및 상기 저항층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와 접속되는 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 플러그와, 상기 저항층과 상기 제2전극가 단위 셀의 저항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단위 셀의 플러그형 하부전극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센싱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단위 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통상적으로 저항성 메모리 소자는 셀 어레이를 갖으며,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단위 셀은 셀 억세스 소자 및 저항부를 구비하는 바, 도 4에서는 단위셀의 저항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단위 셀은, 기판(40) 상의 절연막(41)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 상기 절연막(41)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와 접속되는 저항층(43), 및 저항층(43) 상부의 상부 전극(44)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는 하부 전극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단위 셀의 저항부(400)는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 저항층(43) 및 상부 전극(44)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 및 상부 전극(44)은 Ti, Ni, Al, Au, Ag, Pt, Cu, Cr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는 80~40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층(43)은 전이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이원 산화물(예를 들어, MgO, ZnO, TiO2, NiO, SiO2, Nb2O5, HfO2 등)이나 페로브스카이트 계열의 물질(예를 들어, PCMO, LCMO(LaCaMnO3)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부 전극인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 및 상부 전극(44)에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경우 저항층(43)은 저저항 상태와 고저항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어 각 저항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42)와 각각 접하는 저항층(43) 부분이 스위칭 영역(음영 부분 "B" 참조)이 되므로 저항층(43)의 스위칭 영역은 복수개가 된다. 본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두개의 콘택 플러그(42)가 형성되어 스위칭 영역이 두개가 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택 플러그(42)의 개수는 소자의 크기, 센싱 마진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택 플러그(42)를 복수개 형성하면 필라멘트 전류 통로가 증가하기 때문에 소자의 집적도 증가에 따라 소자의 면적이 감소하더라도 센싱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콘택 플러그(42)의 면적, 위치 및 개수 등을 조절하여 필라멘트 전류 통로의 위치, 크기 및 개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복수개의 플러그형 하부 전극, 저항층 및 상부 전극으로 구성되는 저항부가 ReRAM 소자에 적용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ReRAM 소자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저항부로 구성되는 단위 셀을 포함한다.
삭제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eRAM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500)에 소자 분리막(501)을 형성하여 활성 영역을 한정한다.
이어서, 반도체 기판(500)의 활성 영역에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 기판(500)의 활성 영역 내에 서로 떨어진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Da, Db)이 배치되고, 이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Da, Db) 사이에 공통 소스 영역(Cs)이 배치된다. 공통 소스 영역(Cs) 및 제1 드레인 영역(Da) 사이에는 활성 영역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1 게이트 패턴(502a)이 배치되고, 공통 소스 영역(Cs) 및 제2 드레인 영역(Db) 사이에는 활성 영역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2 게이트 패턴(502b)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게이트 패턴(502a, 502b)은 각각 연장되어 제1 및 제2 워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는 제1 게이트 패턴(502a), 공통 소스 영역(Cs) 및 제1 드레인 영역(Da)으로 구성되고, 제2 트랜지스터는 제2 게이트 패턴(502b), 공통 소스 영역(Cs) 및 제2 드레인 영역(Db)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결과물의 전체 구조 상에 제1 절연막(503)을 형성한다. 제1 절연막(503) 및 후속 제2 절연막, 제3 절연막 등의 층간 절연막은 PETEOS(Plasma Enhanced Eetra Ethyl Ortho Silicate)막 또는 LPTEOS(Low Pressure Tetra Ethyl Ortho Silicate)막 등과 같은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1 절연막(503) 내에 공통 소스 영역(Cs)과 연결되는 소스 콘택 플러그(504)와,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Da, Db)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드레인 콘택 플러그(506a, 506b)를 형성한다. 소스 콘택 플러그(504)는 공통 소스 패드(50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및 제2 드레인 콘택 플러그(506a, 506b)는 제1 및 제2 드레인 패드(507a, 50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제1 절연막(503) 상에 제2 절연막(508)을 형성한 후, 제2 절연막(508) 내에 제2 절연막(508)을 관통하여 제1 드레인 패드(507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콘택 플러그(509a)와, 제2 절연막(508)을 관통하여 제2 드레인 패드(507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콘택 플러그(509b)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콘택 플러그(509a, 509b)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저항부의 하부 전극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하부 전극 플러그라고도 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콘택 플러그(509a, 509b)는, 제1 및 제2 콘택 플러그(509a, 509b)가 형성될 영역의 제2 절연막(508)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이 콘택홀에 도전 물질을 매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콘택 플러그(509a, 509b)를 갖는 제2 절연막(508) 상에, 제1 콘택 플러그(509a)와 접속되는 제1 저항층(510a) 및 제1 상부 전극(511a)과, 제2 콘택 플러그(509b)와 접속되는 제2 저항층(510b) 및 제2 상부 전극(511b)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저항층(510a, 510b) 형성 공정은 저항층으 로 이용되는 물질(예를 들어, 이원 산화물 또는 페로브스카이트 계열의 물질)의 증착 및 패터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상부 전극(511a, 511b) 형성 공정은 상부 전극으로 이용되는 물질(예를 들어, 금속)의 증착 및 패터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도면의 공정 결과, 제1 콘택 플러그(509a), 제1 저항층(510a) 및 제1 상부 전극(511a)으로 구성되는 제1 저항부(50a)와, 제2 콘택 플러그(509b), 제2 저항층(510b) 및 제2 상부 전극(511b)으로 구성되는 제2 저항부(50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콘택 플러그(509a) 및 제2 콘택 플러그(509b)가 각각 복수개로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후속 공정을 수행한다. 즉, 제1 및 제2 저항부(50a, 50b)를 포함하는 결과물의 전체 구조 상에 제3 절연막(512)을 형성하고, 제3 절연막(512) 내에 제3 절연막(512)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상부 전극(511a, 511b)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콘택(513a, 513b)을 형성한 후, 제3 절연막(512) 상에 제1 및 제2 콘택(513a, 513b)과 접속되는 제1 금속 배선(514)을 형성하고 제1 금속 배선(514)을 덮는 제4 절연막(514)을 형성하는 등의 후속 배선 형성 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ReRAM 소자 구조에 있어서(도5c 참조), 각각의 저항부(50a, 50b)의 한쪽 끝단(예컨대, 하부전극으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콘택 플러그(509a, 509b))에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Da, Db)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예컨대, 제1 및 제2 상부 전극(511a, 511b))은 제1 금속 배선(514)에 연결된다.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제1 및 제2 게이트 패턴(502a, 502b)는 연장하여 워드라인을 형성한다.
여기서, 공통 소스 영역(Cs)은 접지 전압에 연결되고, 워드라인에는 문턱 전압보다 큰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제1 금속 배선(514)에 적절한 동작 전압이 인가되어, 본 저항성 메모리 소자에서의 읽기 동작 또는 스위칭 동작 등이 수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저항성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는 종래의 또다른 저항성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a 및 도3b는 도1의 플래너(planar) 형 하부 전극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와 도2의 플러그(plug) 형 하부 전극을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항성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eRAM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기판 41 : 절연막
42 : 복수개의 콘택 플러그 43 : 저항층
44 : 상부 전극

