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755B1 -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755B1
KR101006755B1 KR1020080065683A KR20080065683A KR101006755B1 KR 101006755 B1 KR101006755 B1 KR 101006755B1 KR 1020080065683 A KR1020080065683 A KR 1020080065683A KR 20080065683 A KR20080065683 A KR 20080065683A KR 101006755 B1 KR101006755 B1 KR 10100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gold nanoparticles
molecular weight
nanoparticles
g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89A (ko
Inventor
박태관
이혁진
이규리
김인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6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7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a particulate label, e.g. coloured latex
    • G01N33/587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Hyaluronic acid immobilized gold nanoparticles)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진 히알루론산에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첨가하여 저분량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기에 형광염료를 도입하며, 환원 말단에는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화 시킬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입자는 세포내의 활성산소와 민감하게 반응하여 올리고 히알루론산이 분해됨으로써, 세포내에서 특이적인 상황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양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히알루로니다아제, 나노입자표면 에너지전이, 유리 황화기, 도파기

Description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Hyaluronic acid immobilized gold nanoparticles for dete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Hyaluronic acid immobilized gold nanoparticles)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진 히알루론산에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첨가하여 저분량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기에 형광염료를 도입하며, 환원 말단에는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화 시킬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산소는 호흡과정에서 몸속으로 들어간 산소가 산화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어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를 말한다. 이를 유해산소라고도 하며,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와는 완전히 다르게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산소이다. 환경오염과 화학물질, 자외선, 혈액순환장애, 스트레스 등으로 산소가 과잉생산된 것이다. 이렇게 과잉생산된 활성산소는 사람 몸속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킨다. 이렇게 되면 세포막, DNA, 그 외의 모든 세포 구조가 손상당하고 손상의 범위에 따라 세포가 기능을 잃거나 변질된다.
이와 함께 몸속의 여러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기능 저하도 가져온다. 그리고 핵산을 손상시켜 핵산 염기의 변형과 유리, 결합의 절단, 당의 산화분해 등을 일으켜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활성산소가 나쁜 영향을 주는 것만은 아니다. 병원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생체방어과정에서 산소·과산화수소와 같은 활성산소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들의 강한 살균작용으로 병원체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도 한다.
현대인의 질병 중 약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그러한 질병에는 암·동맥경화증·당뇨병·뇌졸중·심근경색증·간염·신장염·아토피·파킨슨병, 자외선과 방사선에 의한 질병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몸속의 활성산소를 없애주면 된다.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물질인 항산화물에는 비타민E·비타민C·요산·빌리루빈·글루타티온·카로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항산화물을 자연적인 방법으로 섭취하면 큰 효과가 있다.
기존에 제조된 활성산소를 측정하는 진단제로는 2’,7’-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H2DCFDA) 와 Aminophenyl fluorescein (APF) 와 hydroxyphenyl fluorescein (HPF) 등이 있다. 이러한 활성 산소 진단제는 안정성 및 세포 독성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H2DCFDA)의 경우 진단제의 안정성과 활성산소 특이성이 현저히 낮고, Aminophenyl fluorescein (APF) 와 hydroxyphenyl fluorescein (HPF)은 활성 산소의 특이성이 향상되었지만 세포 독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연 고분자인 히알루론산 (HA)은 넌설페이티드 (nonsulfated)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GAG)로서 N-acetyl-D-glucosamine 과 D-glucuronic acid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밖 구조체의 주요 성분으로서 높은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피하조직과 연골조직 같은 연결조직의 세포 외측 기질뿐 아니라 안구의 유리체 및 관절 동동의 활액에 존재하며, 히알루론산과 히알루론산 수용체인 CD44/RHAMM의 상호작용은 세포 이동성 및 세포증식과 특정 생리학적 과정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히알루론산은 치료적 용도를 가지며, 미국식품의약품(FDA)에서 정맥주사, 구강투여, 피부투여 등으로 인간에게 사용하는 것을 승인받은 천연 고분자이다 (P. Bulpitt, et al., J. Biomed. Mater. Res. 47, 152(1999)). 현재로는 조직공학용 지지체와 약물전달용 하이드로젤로서 그 사용 범위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활성산소에 의해 히알루론산이 분해되는 것이 최근 밝혀짐으로서 히알루론산 분해를 통한 활성산소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L. Soltes, et.al., Biomacromolecules 7, 659(2006)).
