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750B1 -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750B1
KR101004750B1 KR1020100078787A KR20100078787A KR101004750B1 KR 101004750 B1 KR101004750 B1 KR 101004750B1 KR 1020100078787 A KR1020100078787 A KR 1020100078787A KR 20100078787 A KR20100078787 A KR 20100078787A KR 101004750 B1 KR101004750 B1 KR 10100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am
waterproof
insulation panel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도환
조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78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단열공사에 사용하기 위한 단열패널과 이의 바람직한 이용발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저항과 습기차단에 유리한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과, 이러한 단열패널을 옥상바닥의 외단열 노출형 방수공사에 바람직하게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은, 상·하부 평면그리드가 교점을 통해 수직재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형태로 고강도 PE로 제작된 입체그리드; 상기 입체그리드 내부의 빈공간에 채워진 PE발포폼; 상기 PE발포폼이 채워진 입체그리드의 하부표면에 부착된 알루미늄필름막; 상기 PE발포폼이 채워진 입체그리드의 상부표면에 부착된 PET필름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단열방수공법은, 옥상바닥을 정리하는 제1단계; 알루미늄필름막을 하부면으로 하여 상기한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을 옥상바닥 위에 부착 설치하는 제2단계;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의 PET필름막 위에 시트방수, 도막방수, 시트·도막복합방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방수공사를 실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Reinforced insulation panels and exposure type adiabatic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단열공사에 사용하기 위한 단열패널과 이의 바람직한 이용발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저항과 습기차단에 유리한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과, 이러한 단열패널을 옥상바닥의 외단열 노출형 방수공사에 바람직하게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에는 외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단열공사를 실시하는 한편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공사를 실시한다. 단열공사는 단열재의 설치위치에 따라 내단열, 중단열, 외단열로 나뉘는데, 단열효과에서는 외단열이 가장 유리하다.
통상 건물 옥상의 경우에 외단열방수공사는 비노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방수공사를 실시하고 단열재를 설치한 다음 누름콘크리트로 마무리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단열재는 보통 다공성 자재인 발포폼이 많이 사용되는데 발포폼은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압축변형이 크고 흡수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발포폼 단열재를 설치한 후 방수공사를 실시하여 마무리하는 노출 방식으로 외단열방수공사를 실시하면 방수층에 재하되는 하중이 바로 발포폼 단열재로 전달되어 발포폼 단열재가 압축변형을 일으키고 발포폼 단열재의 압축변형에 따라 방수층도 신축하면서 균열이 일어나기 쉽고, 한편 방수공사를 실시한 후 발포폼 단열재를 설치한 다음 누름콘크리트를 시공하지 않으면 단열재가 우수 등을 흡수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방수층과 발포폼 단열재를 보호하기 위해 비노출 방식으로 외단열방수공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노출 방식에서 누름콘크리트의 시공은 작업량 증대와 건물의 고정하중 증대로 이어진다.
한편 기존건물이 노후화되면 각종 자재의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강 내지 보수공사를 실시한다. 단열과 방수도 보수공사를 실시하는데, 이미 외단열방수공사가 실시되어 있던 기존건물의 경우에는 누름콘크리트와 단열재 및 방수층의 노후 자재를 제거한 후 새로운 자재로 방수공사, 단열재 설치, 누름콘크리트 시공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다시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공사기간이 길뿐만 아니라 소음, 진동, 폐자재 발생 등에 따른 각종 민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외단열방수를 비노출방식으로 시공해야 했던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압축저항과 습기차단에 유리한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과, 이러한 단열패널을 옥상바닥의 외단열 노출형 방수공사에 바람직하게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부 평면그리드가 교점을 통해 수직재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형태로 고강도 PE로 제작된 입체그리드; 상기 입체그리드 내부의 빈공간에 채워진 PE발포폼; 상기 PE발포폼이 채워진 입체그리드의 하부표면에 부착된 알루미늄필름막; 상기 PE발포폼이 채워진 입체그리드의 상부표면에 부착된 PET필름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상바닥을 정리하는 제1단계; 알루미늄필름막을 하부면으로 하여 상기한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을 옥상바닥 위에 부착 설치하는 제2단계;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의 PET필름막 위에 시트방수, 도막방수, 시트·도막복합방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방수공사를 실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압축저항과 습기차단에 유리한 단열패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패널은 노출형 외단열방수공사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단열방수공법은 노후화된 기존건물에 누름콘크리트 등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단열방수 보수공법으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단열방수공법을 순서대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을 도시하는데,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100)은 PE입체그리드(110), PE발포폼(120), 알루미늄필름막(130), PET필름막(140)으로 구성된다.
