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668B1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668B1
KR101003668B1 KR1020090027543A KR20090027543A KR101003668B1 KR 101003668 B1 KR101003668 B1 KR 101003668B1 KR 1020090027543 A KR1020090027543 A KR 1020090027543A KR 20090027543 A KR20090027543 A KR 20090027543A KR 101003668 B1 KR101003668 B1 KR 101003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eat source
cavity
spac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9113A (en
Inventor
황근재
오상진
허정익
변준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668B1/en
Publication of KR2010010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configured to move a heat source for dissipating heat for cooking food.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다른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이동하는 제1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열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른 측면에서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요리 공간의 적어도 후면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 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의 전방을 제외한 부분에서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제1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열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에 의하면, 음식물의 균일 가열 및 요리시간의 절감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cavity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ase and position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to provide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 first heat source mounted to the cavity to mov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And a second heat source positioned above the cavity and he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 another aspect,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cavity in which at least a rear surface of the cooking space is recessed to the rear while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one surface of the cavity; A first heat source mounted on the cavity and having a movement path formed at a portion except the front of the food; And a second heat source configured to heat an inner space of the cavity above the cavity. . According to such a cook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niform heating of food and the cooking time.

조리기기, 열원, 이동, 다면 가열 Cooker, heat source, moving, multi-sided heating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Cooking appliance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configured to move a heat source for dissipating heat for cooking food.

조리기기는 주방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에 의해 전자레인지와 오븐 등으로 구별되며, 설치되는 형태에 의해 빌트인(Built-in) 타입과 스탠드 타입, 벽걸이 타입 등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The cooking appliance is one of home appliances for cooking food located in a kitchen space, and is classified into a microwave oven and an oven by a heat source for heating food, and a built-in type and a stand type according to the installed type. Or wall-mounted.

상기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고주파를 발산하여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며, 상기 오븐은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으로 히터 또는 버너 등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다. The microwave oven is a kitchen appliance for cooking food by heating the food by the high frequency by emitting a high frequency in the interior space where the food is located, the oven is an internal space where the food is loca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or burner, etc. It is a kitchen appliance that cooks food by heating.

그리고, 빌트인 타입은 주방 공간에 위치하는 주방 가구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며, 스탠드 타입은 주방 가구의 상측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고, 벽걸이 타입은 주방 공간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주방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후드의 기 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다. In addition, the built-in typ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kitchen furniture located in the kitchen space, the stand typ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tchen furniture or placed in the space desired by the user, the wall type is the kitchen space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the hood installe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hood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generated in the kitchen space to the outside space.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uch a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n outer shape, a cavity which is a space in which food is cook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parts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vity to cook foo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to be located inside the.

상기 열원은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고주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히터, 버너 등이 각각 구비되어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The heat source is provided with a magnetron that emits high frequency for heating food, and a heater, burner, etc., which emits heat for heating food, is configured to heat the food.

한편,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 중 히터는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장착되는 형태로 장착되기도 하며, 요리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음식물과의 거리를 좁히도록 회전 운동 또는 병진 운동하는 형태로 장착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er of the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is mounted in a form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o heat the food, in the form of rotating or translational movement to narrow the distance to the food in order to shorten the cooking time It can also be mounted.

이와 같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상기 열원들에 의하면, 열원과 가까이 위치하는 부분이 먼저 요리되고, 열원과 멀리 위치하는 부분이 나중에 요리됨으로써 음식물의 균일 가열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t sources provided to heat the food, a portion located close to the heat source is cooked first, and a portion located far from the heat source is cooked later,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uniformly heat the food. .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가열이 어려워지게 되고, 음식물의 형태 또는 크기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various heating becomes difficult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a problem arises that the shape or size of the food is restricted.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 시간이 길어지게 되거나,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균일 가열이 어려워짐으로써 사용자가 요리된 음식물에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cooking time for cooking the food becomes long, or a problem occurs that cooking of various foods is impossible, and uniform heating becomes difficult,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user is not satisfied with the cooked food. .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가능한 열원이 구비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a movable heat sou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음식물의 가열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food at a desired location of a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열원의 이동 경로 내부에 음식물이 위치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food is located in a moving path of a heat source for heating fo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면 가열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on multiple sid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cooking various foods.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다른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이동하는 제1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열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cavity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ase and position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to provide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 first heat source mounted to the cavity to mov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And a second heat source positioned above the cavity and heat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

다른 측면에서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 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요리 공간의 적어도 후면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 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의 전방을 제외한 부분에서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제1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열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nother aspect,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cavity in which at least a rear surface of the cooking space is recessed to the rear while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one surface of the cavity; A first heat source mounted on the cavity and having a movement path formed at a portion except the front of the food; And a second heat source configured to heat an inner space of the cavity above the cavity. .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따르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에서 상기 음식물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열원이 구비되어, 동시에 음식물의 다면 가열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heat source that moves to the outside of the food in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s cook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heated if the food.

음식물의 다면 가열이 동시에 가능해짐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요리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사용자의 시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생활에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Multi-sided heating of the food can simultaneously reduce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and the shortening of the cooking time allows the user to expect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user's time. have.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부분을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음식물의 요리 중 가열 부위를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고, 음식물의 상태에 따라 가열되는 부분을 달리함으로써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hange the heating portion of the food by the user's cho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eat the food evenly by changing the heating portion of the food of the food, heat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o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niform heating is possible by changing the portion to be.

즉, 음식물의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식물의 하부에 열원을 위치시켜, 음식물의 하면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뒤집지 않고도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cook food, such as a thin pizza and a large area of the food, it is possible to heat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by placing a heat sour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so that the food can be heated evenly without flipping the fo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또한, 음식물의 두께가 두껍고 면적이 좁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열원을 요리 시간 동안 계속 이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의 각 부위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if you want to cook food with a thick food and a narrow area, it is possible to uniformly heat each part of the food by continuously moving the heat source during the cooking time, which has the advantage of evenly heating the food.

이와 같이,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위치 및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골고루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this way, the user can selectively set the 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heat source for heating the food to be able to uniformly heat various types of food evenly to have the advantage of uniformly heating the various types of food to cook do.