활성산소를 측정하는 구체적 메카니즘에 있어서, 나노입자표면 에너지전이(NSET: nanoparticle surface energy transfer)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입자표면 에너지전이를 통한 형광 소멸 및 형광 복원은 그 동안 많은 연구 결과와 효용성이 발표되었다 (Guarise, C., Proc . Natl . Acad . Sci . U. S. A. 103, 3978-3982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존에 제조된 활성산소를 측정하는 진단제가 많은 문제점을 일으킨 바, 활성산소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진단 조형제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그의 제조를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에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카복실기에 형광염료를 도입하며, 환원 말단에 는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화 시킬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인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입자는 세포내의 활성산소와 민감하게 반응하여 올리고 히알루론산이 분해됨으로써, 세포내에서 특이적인 상황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양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DA의 승인을 받은 생체적합성 천연 고분자인 히알루론산 (HA)을 재료로 하여 금 나노입자와 나노입자표면 에너지전이(nanoparticle surface energy transfer)를 이용한 활성산소 진단 조형제를 제조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활성산소 진단 조형제에 비하여 그 안정성 및 세포독성에서 뛰어나며 활성산소 민감성 및 특이성에서도 더욱 큰 효과가 기대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a) 히알루론산에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카복실기에 형광염료를 도입하며, 환원 말단에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화 시킬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의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1000~100000 Da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의 기능기는 유리 황화기, 도파기 및 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히알루론산의 환원 말단에 히알루론산의 몰비의 10~30배로 첨가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의 형광염료는 로다민(rhodamine), 시아닌(cyanine)3, 시아닌(cyanine)5, 시아닌(cyanine)7, 알렉사 염료(Alexa dyes), 하일라이트 플루오르 염료(Hylite fluor dyes), 스틸벤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및 쿠마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의 금 나노입자와 히알루론산의 몰 비는 1:100 ~ 1:10000 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c) 단계의 금 나노입자는 입자의 크기가 4 ~ 200 ㎚ 의 지름을 가지며 히알루론산이 황화금속 결합으로 고정화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인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천연 고분자인 히알루론산을 재료로 하여 히알루론산이 접목된 금 나노 입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이 접목된 금 나노 입자의 제조단계는 히알루론산에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카복실기에 형광염료를 도입하며, 환원 말단에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화 시킬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은 다양한 분포의 분자량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1000~100000 Da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기는 유리 황화기, 도파기 및 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알루론산의 환원 말단에 히알루론산의 몰비의 10~30배로 첨가되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기는 유리 황화기인 경우에는 시스타민(cystamine), 도파기인 경우에는 도파민(dopamine)이 이용되고, 히알루론산의 환원 말단에 히알루론산의 몰비의 20배로 첨가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염료는 로다민, 시아닌3, 시아닌5, 시아닌7, 알렉사 염료, 하일라이트 플루오르 염료, 스틸벤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및 쿠마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 나노입자와 히알루론산의 몰 비는 1: 100 ~ 1: 10000 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금 나노입자는 입자의 크기가 4 ~ 200 ㎚ 의 지름을 가지며 히알루론산이 황화금속 결합으로 고정화되어 질 수 있다. 고정화시는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히알루론산과 금 나노입자간의 정전기적 반발작용(electrostatic repulsion)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제조
히알루론산 (HA, MW:1.79x107) 을 pH 7.0 의 phosphate buffer saline (PBS) 에 녹인 후, 0.44 um 의 나일론 필터 (Minisart)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했다. 필터링이 된 히알루론산 용액에 히알루로니다아제 (hyaluronidase)를 1밀리그램 히알루론산 당, 히알루로니데니즈 100유닛을 첨가하여 반응을 시켰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감소함으로 대략 12 시간 후에 히알루론산 용액을 가열하여 히알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시켰다. 침강된 히알루로니다아제는 0.2 um 나일론 필터 (Minisart) 를 이용해 제거한 후, 분해된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을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해 확인했다.
<실시예 2> 히알루론산에 기능기 및 형광염료를 도입하여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실시예 1에서 준비한 히알루론산에 존재하는 환원 말단 (reducing ends)에 히알루론산의 몰비(molar ratio)의 20배에 해당하는 시스타민 (cystamine hydrochloride) 또는 도파민 (dopamine hydrochloride)을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잘 섞어주었다. 그 후 sodium cyanoborohydrate (NaBH3CN) 첨가한 후 약 5일간 반응을 시켰다. 반응 물질에 남아있는 NaBH3CN, 시스타민 및 도파민을 제거하기 위해 투석막(MWCO(Molecular Weight Cut Off): 1000)을 이용하여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투석시켰다. 시스타민을 도입한 히알루론산인 경우, 투석된 용액에 100 밀리몰 (mM)에 해당하는 DTT(1,4-dithiothretitol)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이때 첨가된 DTT는 시스타민과 반응하여 유리 황화기 (free thiol group)를 만드는데 이용되었다. 황화기가 말단에 도입된 히알루론산 용액은 다시 한번 투석막 (MWCO: 1000)을 이용하여 증류수에서 이틀간 투석시킨 후 동결건조 했다.
