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945B1 -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945B1
KR101004945B1 KR1020080108611A KR20080108611A KR101004945B1 KR 101004945 B1 KR101004945 B1 KR 101004945B1 KR 1020080108611 A KR1020080108611 A KR 1020080108611A KR 20080108611 A KR20080108611 A KR 20080108611A KR 101004945 B1 KR101004945 B1 KR 10100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ommunication
relay
destination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9453A (en
Inventor
황성호
허준
이재영
노광석
김기홍
박용운
민준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945B1/en
Publication of KR2010004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두 통신노드 사이에 직접 통신이 가능한 직접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수회의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통신의 에러율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통신 방법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갖는 통신노드를 소스노드로 하고, 그 주변의 일 통신노드를 릴레이노드로 하고 상기 릴레이노드와 일정 수준 이하의 에러율을 갖는 일 통신노드를 목적노드로 하여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전송받고자 하였던 통신노드가 목적노드가 될 때까지 목적노드를 다시 소스노드로 하는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when there is no direct path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wo communication nodes,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an increase in an error rate of communication by repeatedly performing a plurality of single relay communication methods is provided. Is initiated. The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communication node having data to be transmitted as a source node, one communication node in its vicinity as a relay node, and one communication node having an error rate below a predetermined level with the relay node as a destination node. It performs relay type communication and repeatedly performs single relay type communication using the destination node as the source node until the communication node that has received data becomes the destination node.

통신노드,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목적노드, 단일 릴레이 방식, Communication node, source node, relay node, destination node, single relay method,

Description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Communication method in a network including multiple communication nodes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통신노드를 이용한 네트워크에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직접 경로(direct path)에 의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에러율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nd more particularly, by a direct path through which a source node and a destination node can directly communicate in a network u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an increase in an error rate when communication is impossible.

일반적으로, IEEE 802.15.3 기반의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는 다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하며, 이 다수의 통신노드 중 적어도 일부를 릴레이노드로 이용하는 릴레이 방식의 통신이 적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based on IEEE 802.15.3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nd relay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s relay nodes is applied.

릴레이 방식을 적용한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노드는 크게 소스노드,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의 3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노드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노드이고, 릴레이노드는 소스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메세지를 목적노드로 중계해주는 역할을 하는 노드이며, 목적노드는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로부터 받은 2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원래의 메시지를 복호한다.In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 relay scheme is applied, a communication node can be largely implemented into three types: a source node, a destination node, and a relay node. The source node is a node that transmits a message, and the relay node receives a message from the source node and relay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destination node. The destination node is a node received from the source node and the relay node. Decode the original message using the signal.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 대한 연구는 하나의 릴레이노드만 이용하는 단일 릴레이 통신방식뿐만 아니라 복수의 릴레이노드를 이용하는 다중 홉 릴레이(Multi hop relay) 방식의 통신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릴레이 방식을 이용한 효율적인 통신방법이나 릴레이 기능에 대해서도 활발하게 논의가 되고 있다. The research on the relay communication is being conducted on the communication of the multi hop relay method using the multiple relay node as well as the single relay communication method using only one relay node. Communication methods and relay functions are also actively discussed.

하나의 릴레이노드를 사용하는 단일 릴레이 통신의 경우, 소스노드에서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에 동일한 메시지를 전송하면, 목적노드는 소스노드에서 전송한 메세지를 직접 경로(direct path)를 통해 그대로 수신하고 릴레이노드는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복호하여 그에 대한 패리티(parity)를 생성한 후 이 패리티를 목적노드에 전송하게 된다. 목적노드는 릴레이노드를 통해 수신한 잉여정보와 직접 경로를 통해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복호한다. 따라서, 릴레이 방식을 이용한 통신에서는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사이의 직접 경로에 의한 통신과 더불어 릴레이노드에 의한 패리티가 부가됨으로 인해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사이의 직접 경로에만 의존한 통신에 비해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ingle relay communication using one relay node, if the source node sends the same message to the relay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the destination node receives the message sent from the source node as it is through the direct path and relays. The node decodes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source node, generates parity for it, and transmits the parity to the destination node. The destination node decodes the surplu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elay node and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source node through the direct path.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using the relay method, performance is expected to be improved compared to communication based only on the direct path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due to the addition of the direct path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parity by the relay node. Can be.