이처럼, 사용자가 열원의 위치 및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각 개인의 취향에 적합한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this way, the user can select the location and operation of the heat sourc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ok food suitable for each user's taste.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되어 조리기기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을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foods can be cooked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cooking apparatus, and evenly to uniformly heat foods of various sizes,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expected to be maximized.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can be easily proposed through addition, modification, dele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 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왕복 운동하는 열원이 구비되는 모든 조리기기의 형태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types of cooking apparatuses equipped with a heat source reciprocating while food is cooked in an internal space. Shall be.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claims are concept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be appropriately interpreted as meaning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조리기기는 다양한 열원이 사용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열원이 사용되는 조리기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oking apparatus to be examined,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various heat sources are used and a heat source which is movable within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is used will be described.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게 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looks at the appearance of a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main body 100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본체(100)는 앞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그 외면이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충격에 강한 케이스(110)에 의해 감싸지면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The main body 100 has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 plurality of parts for cooking food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While the main body 100 has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the main body 100 is protected by a case 110 that is resistant to impact and protects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과 후면이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케이스(110)가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면과 측면이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고, 그 패널에 하면을 형성하는 패널과 후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체결되면서 본체(100) 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case 11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f course, the case 110 may be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upper and side surfaces are formed as one panel, and the panel and the rear surface forming the lower surface are formed on the panel. It will also be possible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0 while the panel is fastened.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앞면에는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도어(120)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직접 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30)이 구비된다. The open front of the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door 120 that is rotatably fastened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and one side of the door 120 when the user wants to cook food directly While allowing the cooking appliance to be operated, a control panel 130 for check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상기 도어(1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도어(12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의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1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122)이 구비된다. The door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front of the door 120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user grips the door ( A door handle 122 is provided to rotate the 120.

상기 도어핸들(122)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의 앞면에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어(120) 앞면의 일정 부분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door handle 122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an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door handle 122,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20 is recessed to the rear. It will also be possible to be provided to facilitate gripping.

또한, 상기 도어(120)에는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본체(100)의 내부 공간 상태를 도어(120)의 회동 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12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door 120, the user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in the outer space to check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or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without rotating the door 120 A viewing window 124 is formed to be able to check.

상기 컨트롤패널(130)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직접 상기 본체(10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과 다이얼로 구성되는 조작부(132)가 구비된다. The control panel 130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132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uttons and dials that allow the user to directly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0 to cook food.

상기 조작부(132)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조작부(132)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0)가 동작하게 될 때, 본체(100)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의 요리 상태, 요리 방법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134)가 구비된다. One side of the operation unit 132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32 to operate the main body 100, the user outsid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cooking method, etc. The display unit 134 is provided to display so as to be confirmed.

상기 표시부(134)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고, 사용 범위가 넓은 액정 장치의 하나인 엘씨디(LCD)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음성 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display unit 134 may express various movements, and may be configured as an LCD panel, which is one of liquid crystal devices having a wide range of use,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of informing a user with information in an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in the form provided to inform the user by voice.

물론, 상기 표시부(134)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므로, 음성 또는 화면이나 영상 등 어떠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 화면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since the display unit 134 is configured to deliver information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134 may be configured to deliver information to the user in any form, such as a voice or a screen or an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deliv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is configured in any one form.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케이스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 캐비티 일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se of a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art of the cooking appliance cavity employ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20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캐비티(200)의 일측 즉, 상기 컨트롤패널(130)의 후방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동작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140)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terior space of the main body 100 is located in the cavity 200 that provides a space to accommodate the food to be cooked, one side of the cavity 200, that is, the control panel ( In the rear of the 130,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40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for controlling a cooking apparatus operated to cook food is installed.

상기 전장실(14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어, 조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전장실(140)의 기능에 의해 음식물을 더 맛있게 요리할 수 있게 되고, 조리기기의 동작이 제어된다.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40 has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is installe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by the func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40 it is possible to cook food more delicious, cooking equipment The operation of is controlled.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에는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도어(120)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2)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12)은 개방되는 상기 캐비티(200)의 앞면과 대응되는 부분 및 상기 컨트롤패널(130)이 위치하게 되는 부분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캐비티(200)의 개방된 앞면과 대응되는 부분은 도어(120)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캐비티(200)의 개방된 앞면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A front frame 112 supporting the case 110 and the door 12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front frame 112 correspond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200 to be opened and the portion where the control panel 130 is located is formed in an open state, and corresponds to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cavity 200. The door 120 is mount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cavity 200.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후방커버(114)에 의해 후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114)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110)와 체결되어 케이스(110)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전장실(14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본체(100)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전장실(14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전장실(14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has a rear exterior formed by the rear cover 114, the rear cover 1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case 110 Supporting the 110, a portion located in the rear of the electric compartment 140 is forme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 providing a passage for the air in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electric compartment 140 A function of coo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seal 140 is performed.

한편, 상기 캐비티(2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2패널(220), 상면을 형성하는 제3패널(230), 하면을 형성하는 제4패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the cavity 200 includes a first panel 210 forming both sides, a second panel 220 forming a rear surface, a third panel 230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fourth panel forming a lower surface. And 240.

물론, 상기 캐비티(20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상기 음식물이 위치하게 되면서,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1패널(210)과 상기 제2패널(2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패널(230)과, 상기 제4패널(240)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cavity 200 is formed of a panel as a whole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food is located in this internal spac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ood space for cooking, the first panel 210 and the second panel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third panel 230 and the fourth panel 2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캐비티(200)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캐비티(200)는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As such, the cavity 200 forms an internal space to a certain exten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food to be cooked is accommodated,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ood is accommodated and cooked by the internal space. As such, the cavity 200 may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by the internal space.

이때, 상기 캐비티(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패널(220)은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캐비티(200)를 상측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부피가 큰 음식물도 요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panel 220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200 is recessed to the rear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the cavity 200 is viewed from above, the cavity 2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and when the second panel 220 is formed to be rounded backward,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a wider space where food is cooked, thereby making it bulky. Food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ok.

또한, 상기 제2패널(220)이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다음에 설명할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지 않게 되면,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제1열원(310)의 이동 범위 내부에 위치하는 음식물의 부피도 줄어들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부피가 감소하게 됨에 따라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함몰 형 성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도 요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220 is recessed to the rear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moving space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to be described later is secured. That is, when the second panel 220 is not recessed to the rear, the moving space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reduced by that amount, so that the volume of food located in the moving range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also reduced to cook. As the volume of food to be reduced is reduced, the second panel 220 is recessed to the rear to have an advantage that the bulky food can be cooked.

상기 캐비티(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제2열원(320)이 설치된다. A second heat source 320 is installed in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200 to cook the food by radiating high frequenc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in which the food is placed.

상기 제2열원(320)은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고, 마그네트론 등이 사용된다.The second heat source 320 cooks food by heating a food plac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by radiating high frequency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and a magnetron or the like is used.

