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461B1 - Shoes - Google Patents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461B1
KR100999461B1 KR1020100053917A KR20100053917A KR100999461B1 KR 100999461 B1 KR100999461 B1 KR 100999461B1 KR 1020100053917 A KR1020100053917 A KR 1020100053917A KR 20100053917 A KR20100053917 A KR 20100053917A KR 100999461 B1 KR100999461 B1 KR 10099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midsole
blocking
acupressur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만
Original Assignee
최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만 filed Critical 최종만
Priority to KR102010005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4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Footwear is provided, which enables infants to comfortably put on or take off footwear and has a drawing unit for automatically overturning a blocking unit. CONSTITUTION: Footwear comprises: a board(10) in which the plantar is placed; uppers of leather(20) which are formed in the outside of the board and protect the inserted foot; an opened part(30)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s of leather; a blocking unit(40) which blocks the opened space; a lid part(50)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and combined with the uppers of leath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ened part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mbined with the uppers of leath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ned part; and a drawing member(60) in which one end is combined with the blocking unit and the other end is combined with the lid part.

Description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SHOES}Shoes that promote ease of use {SHOES}

본 발명은 신발 특히 신고 벗기가 편해야 하는 유아들을 겨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밑판과, 밑판의 외곽에서 연결형성되어 발등을 덮게 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전방에 발의 삽입과 인출시 편의를 위해 트여진 공간을 형성하는 트임부와, 상기 트임부로 인해 형성된 개방된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부와, 이러한 차단부를 덮게 되는 형태로 발이 삽입된 후 트여진 트임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막아주게 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신발에 있어 덮개부를 외측으로 젖힐 때 차단부가 함께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어 발의 삽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별도로 차단부를 잡고서 이를 외측으로 젖히는 작업이 필요 없게 설계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imed at children, especially shoes that should be comfortable to wear off, the bottom plate, the upper formed by connecting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late to cover the instep, and the opening of the foot in front of the upper and the opening for withdrawal Conventional shoes consisting of a trimming part forming a space, a blocking part blocking an open space formed by the trimming part, and a cover part preventing the opened part from being opened after the foot is insert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blocking part. When the cover part is folded outwardly, the blocking part is flipped outward so that the foot can be easily inserted. The shoe is designed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use without the need for the user to separately hold the blocking part and flip it outward. will be.

신발은 보행시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외부로부터 보행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Shoes are designed to mitigate the impact of walking and protect pedestrians' feet from the outside.

통상적인 구조가 발바닥이 안치되는 밑판과 밑판에 연결형성되어 발등을 덮는 갑피로 이루어지되, 신축성이 없는 갑피만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신고 벗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종류에 따라서는 Ordinary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to cover the sole of the foot, but if it is made of only the upper without elasticity, it is inconvenient to wear off depending on the type

상기 갑피 전방에 트임부를 준 상태에서 상기 트임부로 인해 개방된 공간을 신축성 있는 재질로 연결시켜 완성되는 신발, Shoe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space opened by the trim in a state of giving the trim in front of the upper with a flexible material,

상기 갑피 전방에 트임부를 주고 상기 트임부로 인해 개방된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부를 별도 갑피로부터 연결형성한 후 투임부로 인해 갑피가 벌어지는 것을 끈을 서로 연결하여 막아주면서 완성되는 신발,The shoe i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straps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upper part by forming a connection to separate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to prevent the open space due to the trimming part, and then connecting the straps to each other,

아니면 두 번째 형태의 신발에서 일단이 트임부 일측과 이어지는 갑피에 고정되고 타단은 트임부 타측과 이어지는 갑피에서 착탈식으로 결합하게 되어 트임부로 인해 갑피가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형태의 신발과 같이 크게 세 가지 형태의 신발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Or in the second type of shoes,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part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mbined at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part of the trim part so that the upper part is prevented from opening due to the trim part. I can think of your shoes,

첫 번째 형태의 신발은 단화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신발의 형태이고.The first type of shoe is the type of shoe that is commonly applied to shoes.

두 번째와 세 번째 형태의 신발은 운동화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신발의 형태이다.
The second and third types of shoes are the types of shoes commonly applied to sneakers.

