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88B1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888B1
KR101001888B1 KR1020080091179A KR20080091179A KR101001888B1 KR 101001888 B1 KR101001888 B1 KR 101001888B1 KR 1020080091179 A KR1020080091179 A KR 1020080091179A KR 20080091179 A KR20080091179 A KR 20080091179A KR 101001888 B1 KR101001888 B1 KR 10100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member
flexible cable
termi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167A (ko
Inventor
성낙훈
조병철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8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2)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간(1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굴곡부(A,B)가 형성되는 연결부(25)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작동부(26)가 구비되는 터미널(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잠금부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잠금부재(4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간(12)의 타측에 형성된 작동공간(13)에 삽입되는 삽입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42)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의 일단을 들어올려 상기 삽입공간(12)의 입구를 향한 상기 작동부(26)의 타단이 상기 케이블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Figure R1020080091179
커넥터, 플렉시블 케이블, 잠금부재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FFC(Flexible Flat Cable)라고 불리우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도 1a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엑츄에이터 타입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우징(1)은 대략 납작하고 긴 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삽입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3)은 상기 하우징(1)의 일측면으로 개구된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4)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4)은 플렉시블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에는 엑츄에이터(7)가 그 양단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엑츄에이터(7)는 상기 하우징(1)에 대해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을 상기 터미널(4)에 대해 눌러주어 플렉시블 케이블(C)을 하우징에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터미널(4)과 연결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터미널(4)의 일단에 구비된 접촉돌기(5)가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에 밀착되어 터미널(4)과 플렉시블 케이블(C)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도 1b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엑츄에이터 타입 커넥터에 구비되는 터미널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터미널은 상기 도 1a의 터미널(4)과 달리 연결부(8)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안착부(9a)와 작동부(9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9b)는 엑츄에이터(A)에 의해 그 일단이 들어올려짐에 따라(도 1b의 화살표①방향), 타단이 상기 안착부(9a)방향으로 이동하여(도 1b의 화살표②방향) 플렉시블케이블의 표면을 누르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이 상기 삽입공간(3)에 삽입되면, 상기 엑츄에이터(7)가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에 외력이 가해져 플렉시블 케이블(C)이 상기 엑츄에이터(7)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엑츄에이터(7)가 들어올려져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4)의 접촉돌기(5)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의 양측 표면 중에서 어느 한쪽 표면에만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렉시블 케이블(C) 과 터미널(4) 사이에는 점접촉 또는 선접촉만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C)이 뒤집힌 상태로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엑츄에이터(A)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위치와 반대편에 위치되므로, 플렉시블 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엑츄에이터(A)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터미널은 연결부(8)를 중심으로 작동부(9b)가 회전되어 플렉시블 케이블과 연결되므로, 작동부(9b)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연결부(8)에 모두 집중되므로, 작동부(9b)가 반복적으로 회전되면 연결부(8)가 소성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모두, 엑츄에이터가 단순히 회전운동만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엑츄에이터가 완전히 회전되어 하우징(11)에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와 하우징 사이에는 엑츄에이터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한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여유공간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플렉시블케이블과 터미널 사이에 접속불량을 유발할 우려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주변 전자기기에 영향을 미쳐 오작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시블 케이블과 터미널 사이에 적어도 2지점 이상에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연결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부재가 회전된 후에 슬라이딩되어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타측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터미널의 작동부의 일단을 들어올려 상기 삽입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작동부의 타단이 상기 케이블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부의 양단에는 회전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돌기에 대응되는 작동채널이 상기 작동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후에 상기 작동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그 타단이 상기 안착부를 향해 이동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은 상기 안착부의 타단과 상기 안착부와 마주보는 상기 작동부의 타단 사이에 밀착된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그 양단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작동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걸이돌기가 안착되어 잠금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맞물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터미널에 형성된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금속재질의 차폐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판상의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슬롯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 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폐커버의 레그부의 선단 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고정클립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실장되는 터미널의 작동부와 안착부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밀착되므로, 터미널은 플렉시블 케이블의 양측 표면 모두와 결합되고,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이 뒤집힌 상태로 삽입되더라도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플렉시블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의 조립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실장되는 터미널의 연결부가 적어도 두 번 이상 굴곡되어 형성되므로, 연결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굴곡된 부분마다 분산될 수 있어 터미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어 터미널과 플렉시블 케이블 사이를 결합시킨 후에 하우징에 대해 직선운동하여 체결되므로, 작업자는 잠금부재가 완전히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육안 및 촉감으로 감지할 수 있어 작업성 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외면에 차폐커버가 결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부터 분산될 수 있는 전자파를 차단하므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주변의 전자기기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가 직선이동하여 하우징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잠금부재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과 잠금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납작하고 긴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몸체(1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내부는 양단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각각 삽입공간(12)과 작동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2)과 작동공간(13)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플렉시블 케이블(C)과 잠금부재(40)의 삽입부(42)가 삽입된다.
