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233B1 - 드럼식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233B1
KR101003233B1 KR1020080087405A KR20080087405A KR101003233B1 KR 101003233 B1 KR101003233 B1 KR 101003233B1 KR 1020080087405 A KR1020080087405 A KR 1020080087405A KR 20080087405 A KR20080087405 A KR 20080087405A KR 101003233 B1 KR101003233 B1 KR 10100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drum
bottom wall
water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167A (ko
Inventor
히데토시 와카마츠
츠요시 후쿠다
무네유키 나가이
이쿠마 후쿠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2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회전 드럼을 내부에 갖고, 건조한 공기가 보내지는 도풍구가 형성된 수조와, 도풍구에 접속된 순환 송풍 경로와, 도풍구의 상방에 근접하여 마련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무화 유닛를 구비하고, 회전 드럼의 바닥벽은 도풍구에 대향해서 형성된 바닥면 개구와 바닥면 개구의 전면에 고정된 원판 형상의 격벽 부재를 갖고, 격벽 부재에는 원주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다수의 바닥벽 투공이 형성되며, 무화 유닛으로 발생시킨 미스트를, 도풍구로부터 바닥면 개구 및 바닥벽 투공을 거쳐서, 건조한 공기의 흐름에 실어서 회전 드럼 내로 도입하는 것에 의해, 뛰어난 주름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 건조기{DRUM-TYPE LAUNDRY CLEANING DRYER}
본 발명은, 건조된 의류 등의 세탁물에 미스트(mist)를 공급하고, 의류 등에 잡힌 주름을 저감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건조 공정에서, 의류 등의 세탁물이 들어간 회전 드럼을 고속도로 회전시켜, 건조시키는 것이 실행된다. 이 경우, 세탁물이 회전 드럼의 내주벽 등에 들러붙으면서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된 후의 의류 등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의류 등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세탁기로 건조한 후의 의류 등을 추가로 행거 등에 걸어서 말릴 때에 주름을 펴거나, 추가로 그 후에 다림질을 실행하거나, 수고가 드는 작업이 필요했다.
그런데, 최근 미세한 액체 방울로 이루어지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무화 유닛을 구비하고, 의류 등(이하, 단지 의류, 세탁물이라고 하는 일이 있음)이 들어간 회전 드럼에 미스트를 도입하고, 건조 공정에서 의류 등에 들어간 정전기나 주름을 저감하는 세탁 건조기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의류 등을 수용하는 건조실에 미스트를 도입하고, 의류 등을 건조·탈취하는 의류 건조기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311067 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2에 있어서, 세탁 건조기(40)는 하우징(41) 내부에 탄성적으로 매달아 지지된 외조(42)와, 외조(4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43)와, 내조(43) 내에 온풍을 송풍하는 송풍 수단(44)(순환용 송풍기)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송풍 수단(4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45)과, 열교환기를 갖고 송풍 수단(44)에 의한 온풍을 순환시키는 온풍 순환 경로(46)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분무 장치(47)가 온풍 순환 경로(46)(온풍 공급로)의 가열 수단(45)(히터)을 거친 내조(43)로의 온풍 공급구(48) 근방에 마련되고, 건조 공정에 있어서 온풍 순환 경로 내로 미스트를 분무한다. 그리고, 건조 공정에서 의류를 교반했을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고, 정전기에 의한 인체로의 불쾌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건조 종료 후의 의류의 주름을 저감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6-158585 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의류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의류 건조기(50)는 의류 등을 수납하는 건조실(51)과, 이 건조실(51) 내에 공급하는 온풍을 발생하는 온풍 발생 기구[블로어(53), 히터(54)]와, 건조실(51) 내에 공급하는 전해 미스트를 발생하는 전해 미스트 발생 기구[에어 펌프(55), 전해 미스트 발생기(56)]와, 그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7)를 구비하고 있다. 전해 미스트 발생 기구에서 발생한 전해 미스트를 온풍 발생 기구의 가열 수단[히터(54)]의 후단(하류측)에 공급하고, 가열 수단[히터(54)]에서의 열풍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전해 미스트를 고온화해서 건조실(51)에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의류 건조기에 의하면, 건조와 함께 탈취를 실행할 수 있고, 공간 절약, 저가격화가 가능하고,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탈취 성능의 저하도 문제없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무화 유닛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트는, 그 입경에 의해 부유성이나 표면 장력(젖음성) 등의 특성이 다르다. 즉, 입경 10㎛ 미만의 초 미세 미스트는 드라이 미스트라고도 불리고, 극히 미세하기 때문에, 표면 장력이 높고 부유성이 높지만, 물건에 부착했을 때의 젖음성이 낮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입경 10∼50㎛의 미세 미스트는 웨트 미스트(wet mist)라고도 불리며, 상기의 드라이 미스트와 비교해서 입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표면 장력이 약하고, 물건에 부착했을 때의 젖음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입경 50㎛을 넘는 비교적 조대한 미스트는, 물방울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다.
이들 중에서, 젖음성이 뛰어난 웨트 미스트는, 세탁물인 의류 등에 부착해서 효율적으로 세탁물을 적시면서, 건조 과정에서 의류 등의 주름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웨트 미스트를 많이 포함하는 미스트를 회전 드럼조 내에 충만시키는 것이, 의류 등의 주름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무화 유닛으로 발생하는 미스트를 의류가 놓인 장소에까지 도입시킬 때에, 도입 관로의 관벽 등에 될 수 있는 한 충돌시키는 일이 없고, 즉 관벽 등에 응결해서 손실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많은 미스트를 의류가 놓인 장소로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의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세탁 건조기나 의류 건조기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의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반드시 효율 좋게 의류 등의 주름을 저감시키거나 건조·탈취하거나 할 수 없었다.