이때 두 번째의 방식으로 유아용 신발을 제작하게 되면 트임부로 인해 서로 벌어지는 갑피 부분을 막아주기 위해 구비된 끈으로 인하여 유아들은 신발을 신고 벗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 있어,In this case, when the infant shoes are manufactured in the second manner, the infants are inconvenient to take off their shoes due to the straps provided to prevent the upper parts of each other from opening due to the trimming part.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유아용 신발의 형태는 세 번째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세 번째의 형태가 유아들이 신고 벗기가 편리한 가장 무난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The baby shoes that are commonly employed is made in the third form. In other words, the third form is the simplest form that infants can wear off easily.

그러나 세 번째 형태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도 신발을 신을 때 어린이들 또는 부모들은 우선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갑피와 결합되어 있는 차단부를 갑피로부터 때 내어 외측으로 젖히고, However, even in the third type of shoes, when the shoes are worn, the children or their parents first lift the block, which is detachably associated with the upper, from the upper and flip outwards,

그리고 발이 삽입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트임부로 인해 생긴 공간을 막아주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차단부 역시 외측으로 젖혀야만 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And in order to provide enough space for the foot to be inserted, the blocking portion provided to prevent the space created by the trimming part also has to be flipped outward.

이후 차단부가 젖혀짐으로써 형성된 공간을 통해 어린이들은 발을 삽입시키고 발이 삽입된 후 어린이들 또는 신발을 신겨주는 부모들은 젖혀진 차단부를 반대 방향으로 즉 내측으로 원위치시키고 분리되었던 덮개부 역시 갑피에 고정시켜줌으로써 최종적으로 신발 신는 작업이 완성되게 된다,
Then, the child inserts the foot through the space formed by flipping the block, and after the foot is inserted, the children or the parents who put on the shoes place the flipped block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inward, and the detached cover is also fixed to the upper. To finally get the shoes done,

이는 끈으로 이루어진 운동화보다는 신고 벗기가 편한 구조이지만, 역시 어린이들 또는 부모들이 차단부를 매번 젖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고, This is a structure that is more comfortable to wear off than a sneaker made of laces, but it is also inconvenient for children or parents to flip off the block every time.

특히 소근육이 성인들처럼 발달하지 못한 어린이들에 있어서는 간단해 보이는 차단부를 외측으로 젖히고 다시 내측으로 원위치시키는 작업이 어렵게 느껴져 어린이들 특히 유아들이 이와 같은 운동화를 신고 벗기에는 많이 불편해 한다는 한계가 있다.
Particularly in children who do not develop small muscles, such as adults, it is difficult to flip the block that looks simple and return to the inside, so children, especially infants, are inconvenient to wear and take off such sneake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재 유통되는 유아신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들이 보다 편하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우선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ly distributed infant shoe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hoe that infants can wear off more comfortably.

이에 본 발명의 신발에는 덮개부가 젖혀지면서 차단부가 함께 자동적으로 젖혀질 수 있는 견인수단을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having a traction means that can be automatically folded together with the blocking part while the cover part is flipped.

또한 본 발명의 신발에 구비된 견인수단이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즉 덮개부의 갑피에 대한 탈착작용시 견인수단의 안정된 이동을 보장해주는 구조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having a structure that is stably installed in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o ensure a stable movement of the towing means in the detachable action to the upper of the cover portion.

또한 견인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는 차단부가 보다 수월하고 원만한 형태로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lipped outward in a more easy and smooth form by the traction means automatically turned outward.

이와 더불어 성장이 필요한 유아들용 신발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발바닥이 안치되는 밑판에는 지압수단을 더 구비하되, 지압수단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성장기 어린이들의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is a shoe for infants that needs to grow, the sole plate is provided with acupressure means on the bottom plate, but it solves the problem of breaking the acupressure means and provides shoes that can effectively stimulate the growth plate of growing children. It is intended to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은,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발바닥이 안치되는 밑판과, 상기 밑판에 연결형성되어 발등을 덮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전방에 형성된 트임부와, 상기 갑피와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트임부에 의한 개방된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부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트임부의 일측과 이어지는 갑피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트임부의 타측과 이어지는 갑피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되,A bottom plate on which the sole is placed, an upper tha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to cover the instep, a trim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and a block that prevents the open space by the trim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And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connected to the trim, the other end is made of a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rim,

일단은 차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덮개부에 결합된 견인수단이 더 구비되어상기 덮개부의 타단을 갑피로부터 분리시켜 외측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견인수단에 의해 차단부가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One end is further coupled to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ction means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to the outside to be flipped out by the traction means do.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갑피에는 견인수단이 관통되는 것으로 덮개부의 갑피에 대한 탈착작용에 따른 견인수단의 안정된 이동을 위한 걸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tion mean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for the stable movement of the traction means according to the detachable action to the upper of the cov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단부의 원만한 젖혀짐을 위하여 차단부가 젖혀지는 부위에 박음질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wn on the site where the blocking portion is folded for smoothness of the blocking portion.

