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690B1 -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690B1
KR100999690B1 KR1020080066061A KR20080066061A KR100999690B1 KR 100999690 B1 KR100999690 B1 KR 100999690B1 KR 1020080066061 A KR1020080066061 A KR 1020080066061A KR 20080066061 A KR20080066061 A KR 20080066061A KR 100999690 B1 KR100999690 B1 KR 10099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mpanic
outer plate
eardrum
implantable hear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940A (ko
Inventor
박일용
이승하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690B1/ko
Priority to US12/333,263 priority patent/US8211174B2/en
Publication of KR2010000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002/183Ea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sthes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막진동장치 및 이를 고막에 설치하기 위한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달된 자속에 의해 진동되어 그 진동을 고막에 전달하는 것으로,
외이도 쪽 고막에 배치되며, 일측에 이동자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터플레이트;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고막이 위치되도록 중이강 쪽에 배치되며, 일측에 고정자석이 설치된 인너플레이트;
상기 인너플레이트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의 이격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플레이트와 아웃터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를 제공한다.
보청기, 이식, 고막, 추골, 자속, 중이강, 외이도, 자석

Description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Trans-tympanic Vibration Member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Implantable Hearing Aids}
본 발명은 고막진동장치 및 이를 고막에 설치하기 위한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중요한 감각기관 중의 하나인 귀는 감도가 저하되면 잘 들리지 않는 불편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난청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들이 보청기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바, 그 이유는 종래의 보청기가 가지는 성능상의 문제 때문이다.
종래의 보청기는 먼저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 후 증폭 및 신호처리과정을 거쳐 다시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공기 전도형으로서, 대개 4kHz 이하의 제한된 음향 전달특성에 의해 노이즈 환경하에서 어음 인지력이 낮아지고, 보청기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왜곡현상이 수반되어 음질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청각역치가 높은 난청자에게 사용하기 위하여 보청기의 이득을 높일 경우 음향 피드백에 의한 하울링(howling)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이득의 제한 폭이 좁아지 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공기 전도형 보청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식형 보청기의 하나인, 인공중이(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IMEHD)가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 연구 개발되어 왔다.
인공중이는 마이크-앰프-스피커(리시버)-외이도-고막-이소골-내이로 이어지는 공기전도방식이 아니라, 마이크-앰프-진동소자-이소골-내이로 직접적인 진동을 내이로 전달시켜주는 방식으로 우수한 고주파 전달 특성과 하울링 현상 등 기존 보청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보청기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상용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인공중이로는 오스트리아의 Vibrant Medel 사의 Soundbridge가 있다. Soundbridge에 사용되는 진동소자는 코일과 자석이 일체형으로 구성 조립된 FMT (floating mass transducer)이며, 이는 측두골 드릴링을 포함하는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이소골 중 추골 (incus)에 장착되며 음향신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코일에 흘려 직접적인 진동을 일으켜 내이(cochlea)로 음향 신호를 전달한다.
이 방식은 현재 임상 결과를 통해 중등-고도의 감각신경성 난청자에게 효과적인 이식형 보청기로서 알려져 있으나, 수술 방식이 까다롭고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또한, 이소골에 직접 클램핑되는 진동소자로 인해 이소골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또 다른 형태로서 미국의 Soundtec 사에서 제출한 인공중이용 진동소자가 있다. 이는 이소골 연결용 링이 장착된 초소형 자석을 이소골의 추골과 등골 (stapes) 사이에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앞에 설명한 Soundbridge사의 것에 비해 더 어려운 수술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소골에 설치된 자석과 외이도에 설치된 외부 코일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기 때문에 더 많은 전류를 코일에 흘려줘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앞서 언급한 복잡하고 어려운 수술과정을 수반해야 설치 가능한 이식형 보청기용 진동소자외에 수술이 필요 없거나 최소한의 수술만으로 설치가 가능한 진동소자도 있다.
Heide 등은 이소골을 이루고 있는 3개의 뼈 중 추골(malleus)의 손잡이 (manibrium) 부분에 구멍을 내어 나사와 같은 기계적 결합수단을 이용해 외이도 쪽에 위치한 자석을 추골 손잡이 부분과 연결 결합시키는 방식의 진동소자를 제시한다. 물론 이 진동소자 또한 외부 코일에 의해 진동되는 방식이다.