게다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세탁 건조기(40)에서는, 송풍 수단(44)이 가열 수단(45)의 상류측에서 분무 장치(47)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송풍 수단(44)에서 발생한 온풍이 분무 장치(47)에 직접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무 장치(47)로부터 분무된 미스트의 일부는 그대로 내조(43) 내의 의류에 달하지만, 그 밖의 대부분은 온풍 순환 경로(46)의 내벽면(46a)에 충돌하고, 대부분이 내벽면(46a)에서 응축해서 물방울이 되어 손실된 후, 내조(43)에 달하게 된다. 이 세탁 건조기(40)에서는, 미스트가 내벽면(46a)에 충돌할 때의 파쇄 효과로 의해 마이너스 이온이 발생해서 정전기의 제전 효과를 높이는 일이 가능하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세탁 건조기(40)에서는, 분무 장치(47)로부터 분무된 미스트의 대부분이 도중에 소실하여 내조(43) 내의 의류에까지 도달하지 않고, 의류를 적셔서 주름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의류 건조기(50)에서는, 전해 미스트 발생기(56)가 건조실(51)의 하부에 마련된 기계실(52)에 배치되어 있다. 전해 미스트 발생기(56)로부터 발생한 전해 미스트를 히터(54)의 하류측에 공급하고, 히터(54)로부터의 열풍과 혼합한다. 이것에 의해 전해 미스트를 고온화한 후에, 덕트실(58)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방출하고, 복수의 슬릿이나 구멍이 형성된 분출부(51a)[건조실(51)의 바닥판]를 통해서 분출하여 건조실(51)에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분출부(51a)에 복수의 슬릿이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고는 해도, 대부분의 미스트는 슬릿이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닥판의 하면에 충돌하여, 응축해서 물방울이 되어 손실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의류 건조기(50)에서는, 전해 미스트 발생기(56)로부터 발생한 미스트의 대부분이 도중에 소실하고, 건조실(51) 내의 의류에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의류를 적셔서 주름을 저감하는 것까지는 불가능 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이렇게 물방울이 형성되어서 습기가 많은 덕트실(58)에 열풍이 공급되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열풍이 건조실(51)에도 도입되어, 다소의 탈취 효과는 기대할 수 있어도, 의류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미스트를 이용해서 세탁물의 주름을 저감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행해 왔다. 본 발명자들의 상세한 검토에 의하면, 세탁물을 적당히 적시고 그 후에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세탁물의 주름을 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세탁물을 적실 때에, 건조율 90∼96%(이상적으로는 95%)로 미스트로 균일하게 적시는 동시에, 건조할 때에 건조율 99% 이상으로 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건조율이라는 것은, 세탁하기 전의 상태에서의 세탁물의 중량의, 적신 후의 세탁물의 중량에 대한 비율이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에 의하면, 특히 세탁물을 건조율 90∼96%로 균일하게 적시는 것에 의해, 세탁물의 섬유 끼리를 결합하는 수소 결합을 분해시켜서, 섬유 끼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회전 드럼 내에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세탁물에 잡혔던 주름이 펴진다. 그 다음에, 특 히 건조율 99% 이상으로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주름이 펴진 상태의 섬유 끼리에 새로운 수소 결합을 형성시켜서 섬유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주름이 확실하게 펴진 상태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의 상세한 검토에 의하면, 세탁물을 적실 때에, 특히 건조율 90∼96%로 미스트로 균일하게 적시는 것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던 냄새나는 분자를 이탈시키고, 고온으로 하지 않아도, 혹은 Ag 이온의 도움을 빌리지 않아도, 용이하게 소취(消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세탁물을 건조율 90∼96%로 미스트로 균일하게 적시는 것에 의해, 세탁물의 섬유와 냄새나는 분자의 결합이 미스트를 구성하는 수분자에 의해 치환되고, 세탁물 표면에 흐르는 바람(고온일 필요는 없음)에 의해, 섬유와의 결합이 풀어진 냄새나는 분자가 섬유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한다. 그리고, 이탈한 냄새나는 분자는, 바람에 휩쓸려 가서 회전 드럼 내로부터 순환 송풍 경로 내로 운반되어, 응축기의 배관 내에서 주위에 존재하는 수분자와 함께 결로(結露)수중에 포착되고, 최후에는 결로물과 함께 배수된다.
웨트 미스트는 높은 젖음성을 갖고, 세탁물 표면에 엷고 균일하게 적실 수 있으며, 수분자가 섬유와 냄새나는 분자의 결합의 사이에 삼입(渗入)하기 쉽기 때문에, 소량이어도 용이하게 이 결합을 끊을 수 있다. 열에 의해 이 섬유와 냄새나는 분자의 결합을 끊으려고 하면, 주변 환경도 상당한 고온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물로 세탁물을 적시면, 물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데도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거기에서 미스트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섬유와 냄새나는 분자의 결 합을 끊어 높은 소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미스트의 발생 장치로서 초음파 무화 방식을 채용했을 경우, 단위 시간 당의 미스트 발생량은, 미스트 발생원이 되는 물의 온도,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하는 발진 회로부로의 입력 전압 등의 변화에 의해 증감한다. 예를 들면, 1.6MHz로 발진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했을 경우, 다른 조건을 고정하고 수온만을 5℃로부터 30℃로 변화시키면, 미스트 발생량은 약 1.5배가 된다. 또한, 발진 회로에 입력하는 전압만을 95V로부터 107V로 변화시키면, 여기에서도 미스트 발생량은 약 1.5배가 된다. 통상, 상술한 수온 변화, 전압 변화는 가정 내에서의 보통의 사용 환경하에 있어서 일어날 수 있는 변화이기 때문에, 만일, 미스트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으로, 세탁물의 건조율이 주름을 펴기에 최적인 90∼96%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면, 미스트 발생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는 미스트 발생량이 과잉이 된다. 그 때문에 세탁물의 건조율이 70% 가까이까지 저하하고, 게다가 불균일하게 젖어버리기 때문에, 미스트를 이용하는 의미가 없어져 버린다. 반대로, 미스트 발생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 세탁물의 건조율이 주름을 펴기에 최적인 90∼96%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면, 미스트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에서는 세탁물이 대부분 젖지 않고, 세탁물의 건조율이 99%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이고, 무화 유닛으로 발생한 미스트를, 젖음성이 뛰어난 입경(바람직하게는, 10∼50㎛)의 웨트 미스트를 주체로 하는 상태로 회전 드럼 내에 도입하여 충만시킬 수 있고, 물의 온도나 발진 회로부로의 입력 전압 등이 변화해도, 의류 표면을 효과적인 건조율(바람직하게는, 90∼96%)로 적시는 것에 의해, 뛰어난 주름 저감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주벽에 다수의 주벽 투공이 형성되고, 세탁물을 수용해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과, 회전 드럼을 내부에 갖고, 건조한 공기가 보내지는 도풍구가 형성된 수조와, 수조 내로의 급수를 실행하는 급수 장치와, 수조 내로부터 배수하는 배수 장치와,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는 제습 장치 및 가열 장치, 및 건조한 공기를 도풍구에 보내는 송풍 장치를 갖고, 도풍구에 접속된 순환 송풍 경로와, 도풍구의 상방에 근접해서 마련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무화 유닛를 구비하고, 회전 드럼의 바닥벽은, 도풍구에 대향해서 형성된 바닥면 개구와, 바닥면 개구의 전면에 고정된 원판 형상의 격벽 부재를 갖고, 격벽 부재에는, 원주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다수의 바닥벽 투공이 형성되어, 무화 유닛으로 발생시킨 미스트를, 도풍구로부터 바닥면 개구 및 바닥벽 투공을 거쳐서, 건조한 공기의 흐름에 실어서 회전 드럼 내에 도입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무화 유닛으로 발생한 웨트 미스트를 주체로 하는 미스트가, 도풍구의 상방에 위치하는 무화 유닛과 순환 송풍 경로의 접속구로부터, 순환 송풍 경로에 보내져,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해서 그 하방에 위치하는 도풍구에 흘러내린다. 더욱이, 도풍구로부터 바닥면 개구를 거쳐서, 격벽 부재에 형성된 바닥벽 투공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긴 변 방향을 따른 공기 흐름을 타고 회전 드럼 내에 도입된다. 이렇게, 무화 유닛으로부터 도풍구까지의 이동 경로가 짧고, 게다가, 자중으로 도풍구에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경로의 도중에서 관벽 등에 충돌하여 탈락 분리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따라서, 응집하는 현상이 억제되고, 젖음성이 뛰어난 웨트 미스트(입경10∼50㎛)를 주체로 하는 상태로 미스트를 회전 드럼 내에 도입하여, 충만시킬 수 있다. 또한, 미스트가 과잉으로 발생하는 조건에 있어서는, 잉여의 미스트를 회전 드럼의 바닥벽 투공 주변에 응집시켜서 회전 드럼 내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비록 물의 온도나 발진 회로부로의 입력 전압 등이 변화해도, 의류 표면을 효과적인 건조율(바람직하게는, 90∼96%)로 적실 수 있을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상태의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의해, 의류에 잡힌 주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바닥벽 투공을 격벽 부재의 거의 전역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바닥벽 투공을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과 비교해서, 각각의 바닥벽 투공의 개구 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바닥판면(격벽 부재의 원형면)에 대한 바닥벽 투공의 개구 면적 비율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회전 드럼으로의 송풍량을 많게 하 여, 대량의 미스트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회전 드럼 내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바닥벽 투공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바닥벽 투공의 개구 면적 비율 및 미스트와의 접촉 효율을 설정할 때의 자유도가 넓어지게 된다. 이 바닥벽 투공의 개구 면적 비율을 크고, 미스트와의 접촉 효율을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물의 온도나 발진 회로로의 입력 전압 등이 변화해도, 미스트 발생량의 증감에 따라서 바닥벽 투공 주변에서 응집시켜서 회전 드럼 내에 도입되는 미스트량을 크게 변화시킬 일이 없고,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 가능한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의류 표면을 효과적으로 주름 제거에 최적인 건조율 90∼96%로 적실 수 있고, 이러한 상태의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의해, 의류에 잡힌 주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화 유닛으로 발생한 미스트를, 젖음성이 뛰어난 입경(바람직하게는, 10∼50㎛)의 웨트 미스트를 주체로 하는 상태로 회전 드럼 내에 도입하여 충만시킬 수 있고, 물의 온도나 발진 회로부로의 입력 전압 등이 변화해도, 의류 표면을 효과적인 건조율(바람직하게는, 90∼96%)로 적시는 것에 의해, 뛰어난 주름 저감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구조와 그 동작에 대해서 도 1∼도 4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그 순환 송풍 경로 및 무화 유닛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그 순환 송풍 경로 및 무화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 배면측으로부터 본 일부를 절취해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그 무화 유닛과 수조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1)는, 세탁 건조기 하우징(2) 내에 도시하지 않는 서스펜션 구조에 의해 수조(3)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수조(3) 내에는, 유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단(41)을 가진 회전 드럼(4)이 그 축심 방향을 정면측(도면의 좌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수조(3)의 정면측에는 회전 드럼(4)의 개구단(41)으로 통하는 의류 출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세탁 건조기 하우징(2)의 정면측에 형성된 상향 경사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닫는 문(5)을 여는 것에 의해, 의류 출입구(31)를 통해서 회전 드럼(4) 내에 대하여 세탁물을 출납할 수 있다. 문(5)이 상향 경사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출납하는 작업을,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실시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옆을 향하고 있는 개구부로부터 세탁물을 출납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작업성의 불편함이 개선되어 있다.