더불어 본 발명의 신발 밑판에는 발바닥에 대한 지압수단이 더 구비되되, In addition, the shoe sol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cupressure means for the sole of the foot,

상기 지압수단은 반구형의 지압헤드부와, 상기 지압헤드부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The acupressure means comprises a hemispherical acupressure head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under the acupressure head portion,

상기 걸림부는 밑판에 대한 지압수단의 분리 방지를 위하여 밑판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lock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injected into the bottom plate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acupressure means against the bottom plate.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을 신기 위해 덮개부를 외측으로 젖히는 작업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단부가 함께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어 별도로 사용자가 차단부를 잡고 이를 외측으로 젖혀야만 그리고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위해 계속 잡고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없어졌기에 신고 벗기가 기존 운동화에 비해 상당히 편리해졌다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by the operation of flipping the cover portion to the outside to wear shoes automatically cut off the outer part together so that the user has to hold the block separately and flip it outwards and keep the flipped st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hold on for the sake has been eliminated, so wearing off is much more convenient than conventional sneakers.

뿐만 아니라 신발의 밑판에는 지압수단을 구비하여 성정기 어린이의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기능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구비된 지압수단이 기존 신발에 구비된 지압수단에 비해 쉽게 파손되지 않아 신발의 상품성을 보다 증진시켰다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sole plate of the shoe is provided with acupressure means to impart functionality to stimulate the growth plate of the adult child, and the provided acupressure means are not easily damaged as compared to the acupressure means provided in the existing shoes,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ability of the shoes. Has the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외관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덮개부가 젖혀지는 정도에 따라 본 발명의 견인수단 및 이와 연결된 차단부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밑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중요 부분에 대한 부분적 단면도와 부분확대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state of the towing means and the block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cover portion is flipp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igh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important part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구체적인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유아들이 혼자서도 신고 벗기 편리하도록 견인수단(60)이 마련된 것으로,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provided with a towing means 60 so that infants can easily wear off alone.

그 외의 구성인 밑판(10), 갑피(20), 트임부(30), 차단부(40) 그리고 덮개부(50)의 구성은 통상의 신발에서 구비되는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bottom plate 10, upper 20, the trimming portion 30, the blocking portion 40 and the cover portion 50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figuration provided in ordinary shoes.

즉 본 발명의 신발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That is,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 to 3,

발바닥이 안치되는 밑판(10)과, 상기 밑판의 외곽에서 연결형성되어 삽입된 발을 보호하게 되는 갑피(20)와, 상기 갑피의 전방에 형성된 트임부(30)와, 상기 갑피와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트임부에 의한 개방된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부(40)와, 일단은 상기 트임부의 일측과 이어지는 갑피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트임부의 타측과 이어지는 갑피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50)로 이루어지면서,The sole plate 10 is placed on the sole, the upper 20 to protect the inserted foot formed by connecting the outer side of the base plate, the trimming portion 30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and the upper The blocking part 40 which prevents the open space by the trimming part, and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and the upper connecting to one side of the trimm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the subsequent connecting to the trimming part 50 Consisting of)

일단은 차단부(40)에 결합되고 타단은 덮개부(50)에 결합된 견인수단(60)이 더 구비된다.One end is further coupled to the blocking portion 40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wing means (60)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50).

참고로 상기 언급된 트임부(30)의 구성은 도 3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For refer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rimming part 30 mentioned above can be confirmed in FIG. 3.