입체그리드(110)는 상·하부 평면그리드(111, 112)가 교점을 통해 수직재(114)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형태로 고강도 PE(Polyetylene)로 제작되는 구성인데, 도 1a에서와 같이 선형 부재에 의해 소정 높이의 입체적인 격자 보강구조가 된다. 입체그리드(110)는 고강도 PE로 제작되기 때문에 단열패널(100)에서 압축저항과 휨저항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중심 코어가 된다. PE는 가볍고 내열성, 보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므로 고강도 PE는 단열패널(100)을 구성하는 중심 코어 재료로 적합하다. 입체그리드(110)는 자원재활용 차원에서 재생 PE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입체그리드(110)는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상·하부 평면그리드(111, 112) 사이에 중간 평면그리드(113)가 더 마련되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중간 평면그리드(113)는 입체그리드(110)의 보강구조를 강화한다. 중간 평면그리드(113)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100)의 설치위치에 따른 요구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마련하면 된다.
PE발포폼(120)은 입체그리드(110) 내부의 빈공간에서 PE 발포제가 발포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성이다. PE발포폼(120)은 고강도 PE 입체그리드(110)와 동일 계열의 재료이기 때문에 PE발포폼(120)은 발포과정에서 입체그리드(110)에 부착되면서 일체화된다. PE발포폼(120)은 PE의 고유 성질과 발포과정에서 형성되는 기공에 의해 단열패널(100)에서 단열성능을 실질적으로 발휘하는 구성이 된다. 소정의 단열성능 확보를 위해 PE발포폼(120)은 15~40배의 발포배율로 발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100)을 노출형 단열방수공법으로 옥상바닥(210)에 적용하는 경우라면 지속적인 하중 재하가 우려되므로 15~20배 정도의 낮은 발포배율로 단단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필름막(130)은 알루미늄을 박막으로 형성시킨 것으로, PE발포폼(120)이 채워진 입체그리드(110)의 하부표면에 부착되어 PE발포폼(120)을 보호하는 하부피막이 된다. 알루미늄필름막(130)은 단열과 방습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100)에서 PE발포폼(120)에 의한 단열성능을 보완하는 한편 PE발포폼(120)으로의 습기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PET필름막(14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필름막으로 형성시킨 것인데, PE발포폼(120)이 채워진 입체그리드(1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PE발포폼(120)을 보호하는 상부피막이 된다. PET는 가볍고, 우수한 기계특성과 내약품성 및 내습성을 가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100)의 상부표면으로 마무리되어 PE발포폼(120)을 보호하는 상부피막이 되는 것이다.