회전 드럼(4)은 그 주벽(4a)에 수조(3) 내로 통하는 다수의 주벽 투공(4b)이 형성되어 있다. 주벽(4a) 내면에는 원주방향의 복수 위치에 교반 돌기(4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회전 드럼(4)의 바닥벽(4d)에, 수조(3)에 형성된 도풍구 (18)(도 3, 도 4 참조)에 대향하는 원주방향에 따른 복수 위치에 바닥면 개구(4e) (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면 개구(4e)의 전면, 즉 회전 드럼(4)의 바닥벽 내면에 바닥벽(4d)의 일부를 구성하는 얇은 원판 형상의 격벽 부재(4f)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회전 드럼의 바닥벽의 구조에 대해서, 도 5,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회전 드럼의 바닥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6은 그 측면 단면도, 도 7은 드럼(4)의 복수의 바닥면 개구(4e)와 그 사이를 나누는 개구 칸막이부(4k)와 격벽 부재(4f)의 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좌측이 회전 드럼(4)의 바닥면측이다.
격벽 부재(4f)에는,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거의 전역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는 다수의 바닥벽 투공(透孔)(4g)이, 중앙 원형부(4fc)를 제외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격벽 부재(4f)의 배면에는,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방사상 리브(4h)가 중앙 원형부(4fc)의 주변으로부터 등간격으로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의 방사상 리브(4h)에 교차하도록 방사상 리브(4h) 보다 더욱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원주 리브(4i)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사상 리브(4h)는 반경방향이 아니고, 반경방향에 대하여 회전 드럼(4)의 회전 방향의 한 쪽 측에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방사상 리브(4h)의 방향은 중앙 원형부(4fc)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회전 드럼(4)의 회전 방향의 한 쪽 측에 만곡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방사상 리브(4h) 및 원주 리브(4i)는 다수의 바닥벽 투공(4g)을 구획하는 창살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부분을 차단하는 일이 없도록 세워서 마련되어 있다. 바닥벽 투공(4g)은 격벽 부재(4f)의 중앙 원형부(4fc) 부근에서 그 주연부 가까이에까지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긴 변이 원호 형상을 하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닥벽 투공(4g)의 격벽 부재(4f)의 원형면에 대한 개구율(면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80%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70∼95%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드럼(4)의 바닥벽(4d)에 형성된 복수의 바닥면 개구(4e)의 사이를 나누는 개구 칸막이부(4k)는,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반경방향의 방사상의 개구 칸막이부(4k)에 대하여 격벽 부재(4f)에 형성된 방사상 리브(4h)의 방향은 반경방향이 아니고, 회전 드럼(4)의 회전방향의 한 쪽 측으로 만곡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반경방향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개구 칸막이부(4k)와 격벽 부재(4f)의 배면에 형성된 방사상 리브(4h)는, 어느 정도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벽(4d)을 갖는 회전 드럼(4)은, 수조(3)의 배면측에 설치된 모터(6)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제어 수단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 동된다. 또한, 수조(3)에는 급수 관로(7) 및 배수 관로(8)가 배관 접속되고, 도시하지 않는 급수 밸브 및 배수 밸브의 제어에 의해 수조(3) 내로의 급수 및 수조(3) 내로부터의 배수가 행해진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각 부의 동작은 모두 도시하지 않는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문(5)을 열어서 개구부로부터 회전 드럼(4) 내에 의류 등 세탁물 및 세제를 투입하고, 드럼식 세탁 건조기(1)의 운전을 개시하면, 수조(3) 내에는 급수 장치를 구성하는 급수 관로(7)로부터 소정량의 주수가 행해지고, 모터(6)에 의해 회전 드럼(4)이 회전 구동되어서 세탁 공정이 개시된다. 회전 드럼(4)의 회전에 의해, 회전 드럼(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회전 드럼(4)의 내주벽에 마련된 교반 돌기(4c)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들어 올려진 적당한 높이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교반 동작이 반복된다. 이것에 의해, 세탁물에는 두드림 세척의 작용이 가해져서 세탁이 행해진다.
소요의 세탁 시간이 경과한 후, 더러워진 세탁액은 배수 장치를 구성하는 배수 관로(8)로부터 배출되고, 회전 드럼(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탈수 동작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액은 탈수된다. 그 후, 수조(3) 내에 급수 관로(7)로부터 급수해서 헹굼 ·탈수 공정이 실시된다. 이 헹굼·탈수 공정에 있어서도, 회전 드럼(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회전 드럼(4)의 회전에 수반하는 교반 돌기(4c)에 의해 들어 올려져 낙하하는 교반 동작이 반복되고, 헹굼 세척이 실시된다. 헹굼 세척을 끝마친 후, 다시 회전 드럼(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탈수 동작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물을 탈수하고, 헹굼·탈수 공정을 종료한다.
이 드럼식 세탁 건조기(1)에는, 회전 드럼(4) 내에 수용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즉, 수조(3) 내의 공기를 배기해서 제습하고, 가열한 건조 공기를 다시 수조(3) 내에 송풍하는 순환 송풍 경로(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순환 송풍 경로(9)의 도중에는, 세탁 건조기 하우징(2) 내의 하방의 위치에, 증발기(10) 등의 제습 장치, 응축기(11) 등의 가열 장치 및 송풍 팬(12) 등의 송풍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순환 송풍 경로(9)는, 수조(3)로부터 송풍 팬(12)에 이르는 사이의 순환 공기 도입 관로(13)와 송풍 팬(12)으로부터 수조(3)에 이르는 사이의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있어서 수조(3)의 바닥면에 도풍구(18)가 형성되고, 이 도풍구(18)에 근접한 상방의 위치에 무화 유닛(30)이 접속되어 있다.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는, 세탁 건조기 하우징(2) 내의 후방[수조(3)의 배면측]의 공간에 있어서, 상류측에서 순서대로,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하부 관로(15), 가요 덕트(16) 및 상부 관로(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관로(17)의 하류단의 하방으로 연통구(17a)(도 3 참조)가 개구되고, 이 연통구(17a)는 수조(3)의 배면에 마련된 도풍구(18)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관로(17)는 그 하방 부분에 있어서는 하우징(2)의 중앙쪽에 경사져서 일으켜 세워지고, 도중에 대략 90°굴곡되며, 그 상방 부분에 있어서는 수조(3)의 도풍구(18)를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가요 덕트(16)는, 가요성을 갖는 관재를 이용해서 구성되고, 회전 드럼(4)의 회전 혹은 시동·정지에 수반하는 상부 관로(17)의 진동이 송풍 팬(12)측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증발기(10)로 제습되고, 응축기(11)로 가열된 건조 공기는,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를 경유해서, 이 도풍구(18)로부터 수조(3) 및 그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 드럼(4)에 보내진다.