상기 견인수단(60)은 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보다 참조하게 되면, 갑피(2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던 덮개부(50)를 갑피로부터 분리시켜 외측으로 젖히게 되면 차단부(40)가 견인수단에 견인되면서 함께 외측으로 자동적으로 젖혀치게 된다.The traction means 60 is formed in a string form. When referring to FIGS. 2 and 3, when the cover part 5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20, is detached from the upper and is flipped outward. The blocking part 40 is automatically pulled outward while being towed by the towing means.

여기서 언급된 외측과 관련하여, 갑피를 중심으로 발이 삽입되는 공간을 내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외측으로 칭한다.With respect to the outside mentioned here, the space in which the foot is inserted about the upper is called the in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called the outside.

또한 발이 삽입되어 발과 접하게 되는 면을 내면으로, 그리고 그 반대측을 외면으로 칭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a surface into which the foot is inserted and in contact with the foot as an inner surface and an opposite side as an outer surface.

따라서 사용자 특히 유아들은 이와 같이 구비된 견인수단(60)에 의해 별도의 차단부(40)를 젖히는 작업 없이 덮개부(50)만 외측으로 젖히는 작업으로 수월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in particular, the infant can easily wear shoes by the operation of flipping the cover portion 50 to the outside without the work of wetting the separate blocking unit 40 by the traction means 60 provided in this way.

나아가 본 발명의 경우 갑피 상면 즉,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트임부(30)가 형성된 아래쪽의 갑피 부분에는 걸이부(70)가 더 구비되는데,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rface,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lower upper part in which the trimming part 30 is formed, further includes a hook part 70.

일단이 차단부(40)의 중심부에 고정된 견인수단(60)은 상기 걸이부(70)를 관통한 후 덮개부(50)에 고정된다.Traction means 60,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blocking portion 40 is penetrated through the hook portion 70 is fixed to the cover 50.

상기 걸이부(70)는 The hook portion 70

갑피에 고정되는 지지부(71)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결형성되어 원형과 같이 상기 견인수단이 관통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7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It consists of a support portion 71 fixed to the upper, and the ring 72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to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towing means can pass, such as circular,

상기 고리에 견인수단이 관통되면서 고리 상단에서 견인수단이 지지됨에 따라 덮개부의 움직임과 연동된 견인수단의 안정된 이동을 보장하게 된다.
As the towing means is penetrated through the ring, the towing means is supported at the top of the ring, thereby ensuring a stable movement of the tow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cover part.

또한 상기 덮개부에 대한 견인수단(60)의 고정과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에서는 덮개부의 외면에서 견인수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덮개부의 내면에서 견인수단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fixing of the towing means 60 to the cover portion, although the towing means is shown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towing mea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그러나 내면에서 고정되는 것보다 덮개부의 외면에서 견인수단을 고정시키게 되면 덮개부를 외측으로 젖힐 때 견인수단이 보다 많이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단부의 젖혀짐 역시 크게 되므로 However, if the towing means is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rather than being fixed on the inner side, the towing means moves more when the cover is folded outwards, thereby causing the break of the cutout to be larger.

내면에 견인수단을 고정하는 것보다는 외면에 견인수단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It would be desirable to fix the towing means on the outer surface rather than fixing the towing means on the inner surface.

다음으로 갑피(20)에 대한 덮개부(50)의 탈착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유아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이라는 측면을 고려하면 벨크로 테입(51, 21)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Next, the detachment of the cover 50 to the upper 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ut in view of the convenience of use for infants, it would be preferable to use Velcro tapes 51 and 21.

따라서 갑피와 탈착이 이루어지는 덮개부의 내면에는 벨크로 테입(51)을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갑피의 외면에도 벨크로 테입(21)을 구비하여 유아들이 혼자서도 쉽게 갑피(20)로부터 덮개부(5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is detachable with the Velcro tape 51 is provid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upper Velcro tape 21 is also provided for infants to detach the cover portion 50 from the upper 20 easily. I could do it.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견인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젖혀지는 차단부의 구성과 관련하여 이러한 차단부가 보다 수월하게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였는데,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portion is automatically flipped by the traction means has been devised a way to make it easier to flip out the blocking por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부가 젖혀지는 부위에 박음질(41) 처리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sewn (41) treatment on the site where the blocking portion is folded.