이러한, 상기 제2열원(320)은 발산되는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진동시킴으로써 수분의 진동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며, 이러한 가열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된다. The second heat source 320 is heated by the vibration of the moisture by vibrat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by the high frequency emitted, food is cooked by this heating.

물론, 상기 제2열원(320)이 구비되지 않는 것도 무방하나, 요리하기 위한 음식물의 특성 또는 음식물의 요리 시간의 절감, 다양한 요리의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second heat source 320 may not be provided, bu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econd heat source 320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food for cooking or reduction of cooking time of food, possibility of various dishes, and the like.

상기 캐비티(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3패널(230)의 중앙부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개되고, 그 절개된 부분에는 절개된 부분을 상측에서 덮는 상부커버(25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250)는 제3패널(230)의 상면에 접하면서 결합되고,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A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panel 23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00 is cut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cut portion has an upper cover 250 that covers the cut portion at an upper side thereof. do. The upper cover 250 is coupled whil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panel 230, and is formed recessed upwar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제공되는 내부 공간 전반부에는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는 제3열원(330)이 장착된다.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음식물의 전반부가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요리 시간이 절감되고, 음식물이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되는 장점이 있다. A third heat source 330 for dissipating hea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is mounted in the first half of the inner space provided while the upper cover 250 is recessed upward. The first half of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hea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thereby reducing the cooking time for cooking the food, and heating the food evenly. .

물론, 상기 제3열원(330)이 장착되는 않는 경우도 가능하나, 요리 시간의 단축 또는 음식물의 균일 가열을 위하여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hird heat source 330 is not mounted, it may be preferable to be mounted for shortening the cooking time or uniform heating of the food.

상기 제3열원(330)은 상기 상부커버(250)의 내부 공간 전단부 좌측 끝 부분에서부터 우측 끝 부분까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며, 이러한 제3열원(330)은 시즈히터 또는 석영관 히터 등 다양한 히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고, 제3열원(330)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The third heat source 330 is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inner space front end of the upper cover 250, the third heat source 330 is a variety such as sheath heater or quartz tube heater It will be possible to use a heater, th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third heat source 33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상부커버(250)의 전반부는 상기 제3열원(33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그 공간에 제3열원(330)이 수용되면서 장착되어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부커버(250)에 의하여 감싸지게 된다. The first half of the upper cover 250 is formed to be recessed upward to provide a mounting space of the third heat source 330, and is mounted while the third heat source 33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so that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lower part is upper. It is wrapped by the cover 250.

상기 상부커버(250)의 전단부는 일정 정도의 경사도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을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중앙부로 반사하게 된다.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ver 250 has a predetermined degree of inclination, and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side toward the rear, so that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is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t will reflect to the center.

이처럼,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중앙부로 반사하게 되는 것은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도어(120)로 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어(1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위치하는 음식물에 더 많은 열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such, reflecting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is such that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does not face the door 120. This is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120, and to allow more heat to be applied to the food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상기 제3열원(330)의 후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상부커버(250)의 중앙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일정 정도의 경사도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향하는 경사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형태는 상기 제1열원(31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후반부로 반사하기 위함이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cover 250,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third heat source 330, is bent downward and has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degree, and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n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side toward the rear. The shape is for reflecting heat genera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310 to the latter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이처럼, 상기 제1열원(31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후반부로 반사하게 되는 것은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전반부를 가열하는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기와 제1열원(31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중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골고루 균일하게 익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such, reflecting the heat emit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310 to the latter half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that heats the first half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This is to ensure that the food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evenly cooked evenly by preventing the heat emit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310 from overlapping.

또한,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은 상기 상부커버(250)에 의해 반사되면서, 상기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전반부를 가열하게 되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전반부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의 일 부분을 가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is reflected by the upper cover 250, heating the first half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to be placed in the first half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or A portion of the food will be heated.

이와 같이,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전반부로 반사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250)의 전단부는 일정 정도의 경사를 가지면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커버(250)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가지게 되고, 그 상단부에서는 평평한 형상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is way, in order to reflect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to the first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ver 250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a certain degree of inclination. That is, it has an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side toward the rear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cover 250, the upper end portion is made of a form extending in the rear while having a flat shape.

이처럼,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후반부를 가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하단부에서는 일 정 정도의 경사도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경사면의 상단부에서는 다시 평평한 형상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As such, it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orm extending backward to prevent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to heat the second half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and to be bent downward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gree of inclination toward the rear toward the rear is formed inclined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extending back to have a flat shape again.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25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기는 상기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전반부로 반사되어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전반부를 가열하게 되면서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전반부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게 된다. Therefore, the heat emitted from the third heat source 330 by the shape of the upper cover 250 is reflected to the first half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to heat the first half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while the cavity ( 200) Food is cooked by heating food loc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inner space.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에서 발산되는 열기는 상기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중앙부와 후반부로 반사되어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중앙부와 후반부를 가열하게 되면서,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중앙부와 후반부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heat emit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reflected to the central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cavity 200, thereby heating the center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cavity 200, and thus, the interior of the cavity 200. The food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second half is heated and cooked.

또한,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형상에 따라 상기 제1열원(310)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상부커버(250)의 후반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지 않게 되면,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제1열원(310)의 이동 범위 내부에 위치하는 음식물의 부피도 줄어들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부피가 감소하게 됨에 따라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의 요리도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shape in which the upper cover 250 is recessed upward, the first heat source 310 may secure a moving space for moving. That is, when the rear half of the upper cover 250 is not formed to be recessed upward, the moving space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reduced by that amount, and the volume of food located in the moving range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also reduced. As the volume of food to be reduced is reduced, the upper cover 250 is formed to be recessed upward, so that cooking of bulky food is also possible.

뿐만아니라, 상기 제2패널(220)과 상기 상부커버(250)에 의해 상기 캐비티(200)의 전체적인 형태는 상기 본체(100)의 외형과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overall shape of the cavity 200 by the second panel 220 and the upper cover 250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100.

한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제1열원(3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열원(310)은 왕복 운동할 때 적어도 일부가 캐비티(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의 상단부 및 후단부를 잇는 가상의 면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heat source 310 for heating the food while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to be cooked.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reciproca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positioned outside the imaginary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200.

다시 말해,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후방에 위치하게 될 때 제1열원(310)의 후단부는 상기 제1패널(210)의 좌측 후단부와 우측 후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캐비티(2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의 상단부와 캐비티(200)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의 상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behind the food, the rear end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a virtual plane connecting the left rear end and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panel 210 in a straight line. Located in the outer space, the virtual upper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left side of the cavity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right side of the cavity 200 in a straight line It is located in the outer space.