송풍 팬(12)을 고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순환 송풍 경로(9)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따라서, 세탁물을 수용한 회전 드럼(4) 내의 습한 공기는, 주벽(4a)에 마련된 주벽 투공(4b)을 통해서 수조(3)로부터 송풍 팬(12)측으로의 순환 공기 도입 관로(13)에 배기된다. 그리고, 송풍 팬(12)의 상류에 위치하는 증발기(10)에 의해 수분을 결로(結露)시켜서 제습되는 동시에, 응축기(11)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건조 공기로 된다.
이 가열된 건조 공기는 송풍 팬(12)으로부터 수조(3)로의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보내져서, 수조(3)에 마련된 도풍구(18)를 거쳐서 수조(3) 내로 보내진다. 수조(3) 내로 보내진 고온의 건조 공기는, 회전 드럼(4)의 바닥벽(4d)에 마련된 바닥면 개구(4e) 및 주벽 투공(4b)을 통해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된다. 그 후, 도시하지 않는 의류 등의 세탁물의 사이를 유통하고, 이들을 건조시키면서, 습한 공기가 되어 주벽(4a)에 마련된 주벽 투공(4b)으로부터 수조(3)로 빠져나가고, 다시 순환 공기 도입 관로(13)로 도입된다. 이러한 순환 송풍 경로(9)[순환 공기 도입 관로(13) 및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서의 공기의 순환에 의해 건조 공정이 실시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1)는, 후술하는 무화 유닛(30)을 구비하고 있고, 회전 드럼(4)을 회전시키면서 건조된 의류의 주름을 펴서 주름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주름 제거 코스」가 마련되어 있다. 이 「 주름 제거 코스」에 있어서는, 증발기(10) 및 응축기(11)를 정지시키고, 회전 드럼(4) 및 송풍 팬(12)의 회전 속도를 통상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보다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무화 유닛(30)을 기동시킨다. 무화 유닛(30)에서 미세한 액체 방울로 이루어지는 미스트(20)(도 3 참조)를 발생시키고, 이 미스트(20)를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를 통해서 유입하는 건조 공기류에 떨어뜨려 섞는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세한 웨트 미스트 및 드라이 미스트가 많이 존재하는 상태의 미스트(20)를 수조(3)에 보내고,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한다. 이렇게 하여, 회전 드럼(4) 내의 구석구석 까지 미스트(20)를 충만시키고, 의류 표면을 효과적으로 적시며, 건조 상태에 있는 의류의 주름을 저감시키는 주름 저감 효과를 갖게 한 공정이 실행된다. 더욱이, 그 후, 무화 유닛(30)을 정지시키고, 회전 드럼(4) 및 송풍 팬(12)의 회전 속도를 통상의 건조 공정과 같은 속도로까지 상승시킨다. 이와 함께, 증발기(10) 및 응축기(11)를 동작시켜서, 통상의 건조 운전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의류를 건조시키면서 그 의류의 주름을 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주름 제거 코스」에 있어서는, 반드시 회전 드럼(4)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의 「주름 제거 코스」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스트(20)로 주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더욱이 이하의 원리에 의해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통, 냄새는, 악취 성분이 분자로서 의류 표면에 부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담배, 고기의 악취 등이 그렇지만, 이 악취 분자에 미스트(20)가 부딪히는 것으로, 악취 분자를 물의 분자 자신에 녹일 수 있다. 이 작용에 의 해, 냄새나는 분자를 의류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러한 미스트 처리 후에, 건조 운전을 실행하고, 악취 성분이 용해하고 있는 물을 고온 저습의 공기에 의해 증발시키는 것으로, 냄새나는 분자가 의류에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무화 유닛(30)의 구성 및 「주름 제거 코스」에 대해서, 도 8, 도 9 및 상술의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무화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9는 그 배면 단면도이다.
무화 유닛(30)은 수조(3)의 도풍구(18)에 근접한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미스트 발생원으로서의 물(21)을 저류하는 수류 용기(31)와, 수류 용기(31)에 저류된 물(21)에 대하여 초음파 진동을 더하는 초음파 진동자(32)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수류 용기(31)에 물(21)을 주입하는 주수 장치(33)(도 3 참조)와, 수류 용기(31) 내의 수온을 측정하는 수온 센서(35)를 구비하고 있다. 무화 유닛(30)의 수류 용기(31)가 수조(3)의 배면에 있어서 도풍구(18)에 인접한 상방 위치에 배치되고, 도풍구(18)의 상방에 위치하는 접속구(31e)를 거쳐서 직접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순환 송풍 경로(9)]의 상부 관로(17)에 접속되어 있다.
수류 용기(31)는, 수조(3)의 배면 외측에 인접해서 고정되고, 수류 용기(31)의 수조(3)에 대향하는 측벽(3lb)의 전방측(31bf)이 수조(3)의 배면에 따라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측벽(3lb)의 후방측(31br)이 세탁 건조기 하우징(2)의 배면 패널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 류 용기(31)의 바닥벽(31a) 측이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수류 용기(31)에는 미스트 발생원으로서의 물(21)이 저류되어 있고, 그 상부에 이 물(21)을 주수 장치(33)로부터 주수 호스(34)를 경유해서 주입하는 주수구(31c)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관로(17)에 대향하는 측의 측벽(3lb)에 개구둑(31d)이 마련되고, 도풍구(18)의 상방 부분에서 상부 관로(17)에 접속하는 접속구(31e)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주수구(31c)로부터 수류 용기(31) 내에 주입된 물(21)을 이 개구둑(31d)으로부터 접속구(31e)를 거쳐서 도풍구(18) 상방의 상부 관로(17)에 오버플로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을 일정한 수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개구둑(31d)으로부터 오버플로한 물(21)은 접속구(31e), 상부 관로(17) 및 도풍구(18)를 거쳐서 수조(3)에 송급되고, 배수 관로(8)를 경유해서 기계 외부로 배출된다.