Heide 등의 진동소자는 비록 측두골 드릴링과 같은 수술과정은 없으나, 추골의 손잡이 부분에 1mm 미만의 미세한 구멍을 뚫어 자석 연결부를 설치해야하는 고난이도의 수술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더구나, 추골의 내부에 위치한 신경, 혈액 및 체액이 지나가는 경로의 파괴로 인한 부작용이 예상되는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한편, 미국의 보청기회사인 Resound 사에서 콘텍트 렌즈와 유사한 형태의 고분자막과 자석으로 이루어진 고막 부착형 진동소자를 제시하였다. 자석이 올려진 접시 모양의 고분자막은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혹은 고분자 오일의 도움으로 고막 표면에 부착되며, 외부 코일에 의해 자석이 진동하여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이 방식은 수술이 전혀 필요없어 환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기존 보청기의 제한적 고주파 특성을 없애줄 이식형 보청기의 대안으로 미국의 Stanford 대학 등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기본적으로 고분자막 성형시 시술 대상의 고막면 구배를 미리 고려해야 하며, 주기적으로 부착용 오일을 넣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막이나 추골에 간단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사람마다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이는 고막 구배면과 두께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진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장치가 고막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하는 설치장치를 함께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달된 자속에 의해 진동되어 그 진동을 고막에 전달하는 것으로,
외이도 쪽 고막에 배치되며, 일측에 이동자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터플레이트;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고막이 위치되도록 중이강 쪽에 배치되며, 일측에 고정자석이 설치된 인너플레이트;
상기 인너플레이트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의 이격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플레이트와 아웃터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자석은 자력이 상기 고막을 지나 외이도 쪽까지 미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에는 상기 이동자석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인너플레이트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고정결합되고 다른 하나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막과 접촉되는 상기 인너플레이트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연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추골에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안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추골에 결합되기 위한 클립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자석의 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상기 이동자석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에 설치되면 오므라져 추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체온에 의해 오므라지는 형상기억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막이 중이강 쪽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아웃터플레이트는 소정 구배를 갖는 상기 고막과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연질의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막이 중이강 쪽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아웃터플레이트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스파이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와 인너플레이트 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게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1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달된 자속에 의해 진동되어 그 진동을 고막에 전달하는 것으로,
외이도 쪽 고막에 배치되며, 일측에 이동자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터플레이트;
상기 아웃터플레이트에서 상기 고막을 지나 중이강 쪽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고정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자석과의 인력에 의해 오므라져 추골에 결합되는 클립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도 함께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14항의 고막진동장치를 고막에 설치하거나 고막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귓구멍으로부터 고막까지 도달되는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속으로 삽입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공급에 의해 자력이 생성되는 자력생성부;
상기 자력생성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도 함께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생성부의 중심에는 자기력선을 모아주기 위한 상자성체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 및 이를 고막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 공기전도형 보청기의 음향 전달 방식 대신 고막 직접 진동 방식 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고주파 신호성분의 진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난청자들에게 잡음이 있는 환경에서의 어음 인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노인성 난청의 일반적 형태인 고주파에서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고막의 자연 치유력을 이용한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의 고막 설치형 진동소자 방식에 비해 별도의 접착물질이나 이소골 드릴링 등의 정밀하고 위험한 수술이 전혀 필요치 않으며, 사람마다 다른 고막 두께, 다양한 고막의 구배를 지니고 있더라도 고막의 안쪽과 바깥쪽 면에 밀착 설치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결합력을 보여주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높은 이득의 음향을 직접 고막에 진동을 통해 내이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막진동장치를 사용하면 중,고도 난청자의 어음 인지력이 매우 높아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그 내측에 가요성을 지니는 재질 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지닌 재질로 만들어진 클립을 설치하여 고막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는 고막진동장치를 고막에 설치 및 제거할 때 고막 및 이소골에 큰 물리적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해주며, 정밀한 설치가 가능해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를 갖는 고막진동장치(100,200)와, 이 고막진동장치를 고막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300)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막진동장치(100)는 추골(2)(malleus)의 손잡이(manibrium) 끝 아래의 고막(1)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는바, 상기 고막진동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자속에 의해 진동되어 그 진동을 고막(1)에 직접 전달하는 것으로서, 귀 내부의 외이도(3)에는 전자기파 형태의 자속을 발생시키는 외부코일(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코일(10)은 소리를 소정의 자속으로 