또한, 복수의 릴레이노드를 이용하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서는, 단일 릴레이 통신과 마찬가지로 소스노드는 목적노드로 직접 경로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릴레이노드에게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중 홉 릴레이 구조에서의 각 릴레이노드는 단일 릴레이 구조에서처럼 수신된 메시지를 복호한 후 목적노드로 패리티를 전송하고, 목적노드는 복수의 릴레이노드로부터 수신한 패리트들과 직접 경로를 통해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복호한다.In addition, in a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of relay nodes, as in a single relay communication, a source node transmits a message to a destination node through a direct path and also transmits a message to each relay node. Each relay node in the multi-hop relay structure decodes the received message and transmits parity to the destination node as in the single relay structure, and the destination node receives the parity from the source node through the direct path with the parit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relay nodes. Decrypt using the received message.

이러한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서, NLOS(Non Line Of Sight) 환경, 즉 소스노 드와 목적노드 사이의 채널 환경이 극도로 안 좋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직접 경로(direct path)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소스노드와 목적노드는 릴레이노드에 의한 패리티만을 이용해서 통신을 해야 한다. 그러나, 목적노드에서 궁극적으로 복호하고 싶은 것은 소스노드에서 보낸 메시지인데 직접 경로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릴레이노드를 통해 수신한 패리티만을 이용하여 복호해야 하기 때문에 에러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NLOS 환경과 같은 직접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에러율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In such relay type communication, the source in a non line of sight (NLOS) environment, i.e., an environment in which a direct path does not exist when the channel environment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extremely bad or there is an obstacle. Nodes and destination nodes must communicate using parity only by relay nodes. However, the ultimate node wants to decode the message from the source node. If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direct path does not exist, the error rate increases because only the parity received through the relay node needs to be decoded. do.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in the art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error rate for the case where there is no direct path such as the NLOS environment.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 두 통신노드 사이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직접 경로(direct path)를 이용하여 두 통신노드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에러율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an error rate increase when communication between two communication nodes is impossible by using a direct path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wo communication nodes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제1 통신노드에서 제2 통신노드로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직접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통신방법에 있어서,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in a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re is no direct path for direct communic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 상기 제1 통신노드를 소스노드로 설정하는 단계;a) setting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s a source node;

b) 상기 소스노드와의 채널상태가 양호한 통신노드를 선택하는 단계;b) selecting a communication node having a good channel state with the source node;

c)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통신노드로부터 사전 설정된 기준 에러율보다 작은 에러율로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노드들로 이루어진 노드군을 설정하는 단계;c) setting a node group consisting of communication nodes existing within a communication range at an error rate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error rate from the communication node selected in step b);

d) 상기 단계 c)에서 설정된 노드군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통신노드를 목적노드로 설정하는 단계;d) setting one communication node existing in the node group set in step c) as a destination node;

e)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통신노드를 릴레이노드로 이용하여, 상기 소스노드에서 상기 목적노드로의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e) performing a single relay communication from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by using the communication node selected in step b) as a relay node; And

f)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목적노드와 상기 제2 통신노드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f) checking whether the destination node set in step 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match each other;

상기 단계 f)의 확인결과, 상기 목적노드와 상기 제2 통신노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목적노드를 새로운 소스노드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 b)-f)를 반복하고, 상기 목적노드와 상기 제2 통신노드가 일치하는 경우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f), if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do not match, the destination node is set as a new source node and the steps b) -f) are repeated,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re repeated. A communication method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when the communication nodes match.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단계 b)에서 설정된 노드군 내에 존재하는 통신노드 중 상기 단계 a)에서 선택된 통신 노드와의 거리가 가장 먼 통신노드를 상기 목적 노드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d) is to set the communication node having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node selected in the step a) among the communication nodes existing in the node group set in the step b) as the destination no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두 통신노드가 직접 통신가능한 연결 직접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NLOS 환경에서도, 릴레이 노드의 페리티만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복수의 노드군 내에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를 설정하여 노드군 내에서 직접경로를 이용한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적용함으로써 에러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n NLOS environment in which two communication nodes can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source node, a relay node, and a destination node are set in a plurality of node groups, not in a manner of transmitting only a relay node's parity. Therefore, the error rate can be minimized by applying the single relay communication using the direct path in the node group.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 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invention more completely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more clea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6 illustrate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twork diagram showing the communication method step by step.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 6.