초음파 진동자(32)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의 진동면(32a)을 수류 용기(31)의 바닥벽(31a)에 밀착시켜서 배치되어 있고, 압전 소자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초음파 발신 방향(32b)[진동면(32a)에 수직한 방향]에 초음파 진동이 전달되어,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에 액체 기둥(22)이 형성된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32)는, 진동면(32a)이 접속구(31e)의 반대측[측벽(3lb)의 전방측(31bf)이나 후방측(31br)과는 다른 측방측(31bs)]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기둥(22)은 측벽(3lb)의 접속구(31e)의 반대측[측벽(3lb)의 측방측(31bs)]인 내면 방향을 향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 액체 기둥(22)이 형성되는 것에 따라, 실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액체 기 둥(22)을 따라 상승하고, 측벽(3lb) 내면[측벽(3lb)의 측방측(31bs)]을 따라 하강 및 상승하는 듯한 물(21) 및 공기의 대류가 발생한다. 그와 함께, 이 액체 기둥(22)을 통해서 전달된 초음파 진동이 물(21)의 표면을 미세하게 진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액체 기둥(22)의 선단 부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서, 액체 기둥(22)의 미세한 진동에 따른 미세한 액체 방울인 미스트(20)(안개)를 발생시킨다. 이 미스트(20)는, 상기한 물(21)의 대류 운동에 압출되도록 하여 초음파 발신 방향(32b)을 향해서 방출되는 물(21) 및 공기의 대류를 따라서 측벽(3lb) 내면을 따라 하강 및 상승한다. 그 후, 저류된 물(21)의 표면 및 측벽(3lb) 내면을 따라 접속구(31e)를 거쳐서 도풍구(18) 상방의 상부 관로(17)에 방출된다. 그리고, 상부 관로(17)에 방출된 미스트(20)는 즉시 하방의 도풍구(18)로부터 수조(3)에 보내지고, 더욱이 회전 드럼(4)의 바닥면 개구(4e)와 바닥벽 투공(4g)을 거쳐서 회전 드럼(4) 내로 도입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스트(20)를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할 때에, 송풍 팬(12)을 50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때의 순환 송풍 경로(9) 내에서의 공기류의 송풍량은 0.15 m3/분이 되어 있다. 이것은 통상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정격 운전시[송풍 팬(12)을 회전 속도 5800rpm으로 회전시키고,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2.2 m3/분의 풍량의 건조 공기가 보내짐]에 대하여, 회전 팬의 회전 속도에서 1/10 정도, 송풍량에서 1/3 정도에 상당하고 있다. 이러한 약한 풍량으로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것에 의해, 미스 트(20)를 도풍구(18)로부터 회전 드럼(4) 내로 압출되는 풍압이 작용하고, 적정하게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할 수 있다. 더욱이, 웨트 미스트와 함께, 부유성이 높은 드라이 미스트도 동시에 도풍구(18)로부터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할 수 있고, 의류의 온도가 상온 가까이이며, 미스트(20)의 온도가 높을 경우, 의류 표면에 수분이 응축하여, 한층 더 효율적으로 의류를 적실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순환 송풍 경로(9) 내에서의 공기류의 송풍량으로서는, 0.05 m3/분 ∼1.00 m3/분 이 적당하다. 이 송풍량이 0.05 m3/분 미만이면, 웨트 미스트가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될 때에, 회전 드럼(4) 내에 있는 의류가 장해가 되고, 회전 드럼(4) 내에 충분히 들어가지 못하며, 그 일부가 수조(3)와 회전 드럼(4)의 사이에 흘러내릴 수도 있다. 더욱이, 드라이 미스트의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되는 양이 줄어서 상기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또한, 순환 송풍 경로(9) 내에서의 공기류의 송풍량이 1.00 m3/분을 넘으면, 웨트 미스트가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상부 관로(17)]의 관벽에 충돌해서 웨트 미스트의 존재 비율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드라이 미스트도 의류에 부착하는 일이 없이, 회전 드럼(4) 내를 통과해버린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수류 용기(31)의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연결하는 접속구(31e)의 상방 부 부근에 정류 핀(36)(정류 장치)을 마련하고 있다. 정류 핀(36)은 접속구(31e)로부터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측에 들어간 위치로, 도 9에서는 건조 공기 송풍 관 로(14)를 수평으로 횡단하도록, 또한 도 8에서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판 형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름 제거 코스」에 있어서 송풍 팬(12)을 회전 구동했을 때,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 내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때, 정류 팬(36)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공기 송풍 관로(14) 내를 유통해 온 공기가 접속구(31e)로부터 무화 유닛(30)[수류 용기(31)] 내부에 들어오기 어렵다. 그러나, 정류 핀(36)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파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공기의 일부가 정류 핀(36)의 상방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분기되고, 접속구(31e)의 상방부에서 무화 유닛(30) 내로 도입된다. 그 후, 무화 유닛(30) 내를 순환하고, 접속구(31e)로부터 다시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로 되돌아오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 속에서, 무화 유닛(30)에서 발생한 미스트(20)는 상술한 공기의 흐름을 타고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흘러 들어 오고, 더욱이 자중 및 공기의 흐름에 의해 도풍구(18)를 향해서 떨어뜨려 섞여, 수조(3) 또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되게 된다.
또한, 액체 기둥(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구(31e)의 반대측의 측벽(3lb) 내면을 향해서 경사져서 형성되므로, 액체 기둥(22)에 의해 물(21)이 직접 접속구(31e)를 거쳐서 상부 관로(17) 내에 흘러 넘쳐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의 여분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주수 장치(33)는 수류 용기(31)에 있어서 미스트(20) 발생에 의해 소비된 물(21)을 보급하기 위한 것이다. 주수 장치(33)의 하방에 마련된 급수구(33a)와 수류 용기(31)의 주수구(31c)의 사이는 주수 호스(34)에 의해 접속되고, 그 사이의 적소에 개폐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주수 장치(33)는 무화 유닛(30)을 기동시킨 최초의 단계에서 개폐 밸브를 열고, 수류 용기(31) 내에 물이 고이는데도 충분한 소정 시간만, 주수 장치(33)의 급수구(33a)로부터 주수 호스(34)를 거쳐서 물(21)을 송급한다. 이것과 함께, 과잉의 물(21)을 측벽(3lb)의 개구둑(31d)으로부터 오버 플로시켜서,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을 일정한 수위로 유지한다. 이 기동 초기에 있어서의 주수 동작은 휴지 중의 증발 등에 의해 줄어든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을 보충하고, 항상 일정 수위의 상태하에서 무화 유닛(30)을 운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온 센서(35)는 더미스터 등을 이용해서 구성되고, 수류 용기(31) 내의 수온을 측정하는 것이다. 수온 센서(35)에 의해 측정된 수온이 소정 온도를 넘었을 경우에는, 주수 장치(33)로부터 물(21)을 보급하고 수온을 내려서, 항상 수류 용기(31) 내의 수온이 상기의 소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이 소정 온도는 초음파 진동자(32)의 사용 상한 온도 혹은 그보다 조금 낮은 온도로 설정한다. 이렇게, 주수 장치(33)로부터 물(21)을 보급하는 것에 의해,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이 신속하게 냉각된다. 따라서, 특별한 냉각 장치를 이용할 일이 없이,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이 초음파 진동자(32)의 사용 상한 온도를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정한 시간주기로 주수 장치(33)로부터 물(21)을 보급하고, 항상 수온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동작시킬 경우에는, 수온 센서(35)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무화 유닛(30)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트(20)는, 그 입경에 의해 부유성이나 표면 장력(젖음성) 등의 특성이 다르다. 즉, 입경 10㎛미만의 초 미세 미스트는 드라이 미스트라고도 불리고 극히 미세하기 때문에, 표면 장력이 높고 부유성이 높지만, 물건에 부착했을 때의 젖음성이 낮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입경 10∼50㎛의 미세 미스트는 웨트 미스트라고도 불리고, 상기의 드라이 미스트와 비교해서 입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표면 장력이 약하며, 물건에 부착했을 때의 젖음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입경 50㎛을 넘는 비교적 거칠고 큼직한 미스트는, 물방울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무화 유닛(30)에서 발생한 미스트(20)는 도풍구(18)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수류 용기(31)의 측벽(3lb)이나 상부 관로(17)의 관벽에 충돌하거나, 혹은 서로 응집하거나 해서, 점차 거칠고 큼직한 미스트가 탈락 분리되고, 미세한 웨트 미스트가 그 존재 비율을 증대시켜 간다. 