형광염료의 도입방법으로 히알루론산에 존재하는 카복실기의 몰비(molar ratio)의 3배에 해당하는 EDC(1-ethyl-3-[3-(dimethlamino)propylcarbodiimide) 와 Hobt(1-hydroxybenzotriazole)를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잘 섞어주었다. 그 후 형광염료를 첨가한 후 12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반응 물질에 남아있는 EDC/Hobt 와 형광염료를 제거하기 위해 투석막(MWCO: 2500)을 이용하여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투석했다.
유리 황화기(free thiol group)가 히알루론산 말단에 도입된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엘만 측정법(Elman's assay)을 사용하였다. 엘만 측정법에 따라, 히알루론 산 말단에 유리 황화기의 도입 정도는 반응 가능한 환원 말단의 70~99%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 입자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 표면에 히알루론산의 말단을 고정하여 보았다. 유리 황화기(-SH)와 금 나노입자의 강한 접촉 및 고정성(high binding affinity)을 이용한 금속 황화 결합(sulfur metal bond)을 통해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하였다. <도 1 참조>
금 나노 입자와 히알루론산의 몰 비는 1:100 ~ 1:10000 으로 금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라 몰 비의 변화를 주었다. 접목 과정 중에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히알루론산과 금 나노입자 간의 정전기적 반발작용 (electrostatic repulsion)을 줄일 수 있었다. 최종 소금 농도는 약 0.3 ~ 2 M 농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고정된 히알루론산의 양을 정량하였을 때, 황화기인 경우 대략 40 개의 히알루론산이 16 nm 금 나노입자에 고정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도파기인 경우 대략 130개의 히알루론산이 16 nm 금 나노 입자에 고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4>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입자의 안정성 확인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입자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해보았다. 다양한 산도와 소금 농도 그리고 혈청 포함 용액에서 그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2 참조>
도 2에서, 처음 4개의 시약병들은 HHAuNPs(형광염료로 하일라이트 염료가 사용된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pH 2.0, pH 12.0, 염화나트륨 2M 및 세럼 10% 에서의 안정성 실험결과이다.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안정성이 증명되었다. 반면에 나머지 시약병들은 단순히 AuNPs(금 나노입자)을 이용하여 control 과 염화나트륨 0.1M 하에서의 안정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특히 염화나트륨 0.1M 하에서는 반응이 일어난 바,(색깔의 뚜렷한 변화 관찰됨)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한 활성산소 측정
다양한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한 활성산소 측정도를 확인해 보았다. 각각의 활성산소 발생군 100 uM을 금 나노입자와 3시간 동안 반응시킨 결과, 활성산소에 의한 히알루론산의 분해를 형광 복원 정도에 따라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도 3에서, 각각의 활성산소는 수페록사이드(superoxide), 하이드로젠 페록사이드(hydrogen peroxide) 및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을 나타내며, HAdase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GSH는 글루타치온(glutathione)를 , DTT는 디타이어트레이톨(Dithiothreitol)를 나타낸다. 실험결과 본 발명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여 검출가능한 활성산소는 수페록사이드(superoxide)이며,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역시 검출이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활성산소(superoxide radical)의 농도에 따른 형광 복원 정도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실시예 6>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한 세포내 활성산소 측정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세포내의 활성산소 증가를 측정해 보았다. 대식 세포 내의 (J774.A1 macrophages) 활성산소 증가를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를 이용하여 증가시켰을 경우 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지를 측정해 보았다. 96 well plate에 약 50000 개의 세포를 분주하였을 경우, 0.5 nM의 히알루론산이 고정된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시간의 따른 활성 산소 증가를 측정하였다. < 도 5 참조>
본 발명은 활성산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하며 인체에 무해한 히알루론산을 이용함으로써, 공학분야뿐 아니라 의학분야의 계통에서도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명자들에게는 더욱 향상된 추가 발명의 의욕을 고취시키며, 이를 이용한 기업 등에게는 연구개발의 투자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결국 국가의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히알루론산이 금 나노입자 표면에 접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나노입자표면 에너지전이(nanoparticle surface energy transer: NSET)를 통한 히알루론산에 도입된 형광염료의 형광소멸 및 접목된 히알루론산의 분해를 통한 형광복원을 설명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이 접목된 금 나노입자의 안정성을 산성도의 변화 및 염도 그리고 혈청 상태에서 확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다양한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각각의 활성산소 발생군 100 uM을 금 나노입자와 3시간 동안 반응시킨 결과, 활성산소에 의한 히알루론산의 분해를 형광 복원 정도에 따라 확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활성산소의 농도에 따른 형광 복원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히알루론산이 접목된 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대식 세포내 (macrophages)의 활성산소의 증가를 측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8)