본 발명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갖는 제1 통신노드(11)와 상기 제1 통신노드(11)가 메세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가 되는 제2 통신노드(12) 사이에 직접 통신이 가능한 직접 경로(direct path)가 존재하지 않는 NLOS(Non Line Of Sight) 환경에서, 릴레이노드만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패리티(parity)의 전달만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통신 상의 에러율 증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rect path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communication node 11 having a message to be transmitted and a second communication node 12 as a destination to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11 is to deliver a message ( In a Non Line Of Sight (NLOS) environment in which no direct path exists, it is intended to solve a problem of an increase in an error rate in communication caused by only parity transmission when communicating using only a relay node.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복수회 반복하여 제1 통신노드(11)와 제2 통신노드(12) 사이에 직접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통신노드(12)가 릴레이노드를 통한 패리티 이외에 제1 통신노드(11) 가 전송하고자 하였던 메세지 자체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eat the communication of the single relay method a plurality of times, even when there is no direct path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1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12,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 12) allows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11 to receive the message itself that it wishes to transmit in addition to parity via the relay node.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갖는 제1 통신노드(11)를 첫번째 단일 릴레이 방식 통신이 적용되는 소스노드로 설정하고(S11), 설정된 소스노드(제1 통신노드(11))를 기준으로 주변의 통신노드 중 채널 상태가 양호한 통신노드를 하나 선택한다(S12). 일반적으로 동일한 환경에서는 거리가 멀수록 송신 전력이 급속히 낮아지므로 채널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으므로, 가장 채널 상태가 양호한 통신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가장 가까운 통신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소스노드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통신노드라고 할지라도 가까운 통신노드보다 채널 상태가 더 양호할 수도 있다. 단계(S12)에서는 채널환경을 고려하여 설정된 소스노드(제1 통신노드(11))와의 채널 상태가 가장 양호한 주변의 통신노드(131)를 하나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통신노드(131)는 첫번째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서 릴레이노드로 사용되는 통신노드이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11 having a message to be transmitted is set as a source node to which the first single relay communication is applied (S11), and the set source node (first communication node ( 11)) select one communication node having a good channel state among neighboring communication nodes (S12). In general, in the same environment, since the transmission power decreases rapidly as the distance increases, the channel state may be deteriorated. Therefore, the nearest communication node may be selected to select the communication node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distance from the set source node is a relatively distant communication node, the channel state may be better than the close communication node. In step S12, one of the neighboring communication nodes 131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with the set source node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11)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nnel environment. The selected communication node 131 is a communication node used as a relay node in a first single relay communication.

이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계(S12)에서 선택된 통신노드(131)는 그 주위의 통신노드들을 검색하여 사전 설정된 기준 에러율보다 작은 에러율로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노드들로 이루어진 노드군(G1)을 설정한다(S13). 이 노드군(G1)은 상기 선택된 통신노드(131)이 양호하게 통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통신노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선택된 통신노드(131)를 기준으로 거리 변화에 따른 에러율 변화를 확인하여, 양호한 통신이 가능한 기준이 되는 사전 설정된 기준 에러율 이내의 통신 가능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communication node 131 selected in step S12 searches for communication nodes around the node and consists of communication nodes existing within a communication range at an error rate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error rate. The group G1 is set (S13). The node group G1 includes a communication nod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selected communication node 131 can communicate well, and confirms an error rate change according to a distance change based on the selected communication node 131. It can be determined by setting a communicable range within a preset reference error rate which is a good communication standard.