그리고, 웨트 미스트를 주체로 하는 상태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된다. 여기에서, 웨트 미스트를 주체로 하는 상태의 미스트(20)라는 것은, 웨트 미스트가 체적 존재율로 전체의 50%을 넘는 상태이고,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한 측정 장치로 측정되어 미스트(20)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메디안 직경(D50)이 10∼50㎛의 범위에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미스트(20)가 도풍구(18)까지 이동하는 사이의 경로가 길거나, 그 경로 도중에 굴곡부가 존재하거나 하면, 미세한 웨트 미스트까지가 응집해서 탈락 분리된다. 그 때문에 미스트(20) 중의 웨트 미스트의 존재 비율이 감소하고, 드라이 미스트를 주체로 한 미스트(20)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무화 유닛(30)에서 발생한 미스트(20)가, 도풍구(18)의 상방에 위치하는 무 화 유닛(30)[수류 용기(31)]과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상부 관로(17)]의 접속구(31e)로부터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보내져서, 자중으로 낙하한다. 따라서, 도풍구(18)로부터 웨트 미스트를 주체로 하는 상태로 수조(3)에 떨어뜨려 섞여져 더욱이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된다. 게다가, 송풍 팬(12)이 세탁 건조기 하우징(2) 내의 하위의 위치에 배치되고, 이 송풍 팬(12)으로부터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건조 공기가 보내지기 때문에, 무화 유닛(30)의 접속구(31e)에서는 송풍 팬(12)으로부터의 풍압(동압)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미스트(20)가 건조 공기류 중에 도입되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화 유닛(30)으로부터 도풍구(18)까지의 이동 경로가 짧고, 게다가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경로의 도중에서의 웨트 미스트의 응집을 억제하고, 젖음성이 뛰어난 입경 10∼50㎛의 웨트 미스트를 주체로 하는 상태로 미스트(20)를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해서 충만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의류 표면을 효과적으로 적실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상태의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의해, 의류에 잡힌 주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주름 제거 코스」에 있어서는, 반드시 회전 드럼(4)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의류의 주름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드럼(4)을 회전시키고 있다. 회전 드럼(4) 내에 있는 의류는 상온의 건조한 상태에 있는 것에 대해서, 초음파 진동자(32)의 발진에 의해 수류 용기(31) 내의 수온이 상승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미스트(20)는 의류의 표면 온도에 비교하여 높은 온도가 된다. 따라서, 드라이 미스트도 높은 온도의 상태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웨트 미스트 뿐만 아니라 드라이 미스트도, 미스트의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 있는 의류의 표면 및 회전 드럼(4)의 주벽(4a) 등에 용이하게 응축해서 미세한 물방울로서 결로한다. 이때 회전 드럼(4)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의류가 뒤섞여지고, 드라이 미스트를 포함하는 미스트(20)가 의류에 장해되지 않고 회전 드럼(4) 내로 도입할 수 있어, 의류 전체를 더욱 효율적으로 적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스트(20)를 접속구(31e)로부터 건조 공기 송풍 관로(14)에 보내고,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고, 공기류에 실어서 도풍구(18)로부터 수조(3) 또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한다. 더욱이, 미스트 도입시(무화 유닛 기동시)에 있어서는, 회전 드럼(4)을 의류를 뒤섞을 수 있는 45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조용히 회전시키고 있다. 이렇게, 회전 드럼(4)을 조용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대로는 회전 드럼(4) 내의 저부 부근에 체류하기 쉬운 웨트 미스트를 회전 드럼(4) 내의 구석구석까지 충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4) 내의 의류를 젖음성이 높은 웨트 미스트에 의해 효과적으로 적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의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의해, 의류에 잡힌 주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웨트 미스트를 회전 드럼(4) 내의 구석구석까지 충만시키기 위해서, 회전 드럼(4)을 조용히 회전시킬 때의 회전 속도는 15∼80rpm이 적당하다. 이 회전 속도가 15rpm 미만이면, 도풍구로부터 도입된 미스트(20)의 일부가 회전 드럼(4)의 저부 부근에 체류하게 된다. 회전 속도가 80rpm을 넘으면, 미스트(20)의 일부가 원심력으로 회전 드럼(4)의 주벽쪽으로 밀어내져, 주벽 등에 충돌해서 웨트 미스트의 존재 비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고 있는 초음파 진동자(32)의 시간당의 미스트 발생량은, 수류 용기(31) 내의 물(21)의 수온 및 초음파 진동자(32)를 구동하는 발진 회로부(도시하지 않음)로의 입력 전압 등의 변화에 의해 증감한다. 예를 들면, 1.6MHz로 발진하는 초음파 진동자(32)를 이용했을 경우, 다른 조건을 고정하고, 수온만을 5℃로부터 30℃로 변화시키면, 미스트 발생량은 약 1.5배가 된다. 또한, 발진 회로에 입력하는 전압만을 95V로부터 107V로 변화시키면, 여기에서도 미스트 발생량은 약 1.5배가 된다.
상술한 수온의 변화, 입력 전압의 변화는 가정에서 보통으로 일어날 수 있는 변화이다. 그 때문에, 만일 미스트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으로, 주름 제거에 최적인 의류의 건조율을 90∼96%가 되도록 조정하면, 미스트 발생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는 미스트 발생량이 과잉하여 의류가 건조율 70% 가까이까지 저하하고, 게다가 불균일하게 젖어버린다. 그 때문에, 미스트를 이용해서 적시는 의미가 없어져버린다. 반대로, 미스트 발생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으로, 의류의 건조율을 90∼96%가 되도록 미스트 발생량을 조정하면, 미스트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에서는 의류는 대부분 젖지 않고, 의류의 건조율이 99% 부근에 머무른다. 그 때문에 주름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의류를 효과적으로 적시게 하려면, 수온 및 입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러한 제어를 짜 넣으려고 하면, 수온 측량 장치와 수온 조정 장치 및 입력 전압 측량 장치와 입력 전압 조정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측량 장치나 조정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미스트(20)로 적셨을 때의 의류의 건조율이 90∼96%의 범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미스트 발생량이 가장 적게되는 저수온, 저입력 전압의 조건하에서 의류의 건조율이 90∼96%가 되도록, 발진 회로부의 출력과 초음파 진동자(32)에 의한 무화 유닛(30)의 무화 능력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무화 능력에 있어서 미스트 발생량이 가장 많아지는 고수온, 고입력 전압의 조건으로 미스트(20)를 발생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에 대하여 과잉의 미스트(20)가 공급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과잉의 미스트(20)를 회전 드럼(4)의 바닥벽(4d)[격벽 부재(4f)]에 형성된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있어서 응집(트랩)시켜서, 잉여의 미스트(20)가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트랩되는 미스트(20)의 양은, 바닥벽 투공(4g)과 미스트(20)의 접촉 효율에 의존하고, 이 바닥벽 투공(4g)을 통과하려고 하는 미스트(20)의 양에 따라서 결정되게 된다. 통과하려고 하는 미스트(20)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접촉 효율이 낮기 때문에, 대부분 바닥벽 투공(4g)에 트랩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스트(20)의 양이 과잉할 경우에는 접촉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많은 미스트가 바닥벽 투공(4g)에 트랩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수의 바닥벽 투공(4g)을 격벽 부재(4f)의 거의 전역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벽 투공(4g)을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각각의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바닥판면[격벽 부 재(4f)의 원형면]에 대한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 비율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회전 드럼(4)으로의 송풍량을 많게 하며, 대량의 미스트(20)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할 수 있다.