이와 같이,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 상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캐비티(200)의 양 측면 상단부와 후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상부커버(250)와 상기 제2패널(220)이 각각 상방과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캐비티(200) 내부 공간이 확장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As such, the upper cover 250 and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may be located in an imaginary surface outside space connecting the upper and rear ends of both sides of the cavity 200 in a straight line. The second panel 220 is recessed upward and rearward, respectively, to allow the cavity 200 to expand the inner space.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캐비티(200)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상기 제1열원(310)이 장착되고, 이러한 제1열원(310)은 제1패널(210)에 장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게 된다. In detail, the first panel 210 forming both sides of the cavity 200 is equipped with the first heat source 310 for heating the food while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to be cooked. The first heat source 310 reciprocat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based on the portion mounted on the first panel 210.

이처럼,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게 될 때,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1열원(310)의 후단부는 상기 제1패널(210)의 후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reciprocat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directly behind the food, the rear end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in the first por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anel 210 is located in a virtual outer surface space connecting straight lines.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1열원(310)의 상단부는 상기 제1패널(210)의 상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food,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in a virtual outer surface spac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nel 210 in a straight line. .

다시 말해,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직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1열원(310)의 후단부는 상기 캐비티(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패널(220)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고,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1열원(31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커버(25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directly behind the food, the rear end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panel 220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200.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food,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ver 250.

또한,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게 될 때,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과 접하지 않으면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는 제1열원(310)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음식물의 집중 가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reciprocat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the first heat source 310 reciprocates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food which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This is to prevent concentrated heating of food while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상기 제1열원(310)은 음식물의 후방을 경유하면서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는 운동부(312)와, 상기 운동부(312)의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하고, 운동부(312)의 운동 중심이 되는 고정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ovement portion 312 and the movement portion 312 and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via the rear of the food, the fixing portion which is the movement center of the movement portion 312 And 314.

상기 운동부(312)의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314)는 상기 캐비티(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제1패널(210)에 고정되어 다음에 설명할 구동모듈(40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할 수 있게 한다. The fixing parts 314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ovement part 312 are fixed to each of the first panels 210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vity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otational motion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400, and the rotary part enables the movement part 312 to reciprocat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티(2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 에는 상기 제1열원(310)의 좌측 끝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314)가 고정되고, 캐비티(200)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에는 제1열원(310)의 우측 끝 부분에 형성되는 고정부(314)가 고정된다. In more detail, the fixing part 314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fixed to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left side of the cavity 200, and the cavity 200 is fixed. A fixing part 314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fixed to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right side of

상기 운동부(312)는 음식물로 더 많은 열을 발산하기 위하여 다수 회 절곡된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이는 절곡되지 않은 형태의 열원보다 단위 면적당 더욱 많은 열을 발산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이 많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 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The exercise unit 312 is formed to be bent a plurality of times in order to dissipate more heat to food, which emits more heat per unit area than the heat source of the unbent form, so that the heat applied to the food By increasing the number will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oking time for cooking food.

또한, 상기 운동부(312)의 중심부가 상기 음식물의 직 후방에 위치하게 될 때, 운동부(312)의 중앙부는 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를 상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운동부(312)의 중심부가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될 때 운동부(312)의 중앙부는 상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이를 전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ercise unit 312 is located directly behind the food,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ercise unit 312 is formed to have a rounded curvature to the rear. When viewed from above, it is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형태" shape, and when the center of the exercise unit 312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food, the center portion of the exercise unit 31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upward and round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is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 shape.

이와 같이, 상기 운동부(312)의 중앙부가 음식물의 외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면, 운동부(312)의 이동 반경이 더욱 커지게 되어 운동부(312)의 이동 반경 내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의 부피가 더욱 커질 수 있게 됨으로써 부피가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As such,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ing part 312 is formed to be rounded to the outside of the food, the moving radius of the moving part 312 becomes larger so that the volume of the food that is located within the moving radius of the moving part 312 can be increased. It will h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ok bulky food.

상기 운동부(312)의 중앙부가 이동 반경의 외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운동부(312)가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거나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 운동부(312)의 라운드진 부분은 상기 제1패널(210)의 후단부를 잇는 가상의 면보다 외 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1패널(210)의 상단부를 잇는 가상의 면보다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As the central part of the moving part 312 is formed to be rounded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radius, when the moving part 312 is positioned above or behind the food, the rounded part of the moving part 312 is formed in the first panel ( It is positioned outside the imaginary surface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210, and is located outside the imaginary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nel (210).

즉, 상기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운동하게 될 때,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이동 경로를 가상의 선으로 이어보면, 이동 경로의 상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제1패널(210)의 상단부와 후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운동부(312)의 이동 경로 상단부는 상기 상부커버(25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패널(220)의 라운드진 공간에 수용된다. That is, when the exercise unit 312 mov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when the movement path is connected to an imaginary line based on the center portion,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ovement path are formed of the first panel 210. It is located outside the imaginary plane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in a straight line.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exercise part 312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ver 250, and the rear end is received in the rounded space of the second panel 220.

따라서, 상기 제3패널(230)의 상면에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결합되는 상기 상부커버(250)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기 제2패널(220)에 의해 상기 운동부(312)의 이동 반경은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Therefore, the moving radius of the moving part 312 is moved by the second panel 220 recessed to the rear and the upper cover 25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panel 230. It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즉, 상기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하게 될 때, 그 상단부는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기 상부커버(25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운동부(312)가 음식물의 후방에 위치하게 될 때, 그 후단부는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기 제2패널(22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캐비티(200)의 내면이 상기 운동부(312)의 운동 반경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이동하게 되더라도, 캐비티(200)의 내면과 서로 접하지 않게 된다.That is, when the exercise unit 312 is located above the food, the upper end is recessed upward an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ver 25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the exercise unit 31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ood, the rear e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panel 220 recessed to the rear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200 is more outer than the radius of motion of the movement portion 312 Since the movement part 312 is moved while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200.

또한, 상기 캐비티(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에 상기 운동부(312)의 양쪽 끝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314)는 제1패널(210)의 세로 방향 중앙부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이는 운동부(312)가 이동하면서 상기 음식물의 하방에 위치하게 될 때, 이동 경로의 하단부와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하면이 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s 314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ement part 312 on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vity 200 are vertical to the first panel 210. It is fixed to be located above the central portion in the direction. This is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pat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when the movement unit 312 is positioned below the food while moving.