상기 작동공간(13)의 입구에는 장착홈(15)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5)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작동공간(13)의 내면에는 작동채널(1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작동채널(1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40)의 회전돌기(43)가 삽입되어 잠금부재(4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작동채널(15')은 상기 작동공간(13)의 길이방향, 즉 플렉시블 케이블(C)(도 5참조)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잠금부재(40)의 회전돌기(43)가 이에 안내되어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체결슬롯(1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슬롯(17)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커버(50)의 레그부(5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터미널(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작동공간(13)의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20)은 연결부(25)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안착부(21)와 작동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21)와 작동부(26)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종의 바형상으로 된다. 즉,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안착부(21)와 연결부(25), 그리고 작동부(26)가 대략 'H'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안착부(21)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12)의 저면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21)의 타단에는 밀착돌기(22)가 구비되는데, 상기 밀착돌기(22)는 플렉시블 케이블(C)의 일면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되어 터미널(20)과 플렉시블 케이블(C)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21)의 일단에는 안착레그(23)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레그(23)는 상기 하우징(10)이 실장되는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부(21)에는 걸이홈(2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40)의 걸이턱(47)이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부(21)의 대략 중심에는 연결부(25)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5)는 상기 안착부(21)와 작동부(26)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부(26)가 어느 정도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25)는 두 개의 굴곡부(A,B)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25)는 그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두 개의 굴곡부(A,B)를 갖게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굴곡부(A,B)에 의해 연결부(25)에 작용하는 응력이 각각의 굴곡부(A,B)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연결부(25)에 세 개 이상의 굴곡부(A,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25)는 프레스가공을 통해 모재를 타발하여 굴곡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부(25)는 상기 안착부(2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연결단부(25a)와, 상기 제1연결단부(25a)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안착부(21) 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결단부(25b)와, 상기 제2연결단부(25b)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연결단부(25a)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작동부(26)에 연결되는 제3연결단부(25c)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25)에 작용하는 응력은 상기 제1연결단부(25a)와 제2연결단부(25b) 사이, 그리고, 상기 제2연결단부(25b)와 제3연결단부(25c) 사이에 형성되는 굴곡부(A,B)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단부(25a)와 제2연결단부(25b)의 사이각 및 상기 제2연결단부(25b)와 제3연결단부(25c)의 사이각은 각각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연결단부(25a)와 제2연결단부(25b) 사이의 제1굴곡부(A)와 제2연결단부(25b)와 제3연결단부(25c) 사이의 제2굴곡부(B)의 굴곡 정도가 커지도록 하여, 연결부(25)에 작용되는 응력이 제1 및 제2굴곡부(A,B)에 확실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25)를 중심으로 안착부(21)의 타측에는 작동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26)는 상기 연결부(2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을 눌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26)의 타단에는 누름돌기(27)가 구비되어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을 보다 확실하게 눌러주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26)는 상기 연결부(25)를 중심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어느 일측으로 회동된 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원되려는 힘을 갖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40)에 의해 작동부(26)의 일단이 들어올려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작동부(26)는 상기 안착부(21)와 평행하 게 되도록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공간(13)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작동부(26)의 일단에는 걸이돌기(2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40)의 맞물림홈(45)에 걸어져, 상기 작동부(26)가 잠금부재(40)의 회전에 정확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터미널(20)은 다수개가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20)은 잠금부재(40)의 회전에 따라 일괄적으로 회전되어 각각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고정클립(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고정클립(30)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이 회로기판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클립(30)에는 판상의 고정부(31)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32는 솔더링홈으로, 솔더링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클립(30)에는 결합부(3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5)는 상기 고정부(3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부(35)의 선단 일부는 상기 고정부(31)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잠금부재(4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하우 징(10)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터미널(20)을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잠금부재(40)는 회전을 통해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의 일단을 안착부(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작동부(2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누름돌기(27)가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을 누르도록 한다.