이어, 이와 같이 결정된 노드군(G1)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통신노드(134)를 첫번째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노드(134)로 설정한다(S14). 이러한 목적노드(134) 설정 단계(S14)는, 노드군(G1) 내에 존재하는 통신노드 중 상기 단계(S12)에서 선택된 노드(131)와의 거리가 가장 먼 노드를 상기 목적노드(134)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선행하는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서 목적노드가 다음의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서 소스노드가 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선행하는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의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에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이 적용되는 회수, 즉 노드군의 숫자를 가능한 적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계(S12)에서 선택된 노드(131)와의 거리가 가장 먼 노드를 상기 목적노드(134)로 설정하는 것이 노드군의 숫자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Subsequently, one communication node 134 existing in the node group G1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is set as the destination node 134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of the first single relay method (S14). In the destination node 134 setting step S14, the node having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node 131 selected in the step S12 among the communication nodes existing in the node group G1 is set as the destination node 134. It is desirable to. As described abov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single relay scheme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tination node becomes a source node in the communication of the following single relay method in the communication of the preceding single relay method, and therefor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mmunication of the preceding single relay method, the following single relay method is used. Will transmit the data in err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et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communication of the single relay system is applied, that is, the number of node groups as small as possible. Therefore, setting the node farthest from the node 131 selected in the step S12 as the destination node 134 may help to reduce the number of node groups.

이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스노드(11)와 목적노드(134) 사이에 직접 경로를 형성하고, 단계(S12)에서 선택된 통신노드(131)를 릴레이 노드로 이용하여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수행한다(S15). 당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은, 소스노드(11)가 목적노드(134)에 직접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릴레이노드(131)는 소스노드(1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하고 패리티(parity)를 생성한 후 이 패리티를 목적노드(134)에 전달하는 방식의 통신이다.Next, as shown in FIG. 4, a direct path is formed between the source node 11 and the destination node 134, and the communication node 131 selected in step S12 is used as a relay node to provide a single relay method. Perform communication (S15). As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a single relayed communication is such that the source node 11 transmits data via a direct path to the destination node 134, and the relay node 131 from the source node 11 It is a communication in which a received data is decoded, a parity is generated, and the parity is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node 134.