도 1b는 도 1a의 단열패널(100)에 대한 단면도인데, 보는 바와 같이 입체그리드(110)와 PE발포폼(120)이 동일한 면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하부표면과 상부표면에 각각 알루미늄필름막(130)과 PET필름막(140)이 부착되고 있다. 이러한 단열패널(100)은 고강도 PE로 입체그리드(110)를 제작하고, 입체그리드(110) 내부에 PE 발포제를 발포시켜 PE발포폼(120)을 형성시키고, 하부표면과 상부표면에 통상의 방법(증착, 융착, 핫멜트 접착 등)으로 알루미늄필름막(130)과 PET필름막(140)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100)을 노출형 단열방수공법으로 옥상바닥(210)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중간 평면그리드를 가지는 구조에 2mm 두께의 선형부재에 의한 1m×2m×13mm 규격의 정사각 입체그리드(110)를 제작하고, 이러한 정사각 입체그리드(110)에 20배 정도 발포배율의 PE발포폼(120), 0.05~0.1mm 두께의 알루미늄필름막(130)과 PET필름막(140)을 형성시키면 적당하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을 순서대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은 옥상바닥(210)에 외단열방수공사를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슬래브로 마무리된 신축건물은 물론 종래의 외단열방수공사에 의해 누름콘크리트로 마무리된 기존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부터는 도 2a 내지 도 2f는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본다.
(1)제1단계- 바탕면 정리(도 2a)
옥상바닥(210)을 정리한다. 신축건물의 경우에 콘크리트슬래브를 정리하고, 기존건물의 경우에 누름콘크리트를 정리한다. 옥상바닥(210) 정리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바닥을 편평하게 고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2)제2단계- 단열패널 설치(도 2b와 도 2c)
알루미늄필름막(130)을 하부면으로 하여 앞서 살펴본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을 옥상바닥(210) 위에 부착 설치한다.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은 소정 크기로 제작 준비될 것이어서 상호 간 이음부가 생기게 마련인데, 소재특성과 단열성능의 연속성을 고려한다면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의 상호 간 이음부는 맞댄이음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상바닥(210)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은 옥상바닥(210)에 부분적으로 접착하고 제1탈기반(2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서는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의 맞댄이음과 부분접착을 위해 맞댄이음부에 양면테이프 타입의 알루미늄테이프(240)를 부착하는 한편 접착제(220)를 부분적으로 도포하고, 아울러 제1탈기반(230)을 설치하고 있다.
도 2c에서는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은 맞댄이음하면서 옥상바닥(210)에 부분적으로 부착 설치하고, 아울러 맞댄이음부에 알루미늄테이프(240)를 부착하여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 상호 간을 연결하고 있다. 특히 옥상 파라펫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도 2c에서와 같이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을 옥상 파라펫에서 간격으로 띄워 설치하고 그 틈을 실란트(250)로 처리하도록 한다.
(3)제4단계- 방수공사 실시(도 2d 내지 도 2f)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의 PET필름막(140) 위로 방수공사를 실시한다. 방수공사는 시트방수, 도막방수, 시트와 도막에 의한 복합방수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하면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단열방수복합시트(310)를 이용한 시트/도막 복합방수를 제안한다.
단열방수복합시트(310)는 알루미늄필름막(311), PE발포폼(312), PVC방수시트(313), 부직포(314)가 순차 적층되도록 제작된 것으로, 알루미늄필름막(311)에 의한 단열 및 방습효과, PE발포폼(312)에 의한 단열효과, PVC방수시트(313)에 의한 방수효과, 부직포(314)에 의한 도막방수와의 복합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자재이다. 단열방수복합시트(310)에서 PVC방수시트(313)는 재생 PVC와 신생 PVC의 적층구조로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방수복합시트(310)는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과 마찬가지로 습기 배출을 위해 부분적으로 부착 설치하고 제2탈기반(330)을 설치하는 한편,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과는 달리 방수성능의 연속성과 신축대응을 위해 이격이음하고 이격이음부에 고탄성 방수테이프(340)를 연결 설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열방수복합시트(310)는 단부를 압착하여 중앙부보다 두께가 얇아진 단부압착부가 마련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부압착부를 통해 고탄성 방수테이프(340)를 설치하면 수평이음을 도모할 수 있다.
