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53B1 -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53B1
KR101003753B1 KR1020100098612A KR20100098612A KR101003753B1 KR 101003753 B1 KR101003753 B1 KR 101003753B1 KR 1020100098612 A KR1020100098612 A KR 1020100098612A KR 20100098612 A KR20100098612 A KR 20100098612A KR 101003753 B1 KR101003753 B1 KR 10100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le
position adjustment
vertica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현
Original Assignee
(주)하이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브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하이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9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조립을 원활하고 안정되고 수행할 수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정밀하게 스크린의 조립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전면의 개방구에 장착되는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영상이 맺히는 렌즈 스크린과, 상기 렌즈 스크린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상에 설치되는 스크린 지지하우징을 구비하되,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일측 종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상하위치 조정홀,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타측 종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상하위치 조정홀,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로 전후진 되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종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상하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한 상하 조정수단;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상측 횡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좌우위치 조정홀,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하측 횡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좌우위치 조정홀, 및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로 전후진 되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횡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좌우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한 좌우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크린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정을 간단하게 수행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일일이 체결부재를 해제, 분리하고 체결위치를 재설정하거나 체결공을 천공하는 등의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신속하게 원활하게 스크린을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하 조정수단의 상하 조작봉과 좌우 조정수단의 좌우 조작봉의 체결 및 해제동작을 통해 미세하고 정확하게 스크린의 상하 및 좌우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왜곡 없는 최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SYSTEM WITH SCREEN LOCA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조립을 원활하고 안정되고 수행할 수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정밀하게 스크린의 조립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합 관제센터, 종합상황실, 콘트롤센터 등에 일부 설치되어 사용되던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상업용 및 광고용 등으로 저변이 확대되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상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를 대형 월디스플레이(wall display) 시스템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크게 제작한다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대형 월디스플레이(wall display) 시스템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층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표현하고자 하는 전체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의 일부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여 구현한다.
대형 월디스플레이(wall display)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셀(cell) 디스플레이장치로서, LCD, PDP 등의 박형 디스플레이장치 등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될 수 있지만, 하우징과 반사용 백미러 등의 크기 등을 조절하면 단일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LCD, PDP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달리 인접한 다른 셀(cell) 디스플레이장치와의 경계면에서의 영상 손실을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용한 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11), 이 메인 하우징(11) 전면의 개방구에 장착되는 스크린(12), 메인 하우징(11) 내부에 장착되는 광학엔진(13), 메인 하우징(11)의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되어 광학엔진(13)으로부터 방출되는 투사광을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2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2)은 영상이 맺히는 렌즈 스크린(12a)과, 이 렌즈 스크린(12a)의 둘레에 설치되어 메인 하우징(11)상에 설치되는 스크린 지지하우징(12b)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크린 지지하우징(12b)은 주로 금속재 형강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제작하는 것으로 그 둘레에는 메인 하우징(1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12c)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크린(12)은 스크린 지지하우징(12b)을 메인 하우징(11)의 개방구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공(12c)에 삽입하여 메인 하우징(11)의 개방구측 고정프레임(미도시)측에 체결, 고정하여 장착한다.
하지만, 스크린(12)은 대개 100인치 이상의 대형 화면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워 체결방식으로 메인 하우징(11)에 결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에 있다. 특히 렌즈 스크린(12a)이나 스크린 지지하우징(12b)은 온도, 습도와 같은 환경변화에 의한 변형이나, 제작 오차 등이 발생 되므로 스크린(12)의 조립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대형 스크린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체결부재를 해제하여 분리한 후, 체결위치를 재설정하여 체결공을 다시 천공한 후 재조립하여야 하는 등 그 조정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스크린(12)을 통해 왜곡 없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간격 조정이 요구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체결위치 변경만으로는 정밀하게 간격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최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크린의 조립을 원활하고 안정되고 수행할 수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정밀하게 스크린의 조립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전면의 개방구에 장착되는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영상이 맺히는 렌즈 스크린과, 상기 렌즈 스크린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상에 설치되는 스크린 지지하우징을 구비하되,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일측 종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상하위치 조정홀,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타측 종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상하위치 조정홀,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로 전후진 되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종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상하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한 상하 조정수단;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상측 횡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좌우위치 조정홀,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하측 횡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좌우위치 