  1. a) 히알루론산에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첨가하여 분자량이 1000~100000Da 인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카복실기에 형광염료를 도입하며,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의 환원 말단에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화 시킬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하여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합성물을 금 나노입자 표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기능기는 유리 황화기, 도파기 및 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기능기는 히알루론산의 환원 말단에 히알루론산의 몰비의 10~30배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형광염료는 로다민(rhodamine), 시아닌(cyanine)3, 시아닌(cyanine)5, 시아닌(cyanine)7, 알렉사 염료(Alexa dyes), 하일라이트 플루오르 염료(Hylite fluor dyes), 스틸벤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및 쿠마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금 나노입자와 히알루론산의 몰 비는 1: 100 ~ 1: 10000 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금 나노입자는 입자의 크기가 4 ~ 200 ㎚ 의 지름을 가지며, 히알루론산이 황화금속 결합으로 고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KR1020080065683A 2008-07-07 2008-07-07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KR10100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83A KR101006755B1 (ko) 2008-07-07 2008-07-07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83A KR101006755B1 (ko) 2008-07-07 2008-07-07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89A KR20100005589A (ko) 2010-01-15
KR101006755B1 true KR101006755B1 (ko) 2011-01-10

Family

ID=4181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683A KR101006755B1 (ko) 2008-07-07 2008-07-07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775B1 (ko) * 2009-10-28 2012-01-12 한국과학기술원 원-포트 공정을 이용한 고체 기판 표면의 개질방법
KR101196667B1 (ko) * 2010-04-15 2012-11-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에이치 민감성 금속 나노 입자를 이용한 항암제 전달 시스템
CN103344576B (zh) * 2013-07-12 2015-04-15 福州大学 一种用于溶菌酶检测的双输出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2081203B1 (ko) * 2018-07-27 2020-02-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화 산소 센싱용 나노입자 및 이를 이용한 활성화 산소 센싱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585A (ko) * 2003-06-20 2006-06-14 어드밴스드 인 비트로 셀 테크놀로지스, 에스.엘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들
US20070104654A1 (en) 2005-11-08 2007-05-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and nano particles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585A (ko) * 2003-06-20 2006-06-14 어드밴스드 인 비트로 셀 테크놀로지스, 에스.엘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들
US20070104654A1 (en) 2005-11-08 2007-05-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and nano p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89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tla et al. Recent advances and prospects of hyaluronan as a multifunctional therapeutic system
Tian et al. Smart stimuli-responsive chitosan hydrogel for drug delivery: A review
Hudson et al. Injectable in situ cross-linking hydrogels for local antifungal therapy
Allen et al. Encapsulation and enzyme-mediated release of molecular cargo in polysulfide nanoparticles
EP1126881B1 (de) Mucoadhäsive polymere, deren verwendung sowie deren herstellungsverfahren
KR20060008906A (ko) 가교된 다당류 조성물
CN110801431B (zh) 一种核-壳型智能纳米递送***的构建及应用
EP2861301A2 (fr) Composition, en milieux aqueux, comprenant au moins un acide hyaluronique et au moins un sel hydrosoluble de sucrose octasulfate
WO2011135150A1 (es) Hidrogeles elaborados a base de polímeros aniónicos de origen natural
KR101006755B1 (ko)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히알루론산 금 나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WO2021077681A1 (zh) 一种用于水光注射的透明质酸凝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9545637A (ja) 分岐ヒアルロン酸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502599B (zh) 一种超支化聚甘油多缩水甘油醚及其作为多糖交联剂的用途
Rusu et al. Nanostructured hyaluronic acid-based hydrogels encapsulating synthetic/natural hybrid nanogels as promising wound dressings
Xu et al. An anti-inflammatory electroconductive hydrogel with self-healing property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Luo et al. Tailoring hyaluronic acid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Huang et al. Combination wound healing using polymer entangled porous nanoadhesive hybrids with robust ROS scavenging and angiogenesis properties
Neamtu et al. Nanogels containing polysaccharides for bioapplications
CN107325300A (zh) 一种pH敏感水凝胶及其制备和应用
Morganti Chitin Nanofibrils in skin treatment
Millotti et al. Chitosan-4-mercaptobenzoic acid: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thiolated chitosan
Merzendorfer Chitosan derivatives and grafted adjuncts with unique properties
Golkar et al. An oral nanoformulation of insuli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insulin loaded graphene oxide-sodium alginate-gold nanocomposite in an animal model
Ahmadian et al. Preparation and in vivo toxicity study of allantoin incorporated hyaluronic acid-L-cysteine oral solution: A future treatment for mucositis
WO2005094894A1 (ja) 細胞に核酸を導入するための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