즉, 상기 차단부는 통상적으로 갑피와 일체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인데 In other words, the blocking unit is usually made of an integral with the upper

차단부(40)의 꺽임 즉 젖혀짐은 갑피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다보니 천 재질이지만 빳빳한 감이 있어 쉽게 젖혀지지 않거나 젖혀지더라도 젖혀진 부위가 울퉁불퉁하게 되는 등 젖혀짐 작용에 있어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 bending part of the cutout part 4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so it is made of a cloth material, but there is a hard feeling, so even if it is not easily bent or curled, the part that is bent is not easily bent. Will no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가 견인수단에 의해 수월하게 젖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차단부가 젖혀지는 부위에 박음질(41) 처리를 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blocking portion to be easily flipped by the traction means, the sewn 41 is tre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blocking portion is folded.

이러한 박음질 처리는 차단부가 젖혀지게 되는 위치를 제공하게 되어 덮개부의 젖혀짐으로 인해 견인수단이 움직이고 이로 인한 차단부가 젖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박음질 처리가 된 선을 중심으로 차단부가 쉽게 꺽이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This stitching process provides a position where the blocking part is flipped so that the traction means moves due to the cover part being flipped, and thus, the blocking part is easily bent around the sewn line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blocking part. It becomes possible.

또한 박음질 처리가 이루어진 선을 중심으로 차단부의 상부 방향으로 차단부 내면에 별도의 천(40a)을 덧댈 수 있다 할 것인데, In addition, a separate cloth 40a may be ad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locking portion centered on the sewn line.

차단부의 상부에 천(40a)을 덧대는 경우 박음질 처리 선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어 차단부의 젖혀짐 작용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cloth 40a is pad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locking part, the thickness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changed around the stitching lin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flip the block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의 경우 차단부가 젖혀진 상태에서 발 삽입 공간을 보다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발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벌어진 트임부(30)를 자동적으로 좁혀지도록 하기 위한 조임수단(80)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ightening means (80) for automatically narrowing the gap opening 30 after the foot insertion is completed while ensuring more sufficient foot insertion space in the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ortion is folded down. .

즉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임부에 의해 거리가 떨어져있는 갑피의 양단을 신축성 있는 조임수단(80)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That is, referring to Figures 2 and 4, both ends of the upper spaced apart by the trimming part is connected to the elastic tightening means 80,

이와 같이 조임수단을 더 구비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트임부에 의해 벌어지는 폭(D1)이 좁혀진 상태로 있다가,When the tighten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D1 of the trimming part is narrowed as usual in FIG.

덮개부와 차단부가 젖혀지고 발이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신축성 있는 조임수단이 늘어지게 되어 트임부에 의해 벌어지는 폭(D2)이 도 4에서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In the process of flipping the cover portion and the blocking portion and inserting the foot, the elastic tightening means is stretched so that the width D2 caused by the trimming portion is opened as shown in FIG. 4.

그리고 이후 발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신축성 있는 조임수단에 의해 트임부의 폭이 도 2에서와 같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After the foot insertion is completed, the width of the trim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2 by the elastic tightening means.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하는 과정에서 성장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밑판(10)에는 지압수단(90)이 더 구비된다.Next, as shown in Figure 5, the bottom pl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cupressure means 90 is further provided to give a growth plate stimulation in the process of walking.

통상적으로 밑판은 보행시 바닥면과 접하는 밑창(11)과, 상기 밑창의 상면에 적층되는 중창(12)과, 상기 중창 상면에 적층되어 안치되는 발바닥과 접하게 되는 깔창(13)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Typically, the sole is made of a sole 11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walking, a midsole 12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and the insole 13 to be in contact with the sole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사용상태에 따라서는 깔창 구조가 생략되고 중창이 깔창의 기능을 함께하기도 한다.
Depending on the state of use, the insole structure is omitted, and the midsole also functions as an insole.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중창(12)은 신발 신을 때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밑창(11)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계열의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idsole 12 uses a polyurethane-based soft material to protect the foot from the impact of the sole 11 made of a hard material when shoes are worn.

상기 중창(1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특히 도 5의 A 및 B 참조), 중창보다 2-3mm 돌출되게 지압수단(9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압수단이 구비된 위치는 눈의 피로를 수월히 풀어줄 수 있는 발가락에서 발바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지압수단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dsole 12, as shown in Figure 5 (especially see A and B of Figure 5), acupressure means 9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2-3mm than the midsole, the position where the acupressure means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ole of the toe to ease the fatigue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acupressure means.