조정홀, 및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로 전후진 되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횡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좌우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한 좌우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은 횡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횡방향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은 종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종방향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상하 가이드부재, 조임동작시 전진되고 해제동작시 후진되도록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고 선단부에 전협후광 구조의 가압부가 형성되어 전진이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측에 상하강을 위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상하 조작봉, 및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측에 밀착되게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상에 체결되는 상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좌우 가이드부재, 조임동작시 전진되고 해제동작시 후진되도록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고 선단부에 전협후광 구조의 가압부가 형성되어 전진이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측에 좌우 이동을 위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좌우 조작봉, 및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좌방향 또는 우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밀착되게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상에 체결되는 좌우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상하이동을 위해 상하로 형성되는 종 가이드홈;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종 가이드홈과 연통되고 상기 상하 조작봉을 포함하는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가 상하 이동되도록 종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공; 상기 종방향 이동공과 접한 상하측에 상기 상하 스토퍼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하 스토퍼체결공;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좌우이동을 위해 좌우로 형성되는 횡 가이드홈;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횡 가이드홈과 연통되고 상기 좌우 조작봉을 포함하는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가 좌우 이동되도록 횡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공; 및 상기 횡방향 이동공과 접한 좌우측에 상기 좌우 스토퍼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좌우 스토퍼체결공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스토퍼체결공 및 상기 좌우 스토퍼체결공과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에 상기 스크린의 전후좌우 위치조정시에 상기 상하 스토퍼 및 상기 좌우 스토퍼의 선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 및 좌우 조작봉은, 환봉 형상을 갖는 부재의 선단부측에 상기 가압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상하 및 좌우 가이드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 후단측에 조임력의 인가를 위한 공구삽입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에 중심부측을 향해 요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및 좌우 가이드부재는 양단에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된 막대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 및 좌우 스토퍼는, 환봉 형상을 갖는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전협후광 구조의 접촉부와 중앙부에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에 체결되는 나사부, 및 후단부측에 조임력의 인가를 위한 공구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크린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정을 간단하게 수행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일일이 체결부재를 해제, 분리하고 체결위치를 재설정하거나 체결공을 천공하는 등의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신속하게 원활하게 스크린을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하 조정수단의 상하 조작봉과 좌우 조정수단의 좌우 조작봉의 체결 및 해제동작을 통해 미세하고 정확하게 스크린의 상하 및 좌우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왜곡 없는 최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2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조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조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조정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조정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110)과, 메인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는 광학엔진(미도시), 메인 하우징(110) 전면의 개방구에 장착되는 스크린(130),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되어 광학엔진으로부터 방출되는 투사광을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미도시)을 포함하되, 스크린(130)은 영상이 맺히는 렌즈 스크린(131)과, 이 렌즈 스크린(131)의 둘레에 설치되어 메인 하우징(110)상에 설치되는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스크린(13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조정수단(140), 및 스크린(13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조정수단(150)을 구비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내부에 광학엔진, 반사판 등이 내장되도록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11)와 이 케이스(111)의 개방구측 둘레에 스크린 지지하우징(132)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후술되는 상하 조정수단(140) 및 좌우 조정수단(150)이 설치되는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렌즈 스크린(131)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렌즈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스크린은 대개 광원쪽에 형성되어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을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주는 프레넬 렌즈와 이 프레넬 렌즈를 통과한 평행 광선을 보다 넓은 스크린으로 선명한 화상을 유지하면서 확대시켜 주는 렌티큘러 렌즈가 전면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은 렌즈 스크린(131)를 고정, 지지하도록 그 둘레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렌즈 스크린(131)의 가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일측 및 타측 종부재(132a,132b)와, 일측 및 타측 종부재(132a,132b)의 상단부에 서로 연결되는 상측 횡부재(132c), 및 일측 및 타측 종부재(132a,132b)의 하단부에 서로 연결되는 하측 횡부재(132d)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 조정수단(140)은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의 일측 종부재(132a)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상하위치 조정홀(141),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의 타측 종부재(132b)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2), 및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과 대응하는 메인 하우징(110)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로 전후진 되면서 일측 및 타측 종부재(132a,132b)측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상하위치 조정부재(143)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은 횡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횡방향 장공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하위치 조정부재(143)의 상하 조작봉(143b)이 삽입될 경우 상하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조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조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조정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조정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하위치 조정부재(143)는, 도4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가이드부재(143a), 상하 조작봉(143b), 및 상하 스토퍼(143c)를 구비한다.