물론, 상기 고정부(314)가 상기 제1패널(210)의 세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다음, 상기 캐비티(2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4패널(240)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운동부(312)와 제4패널(240)이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fixing part 314 is fixed to be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first panel 210, and t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urth panel 240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200 is recessed downward. To be formed, it will be possible t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ovement unit 312 and the fourth panel 240 does not contact.

이와 같이,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후방을 경유하여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게 되면, 제1열원(31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후반부가 가열되고, 상기 제2열원(320)에 의해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전반부가 가열된다. As such,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reciprocat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via the rear of the food, the second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200 is form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310. The first half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is heated by the second heat source 320.

이처럼, 상기 제1열원(31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후반부가 가열되고, 상기 제2열원(32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전반부가 가열됨으로써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된다. As such, the latter half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hea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310, and the first half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hea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second heat source 320. Food plac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is uniformly heated.

그리고,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음식물이 상기 운동부(312)의 운동 범위 내부에 위치하도록 음식물을 지지하는 랙(260)이 구비된다. 상기 랙(260)은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수 있으며, 운동부(312)가 이동하게 되더라도 랙(260)과 운동부(312)는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is provided with a rack 260 for supporting the food so that the food is located inside the movement range of the movement unit 312. The rack 260 may be form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structure can support the food. The rack 260 and the exercise part 312 are formed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even if the moving part 312 is moved.

또한, 상기 랙(260)의 상측에는 적어도 음식물의 일부가 수용되는 트레이(27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트레이(27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rack 26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ay 270 that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ood. The tray 27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s a whole, and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food in the internal space.

상기 트레이(270)는 그 지름이 상기 운동부(312)의 이동 반경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운동부(312)가 트레이(270)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게 될 때, 운동부(312)와 트레이(270)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tray 27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tray 270 is located within the moving radius of the moving part 312, which is when the moving part 312 moves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ray 270. ) And the tray 270 to prevent contact.

그리고, 상기 랙(260)의 하측에는 랙(260)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랙(260) 또는 상기 트레이(270)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음식물을 회전 운동시키는 턴테이블(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은 랙(260) 또는 트레이(270)를 지지하고, 하면은 턴테이블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장치(미도시)와 결합되어 회전장치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a turntable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rack 260 to rotate the food that is located in the rack 260 or the tray 270 by rotating the rack 260. The turntab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upper surface supports the rack 260 or tray 270,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a rotating device (not shown) tha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turntable in the rotating device Rotational movement is caused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이처럼,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 운동함으로써 그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랙(260) 또는 상기 트레이(27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음식물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음식물은 균일하게 가열된다. As such, the food supported by the rack 260 or the tray 270 positioned above the turntable is rotated, and the food is uniformly hea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한편, 상기 캐비티(200)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의 우측면(도면에서 볼 때)에는 상기 고정부(314)와 체결되는 구동모듈(40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듈(400)은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부(314)를 회전 운동시키게 된다. Meanwhile, the driving module 400 coupled to the fixing part 314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irst panel 210 forming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cavity 200. The driving module 400 generates a driving force 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and rotates the fixing part 314 fastened by the driving force.

상기 구동모듈(40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314)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고정부(314)의 회전 운동에 의해 고정부(314)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이동하게 된다. The fixing part 314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odule 400, and the moving part 3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art 314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ing part 314. Will mov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이와 같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상기 운동부(312)의 운동 반경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운동부(312)가 왕복 운동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은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to be cooked is positioned within the radius of motion of the exercise part 312, and the food part is uniformly heated by the movement part 312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ood.

이때, 상기 운동부(312)가 다수 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그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 음식물을 지지하는 상기 랙(260)의 지지부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운동부(312)가 이동하게 되더라도 랙(260) 또는 음식물과 접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vement part 312 is formed so as to be bent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the support portion of the rack 260 for supporting food between the bent portion is positioned so that even if the movement part 312 is moved to the rack 260 or food It will not come in contact with.

한편, 상기 운동부(312)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운동부(312)의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줌으로써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위치에 운동부(312)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xercise unit 312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se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cooked. That is, the user presets the position of the exercise unit 312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cooke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position the exercise unit 312 at the most suit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cooked. It can shorten.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피자(pizza) 또는 파이(pie) 형태인 경우, 상기 운동부(312)를 음식물의 하측에 위치시킨 다음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면, 운동부(312)는 음식물의 하부에서 음식물에 열을 가하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when the food to be cooked in the form of pizza (pizza) or pie (pie), when the exercise unit 312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food and then heat the food, the exercise unit 312 i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The food is cooked while the food is heated.

이는 피자 또는 파이 등과 같은 형태의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의 하면이 상면보다 더 많은 열을 요구하게 되고, 상기 운동부(312)를 음식 물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면,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함으로써 더 맛있게 요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This means that when cooking foods such as pizza or pie,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requires more heat than the upper surface, and when the exercise unit 312 is placed under the food water, the food is heated. The cooking time can be saved, and the food can be cooked more deliciously by heating the food evenly.

그리고, 통닭 요리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음식물의 경우 상기 운동부(312)를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게 되면, 부피가 큰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면서 요리할 수 있게 된다. And, in the case of a bulky food, such as whole chicken cooking, while moving the movement portion 312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it is possible to cook while heating the bulky food uniformly.

이와 같이, 상기 운동부(312)를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형태와 크기, 종류 등에 따라 가장 알맞은 위치에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되고,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요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As such, the exercise unit 312 is placed in the most suit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cooked and then heated to cook the food so that the food can be heated at the most suit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 type of food. And, by being able to heat the food evenly it has the effect of saving the cooking time.

이하에서는 음식물의 전방을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제1열원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조리기기의 작동에 따른 제1열원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is formed in a portion excluding the front of the food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heat sou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이 이동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4a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이 음식물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이 음식물의 후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where a first heat source of a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4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 source of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bove the food, and FIG. 4B shows the first heat source of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located in the back side of this food is shown.

또한, 도 4c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이 음식물 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FIG. 4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 source of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under the food.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동작시키기 전에는 도 4a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열원(310)은 상기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before the user operates the cooking appliance, as shown in Figure 4a,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food. do.