물론, 이러한 지압수단은 중창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를 하였으나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깔창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such acupressure means is formed in the midsole, but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formed in the inso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course.

상기 지압수단(90)은 높이가 2-3mm인 지압헤드부(91)와 상기 지압헤드부 저면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중창에 걸려지게 하기 위한 걸림부(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The acupressure means 90 is made of a chiropractor head portion 91 having a height of 2-3mm and the engaging portion 92 to be caught in the midsole as being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upressure head portion,

발가락을 지압하는 지압헤드부(91)는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완만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야 발가락 마디를 정확히 지압할 수 있으면서도 지압 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압헤드부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acupressure head 91 for acupressure the toes is preferably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with a gentle inclination, because the acupressure area can be widened while the toe node can be precisely acupressure should be formed in a gentle hemisphere. It is also to prevent the acupressure head portion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92)는 중창에 대한 분리 방지를 위하여 밑판에 인서트 사출로 구비된다.
Next, the locking portion 92 is provided by insert injection into the bottom plate to prevent separation to the midsole.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창(12)에 일정한 공간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밑창(11)에는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111)를 형성한다.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121 is formed in the midsole 12, and the locking portion 11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in the sole 11.

따라서 밑창과 중창을 합지함에 있어 밑창의 상면과 밑창 걸림부(111)의 외면에 본드를 칠한 후 중창(12)을 밑창(11) 상면에 안치시키는데 중창에 형성된 공간부(121)를 밑창의 걸림부(111)가 관통하면서 밑창과 중창의 긴밀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in laminating the sole and the midsole,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engaging portion 111 is coated, and then the midsole 12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11 to hold the space portion 121 formed in the midsole. As the part 111 penetrates, the sole and the midsole are intimately bon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된 지압수단 외 보조지압수단을 발뒷꿈치 부분에 추가적으로 구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pressure mea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pressure means on the heel portion.

도 5 및 도 5에서 함께 도시된 C부분을 참조하면, 발뒤꿈치가 안치되는 위치의 중창에 홈(122)을 형성하되, 형성된 홈의 상단에서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테(122a)를 구비하여 발뒤꿈치 부분의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 돌기테가 하측으로 내려가 홈의 저면이 발뒤꿈치에 닿을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part C shown in FIGS. 5 and 5, the groove 122 is formed in the midsole of the position where the heel is placed, and the foot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22a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ormed groove. If the load on the heel is transmitted, the hoop lowers so that the bottom of the groove touches the heel.

그리고 상기 홈의 저면에는 지압을 위해 돌출된 지압돌기(123)를 구비하여 And the bottom of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cupressure protrusions 123 protruding for acupressure

결국 돌기테가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발바닥이 지압돌기와 접하게 되면서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Eventually, as the hoop descends to the lower side, the sole of the foo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cupressure projection so that the acupressure can be achieved.

상기 구조의 위치는 발뒤꿈치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본 지압수단과 보조지압수단의 형성 위치를 바꾸어서 구현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The position of the structure need not be limited to the heel, of course,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present pressure means and the auxiliary pressure means.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신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hoe having a specific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such a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밑판 11: 밑창 12: 중창 13: 깔창
111: 걸림부 121: 공간부
20: 갑피 21: 벨크로테입 30: 트임부
40: 차단부 40a: 천 41: 박음질
50: 덮개부 51: 벨크로테입
60: 견인수단 70: 걸이부 71: 지지부 72: 고리
80: 조임수단 90: 지압수단 91: 지압헤드부 92: 걸림부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sole 11: sole 12: midsole 13: insole
111: locking portion 121: space portion
20: upper 21: Velcro tape 30: trim
40: cutout part 40a: cloth 41: lockstitch
50: cover 51: Velcro tape
60: towing means 70: hook portion 71: support portion 72: hook
80: tightening means 90: acupressure means 91: acupressure head portion 92: locking portion

Claims (4)