고탄성 방수테이프(340)는 PVC계열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열방수복합시트(310)와 동일계열로 준비하여 방수성능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고탄성 방수테이프(340)는 알루미늄코팅막(341), PVC방수테이프(343), 부직포(344)의 적층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알루미늄코팅막(341)에 의한 단열 및 방습효과, PVC방수테이프(343)에 의한 방수효과, 부직포(344)에 의한 도막방수와의 복합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탄성 방수테이프(340)에서 알루미늄코팅막(341)은 PVC방수테이프(343)에 증착방식으로 형성시켜 PVC방수테이프(343)의 고탄성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탄성 방수테이프(340)는 도 2d에서와 같이 옥상 파라펫 모서리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위로 다시 실란트(350)를 처리하여 모서리의 단열과 방수를 철저하게 마무리한다.
도 2d와 도 2e에서는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의 위에 접착제(320)를 부분적으로 도포하고 제2탈기반(330)을 설치하는 한편, 단열방수복합시트(310)를 이격이음하면서 설치하고 이격이음부에 고탄성 방수테이프를 설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은 상부표면이 내약품성이 강한 PET필름막(140)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유성 접착제 등의 도포에도 PE발포폼(120)이 보호되어 단열성능이 유지된다.
단열방수복합시트(310)를 설치한 후에는 도 2f에서와 같이 그 위로 우레탄 등의 도막방수(410)를 실시하고, 탑코팅(420)으로 마무리한다. 도막방수(410)와 탑코팅(420)은 통상의 방법을 그대로 따르면 된다. 이로써 노출방식으로 외단열방수가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단열패널
110: 입체그리드
111: 하부 평면그리드 112: 상부 평면그리드
113: 중간 평면그리드 114: 수직재
120: PE발포폼 130: 알루미늄필름막
140: PET필름막
210: 옥상바닥 220, 320: 접착제
230, 330: 탈기반 240: 알루미늄테이프
310: 단열방수복합시트
311: 알루미늄필름막 312: PE발포폼
313: PVC방수시트 314: 부직포
340: 고탄성 방수테이프
341: 알루미늄코팅막 343: PVC방수테이프
344: 부직포
410: 도막방수 420: 탑코팅

Claims (5)

  1. 상·하부 평면그리드(111, 112)가 교점을 통해 수직재(114)에 의해 수직연결되는 형태로 고강도 PE로 제작된 입체그리드(110);
    상기 입체그리드(110) 내부의 빈공간에 채워진 PE발포폼(120);
    상기 PE발포폼(120)이 채워진 입체그리드(110)의 하부표면에 부착된 알루미늄필름막(130);
    상기 PE발포폼(120)이 채워진 입체그리드(110)의 상부표면에 부착된 PET필름막(14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
  2. 제1항에서,
    상기 입체그리드(110)는, 상·하부 평면그리드(111,112) 사이에 중간 평면그리드(113)가 더 마련되도록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
  3. 옥상바닥(210)을 정리하는 제1단계;
    알루미늄필름막(130)을 하부면으로 하여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을 옥상바닥(210) 위에 부착 설치하는 제2단계;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의 PET필름막(140) 위에 시트방수, 도막방수, 시트·도막복합방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방수공사를 실시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4. 제3항에서,
    상기 제3단계는,
    알루미늄필름막(311), PE발포폼(312), PVC방수시트(313), 부직포(314)가 순차 적층되도록 제작된 단열방수복합시트(310)를 준비하고, 알루미늄필름막(311)을 하부면으로 하여 단열방수복합시트(310)를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의 PET필름막(140) 위에 부착 설치하는 제3A단계;
    단열방수복합시트의 부직포(314) 위로 도막방수(410)를 실시하는 제3B단계;
    도막방수(410) 위에 탑코팅(420)을 실시하는 제3C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5. 제4항에서,
    상기 제2단계는, 소정 크기로 제작된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을 맞댄이음하면서 접착제(220)로 옥상바닥(210)에 부분적으로 부착 설치하되, 맞댄이음부를 통해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 아래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제1탈기반(230)을 설치하는 한편 맞댄이음부를 알루미늄테이프(240)로 연결하면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3A단계는, 소정 크기로 제작된 단열방수복합시트(310)를 이격 배치하면서 접착제(320)로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100) 위에 부분적으로 부착 설치하되, 단열방수복합시트(31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단열방수복합시트(310) 아래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제2탈기반(330)을 설치하는 한편 단열방수복합시트(310) 사이를 고탄성 방수테이프(340)로 연결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KR1020100078787A 2010-08-16 2010-08-16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KR10100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787A KR101004750B1 (ko) 2010-08-16 2010-08-16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787A KR101004750B1 (ko) 2010-08-16 2010-08-16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750B1 true KR101004750B1 (ko) 2011-01-04