상하 가이드부재(143a)는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앙에 체결공(143a1)이 형성된 것으로, 양단에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면(143a2)이 형성된 막대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조작봉(143b)은 조임동작시 전진되고 해제동작시 후진되도록 상하 가이드부재(143a)의 체결공(143a1)에 체결되고 선단부에 전협후광(前狹後廣)의 구조의 가압부(143b1)가 형성되어 전진이동시에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측에 상하강을 위한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 조작봉(143b)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구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환봉 형상을 갖는 부재의 선단부측에 원추형의 가압부(143b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하 가이드부재(143a)에 체결되는 체결부(143b2), 후단측에 조임력의 인가를 위한 공구삽입부(143b3), 및 가압부(143b1)와 체결부(143b2)의 사이에 중심부측을 향해 요입되는 슬라이딩홈(143b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딩홈(143b4)은 스크린(130)의 상하 좌우 간격의 조정이 완료된 후에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의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하 조작봉(143b)을 후진시키게 되면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열 등에 의해 스크린(130)이 변형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유격 공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스크린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구삽입부(143b3)는 체결용 공구인 일자 드라이버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후단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일자형 드라이버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 스토퍼(143c)는 상하 가이드부재(143a)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하 가이드부재(143a)의 상단 또는/및 하단측에 밀착되게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상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환봉 형상을 갖는 부재의 선단부에 상하 가이드부재(143a)의 경사면(143a2)에 접촉되도록 전협후광 구조로 형성된 접촉부(143c1)와, 중앙부에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나사부(143c2), 및 후단부측에 조임력의 인가를 위한 공구삽입부(143c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공구삽입부(143c3)는 체결용 공구인 육각 렌치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후단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렌치삽입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 조정수단(150)은 도3, 도5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의 상측 횡부재(132c)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좌우위치 조정홀(151),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의 하측 횡부재(132d)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2), 및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과 대응하는 메인 하우징(110)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 체결되고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로 전후진 되면서 상측 및 하측 횡부재(132c,132d)측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좌우위치 조정부재(153)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은 종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종방향 장공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좌우위치 조정부재(153)의 좌우 조작봉(153b)이 삽입될 경우 좌우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위치 조정부재(153)는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공(153a1)이 형성된 좌우 가이드부재(153a), 조임동작 및 해제동작시 전진되고 해제동작시 후진되도록 좌우 가이드부재(153a)의 체결공(153a1)에 체결되고 선단부에 전협후광 구조의 가압부(153b1)가 형성되어 전진이동시에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측에 좌우 이동을 위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좌우 조작봉(153b), 및 좌우 가이드부재(153a)의 좌방향 또는 우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좌우 가이드부재(153a)의 상단 또는/및 하단측(경사면(153a2))에 밀착되게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상에 체결되는 좌우 스토퍼(153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153a), 좌우 조작봉(153b), 및 좌우 스토퍼(153c)의 세부 구조는 전술한 상하위치 조정부재(143)의 대응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은 사각봉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는 상하 가이드부재(143a)의 상하이동을 위해 상하로 형성되는 종 가이드홈(112a),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과 대응하는 위치에 종 가이드홈(112a)과 연통되고 상하 조작봉(143b)을 포함하는 상하 가이드부재(143a)가 상하 이동되도록 종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공(112b), 및 이 종방향 이동공(112b)과 접한 상하측에 상기 상하 스토퍼(143c)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하 스토퍼체결공(11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는 좌우 가이드부재(153a)의 좌우이동을 위해 좌우로 형성되는 횡 가이드홈(112d),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과 대응하는 위치에 횡 가이드홈(112d)과 연통되고 좌우 조작봉(153b)을 포함하는 좌우 가이드부재(153a)가 좌우 이동되도록 횡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공(112e), 횡방향 이동공(112e)과 접한 좌우측에 좌우 스토퍼(143c)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좌우 스토퍼체결공(11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스토퍼체결공(112c) 및 좌우 스토퍼체결공(112f)과 대응하는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에 스크린(130)의 전후좌우 위치조정시에 상하 스토퍼(143c) 및 좌우 스토퍼(153c)의 선단부(접촉부(143c1,153c1))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132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에 따르면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공(112b)과 횡방향 이동공(112e)은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과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과는 90°의 각도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스크린(130)측과 메인 하우징(110)에는 전술한 상하 조정수단(140) 및 좌우 조정수단(150)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조정된 스크린의 정위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160)을 구비한다. 