발바닥이 안치되는 밑판;
상기 밑판에 연결형성되어 발등을 덮는 갑피;
상기 갑피의 전방에 형성된 트임부;
상기 갑피와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트임부에 의한 개방된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부; 및
일단은 상기 트임부의 일측과 이어지는 갑피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트임부의 타측과 이어지는 갑피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
상기 신발은
일단은 차단부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덮개부의 외면에 결합된 견인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의 타단을 갑피로부터 분리시켜 외측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견인수단에 의해 차단부가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트임부에 의해 거리가 떨어진 갑피의 양단을 연결하는 조임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차단부의 원만한 젖혀짐을 위하여 상기 차단부가 젖혀지는 부위에 박음질 처리가 되어 있되,
상기 박음질 처리가 된 선을 기준으로 차단부 내면의 상부에는 천이 덧대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
Sole plate on which the sole is placed;
An upper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and covers the instep of the foot;
A trim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A blocking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prevents the open space by the trimming part; And
In the shoe consisting of;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trim,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the other connected to the trim;
The shoe is
One end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wing mean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is to be flipped outward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ortion is flipped outward by the towing means Wit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tightening means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pper distanced by the trim portion,
In order to smoothly fold the blocking portion is sewn on the area where the blocking portion is folded,
Shoes that enhance the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th is pad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based on the sewn 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에는 견인수단이 관통되는 것으로 덮개부의 갑피에 대한 탈착작용에 따른 견인수단의 안정된 이동을 위한 걸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hoe is to be passed through the traction means to further improve the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ortion for the stable movement of the traction means according to the detachable action to the upper of the cover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보행시 바닥면과 접하는 밑창과 상기 밑창 상면에 적층되는 중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창에는 지압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밑창과 중창은 분리 방지를 위하여 중창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게 밑창에는 상기 공간부와 대응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창에는 발뒤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 보조지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지압수단은
발뒤꿈치가 안치되는 위치의 중창에 형성된 홈과, 홈이 형성된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테와, 그리고 상기 홈의 저면에 지압을 위해 돌출된 지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ole plate comprises a sol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walking and a midsole lamina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The midsole is formed in the midsole,
The sole and the midsole has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is formed in the midsole to prevent separation, the sole is formed in the outsole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The midsole is further provided with auxiliary acupressure means in the portion where the heel is located,
The auxiliary acupressure means
Promotes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roove formed in the midsole of the position where the heel is placed, a projection frame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groove is formed, and acupressure projections protruding for acupressure on the bottom of the groove Let shoes.
KR1020100053917A 2010-06-08 2010-06-08 Shoes KR100999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17A KR100999461B1 (en) 2010-06-08 2010-06-08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17A KR100999461B1 (en) 2010-06-08 2010-06-08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461B1 true KR100999461B1 (en) 2010-12-09

Family

ID=4351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917A KR100999461B1 (en) 2010-06-08 2010-06-08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4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223A (en) 2018-06-04 2019-12-12 조동현 Functional shoes that Deformable He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8027A1 (en) 2004-02-13 2005-08-18 Calzados Robusta, S.L. Metatarsal protection for safety footwe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8027A1 (en) 2004-02-13 2005-08-18 Calzados Robusta, S.L. Metatarsal protection for safety footw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223A (en) 2018-06-04 2019-12-12 조동현 Functional shoes that Deformable 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621B2 (en) Shoe with removable and reconfigurable uppers
US20060075656A1 (en) Convertible sandal
US2259273A (en) Sandal
EP2160111A1 (en) An article of footwear
US9271539B2 (en) Footwear
JP6606811B2 (en) Shoes, shoe heel members, and shoe removal assisting members
JPH03184502A (en) Athletic shoes with structure to protect ankle and tongue for the shoes
US1943829A (en) Sandal
US20130312286A1 (en) Shoe with interchangeable and detachable upper
US20090094862A1 (en) Heel stabilizer
KR100999461B1 (en) Shoes
US1489735A (en) Support for foot covering
TWI430756B (en) Shoe
KR101754515B1 (en) A self-assembly slipper
JP2006305016A (en) Shoe fastened with instep strap
US11350698B2 (en) Interchangeable shoe
JP6227342B2 (en) Easy-to-wear rehabilitation shoes
RU2395222C2 (en) Footwear
KR100520189B1 (en) A cushion shoes
JP2014133952A (en) Foot cover
KR200448212Y1 (en) Boots
KR200492881Y1 (en) Slippers with foothold
JP2012065827A (en) Room shoe for senior person or the like
KR20000050034A (en) A Shoes for baby
JP3200664U (en) Foot 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