변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고막진동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코일(10)에 대한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고 또 본 발명의 구성과 크게 관련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고막진동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2를 참조해 볼 때 본 발명은 크게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및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는 귀의 외이도(3) 쪽 고막(1)에 위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이동자석(1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 는데, 이때 상기 이동자석(14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이동자석(140)의 크기에 상응하는 장착부(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111)의 형태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이동자석(140)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야 하는바, 상기 이동자석(140)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111)도 사각형상을 가지게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자석(140)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111)도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자석(14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설치되거나 아웃터플레이트(110)로부터 제거되는데, 상기 이동자석(140)의 설치 및 제거는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치인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30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는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고막(1)이 위치되도록 귀의 중이강(4) 쪽 고막(1)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고정자석(15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자석(150)은 상술한 이동자석(140)과는 달리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자석으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에 고정자석(15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이동자석(140)이 설치되면 상기 고정자석(150)과 이동자석(140)간에 인력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아웃터플레이트(110)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상기 인너플레이 트(120)와 아웃터플레이트(110) 사이에 있는 고막(1)에 본 발명의 고막진동장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자석(150)은 그 자력이 상기 고막(1)을 지나 외이도(3) 쪽까지 미칠 수 있도록 그 크기와 자력이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는 고막(1)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티타늄과 같은 생체 적합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의 이격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와 고정결합되고 다른 하나에는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바, 도2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의 거리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고막진동장치가 도1에서와 같이 추골 손잡이 아래의 고막(1) 하단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고막진동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고막절개부(1a)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외이도(3)측에서 고막진동장치(100)가 설치된 고막(1)을 바라본 도면이며, (c)는 중이강(4)측에서 고막진동장치(100)가 설치된 고막(1)을 바라본 도면이다.
고막진동장치(100)를 추골(2) 손잡이 하부의 고막(1)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a)와 같이 고막(1)을 소정길이로 절개한 후 상기 인너플레이트(120)를 절개한 고막(1) 속으로 삽입하여 고막(1)을 사이에 두고 중이강(4) 쪽으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가 위치되도록 하며 외이도(3) 쪽에는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된 아웃터플레이트(11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시간이 흐르면 상기 고막(1)의 절개부(1a)가 다시 재생되면서 상기 연결부재(130)가 삽입된 부분만을 남겨 놓고 접합되는데, 이때의 단면 형상은 도4와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보면, 고막(1)을 사이에 두고 외이도(3) 쪽에는 아웃터플레이트(110)가 배치되며 중이강(4) 쪽에는 인너플레이트(120)가 배치되며, 그 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가 상기 고막(1)을 관통하여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간의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상에는 이미 고정자석(15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자석(140)이 후술하게 될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300)를 통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로 진입되어 설치되면 상기 고정자석(150)과 이동자석(140) 간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가 상기 고막(1)에 안정적으로 밀착된다.
한편,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상기 인너플레이트(120)가 고막(1)과 밀착될 때 고막(1)에 가해지는 힘 때문에 통증을 느낄 수 있는바, 상기 고막(1)과 접 촉되는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의 내측면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질부(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부(160)는 고막(1)의 통증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가 고막(1)과 보다 높은 밀착력을 갖도록 해 주는바, 상기 연질부(160)는 유연성이 큰 실리콘 또는 점성이 높은 미네랄 오일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막진동장치(100)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막(1)과 추골(2)(malleus)의 손잡이(manibrium)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여 설치될 수도 있는바, 도7은 고막진동장치가 추골(2) 손잡이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10은 고막진동장치가 추골(2) 손잡이 전체를 포함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15는 고막절개부(1a)를 최소화하면서 클립수단을 통해 추골(2) 손잡이에 결합된 고막진동장치(200)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로, 도7, 도10, 도15 모두 공통으로 (a)는 고막진동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고막절개부(1a)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외이도(3)측에서 고막진동장치가 설치된 고막(1)을 바라본 도면이며, (c)는 중이강(4)측에서 고막진동장치가 설치된 고막(1)을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도7에 대한 단면 형상은 도8 또는 도9와 같은데, 도8에서 보면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사이에 고막(1)과 추골(2) 손잡이가 있고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이동자석(140)이 설치되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 너플레이트(120)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그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는 고막(1)과 추골(2) 손잡이에 밀착된다.