이는 상기 제1열원(310)의 설정 위치가 상기 음식물의 직 상방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물론,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직 후방 또는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This means that the setting posi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set to a position directly above the food. Of course, the first heat source 310 may be set to be located directly behind or directly below the food.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122)을 파지하여 상기 도어(120)를 회동시켜 상기 캐비티(200)의 개방된 앞면을 통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음식물은 상기 랙(260)의 상면에 놓이면서, 랙(260)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트레이(270)의 상면에 놓이면서 트레이(270)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물론, 랙(260)은 상기 턴테이블(미도시)의 상면에 지지된다. The user grips the door handle 122 to rotate the door 120 to position food to be cook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200 through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cavity 200. In this case, the food may be supported by the rack 260 while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260, or may be supported by the tray 270 while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270. Of course, the rack 260 is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urntable (not shown).

한편, 상기 본체(10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열원(310)과 상기 제2열원(320) 및 상기 구동모듈(400)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장치(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00, the first heat source 310, the second heat source 320 and the drive module 400 and the power supply to the rotating device (not shown) of the turntable Is applied.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32)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 또는 다이얼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100)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턴테이블(미도시)의 하측에 구비되는 회전장치(미도시)에서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턴테이블이 회전 운동하게 되면서, 턴 테이블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기 랙(260)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음식물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main body 100 using a plurality of buttons or dials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32 while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food, the turntable ( As the turntable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rotat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below, the rack 260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is rotated, and the rotary motion This causes the food to rotate.

또한, 상기 구동모듈(400)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314)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고정부(31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상부에서 후방을 경유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unit 314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provided by the drive module 400, the movement unit 312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ing unit 314 is rearward from the top of the food The food is heated by dissipating heat while moving downward through the gas.

이때,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계속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며, 상기 제2열원(320)은 상기 캐비티(200)의 상측에서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heat source 310 continuously heats the food while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and the second heat source 320 is inside the cavity 200 at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200. The food is heated by dissipating heat into the space.

이와 같이,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음식물의 후반부를 가열하게 되고, 상기 제2열원(310)은 장착되는 위치에 의해 상기 캐비티(200)의 상측에서 음식물의 전반부를 가열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eat source 310 reciprocat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and heats the second half of the food, and the second heat source 310 is located above the cavity 200 by the mounting position. Will heat the first half of the food.

물론, 상기 제1열원(310)과 상기 제2열원(320)에서 발산되는 열은 일정 정도 중첩되는 부분도 존재하게 되나,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의 일 부분이 집중적으로 가열되지는 않게 된다. 즉,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음식물은 계속적으로 회전 운동하게 됨으로써 제1열원(310)과 제2열원(320)의 열이 중첩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음식물의 일 부분은 계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Of course, the heat dissipated in the first heat source 310 and the second heat source 320 will also have a portion overlapping to some extent, this is because a portion of the food is not intensively heated. That is, the food is continuously rotated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ntable, so that a portion of the food positioned at the portion where the heat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and the second heat source 320 overlaps is continuously changed.

그리고, 상기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직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운동부(312)에 의해 음식물의 후면이 가열된다. 이때, 상기 음식물의 상면은 상기 제2열원(320)에 의해 계속 가열되고 있으므로, 음식물의 상면과 후면이 동시에 가열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oving part 312 moves directly behind the food, the rear of the food is heated by the moving part 312.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is continuously heated by the second heat source 320, the upp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ood are simultaneously heated.

따라서, 상기 제1열원(310)과 상기 제2열원(320)에 의해 상기 음식물은 서로 다른 두 면이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1열원(310)이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Therefore, the food is heated by two different surfaces by the first heat source 310 and the second heat source 320,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food, and the first heat source 310 By heating the food while moving has the effect of uniformly heating the food.

또한, 상기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열원(310)에 의해 음식물의 하면이 가열된다. 이때, 음식물의 상면은 상기 제2열원(320)에 의해 계속 가열되고 있으므로, 음식물의 상면과 하면이 동시에 가열된다. In addition, when the exercise unit 312 is moved directly below the food,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is heated by the first heat source (310).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is continuously heated by the second heat source 320,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are simultaneously heated.

이와 같이, 상기 제1열원(310)이 이동하면서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은 동시에 두 면이 가열되어 음식물의 요리 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균일하게 가열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is heated while the first heat source 310 moves so that the food is heated on both side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is shortened and uniformly heated.

그리고, 상기 운동부(312)가 상기 음식물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된 다음에는 다시 음식물의 직 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고, 음식물의 직 후방에서 또다시 음식물의 직 상방으로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운동부(312)의 왕복 운동에 의해 음식물의 후반부는 계속 가열된다. 물론, 이때에도 음식물의 전반부는 상기 제2열원(320)에 의해 계속 가열된다. Then, after the movement unit 312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food, the movement again to the rear of the food is located directly, and the reciprocating motion to move directly to the top of the food again from the rear of the food again.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part 312, the second half of the food continues to be heated.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first half of the food is continuously heated by the second heat source 320.

한편, 상기 제1열원(310)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고자 하는 위치를 설정하여 제1열원(310)이 이동 하지 않고, 설정된 위치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user's setting it is also possible to heat the food by setting the position to heat the food by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food The first heat source 310 does not move, it will be possible to heat the food in the set position.

전술된 바와 같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피자 또는 전(煎)과 같이 면적이 넓으면서 두께가 얇은 팬 요리 종류의 경우 상기 제1열원(310)을 음식물의 직 하방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킨 다음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od to be cooked has a wide area such as pizza or pan and thin pan cooking type,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fixed to be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food, and then the food is It will also be possible to heat.

그리고, 상기 음식물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열원(310)의 설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면적이 넓은 요리의 경우 제1열원(310)의 위치를 음식물의 상면과 하면으로 번갈아 이동시키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posi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by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food. This means that if the food to be cooked has a certain thickness and a wide area, the food may be heated while alternately mov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ood.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면,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 상 임의의 지점을 통과하는 이동 방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heats the food while mov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the moving direction passing through an arbitrary point on the moving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changed over time. Therefore, they pass in different directions.

다시 말해,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직 상방에서 직 후방을 경유하여 직 하방으로 이동한 다음, 제1열원(310)은 다시 음식물의 직 하방에서 직 후방을 경유하여 직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heat source 310 moves directly above and directly below the food via the direct rear, and t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again travels directly below and directly above the food. The food is heated while moving.

이때, 상기 음식물의 직 후방에 임의의 지점을 설정하여 보면,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서 임의의 지점을 가장 먼저 통과하는 방향은 하방으로 통과하게 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시 임의의 지점을 통과하는 방향은 상방으로 통과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you set an arbitrary point directly behind the foo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eat source 310 first passes an arbitrary point directly above the food passes downward, and over time Again, the direction passing through any point passes upwards.