Family

ID=4361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787A KR101004750B1 (ko) 2010-08-16 2010-08-16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073B1 (ko) * 2022-02-07 2023-02-06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사선형 음각패턴을 이용한 방수방근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725A (ko) * 2002-08-26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세척장치
KR20040019677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시각적 착신알림장치
KR20040035788A (ko) * 2001-09-14 2004-04-29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호흡기 질환 치료용 펜에탄올아민 유도체
KR200418725Y1 (ko) 2006-03-28 2006-06-14 비에스신소재개발(주) 발열필름용 단열재
KR200419677Y1 (ko) 2006-03-31 2006-06-23 김윤경 단전기능이 있는 알루미늄 코팅 단열재
KR200435788Y1 (ko) 2006-08-18 2007-02-21 (주)비엠아이건설 차음 및 단열용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0925418B1 (ko) 2007-04-26 2009-11-06 김충엽 일체형 유연성 단열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788A (ko) * 2001-09-14 2004-04-29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호흡기 질환 치료용 펜에탄올아민 유도체
KR20040018725A (ko) * 2002-08-26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세척장치
KR20040019677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시각적 착신알림장치
KR200418725Y1 (ko) 2006-03-28 2006-06-14 비에스신소재개발(주) 발열필름용 단열재
KR200419677Y1 (ko) 2006-03-31 2006-06-23 김윤경 단전기능이 있는 알루미늄 코팅 단열재
KR200435788Y1 (ko) 2006-08-18 2007-02-21 (주)비엠아이건설 차음 및 단열용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0925418B1 (ko) 2007-04-26 2009-11-06 김충엽 일체형 유연성 단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073B1 (ko) * 2022-02-07 2023-02-06 극동크리트 주식회사 사선형 음각패턴을 이용한 방수방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12016500601B1 (en) A rubber part for incorporation into a brick or masonry wall in a reinforced concrete frame to protect against damage caused by seismic activity
KR100950086B1 (ko) 옥상용 단열방수공법 및 단열방수용 복합판재
KR101004750B1 (ko)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KR100949548B1 (ko) Pvc 단열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353267B1 (ko)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KR20170032992A (ko) 축열 전달 방지형 파라펫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00059B1 (ko) 외단열 외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100597579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2166241B1 (ko) 단열 및 방수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N204590285U (zh) 一种复合型多功能外墙保温板
KR20060106785A (ko) 공동주택의 단열벽체 시공방법 및 단열벽체 시공을 위한거푸집겸용의 마감재
KR100954977B1 (ko)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JPH11293864A (ja) 建築用防水工法および防水パネル
KR100651530B1 (ko) 다공성 재질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단열 방수 공법
KR100924760B1 (ko) Pvc 복합방수시트와 그 제작방법, 그리고 그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방법과 복합방수공법
KR101443011B1 (ko) 고무자석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0448474B1 (ko) 합성수지 패드와 이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다기능화 시공 방법
JP4028821B2 (ja) 建築構造物の断熱補強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2647410B1 (ko) 온돌바닥
KR100903208B1 (ko) 오픈셀과 클로즈셀의 3중층 바탕조정 시트 및 다공성재질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단열 복합 방수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100360335B1 (ko) 건축 자재로서 공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처리된패널
KR20220046189A (ko) 단열과 공기 단축을 고려한 단열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조적 구조물의 건식 마감공법
CN211523698U (zh) 一种浮筑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