여기서, 도8에 도시된 고막진동장치는 기본적으로 도4에 도시된 것과 거의 유사하지만,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사이에 고막(1)뿐만 아니라 추골(2) 손잡이가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가 상기 고막(1)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는 상기 고막(1) 쪽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추골(2) 손잡이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는 추골(2)에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안착부(1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접촉하게 되는 추골(2) 손잡이의 면은 곡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추골(2) 손잡이와 접촉되는 안착부(121)의 접촉 부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추골(2) 손잡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가 상기 고막(1) 및 추골(2) 손잡이와 밀착될 때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상기 고막(1) 및 추골(2) 손잡이와 접촉되는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의 모든 접촉면에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연질부(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10에서와 같이 고막진동장치가 추골(2) 손잡이 전체를 포함하도록 설치된 상태에 대한 단면 형상은 도11과 같은데, 도11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고막진동장치는 도8의 장치와 거의 유사하지만, 추골(2) 손잡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 추골(2)에 결합되기 위한 클립부(17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부(170)는 추골(2) 손잡이에 결합될 수만 있으면 그 형상에는 크게 제한이 없으며, 추골(2) 손잡이와 직접 접촉되는 부위이므로 탄성 변형력이 우수한 생체 적합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립부(170)는 추골(2) 손잡이의 지름을 고려하여 (a)와 같이 충분히 벌어져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클립부(170)가 벌어질 수 있는 것은 상기 고정자석(150)의 자력 때문인 것으로, 상기 이동자석(140)이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설치되기 전에는 탄력적으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b)와 같이 상기 이동자석(140)이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면 상기 이동자석(140)의 자력과 고정자석(150)의 자력이 서로 상쇄되는바 상기 클립부(170)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추골(2) 손잡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클립부(170)는 자력과 자체 복원력에 의해 벌어지고 오므라지는 작용을 반복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클립부(170)가 열에 의해 오므라지는 형상기억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클립부(170)가 형상기억부재로 이루어지면 상기 추골(2) 손잡이에 클립부(170)가 접촉될 때 추골(2) 손잡이에서 전달되는 체온에 의해 상기 클립부(170) 가 (b)와 같이 오므라져 추골(2) 손잡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0)가 2개로 마련된 경우에는 180도의 위상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130)가 1개로 마련된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2개 이상일 때보다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상기 클립부(170)가 추골(2) 손잡이를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고 특히 연결부재(130)가 하나이기 때문에 2개 이상일 때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고막(1)의 두께나 구배는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른바, 고막진동장치가 도10과 같은 위치에 설치될 경우, 고막(1)은 평평하지 못하고 소정의 구배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구배면을 갖는 고막(1)이 중이강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는 소정 구배를 갖는 상기 고막(1)과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연질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서 소정 구배를 갖는 고막(1)과 접촉되는 부위가 연질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면 탄성 변형력이 우수해져 소정 구배를 갖는 고막(1)의 형태대로 아웃터플레이트(110)가 변형되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고막진동장치가 사람마다 서로 다른 구배면을 갖는 고막(1)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구배면을 갖는 고막(1)이 중이강(4)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다양한 형태의 스파이럴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가 도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스파이럴부로 이루어지면 내측으로 곡선형태의 변형이 자유로워 소정 구배를 갖는 고막(1)면에 아웃터플레이트(110)가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15는 고막절개부(1a)를 최소화하면서 클립수단을 통해 추골(2) 손잡이에 결합된 고막진동장치(200)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로, 이에 대한 단면 형상은 도16과 같다.