게다가, 바닥벽 투공(4g)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 비율 및 미스트(20)의 접촉 효율을 설정할 때의 자유도가 넓어지게 된다. 이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 비율을 크고, 미스트(20)와의 접촉 효율을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물(21)의 온도나 발진 회로부로의 입력 전압 등이 변화해도, 미스트 발생량의 증감에 따라서 바닥벽 투공(4g) 주변에서 응집시켜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되는 미스트량을 크게 변화시킬 일이 없이,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의류 표면을 효과적으로 주름 제거에 최적인 건조율 90∼96%로 적실 수 있고, 이러한 상태의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의해, 의류에 잡힌 주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벽 투공(4g)을 격벽 부재(4f)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그 주연부 가까이에 달하는 넓은 영역에 형성하는 동시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긴 변을 원호 형상으로 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바닥벽 투공(4g)을 질서좋게 배열시킬 수 있고,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벽 투공을 배열한 것과 비교하여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 비율을 70∼95%(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80%)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 비율이 클수록, 회전 드럼(4)으로의 송풍량을 많게 하고, 대량의 미스트(20)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다수의 바닥벽 투공(4g)을, 그들의 사이를 구획하는 창살에 상당하는 부분을 좁게 해서 배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창살에 웨트 미스트가 응집하고,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되는 미스트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여, 대량의 미스트(20)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회전 드럼(4) 내에 도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구 면적 비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지, 격벽 부재(4f)는 건조한 공기의 풍압에도 견디지 않으면 안되고, 소정의 변형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개구 면적 비율을 9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격벽 부재(4f)의 배면에는, 배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방사상 리브(4h)가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과 함께, 이들의 방사상 리브(4h)의 적어도 일부에 교차하도록 방사상 리브(4h) 보다 더욱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원주 리브(4i)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원주 리브(4i)에 있어서의 배면측으로의 돌출 치수가, 방사상 리브(4h)의 돌출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응집된 물방울이, 회전 드럼(4)의 회전에 따라, 중력 혹은 원심력에 의해, 격벽 부재(4f)의 배면에 형성한 방사상 리브(4h)에 따라 흐른다. 그 후, 물방울은,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원주 리브(4i)에 따라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모아지고,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i)의 교차하는 위치에 모아져서, 이 위치로부터 수조(3) 내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무화 유닛(30)에서 무화되는 물(21)의 온도, 발진 회로부로의 입력 전압 등이 변화해도, 의류 표면을 효과적으로 건조율 90∼96%로 적실 수 있고, 이러한 상태의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의해 의류에 잡힌 주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격벽 부재(4f)에 서로 교차하는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i)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격벽 부재(4f)의 변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만큼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 비율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상 리브(4h)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회전 드럼(4)의 회전 방향의 한 쪽 측에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사상 리브(4h)를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면, 반경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회전 드럼(4)의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응집된 물방울은 회전 드럼(4)의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 이 때문에, 응집된 물방울은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i)의 교차 위치에 모아지고, 이 교차 위치로부터 효율적으로 수조(3) 내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방사상 리브(4h)를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와 같이 반경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회전 드럼의 바닥벽 투공 주변에 응집된 물방울은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 그 때문에, 물방울은 방사상 리브와 원주 리브의 교차 위치에 모아지고, 이 교차 위치로부터 혹은 이 교차 위치에 형성된 돌출 형상 리브를 타고 이동하여 효율적으로 수조 내로 배출되게 된다.
더욱이, 방사상 리브(4h)를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면, 회전 드럼(4)이 회전했을 때에 바닥면 개구(4e)로부터 회전 드럼(4) 내에 도입되는 건조한 공기가, 드럼의 중심축에 대하여 외방 또는 내방쪽을 향해 회전 드럼(4) 내로 보내진다. 실제로는, 회전 드럼(4)은 정역 방향으로 교호로 회전되기 때문에, 건조한 공기는 바깥쪽 및 안쪽으로 교호로 방향을 변하게 하여 회전 드럼(4) 내로 보내진다. 이 건조한 공기의 흐름을 타고 회전 드럼(4) 내로 도입되는 미스트(20)(특히, 부유성이 높은 드라이 미스트)가 회전 드럼(4) 내에 있어서 교반되고 충만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교반되고 회전 드럼(4) 내에 충만한 미스트가 세탁물을 균일하게 적시는데 기여하여, 의류에 잡힌 주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사상 리브(4h) 및 원주 리브(4i)가,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부분을 차단하는 일이 없도록, 다수의 바닥벽 투공(4g)을 구획하는 창살에 상당하는 부분에 세워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방사상 리브(4h)나 원주 리브(4i)의 존재에 의해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을 감소시킬 일 없이, 대량의 미스트(20)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회전 드럼(4) 내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방사상 리브(4h)나 원주 리브(4i)가 장해가 되고, 미스트가 여분으로 방사상 리브(4h)나 원주 리브(4i)의 주변에 응집되어서, 회전 드럼(4) 내로 도입되는 미스트량이 감소할 일도 없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닥벽(4d)에 형성된 복수의 바닥면 개구(4e)의 사이를 나누는 개구 칸막이부(4k)는,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개구 칸막이부(4k)와 격벽 부재(4f)의 배면에 형성된 방사상 리브(4h)는 어느 정도 경사 각도를 갖고 대향하고 있다. 방사상 리브(4h)와 개구 칸막이부(4k)를 어느 정도의 경사 각도를 갖고 대향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개 구 칸막이부(4k)에 의해 차단된 전방측, 즉 회전 드럼(4)의 안쪽의 위치에도 미스트(20)가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부분을 거쳐서 건조한 공기를 타고 돌아 넣어지도록 해서 보내진다. 그 때문에, 미스트(20)를 개구 칸막이부(4k)의 전방측(회전 드럼 내측)에서 부분적으로 희박해 지는 것과 같은 고르지 못함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이, 균일한 상태로 회전 드럼(4) 내로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회전 드럼(4) 내에 균일하게 도입된 미스트(20)에 의해, 의류를 균일하게 적시고, 의류에 잡힌 주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의 바닥벽의 구조에 대해서, 도 10, 도 11a, 도 11b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회전 드럼의 바닥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1a, 도 11b는 그 다른 위치에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a, 도 11b에 있어서 좌측이 회전 드럼의 내면측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회전 드럼의 바닥벽 이외의 구조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회전 드럼의 바닥벽의 구조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회전 드럼의 격벽 부재의 배면에 방사상 리브(4h)와, 이 방사상 리브(4h)보다도 더욱 배면측으로 돌출하도록 원주 리브(4i)를 형성하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에 대신하여, 도 10, 도 11a,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 부재(4ff)에서는 원주 리브(4ⅱ)를 방사상 리브(4h) 보다도 작은 돌 출 치수로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도 10, 도 11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ⅱ)가 교차하는 위치에, 방사상 리브(4h) 보다 더욱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 리브(4j)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 리브(4j)가 형성되는 위치는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ⅱ)의 교차 위치의 적어도 일부이면 좋고, 교차 위치의 모든 위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응집된 물방울이 회전 드럼(4)의 회전에 따라, 중력 혹은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 리브(4h) 및 원주 리브(4ⅱ)를 따라 흐른다. 그 후,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ⅱ)의 교차하는 위치에 모아지고, 이 교차 위치에 형성된 돌출 형상 리브(4j)를 타고 이동해서 수조(3) 내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무화 유닛(30)에서 무화되는 물(21)의 온도, 발진 회로부로의 입력 전압 등이 변화해도, 의류 표면을 효과적으로 건조율 90∼96%로 적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의 의류를 건조하는 것에 의해, 의류에 잡힌 주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격벽 부재(4f)에 서로 교차하는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ⅱ)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격벽 부재(4ff)의 변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만큼 바닥벽 투공(4g)의 개구 면적 비율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풍구(18)의 전방에 대향하는 회전 드럼 격벽 부재의 전면에 의류가 들러붙고, 도풍구(18)로부터 수조(3), 바닥면 개구(4e), 바닥벽 투공(4g)을 통해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막았을 경우여도, 원주 리브(4ⅱ)의 돌출 치수를 작게 설정한 것에 의해 회전 드럼(4)의 배면측을 비교적 자유롭게 공기가 흐른다. 따라서, 의류로 막아진 부분을 우회하는 형태로 회전 드럼(4) 내로의 공기의 흐름이 확보되 고, 순환 송풍 경로(9) 내의 공기의 송풍이 부드럽게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한층 더 단시간에 의류를 적실 수 있고, 더욱이 마찬가지로 단시간에 건조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으로 의류의 주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ⅱ)가 교차하는 위치에, 방사상 리브(4h) 보다 더욱 배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 리브(4j)를 형성했지만, 이 돌기 리브(4j)는 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이 돌기 리브(4j)를 마련하지 않아도, 회전 드럼(4)의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응집된 물방울을 회전 드럼(4)의 회전에 따라, 방사상 리브(4h) 및 원주 리브(4ⅱ)에 따르게 해서 흐르게 하고,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ⅱ)의 교차하는 위치에 모아서, 이 교차 위치로부터 수조(3) 내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것과 같이, 실시형태 1, 2에서는 방사상 리브(4h)를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설명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방사상 리브(4h)를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직선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방사상 리브(4h)를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여도, 반경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즉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회전 드럼(4)의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응집된 물방울은 회전 드럼(4)의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 따라서, 바닥벽 투공(4g) 주변에 응집된 물방울은 방사상 리브(4h)와 원주 리브(4i,4ⅱ)의 교차 위치에 모아지고, 이 교차 위치로부터 혹은 이 교차 위치에 형성된 돌출 형상 리브(4j)를 타고 이동하여 효율적으로 수조(3) 내로 배출된다.