이 고정수단(160)은 스크린(130)측을 메인 하우징(110)에 고정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과 스크린 지지하우징(132) 사이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고,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과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에는 고정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61) 및 삽입공(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공(162)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 광학엔진(미도시), 반사판(미도시) 등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스크린(130)측의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이 메인 하우징(110)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112)에 접하도록 가조립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스크린(130)의 위치조정이 필요하게 되면 상하 조정수단(140) 또는 좌우 조정수단(150)을 간편하게 조작하여 최상의 영상이 맺힐 수 있도록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먼저, 스크린(130)의 상하방향 위치조정과정을 살펴보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방향 위치조정은 상하 조정수단(1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상하 조작봉(143b)의 공구삽입부(143b3)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잠김방향(시계방향)으로 체결하게 되면 가압부(143b1)가 전진 이동하면서 제1 상하위치 조정홀(141)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 조작봉(143b)이 전진 이동하게 되면 가압부(143b1)가 전협후광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상하위치 조정홀(141)이 횡방향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부의 점차적인 이동에 따라 제1 상하위치 조정홀(141)의 내주연 부분에 가압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하 스토퍼(143c)가 종 가이드홈(112b)의 하측에 형성된 상하 스토퍼체결공(112c)에 체결된 경우 상하 가이드부재(143a)의 하방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가압부(143b1)가 전진 이동되면 제1 상하위치 조정홀(141)의 상측 내주연에 상승력을 작용하여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일측 종부재(132a))을 상승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하 스토퍼(143c)가 종 가이드홈(112b)의 상측에 형성된 상하 스토퍼체결공(112c)에 체결된 경우 상하 가이드부재(143a)의 상방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가압부(143b1)가 전진 이동되면 제1 상하위치 조정홀(141)의 하측 내주연에 하강력을 작용하여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일측 종부재(132a))을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2)측으로 상하 조작봉(143b)을 체결하여 조이거나 풀게 되면 스크린(130) 타측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130)의 좌우방향 위치조정과정을 살펴보면,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좌우방향 위치조정은 좌우 조정수단(15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좌우 조작봉(153b)의 공구삽입부(153b3)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잠김방향(시계방향)으로 체결하게 되면 가압부(153b1)가 전진 이동하면서 제1 좌우위치 조정홀(151)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 조작봉(153b)이 전진 이동하게 되면 가압부(153b1)가 전협후광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좌우위치 조정홀(151)이 종방향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부의 점차적인 이동에 따라 제1 좌우위치 조정홀(151)의 일측 내주연(도6b에서는 오른쪽 주연) 부분에 가압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때, 좌우 스토퍼(153c)가 횡 가이드홈(112e)의 왼쪽 좌우 스토퍼체결공(112f)에 체결된 경우 좌우 가이드부재(153a)은 왼쪽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가압부(153b1)가 전진 이동되면 제1 좌우위치 조정홀(151)에 오른쪽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하여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상측 횡부재(132c))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좌우 스토퍼(153c)가 횡 가이드홈(112e)의 오른쪽 좌우 스토퍼체결공(112f)에 체결된 경우 좌우 가이드부재(153a)은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가압부(153b1)가 전진 이동되면 제1 좌우위치 조정홀(151)에 왼쪽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하여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상측 횡부재(132c))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2)측으로 좌우 조작봉(153b)을 체결하여 조이거나 풀게 되면 스크린(130)의 하부측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하 조정수단(140) 및 좌우 조정수단(150)에 의해 스크린(130)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정이 완료되면 상하 조작봉(143b) 및 좌우 조작봉(153b)이 후진되도록 해제하여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과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의 내주연 부분이 슬라이딩홈(143b4, 153b4)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141,142)과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151,152)의 가장 자리 부분이 슬라이딩홈(143b4, 153b4)에 위치하도록 하게 되면 스크린 지지하우징(132)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열 등에 의해 스크린이 변형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스크린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디스플레이장치 110:메인 하우징
112:개방구측 프레임 130:스크린
132:스크린 지지하우징 140:상하 조정수단
141:제1 상하위치 조정홀 142:제2 상하위치 조정홀
143:상하위치 조정부재 143a:상하 가이드부재
143b:상하 조작봉 143c:상하 스토퍼
150:좌우 조정수단 151:제1 좌우위치 조정홀
152:제2 좌우위치 조정홀 153:좌우위치 조정부재
153a:좌우 가이드부재 153b:좌우 조작봉
153c:좌우 스토퍼

Claims (5)

  1. 디스플레이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전면의 개방구에 장착되는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영상이 맺히는 렌즈 스크린과, 상기 렌즈 스크린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상에 설치되는 스크린 지지하우징을 구비하되,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일측 종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상하위치 조정홀,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타측 종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상하위치 조정홀,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로 전후진 되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종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상하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한 상하 조정수단; 및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상측 횡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1 좌우위치 조정홀,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의 하측 횡부재에 천공, 형성되는 제2 좌우위치 조정홀, 및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로 전후진 