도1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실시예(200)는 아웃터플레이트(210)와, 연장부(220)와, 클립수단(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이도(3) 쪽 고막(1)에 배치되며, 일측에 이동자석(1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아웃터플레이트(210)에서 상기 고막(1)을 지나 중이강(4)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데, 상기 연장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수단(230)은 소정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연장부(220)에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그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고정자석(150)이 설치되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210)에 설치되는 이동자석(140)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클립수단(230)이 오므라져 상기 추골(2) 손잡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아웃터플레이트(210)에서 상기 이동자석(140)이 제거되면 상기 클립수단(230)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벌어지게 되는바, 상기 클립수단(230)이 벌어지게 되면 고막진동장치(200)를 고막(1)과 추골(2) 손잡이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고막진동장치(100,200)를 사람의 고막(1)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별도의 설치장치(300)가 필요한바, 본 발명에 따른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300)는 상술한 고막진동장치(100,200)를 고막(1)에 설치하거나 고막(1)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가이드부재(310)와 이동부재(320)와 자력생성부(330)와 전원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사람의 귓구멍에 삽입이 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귓구멍으로부터 고막(1)까지 도달되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속이 빈 중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내경은 고막진동장치(100)의 아웃터플레이트(110) 상에 형성된 장착부(11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320)는 상기 가이드부재(310)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재(310)를 따라 고막(1) 쪽으로 진입되며, 상기 이동부재(320)의 선단에는 상기 자력생성부(330)가 설치된다.
상기 자력생성부(330)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화됨에 따라 자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자력을 생성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력생성부(330)가 자화코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된다.
즉, 상기 자력생성부(33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이 되는바, 상기 자력생성부(330)에 앞에서 설명한 이동자석(140)을 붙여 상기 이동자석(140)이 고막진동장치의 아웃터플레이트(110) 상에 형성된 장착부(1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진입시키고, 상기 이동자석(140)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면 상기 자력생성부(330)에 공급되던 전원을 끊어 상기 이동자석(140)이 자력생성부(330)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동자석(140)이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자석(140)을 아웃터플레이트(110)로부터 제거할 때는 똑같은 방법으로 상기 자력생성부(330)를 상기 이동자석(140) 근처까지 진입시키고, 진입이 완료되면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이동자석(140)이 자력생성부(330)에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생성부(330)의 중심에는 자력생성이 배가되도록 자기력선을 모아주기 위한 페라이트코어와 같은 상자성체(331)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리고, 상기 자력생성부(33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자력생성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340)가 마련된다.
상기 전원부(340)에는 전원을 용이하게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3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고막에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
도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고막진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장치가 도1에서와 같이 추골 손잡이 아래의 고막 하단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참고도,
도4는 도3에 대한 단면도,
도5는 도4의 장치에 연질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장치가 고막과 추골(malleus)의 손잡이(manibrium)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7은 본 발명의 장치가 추골 손잡이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8 및 도9는 도7에 대한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장치가 추골 손잡이 전체를 포함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11은 도10에 대한 단면도,
도12는 연결부재가 1개인 경우를 나타낸 참조도,
도13 및 도14는 다양한 구배면을 갖는 고막에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15는 고막절개부를 최소화하면서 클립수단을 통해 추골 손잡이에 결합된 고막진동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16은 도15에 대한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본 발명에 따른 고막진동장치
110, 210 : 아웃터플레이트 120 : 인너플레이트
130 : 연결부재 140 : 이동자석
150 : 고정자석 160 : 연질부
170 : 클립부 220 : 연장부
230 : 클립수단
300 :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 310 : 가이드부재
320 : 이동부재 330 : 자력생성부
331 : 상자성체 340 : 전원부

Claims (16)

  1. 외부로부터 전달된 자속에 의해 진동되어 그 진동을 고막(1)에 전달하는 것으로,