Claims (12)

  1.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각 단위 셀이,
    기판 상의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와 접속되는 저항층; 및
    상기 저항층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은,
    이원 산화물 또는 페로브스카이트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는,
    80~4000Å의 두께를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 및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바이어스에 따라 상기 저항층은 고저항 상태 또는 저저항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에 각각 접하는 부분의 상기 저항층에 복수개의 스위칭 영역이 구비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메모리 소자는, ReRAM 소자인
    저항성 메모리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는, 상기 기판의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 레인 영역에 접속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8. 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와 접속되는 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 플러그와, 상기 저항층 및 상기 제2전극이 단위 셀의 저항부를 구성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 형성 단계는,
    상기 절연막의 상기 제1 전극 플러그가 형성될 영역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절연막 내에 복수개의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콘택홀 내에 도전물질을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는, 80~4000Å의 두께를 갖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은, 이원 산화물 또는 페로브스카이트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 형성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를 포함하는 상기 절연막 상에 상기 저항층을 이루는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층을 이루는 물질을 패터닝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 플러그를 모두 덮도록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80046452A 2008-05-20 2008-05-20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52A KR101007562B1 (ko) 2008-05-20 2008-05-20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52A KR101007562B1 (ko) 2008-05-20 2008-05-20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73A KR20090120573A (ko) 2009-11-25
KR101007562B1 true KR101007562B1 (ko) 2011-01-14

Family

ID=4160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52A KR101007562B1 (ko) 2008-05-20 2008-05-20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5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809A (ko) * 2004-11-10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성분계 금속 산화막을 데이터 저장 물질막으로 채택하는교차점 비휘발성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333B1 (ko) 2005-08-31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87098A (ko) * 2004-12-13 2007-08-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휘발성 메모리 및 메모리 디바이스의 형성 방법
KR20080096432A (ko) * 2007-04-27 2008-10-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809A (ko) * 2004-11-10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성분계 금속 산화막을 데이터 저장 물질막으로 채택하는교차점 비휘발성 기억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7098A (ko) * 2004-12-13 2007-08-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휘발성 메모리 및 메모리 디바이스의 형성 방법
KR100647333B1 (ko) 2005-08-31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96432A (ko) * 2007-04-27 2008-10-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73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716B1 (ko) Rram 디바이스의 상부 전극 차단층
US7911030B2 (en) 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052875B1 (ko) 저항성 램 소자의 제조방법
JP5160116B2 (ja) 不揮発性メモリ素子
JP5047518B2 (ja) 抵抗メモリセ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抵抗メモリ配列
US8575586B2 (en) 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13242B (zh) 電阻式記憶體及其製作方法
KR20100032572A (ko)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198620B2 (en) Resistance switching memory
US9276041B2 (en) Three dimensional RRAM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7591479B (zh) 电阻式随机存取存储器
KR20130107878A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987695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009334B1 (ko)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1584711B (zh) 一种rram器件及形成rram器件的方法
KR102661235B1 (ko) 데이터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0946B1 (ko) 3차원 입체 구조를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
EP2260520A2 (en) Vertical phase change memory cell
KR101133392B1 (ko) 3차원 입체 구조를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
US20190067568A1 (en) Resistive memory device containing oxygen-modulated hafnium oxide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1043533B2 (en) Switch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resistive memory cel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07562B1 (ko)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2786780B (zh) 电阻式随机存取存储器阵列及其制造方法
KR20100020844A (ko)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5772B1 (ko)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