따라서,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면, 제1열원(310)은 이동 경로 상의 임의의 지점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heats the food while reciproc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the first heat source 310 heats the food while passing a random point on the movement path in different directions. do.

물론,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임의의 지점을 동일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에는 제1열원(310)이 왕복 운동을 하지 않고,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면, 임의의 지점을 동일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Of course, it will be possible to heat the food while the first heat source 310 passes through the arbitrary points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does not reciprocate and rotates, the first heat source 310 passes through any point in the same direction.

즉,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직 상방에서 직 후방을 경유하여 직 하방으로 이동한 다음, 음식물의 직 전방을 경유하여 다시 직 상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음식물의 직 후방을 경유하여 직 하방으로 이동한 다음, 음식물의 직 전방을 경유하여 다시 직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임의의 지점을 동일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That is,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moved directly above and below the food directly through the rear, and then directly upwards again through the front of the food, and again directly through the food. When moving downwards directly, and then rotating upward while moving upwards directly through the food in front of the food, the predetermined point passes in the sam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전방을 제외한 부분에서 이동 경로가 형성되면, 상기 제2열원(320)은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가 없는 부분의 상측에 장착된다. 이는 제1열원(310)과 제2열원(320)에서 발산되는 열기의 중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부분적 집중 가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has a movement path formed at a portion except the front of the food, the second heat source 320 is mount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does not exist. This is to prevent partial intensive heating of the food by minimizing the overlap of heat emitted from the first heat source 310 and the second heat source 320.

한편,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가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 상단부 또는 후단부와, 상단부 및 후단부는 상기 캐비티(20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의 상단부와 후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formed in any shape, the upper end or the rear end and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to form both sides of the cavity 200 The upper and rear ends of the first panel 210 are positioned in a virtual outer surface space that connects straight lines.

이는 상기 제1열원(310)의 중앙부가 상기 음식물의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 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14)가 상기 제1패널(210)의 세로 방향 중앙부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이동 경로의 상단부와 후단부가 제1패널(210)의 상단부와 후단부를 잇는 가상의 면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It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round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food, and moves as the fixing portion 314 is fix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first panel 210.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ath are located in the virtual surface outside space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panel 210.

물론, 상기 캐비티(200)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 상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제1패널(210)의 상단부와 후단부를 잇는 가상의 면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처럼 형성되면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가 좁아지게 됨으로써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부피와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avity 200,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may be located in a virtual surface inside space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panel 210. If this is formed,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narrow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and size of the food to be cooked, which is undesirable.

또한, 상기 제1열원(310)은 요리 중 사용자의 의도 또는 의도에 반하여 상기 도어(120)가 회동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전장실(14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에 의해 제1열원(3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도록 제어된다. In additio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an electric component that is mounted to the electric compartment 140 when the interior of the cavity 200 is opened by rotating the door 120 in response to the intention or intention of the user during cooking By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controlled to be interrupted.

이처럼, 상기 도어(120)가 회동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열원(3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도록 제어되는 것은 제1열원(310)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화재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As such, when the door 120 is rotat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opened,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stopped so that the user may be injured by the first heat source 310. To prevent fire and to prevent fire.

즉, 상기 도어(120)가 회동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어도 상기 제1열원(3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으면, 제1열원(310)은 계속적으로 열기를 발산하게 되고, 이러한 열기에 의해 사용자는 부상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That is, even when the door 120 is rotat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opened,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not cut off, the first heat source 310 continuously dissipates heat. The user is in danger of injury by this heat.

물론, 상기 도어(1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이 개방 되면, 상기 제2열원(320)의 전원 공급도 중단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Of course,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200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door 120, the power supply of the second heat source 320 is also stopp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상기 제1열원(310)의 전원 공급을 먼저 중단하는 것은 제1열원(310)이 상기 음식물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와 제1열원(310)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위험이 커짐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열원(310)의 전원 공급을 먼저 중단하게 된다. The power supply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first stopped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foo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risk. 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user, the power supply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first stopped.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음식물의 요리 중 어떠한 위치에 위치하는지 알 수 없게 됨으로써 제1열원(310)의 전원 공급을 먼저 중단하게 된다. Therefore, the first heat source 310 to be moved is not known at which position in the cooking of the food, thereby stopping the power supply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first.

또한, 상기 제1열원(310)은 요리가 종료되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제1열원(310)이 기 설정된 위치에 이동된 후 상기 도어(120)가 회동하여 상기 캐비티(200)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처럼, 요리 종료 후 기 설정된 위치로 제1열원(310)이 이동 한 다음 도어(120)가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은 더욱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oking is finished, the first heat source 310 moves to a preset position. After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moved to a preset position, the door 120 rotates to rotate the cavity 200. Is controlled to open. As such, since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moved to the preset position after the end of cooking and the door 120 is rotated, the safety of the user is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를 이동하는 상기 제1열원(310)은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기도 하며, 비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heat source 310 mov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d may be controlled to move continuously, it may also be controlled to move discontinuously.

상기 제1열원(310)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경우는 상기 음식물의 두께가 일정 정도 이하일 때 제어되는 방법으로, 음식물의 두께가 얇은 경우 제1열원(310)의 위치에 따라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기에 의해 음식물이 과열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함이다.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controlled to continuously move, the method is controlled when the thickness of the food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When the thickness of the food is thi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applied to the foo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310. This is to prevent food from overheating due to heat.

상기 제1열원(310)이 비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경우는, 상기 음식물의 두께가 일정 정도 이상일 때 제어되는 방법으로 음식물의 두께가 일정 정도 이상이면, 제1열원(310)을 비연속적 즉,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위치에서 음식물을 가열한 다음 일정 위치로 이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음식물을 가열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controlled to move discontinuously, when the thickness of the food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first heat source 310 is discontinuous, that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food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For example, the food is h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mov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o control the food to be h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는 공기가 상방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116)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16)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는 공기는 본체(100)의 상방으로 배출하게 되고, 본체(100)의 상방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본체(100)와 본체(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면 또는 주방 가구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16 for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mov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is discharged upward. Air mov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6 is discharged upward of the main body 100, by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above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 or the kitchen furniture located at the rear of the) will be relatively short.

다시 말해, 상기 배출구(116)가 상기 본체(1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후방커버(114)에 형성되면, 배출구(116)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본체(100)의 후면과 벽면 또는 주방 가구 사이 공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체(100)가 설치되는 공간이 넓어지게 되므로, 배출구(116)가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discharge port 116 is formed in the rear cover 114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rear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by the air mov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6 o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between the kitchen furniture is increased or the space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installed to secure the moving space of the discharged air is widened, the outlet 11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It would be preferable.