    일측에 이동자석(1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터플레이트(110);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고막(1)이 위치되며, 일측에 고정자석(150)이 설치된 인너플레이트(120);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의 이격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아웃터플레이트(1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석(150)은 자력이 상기 고막(1)을 지나 외이도(3) 쪽까지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이동자석(140)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부(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에 고정결합되고 다른 하나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막(1)과 접촉되는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와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의 내측면에는 연질부(1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는 추골(2)에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안착부(1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는 추골(2)에 결합되기 위한 클립부(1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170)는 상기 고정자석(150)의 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상기 이동자석(140)이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면 오므라져 추골(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170)는 체온에 의해 오므라지는 형상기억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막(1)이 중이강(4) 쪽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는 소정 구배를 갖는 상기 고막(1)과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연질의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막(1)이 중이강(4) 쪽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스파이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아웃터플레이트(110)와 인너플레이트(120)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게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1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14. 외부로부터 전달된 자속에 의해 진동되어 그 진동을 고막(1)에 전달하는 것으로,
    일측에 이동자석(1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터플레이트(210);
    상기 아웃터플레이트(210)에서 상기 고막(1)을 지나 중이강(4) 쪽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220);
    상기 연장부(220)에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고정자석(150)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자석(140)과의 인력에 의해 오므라져 추골(2)에 결합되는 클립수단(2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의 고막진동장치를 고막(1)에 설치하거나 고막(1)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귓구멍으로부터 고막(1)까지 도달되는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가이드부재(310);
    상기 가이드부재(310) 속으로 삽입되는 이동부재(320);
    상기 이동부재(320)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공급에 의해 자력이 생성되는 자력생성부(330);
    상기 자력생성부(33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3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생성부(330)의 중심에는 자기력선을 모아주기 위한 상자성체(331)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진동장치용 설치장치.
KR1020080066061A 2008-07-08 2008-07-08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설치장치 KR10099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061A KR100999690B1 (ko) 2008-07-08 2008-07-08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설치장치
US12/333,263 US8211174B2 (en) 2008-07-08 2008-12-11 Transtympanic vibration device for implantable hearing ai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061A KR100999690B1 (ko) 2008-07-08 2008-07-08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40A KR20100005940A (ko) 2010-01-18
KR100999690B1 true KR100999690B1 (ko) 2010-12-08

Family

ID=4150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061A KR100999690B1 (ko) 2008-07-08 2008-07-08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설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11174B2 (ko)
KR (1) KR1009996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85A1 (ko) * 2013-02-20 2014-08-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치가 용이한 이식형 보청기용 마이크로폰
WO2022098473A1 (en) * 2020-11-04 2022-05-12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US11368797B2 (en) 2018-10-08 2022-06-21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US11504533B2 (en) 2018-10-08 2022-11-22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901696A0 (en) 2003-04-09 2003-05-01 Cochlear Limited Implant magnet system
SE531177C2 (sv) 2007-05-24 2009-01-13 Cochlear Ltd Distans för implantat
WO2016012863A2 (en) 2014-07-23 2016-01-28 Cochlear Limited Shielding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coil
US10091594B2 (en) 2014-07-29 2018-10-02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magnetic retention system
US10341789B2 (en) 2014-10-20 2019-07-02 Cochlear Limited Implantable auditory prosthesis with floating mass transducer
TWI577193B (zh) * 2015-03-19 2017-04-01 陳光超 耳膜助聽器
US10130807B2 (en) 2015-06-12 2018-11-20 Cochlear Limited Magnet management MRI compatibility
US20160381473A1 (en) 2015-06-26 2016-12-29 Johan Gustafsson Magnetic retention device
US10917730B2 (en) 2015-09-14 2021-02-09 Cochlear Limited Retention magnet system for medical device