또한, 실시형태 1, 2에서는 무화 유닛(30) 내의 미스트 발생원으로서 물(21)을 이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용도에 따라, Ag 이온 전해액, 세제액, 소취 액, 제균액 등을 이용해도 좋고, 각각의 액제(미스트 발생원)에 대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1, 2에서는 회전 드럼을 경사 배치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회전 드럼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즉 회전 드럼의 축심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세탁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건조기를 수반하지 않는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 하우징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 하우징 배면측으로부터 본 일부 절취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바닥벽 격벽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바닥벽 격벽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회전 드럼의 바닥면 개구와 개구 칸막이부와 격벽 부재의 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무화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무화 유닛을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바닥벽 격벽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바닥벽 격벽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b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바닥벽 격벽 부재를 도시하는 것 이외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무화 유닛을 구비하는 세탁 건조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무화 유닛을 구비하는 것 이외의 의류 건조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식 세탁 건조기 2 : 세탁 건조기 하우징
3 : 수조 4 : 회전 드럼
4a : 주벽 4b : 주벽 투공
4c : 교반 돌기 4d : 바닥벽
4e : 바닥면 개구 4f : 격벽 부재
4fc : 중앙 원형부 4g : 바닥벽 투공
4h : 방사상 리브 4i, 4ⅱ : 원주 리브
4j : 돌기 리브 4k : 개구 칸막이부
9 : 순환 송풍 경로 10 : 증발 그릇(제습 장치)
11 : 응축기(가열 장치) 12 : 송풍 팬(송풍 장치)
18 : 도풍구 20 : 미스트
21 : 물(액체) 30 : 무화 유닛
31 : 수류 용기 31a : 바닥벽
3lb, 31bf, 31br, 31bs : 측벽 31c : 주수구
31d : 개구둑 31e : 접속구
32 : 초음파 진동자 33 : 주수 장치
34 : 주수 호스 35 : 수온 센서
36 : 정류 핀

Claims (8)

  1. 주벽(周壁)에 다수의 주벽 투공(透孔)이 형성되고, 세탁물을 수용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내부에 갖고, 건조한 공기가 보내지는 도풍구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로의 급수를 행하는 급수 장치와,
    상기 수조 내로부터 배수하는 배수 장치와,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는 제습 장치 및 가열 장치와,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상기 도풍구에 보내는 송풍 장치를 갖고, 상기 도풍구에 접속된 순환 송풍 경로와,
    상기 도풍구의 상방에 근접해서 마련된, 미스트(mist)를 발생시키는 무화 유닛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바닥벽은, 상기 도풍구에 대향하여 형성된 바닥면 개구와, 상기 바닥면 개구의 전면(前面)에 고정된 원판 형상의 격벽 부재를 갖고,
    상기 격벽 부재에는 원주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다수의 바닥벽 투공이 형성되고,
    상기 무화 유닛으로 발생시킨 미스트를, 상기 도풍구로부터 상기 바닥면 개구 및 상기 바닥벽 투공을 거쳐서, 상기 건조한 공기의 흐름에 실어서 상기 회전 드럼 내에 도입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의 배면에는, 배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방사상(放射狀) 리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원주 리브가 상기 방사상 리브에 교차하도록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의 방사상 리브 및 상기 원주 리브는, 상기 다수의 바닥벽 투공을 구획하는 창살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 투공의 개구 부분을 차단하는 일이 없도록 세워서 마련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의 방사상 리브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의 한 쪽 측에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의 방사상 리브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의 한 쪽 측에 경사져서 만곡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의 바닥벽 투공은 상기 격벽 부재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주변부에 달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긴 변이 원호 형상을 이루어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 부재의 원형면에 대한 상기 바닥벽 투공의 개구 면적 비율이 70∼9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의 방사상 리브와 상기 원주 리브의 교차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방사상 리브보다 더욱 배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바닥벽에, 상기 복수의 바닥면 개구의 사이를 나누는 개구 칸막이부가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 칸막이부와 상기 격벽 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방사상 리브는 경사 각도를 가지고 대향하고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20080087405A 2007-09-05 2008-09-04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1003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30725 2007-09-05
JP2007230725A JP4499769B2 (ja) 2007-09-05 2007-09-05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67A KR20090025167A (ko) 2009-03-10
KR101003233B1 true KR101003233B1 (ko) 2010-12-21

Family

ID=4046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405A KR101003233B1 (ko) 2007-09-05 2008-09-04 드럼식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99769B2 (ko)
KR (1) KR101003233B1 (ko)
CN (2) CN101381938B (ko)
TW (1) TW2009349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3934A1 (de) 2012-08-07 2014-02-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mit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Wassertropfen sowie Verfahren zu ihrem Betrieb
CN103993464B (zh) * 2014-03-12 2016-02-03 刘广浩 快速棉被干燥装置
CN107843087A (zh) * 2016-09-21 2018-03-27 苏州润桐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盖的吹干装置
CN110747598A (zh) * 2018-07-05 2020-02-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AU2022218063A1 (en) * 2021-02-08 2023-08-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982A (ja) 1997-12-04 1999-06-22 Osaka Gas Co Ltd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KR100881527B1 (ko) 2004-11-18 2009-02-0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867B2 (ja) * 1995-04-10 2000-07-12 リンナイ株式会社 衣類乾燥機のフィルタ装置
JP4030523B2 (ja) * 2004-05-12 2008-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4419750B2 (ja) * 2004-08-17 2010-0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または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982A (ja) 1997-12-04 1999-06-22 Osaka Gas Co Ltd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KR100881527B1 (ko) 2004-11-18 2009-02-0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1938B (zh) 2011-10-19
CN101381938A (zh) 2009-03-11
KR20090025167A (ko) 2009-03-10
CN201254656Y (zh) 2009-06-10
JP4499769B2 (ja) 2010-07-07
TWI349724B (ko) 2011-10-01
TW200934913A (en) 2009-08-16
JP2009061057A (ja)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830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4504388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929288B1 (ko) 무화 유닛 및 드럼식 세탁 건조기
WO2010029703A1 (ja) 洗濯乾燥機
KR101003233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5098986B2 (ja) 洗濯乾燥機
JP200909012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80058543A (ko)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JP2003117283A (ja) 洗濯乾燥機
JP4673351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447586B2 (ja) 洗濯乾燥機
JP4853448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756018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06105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317680B2 (ja) 洗濯乾燥機
JP494676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06129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96539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06129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8220560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832387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089961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0088860A (ja) 洗濯乾燥機
JP2009089960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