상기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에 의하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다면 가열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을 요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ating of the food to be cooked, it is possible to cook, it is possible to cook food of various sizes and various forms.

또한, 음식물을 요리하는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time to cook food, it has the effect of uniformly heating the food to be cooked.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사용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리기기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가지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판매가 향상될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를 생산하는 제조 산업과, 조리기기를 서비스하는 서비스 산업에 모두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며, 조리기기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발명이라 할 수 있다. By this effect, the user can expect the sales of the cooking appliance to be improved by having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ase of use of the cooking appliance used for cooking food, and thus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the cooking appliance. It can be said that it can be used both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service industry for servicing the cooking appliance, and can be said to be an inven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industry.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케이스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투명 사시도.Figure 2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of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 일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art of a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이 음식물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투명 측면도.Figure 4a is a transparen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 source of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bove the food.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이 음식물의 후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투명 측면도.Figure 4b is a transparen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 source of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ood.

도 4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1열원이 음식물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투명 측면도.Figure 4c is a transparen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 source of the cooking appliance employ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under the foo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10. 케이스100.body 110.case

112. 전방프레임 114. 후방커버112. Front frame 114. Rear cover

116. 배출구 120. 도어116. Outlet 120. Door

122. 도어핸들 124. 투시창122. Door handle 124. Viewing window

130. 컨트롤패널 132. 조작부130. Control Panel 132. Control Panel

134. 표시부 140. 전장실134. Display section 140. Battlefield

200. 캐비티 210. 제1패널200. Cavity 210. First Panel

220. 제2패널 230. 제3패널220. Second Panel 230. Third Panel

240. 제4패널 250. 상부커버240. Fourth Panel 250. Top Cover

260. 랙 270. 트레이260. Rack 270. Tray

310. 제1열원 312. 운동부310. First heat source 312. Athletic part

314. 고정부 320. 제2열원314. Fixed part 320. Second heat source

330. 제3열원 400. 구동모듈330. Third heat source 400. Drive module

Claims (28)

외관을 이루는 본체;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본체와 다른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A cavity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vity; 상기 캐비티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열원; 및 A first heat source mounted on the cavity and mounted to be movable above and below the food; And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3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third heat source located in the outer space of the cavity and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상기 제1열원의 이동 경로를 적어도 상기 캐비티의 양 측면 상단부와 후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에 위치하는 조리기기.And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is located outside the imaginary surface that at least connects upper and rear ends of both sides of the cavity in a straight lin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비티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 1 열원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조리기기.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is recessed upward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외관을 이루는 본체;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요리 공간의 적어도 후면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캐비티;A cavity in which at least a rear surface of the cooking space is recessed to the rear while providing a cooking space for foo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상기 캐비티의 일 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one surface of the cavity; 상기 캐비티에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의 함몰 공간에 적어도 일부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제1열원; 및A first heat source mounted on the cavity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 movement path form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cavity; And 상기 캐비티의 외부 공간에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3열원;을 포함하며,And a third heat source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in the outer space of the cavity. 상기 제1열원은 상기 캐비티의 함몰 공간을 경유하여 음식물의 상측과 후방 및 하측을 포함하는 이동경로를 가지는 조리기기.The first heat source is a cooking device having a movement path including the upper side, the rea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food via the recessed space of the cavity.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3열원은 상기 제1열원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지 않는 공간을 가열하도록 장착되는 조리기기.And the third heat source is mounted to heat a space in which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is not forme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열원의 이동 경로 상단부는 상기 캐비티의 양 측면 상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조리기기.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is located outside the imaginary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cavity in a straight lin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열원의 이동 경로 후단부는 상기 캐비티의 양 측면 후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면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조리기기.The rear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is located outside the imaginary plane connecting the rear end of both sides of the cavity in a straight 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erein 상기 제1열원은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티를 개방하면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되는 조리기기.And the first heat source is controlled to stop the supply of power when the door opens the cavity.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erein 상기 제1열원은 요리가 종료되면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조리기기.The first heat source is a cooking appliance to move to a set position when cooking is finished.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erein 상기 제1열원은 조리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제어되는 조리기기.And the first heat source is controlled to heat food while moving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cook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erein 상기 제1열원은 설정 시간에 의해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되는 조리기기.And the first heat source is controlled to change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speed by a set time.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wherein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제1열원의 이동 경로와 근접하는 면이 상기 음식물의 외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조리기기.The cavity is recessed to form a surface close to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eat source is recessed to the outside of the fo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27543A 2009-03-31 2009-03-31 Cooking appliance KR101003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43A KR101003668B1 (en) 2009-03-31 2009-03-31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43A KR101003668B1 (en) 2009-03-31 2009-03-31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13A KR20100109113A (en) 2010-10-08
KR101003668B1 true KR101003668B1 (en) 2010-12-23

Family

ID=4313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543A KR101003668B1 (en) 2009-03-31 2009-03-31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66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02B1 (en) 2001-12-1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icrowave oven having he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02B1 (en) 2001-12-1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icrowave oven having h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13A (en)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399B1 (en) Over the range having function of air fri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257020A1 (en) Cooking apparatus
US20060027560A1 (en) Convection part for electric oven range
EP3104083A1 (en) Heat cooker
JP2022523210A (en) Storable countertop cooking system
KR101574347B1 (en) Cooking appliance
KR101064766B1 (en) Steam cooking appliance
US20180352615A1 (en) Cooking apparatus
KR101003668B1 (en) Cooking appliance
KR101014437B1 (en) A Heater module for Cooking appliance
KR100688663B1 (en) Structure of burner spring for electric oven range
KR20110015784A (en) Cooking appliance
KR101145000B1 (en) Rack for cook and cooking appliance
KR100880479B1 (en) Oven door
KR101026062B1 (en)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liance
KR101025958B1 (en) Operation equipment of cooking appliance
KR101064060B1 (en) Cooker Door
KR100646880B1 (en) A structure of oven section for Electric oven range
JP6693025B2 (en) Heating cooker
WO2021060344A1 (en) Cooking apparatus and built-in cooking system
JP3558041B2 (en) High frequency heating equipment
CN102379634A (en) Oven
KR20230046914A (en) Cooking apparatus
JP6710888B2 (en) Heating cooker
KR200367151Y1 (en) Structure of oven rack for electric oven 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