US10576276B2 (en) 2016-04-29 2020-03-03 Cochlear Limited Implanted magnet management in the face of external magnetic fields
CN106792406B (zh) * 2016-11-30 2019-06-18 中国矿业大学 激励圆窗膜的流体耦合作动器
US11595768B2 (en) 2016-12-02 2023-02-28 Cochlear Limited Retention force increasing components
JP7389143B2 (ja) 2019-06-06 2023-11-29 ナノイヤ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ク. 補聴器インプラント再充電システム
KR102170372B1 (ko) 2019-08-13 2020-10-27 주식회사 세이포드 외이도 내 인체 조직에 음향 전달을 위한 사운드 앵커 및 이를 구비한 반이식형 보청기
KR20240046928A (ko) * 2022-10-04 2024-04-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이식형 마이크로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0178A (en) * 1986-03-07 1989-06-20 Richards Metal Company Magnet for installation in the middle ear
US4817607A (en) * 1986-03-07 1989-04-04 Richards Medical Company Magnetic ossicular replacement prosthesis
US4936305A (en) * 1988-07-20 1990-06-26 Richards Medical Company Shielded magnetic assembly for use with a hearing aid
US4957478A (en) * 1988-10-17 1990-09-18 Maniglia Anthony J Partially implantable hearing aid device
US5220918A (en) * 1988-11-16 1993-06-22 Smith & Nephew Richards, Inc. Trans-tympanic connector for magnetic induction hearing aid
US5897486A (en) * 1993-07-01 1999-04-27 Symphonix Devices, Inc. Dual coil floating mass transducers
US5624376A (en) * 1993-07-01 1997-04-29 Symphonix Devices, Inc. Implantable and external hearing systems having a floating mass transducer
US6171229B1 (en) * 1996-08-07 2001-01-09 St. Croix Medical, Inc. Ossicular transducer attachment for an implantable hearing device
US6387039B1 (en) * 2000-02-04 2002-05-14 Ron L. Moses Implantable hearing aid
AUPR250401A0 (en) * 2001-01-12 2001-02-08 Cochlear Limited General purpose accessory for a cochlear implant
US7120501B2 (en) * 2001-01-23 2006-10-10 Microphonics, Inc. Transcanal cochlear implant system
US6671559B2 (en) * 2001-01-23 2003-12-30 Microphonics, Inc. Transcanal, transtympanic cochlear implant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of deafness and tinnitus
GB0500616D0 (en) * 2005-01-13 2005-02-23 Univ Dundee Hearing implant
SE528279C2 (sv) * 2005-02-21 2006-10-10 Entific Medical Systems Ab Vibrator för benledande hörapparat
FR2930713A1 (fr) * 2008-05-05 2009-11-06 Pierre Lavoisier Dispositif et procede de mesures des signaux physiologiques vaginaux et peri vaginaux et en particulier du debit sanguin et des muscles peri vaginaux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85A1 (ko) * 2013-02-20 2014-08-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치가 용이한 이식형 보청기용 마이크로폰
US11368797B2 (en) 2018-10-08 2022-06-21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US11504533B2 (en) 2018-10-08 2022-11-22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US11570555B2 (en) 2018-10-08 2023-01-31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US11571571B2 (en) 2018-10-08 2023-02-07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US11770660B2 (en) 2018-10-08 2023-09-26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WO2022098473A1 (en) * 2020-11-04 2022-05-12 Nanoear Corporation, Inc. Compact hearing a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11174B2 (en) 2012-07-03
US20100010628A1 (en) 2010-01-14
KR20100005940A (ko) 201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690B1 (ko) 이식형 보청기용 고막진동장치 및 그 고막진동장치용설치장치
US6940989B1 (en) Direct tympanic drive via a floating filament assembly
US10129660B2 (en) Implantable middle ear transducer having improved frequency response
US5456654A (en) Implantable magnetic hearing aid transducer
KR100282067B1 (ko) 중이 이식형 보청기의 트랜스듀서
KR100859979B1 (ko)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US5836863A (en) Hearing aid transducer support
US5842967A (en) Contactless transducer stimulation and sensing of ossicular chain
DK2342905T3 (en) BALANCED Luminaire Fittings and Methods of Hearing
KR20090076484A (ko) 고막 관통형 진동소자 및 이를 이용한 이식형 보청기
EP3304934B1 (en) Hearing aid
JP4916599B1 (ja) キヌタ骨置換の部分的な耳小骨置換のプロテーゼ
US7226406B2 (en) At least partially implantable hearing system
JP2008508039A (ja) 電磁ヒアリングデバイスのための改善された送信機および変換機
JP2009526612A (ja) 聴覚を改善するための骨伝導装置
EP3856329B1 (en) Passive hearing implant
KR101223698B1 (ko)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ES2353193T3 (es) Sistemas de audiciã“n implantables y externos que tienen un transductor de masa flotante.
AU2006201582A1 (en) At least partially implantable hearing system
HAMANISHI et al. Development of a non-implantable electromagnetic hear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