상기 잠금부재(4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4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3)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41)의 일단에는 삽입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42)는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3)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부재(40)의 회전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42)의 양측면에는 회전돌기(4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3) 내면에 형성된 작동채널(1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작동채널(15')은 상기 작동공간(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와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 후에, 상기 작동공간(13) 내부 방향으로 어느 정도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돌기(43)가 상기 작동채널(15')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40)의 삽입부(42)는 상기 작동공간(13) 내부로 더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42)의 외면에는 맞물림홈(45)이 형성된다. 상기 맞물림홈(45)은 상기 삽입부(42)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걸이돌기(28)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삽입부(42)에는 걸이턱(47)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턱(47)은 상기 삽입 부(42)가 상기 작동공간(13)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20)의 안착부(21)에 형성된 상기 걸이홈(24)에 걸어져, 상기 잠금부재(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부(42)에는 지시부(48)가 구비된다. 상기 지시부(48)는 상기 삽입부(42)의 표면에 구비되는 얇은 막으로, 상기 삽입부(42)의 색과 구별되는 색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시부(48)는 상기 잠금부재(40)가 회전되어 상기 삽입부(42)가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3)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10)에 의해 가려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지시부(48)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음을 통해 잠금부재(40)가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부(48)는 실크스크린기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차폐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 차폐커버(5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주변 전자기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커버(5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폐커버(5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덮는 판상의 차폐부(51)와, 상기 차폐부(51)에 연장되어 하우징(10)에 체결되는 레그부(53)로 구성된다. 상기 레그부(53)는 상기 차폐부(5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체결슬롯(1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53)의 선단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솔더링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상기 회로기판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52는 보강리브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과 플레시블 케이블이 결합되는 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작업자는 플렉시블 케이블(C)의 일단을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하우징(10) 내부로 이동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C)의 노출된 심선(W) 부분이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간(12)을 향하도록 하여 플렉시블 케이블(C)을 밀어 넣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20)의 작동부(26)는 아직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작동부(26)와 안착부(21) 사이의 폭이 충분히 넓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이 삽입공간(12)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의 선단은 상기 터미널(20)의 연결부(25)에 접하여 더 이상이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잠금부재(40)를 도 5의 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잠금부재(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부재(40)는 삽입부(4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몸체부(41)가 상기 하우징(10)과 평행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잠금부재(40)의 선단은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의 일단을 밀어올려, 상기 작동부(26)의 타단이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을 향하도록 이동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40)의 삽입부(42)의 선단에는 맞물림홈(45)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홈(45)에는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의 걸이돌기(28)가 안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작동부(26)는 상기 잠금부재(40)의 회전에 안정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은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와 안착부(21), 보다 정확하게는 작동부(26)의 누름돌기(27)와 안착부(21)의 밀착돌기(22)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터미널(20)과 플렉시블 케이블(C) 사이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된다. 