되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횡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좌우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한 좌우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은 횡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횡방향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은 종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종방향 장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상하 가이드부재, 조임동작시 전진되고 해제동작시 후진되도록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고 선단부에 전협후광 구조의 가압부가 형성되어 전진이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측에 상하강을 위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상하 조작봉, 및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측에 밀착되게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상에 체결되는 상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좌우 가이드부재, 조임동작시 전진되고 해제동작시 후진되도록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체결공에 체결되고 선단부에 전협후광 구조의 가압부가 형성되어 전진이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측에 좌우 이동을 위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좌우 조작봉, 및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좌방향 또는 우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밀착되게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상에 체결되는 좌우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의 상하이동을 위해 상하로 형성되는 종 가이드홈;
    상기 제1 및 제2 상하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종 가이드홈과 연통되고 상기 상하 조작봉을 포함하는 상기 상하 가이드부재가 상하 이동되도록 종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공;
    상기 종방향 이동공과 접한 상하측에 상기 상하 스토퍼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하 스토퍼체결공;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의 좌우이동을 위해 좌우로 형성되는 횡 가이드홈;
    상기 제1 및 제2 좌우위치 조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횡 가이드홈과 연통되고 상기 좌우 조작봉을 포함하는 상기 좌우 가이드부재가 좌우 이동되도록 횡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횡방향 이동공;
    상기 횡방향 이동공과 접한 좌우측에 상기 좌우 스토퍼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좌우 스토퍼체결공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스토퍼체결공 및 상기 좌우 스토퍼체결공과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에 상기 스크린의 전후좌우 위치조정시에 상기 상하 스토퍼 및 상기 좌우 스토퍼의 선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및 좌우 조작봉은, 환봉 형상을 갖는 부재의 선단부측에 상기 가압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상하 및 좌우 가이드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 후단측에 조임력의 인가를 위한 공구삽입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에 중심부측을 향해 요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및 좌우 가이드부재는 양단에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된 막대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 및 좌우 스토퍼는, 환봉 형상을 갖는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전협후광 구조의 접촉부와 중앙부에 상기 스크린 지지하우징에 체결되는 나사부, 및 후단부측에 조임력의 인가를 위한 공구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00098612A 2010-10-11 2010-10-11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00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612A KR101003753B1 (ko) 2010-10-11 2010-10-11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612A KR101003753B1 (ko) 2010-10-11 2010-10-11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753B1 true KR101003753B1 (ko) 2010-12-23

Family

ID=4351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612A KR101003753B1 (ko) 2010-10-11 2010-10-11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876U (ko) * 1998-09-10 1999-01-25 배근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KR20030078216A (ko) * 2002-03-28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조정이 용이한 광학엔진 어셈블리 및 이를 채용한프로젝션 시스템
KR20040085336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프로젝터 위치 제어 장치
KR20070072391A (ko) * 2005-12-29 2007-07-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876U (ko) * 1998-09-10 1999-01-25 배근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KR20030078216A (ko) * 2002-03-28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조정이 용이한 광학엔진 어셈블리 및 이를 채용한프로젝션 시스템
KR20040085336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프로젝터 위치 제어 장치
KR20070072391A (ko) * 2005-12-29 2007-07-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793B2 (ja) Ledモジュール取付け機構
US20210307181A1 (en) Foldabl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KR101067769B1 (ko)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KR20070072391A (ko)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6730B1 (ko) 영상표시장치 마운팅 구조
CN108091262B (zh) 曲面调节机构及背光模组
WO2011125628A1 (ja) 表示装置
US7540453B2 (en) Position adjusting device
TWI489194B (zh) 光學裝置及其支撐架
CN202049467U (zh) 光学触摸屏框架角块、光学触摸屏框架及光学触摸屏
KR200455202Y1 (ko) 디스플레이 월의 스크린 변형방지 및 간격유지를 위한 위치 고정장치
KR101003753B1 (ko)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WO2014069456A1 (ja) 表示装置
US20170175947A1 (en) Base mounting assembly and display device
WO2020225907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478001U (zh) 一种直下式led背光模组
JP2006241742A (ja) 扉枠調整具及び扉枠取付構造
CN103335283A (zh) 组合式背板和其装配方法以及使用其的背光模组
US20160177990A1 (en) Coupling device and lamp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10222028A1 (en) Projector with lens height adjusting function
CN107103845B (zh) 拼接式显示屏
CN202025485U (zh) 显示屏显示单元和显示屏
KR101372946B1 (ko) 플렉셔 마운트 및 그 플렉셔 마운트의 제조방법
US9128315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6504536B2 (ja) 映像表示機器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