이어, 단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였던 목적노드(134)가 최초 제1 통신노드(11)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했던 제2 통신노드(12)인지 확인한다(S16). 확인 결과, 목적노드(134)가 제2 통신노드(12)가 아닌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전 단일 릴레이 통신을 수행하였던 목적노드(134)를 다시 소스노드로 설정하고(S17) 전술한 단계(S12) 내지 단계(S15)를 다시 수행하여, 새로운 릴레이노드(135)를 선택하고 새로운 노드군(G2)을 설정하여 새로운 목적노드(136)를 설정하고 단일 릴레이 통신을 반복 실행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통신노드(12)를 목적노드로 하는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이 이루어질 때 까지 상기 단계(S12) 내지 단계(S16)은 계속 반복 수행된다.Subsequently, it is checked whether the destination node 134 that has performed the single relay communication is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12 to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11 intends to transmit data (S16).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destination node 134 is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12, as shown in FIG. 5, the destination node 134 that has previously performed a single relay communication is set as the source node again (S17).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teps S12 to S15 again, a new relay node 135 is selected and a new node group G2 is set to set a new destination node 136 and repeatedly execute a single relay communication. do.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6, steps S12 to S16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communication of a single relay method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12 as a destination node is achiev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통신노드가 직접 통신가능한 연결 직접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NLOS 환경에서도, 릴레이 노드의 페리티만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복수의 노드군 내에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를 설정하여 노드군 내에서 직접경로를 이용한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적용함으로써 에러율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urce node and a relay node in a plurality of node groups, not in a manner of transmitting only a relay node's parity, even in an NLOS environment in which two communication nodes do not have a direct connection path. And by setting a destination node and applying a single relay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direct path in the node group it can be minimized the error rat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IEEE 802.15.3 기반의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에서 사용되는 표준에 따른 릴레이를 이용한 통신에서, 채널 상태가 좋지 않거나 원거리에 배치되어 직접 경로를 형성하지 못하는 두 통신노드 사이의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using a relay according to a standard used in the IEEE 802.15.3-bas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the channel communication is not good or is located at a long distance and the two communication that can not form a direct path Applicable to communication between node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2 to 6 are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step-by-step communication method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제1 통신노드에서 제2 통신노드로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직접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통신방법에 있어서,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in a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re is no direct path for direct communic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 상기 제1 통신노드를 소스노드로 설정하는 단계;a) setting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s a source node; b) 상기 소스노드와의 채널상태가 양호한 통신노드를 선택하는 단계;b) selecting a communication node having a good channel state with the source node; c)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통신노드로부터 사전 설정된 기준 에러율보다 작은 에러율로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노드들로 이루어진 노드군을 설정하는 단계;c) setting a node group consisting of communication nodes existing within a communication range at an error rate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error rate from the communication node selected in step b); d) 상기 단계 c)에서 설정된 노드군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통신노드를 목적노드로 설정하는 단계;d) setting one communication node existing in the node group set in step c) as a destination node; e)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통신노드를 릴레이노드로 이용하여, 상기 소스노드에서 상기 목적노드로의 단일 릴레이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e) performing a single relay communication from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by using the communication node selected in step b) as a relay node; And f)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목적노드와 상기 제2 통신노드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f) checking whether the destination node set in step 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match each other; 상기 단계 f)의 확인결과, 상기 목적노드와 상기 제2 통신노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목적노드를 새로운 소스노드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 b)-f)를 반복하고, 상기 목적노드와 상기 제2 통신노드가 일치하는 경우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f), if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do not match, the destination node is set as a new source node and the steps b) -f) are repeated, and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 are repeated. A communication method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when the communication nodes m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상기 단계 b)에서 설정된 노드군 내에 존재하는 통신노드 중 상기 단계 a)에서 선택된 통신 노드와의 거리가 가장 먼 통신노드를 상기 목적 노드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통신노드를 포함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A net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etting the communication node that is farthest from the communication node selected in step a) among the communication nodes existing in the node group set in the step b) as the target node. Communication method in
KR1020080108611A 2008-11-03 2008-11-03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KR101004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611A KR101004945B1 (en) 2008-11-03 2008-11-03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611A KR101004945B1 (en) 2008-11-03 2008-11-03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453A KR20100049453A (en) 2010-05-12
KR101004945B1 true KR101004945B1 (en) 2010-12-28

Family

ID=4227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611A KR101004945B1 (en) 2008-11-03 2008-11-03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945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2008.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453A (en)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713B2 (en) Transmission of management messages for relay networks
US8126470B2 (en) Topology and route discovery and management for relay networks
Halford et al. Barrage relay networks
US7751332B2 (en) Data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US8411567B2 (en) Swarm intelligence based methods to enable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a mesh network
US20170117978A1 (en) Method for selecting ttl for a mesh network
CN109328439A (en) Base station, transmitte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relay communications equipment communicated for honeycomb and D2D
JP2008085990A (en) Method of selecting optimal route in cooperative relay network
JP2015530844A (en) Link adaptation for multi-hop routes in wireless mesh networks
US9544906B2 (en) Channel allocation method in wireless mesh network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method
US77342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redit for participation in an ad hoc network
Alvandi et al. Delay optimization and cross-layer design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with network coding an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ation
KR100755709B1 (en) Method for multicast routing using MPR set information
JP2007243328A (en) Relay wireless station selection method for transmission origin wireless station in adhoc network, wireless station, and program
KR101004945B1 (en) Communication method in network including multi node
JP2007174389A (en) Packet relay method of terminal in mobile ad-hoc network, terminal, and program
US20110053496A1 (en)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timing in relay station
Tomasin Routing over multi-hop fading wiretap networks with secrecy outage probability constraint
LeAnh et al. Optimal network selection coordination in heterogeneous Cognitive Radio Networks
Long et al. TDMA-based efficient cooperative relaying selection scheme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KR101347897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hereof,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mobile node
Cha et al. Novel Section‐Based Joint Network Coding and Scheduling Scheme in WMNs: JNCS
Liu et al. An optimal graph approach for optimizing OFDMA relay networks
Laurindo et al. Multi-criteria Analysis to Select Relay Nodes in the ORST Technique
CN103347289B (en) Utilize the single path method for routing of spectrum space reus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