즉, 상기 터미널(20)과 플렉시블 케이블(C)은 적어도 두 부분에서 접하게 되므로, 터미널(20)의 어느 일측만이 플렉시블 케이블(C)에 접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삽입부(42)를 중심으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더라도 이에 간섭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잠금부재(40)를 도 6의 화살표②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즉, 상기 잠금부재(40)를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3) 내부로 더 깊숙히 밀어 넣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40)의 회전돌기(43)는 작동공간(13) 내부의 작동채널(15')을 따라 이동하여 잠금부재(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잠금부재(40)가 상기 작동공간(13)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잠금부재(40)의 삽입부(42)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47)이 상기 터미널(20)의 안착부(21)에 형성된 걸이홈(24)에 삽입되어 잠금부재(4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 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40)가 회전된 후에 직선이동을 하여 하우징(10)에 결합되므로, 작업자는 잠금부재(40)가 직선이동됨을 통해 잠금부재(40)가 완전히 회전되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잠금부재(40)의 결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40)가 직선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잠금부재(40)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10)과 잠금부재(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을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먼저 작업자는 상기 잠금부재(4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 후에, 상기 잠금부재(40)를 회전시켜 상기 잠금부재(40)의 삽입부(42)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의 일단을 밀어 올린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20)의 작동부(26)와 안착부(21)의 사이의 폭이 넓어져,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실장되는 터미널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하우징몸체
12: 삽입공간 13: 작동공간
15: 장착홈 15': 작동채널
17: 체결슬롯 20: 터미널
21: 안착부 22: 밀착돌기
23: 안착레그 25: 연결부
26: 작동부 27: 누름돌기
28: 걸이돌기 30: 고정클립
40: 잠금부재 41: 몸체부
42: 삽입부 43: 회전돌기
45: 맞물림홈 47: 걸이턱
50: 차폐커버

Claims (11)

  1.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굴곡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타측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터미널의 작동부의 일단을 들어올려 상기 삽입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작동부의 타단이 상기 케이블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부의 양단에는 회전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돌기에 대응되는 작동채널이 상기 작동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후에 상기 작동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그 타단이 상기 안착부를 향해 이동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은 상기 안착부의 타단과 상기 안착부와 마주보는 상기 작동부의 타단 사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그 양단에는 회전돌기가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작동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걸이돌기가 안착되어 잠금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맞물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터미널에 형성된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부 외면에는 지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잠금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에 의해 가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금속재질의 차폐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판상의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슬롯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 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의 레그부의 선단 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고정클립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080091179A 2008-09-17 2008-09-17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100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179A KR101001888B1 (ko) 2008-09-17 2008-09-17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179A KR101001888B1 (ko) 2008-09-17 2008-09-17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167A KR20100032167A (ko) 2010-03-25
KR101001888B1 true KR101001888B1 (ko) 2010-12-17

Family

ID=4218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179A KR101001888B1 (ko) 2008-09-17 2008-09-17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632A (ko) 2022-05-17 2023-11-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059A (ja) 2006-12-18 2008-07-03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059A (ja) 2006-12-18 2008-07-03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167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567B1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4384210B2 (ja) コネクタ
JP6496782B2 (ja) プラグ接続デバイス
EP1780834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type cable
US9876297B2 (en) Connector
US7540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0526404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コネクタ
KR20120008749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3724550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202566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4026765A (ja) コネクタ
JP5049619B2 (ja) プラグ接続アダプタ
JP2019021542A (ja) コネクタ
JP2018085273A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部材、コネクタ及び被接続部材
KR101001888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5720904B2 (ja) 配線端子連結装置
KR200451453Y1 (ko) 터미널
JP4699228B2 (ja) コネクタ
JP2007311122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10157071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200465415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070055205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0652199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5081079B2 (ja) フレキシブル集約配線コネクタ
KR10156104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