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654B1 -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 Google Patents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654B1
KR100996654B1 KR1020100049230A KR20100049230A KR100996654B1 KR 100996654 B1 KR100996654 B1 KR 100996654B1 KR 1020100049230 A KR1020100049230 A KR 1020100049230A KR 20100049230 A KR20100049230 A KR 20100049230A KR 100996654 B1 KR100996654 B1 KR 10099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ldehyde
nonwoven fabric
adsorbent
plywoo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호
Original Assignee
전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호 filed Critical 전병호
Priority to KR102010004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 B32B1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the layer of fibres or particles being impregnated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재로 널리 사용되는 목질복합재료인 PB, MDF, HDF 등의 합판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 후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가스의 방출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가구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착체를 접착제의 제조공정에 첨가하지 않고 부직포 적층체에 담지시켜 사용하므로,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포름알데히드로 대표되는 유해가스에 대한 우수한 흡착효율을 나타내며, 목질재료의 물리기계적 성질이 변하지 않으며, 그 제조과정도 간단하다는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또한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유해가스 산화촉매를 흡착체와 함께 부직포에 담지시켜 흡착 및 분해를 동시에 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유해가스의 방산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Furniture material made by low formaldehyde emission panel}
본 발명은 가구재로 널리 사용되는 목질복합재료인 PB, MDF, HDF 등의 합판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 후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가스의 방출을 저감시키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가구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축조시 사용되는 내장재로 인해 유독성 화학물질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새집증후군(SHS)에 의한 피해가 문제되고 있다. 건축자재와 마감재 등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건물 신축 후 수 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도 많이 배출되고, 접착제로 붙여진 마루재나 타일 등에서는 더욱 오랜 기간 동안 유해물질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새집증후군은 피부염, 기침, 천식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한다.
한편, 일련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신축 아파트 실내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은 입주 전보다, 오히려 입주 후 수 개월이 지난 후에 그 농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새로운 가구의 구입과 실내 개조로 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구제조시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은 목재 접착제, 페인트, 방부제 등에 함유되는 화학성분으로서, 과도하게 흡입하면 두통, 구토, 피부염을 유발하고 심하면 암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포름알데히드는 장기간 흡입 시 신경계와 장기 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는 메틸알코올을 산화시켜 만든 포름알데히드의 약 37% 수용액으로서 방부제, 접착제, 합판가공 등에 널리 쓰이는 화학물질이다. 가구재로 사용되는 목질복합재료로는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러한 합판을 제조 생산하는 과정에서 접착제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공정이며, 이 과정에서 열경화성수지인 멜라민, 요소수지 등이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멜라민, 요소수지 등에는 생산과정에서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필수적으로 첨가되므로, 접착제 내부에 존재하는 미반응 포름알데히드가 서서히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서 최근 고시한 `생활용품 안전ㆍ품질표시기준`에 따르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옷장과 이불장, 침대, 화장대, 소파 등 가구류는 포름알데히드가 1시간에 ㎡당 0.12㎎, 톨루엔은 ㎡당 0.08㎎,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당 4㎎ 이하로 방출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을 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현재 업계와, 한국공업규격인 KS 인증, 조달청이 사용하는 가구류 분류에서는 자재 등급을 데시케이터법(desiccator test)에 의해 정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SE0 등급은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0.3㎎/ℓ 이하, E0 등급은 0.3~0.5㎎/ℓ, E1 등급은 0.5~1.5㎎/ℓ, E2 등급은 1.5㎎/ℓ이상으로 정해지고, SE0~E1 등급이 친환경 자재로 인정된다. 이에 대해 상기 기술표준원의 고시에서는 소형체임버법(Small chamber method)을 적용해 기준을 1시간에 얼마나 방출하는지(㎎/㎡)로 규정하고 있다. 단위 환산을 하는 경우, 데시케이터법에서 대개 E1 내지 E0 등급 이상을 받은 자재가 상기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가구재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그 일 예로서 합판제조시 콩단백질, 탄수화물, 리그닌(lignin)등의 재생 가능한 천연물을 이용한 대체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접착제의 제조시 포름알데히드의 함량을 낮추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9-0128080호에는 기존의 합성수지 접착제를 대신하여 코펄수지액(Copal Gum)과 세락수지액(Shellac Gum)으로 이루어진 천연 수지액과 잔량의 난연성 또는 응결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 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천연수지 바인더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579159호에는 포름알데히드와 요소의 몰비를 2.15 ~ 1.50으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패널 접착용 요소수지접착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포름알데히드를 접착제 생산시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그 첨가량이 절감되었을 경우에는 합판 생산의 대량작업 및 물성의 안정화를 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는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할 수 있는 다공성 물질을 접착제의 제조공정 또는 목질복합재 제조시에 직접 첨가하여 포름알데히드를 저감하고자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87991호에는 토루말린 20~30 중량부, 모나자이트 22~45 중량부, 제올라이트 10~20 중량부, 귀사문석 15~20 중량부로 이루어진 광물질 조성에 대해 접착제를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음이온 발생이 1100~2200개/cc이고,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량이 KSF 3111-'01법에 의해 0.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합판마루바닥재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02622호에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짚 펄프 10~50중량%, 목재 펄프 40~80중량%, 숯 또는 활성탄 0.1~3중량%, 접착제 4~12중량%로 구성되며, 밀도가 0.15g/㎤~0.65g/㎤의 범위이고,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0.2mg/ℓ 이하인 건축용 또는 가구용 섬유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공성물질을 접착제나 목질복합체 제조시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다공체가 이물질로 충진되어 그 흡착 효과가 감소되므로 많은 양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합판자체의 물리적 강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흡착체들을 또는 촉매와 함께 부직포에 담지시켜 합판제조에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은 양의 흡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합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착과 함께 분해가 이루어짐으로써 우수한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합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합판을 이용한 가구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부직포 사이에 활성탄, 황토,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및 규조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착체를 담지시켜 이루어지는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 위에 모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착체와 함께 전이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촉매를 부직포에 담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이금속산화물로는 Fe, Cu, Mn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금속의 산화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착제와 촉매는 4~10:1의 부피비로 담지되는 것이 포름알데히드의 제거 효율에 비추어 바람직하다.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은 2 ~ 5매의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3 ~ 4매의 부직포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교환기로는 Hydroxylamine(HA), Diethylamine(DEA), Triethylamine(TEA)을 도입할 수 있으며, Hydroxylamine(HA)를 도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합판을 소정의 모양으로 재단하고, 측면을 마감재로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재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에 산화촉매를 함께 담지시키는 경우에는 마감재로 처리한 측면부에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과 연통하는 통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제조방법에 따르면 흡착체를 접착제의 제조공정에 첨가하지 않고 부직포 적층체에 담지시켜 사용하므로,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포름알데히드로 대표되는 유해가스에 대한 우수한 흡착효율을 나타내며, 목질재료의 물리기계적 성질이 변하지 않으며, 그 제조과정도 간단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유해가스 산화촉매를 흡착체와 함께 부직포에 담지시켜 흡착 및 분해를 동시에 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유해가스의 방산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아그램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의 제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의 제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흡착체를 접착제의 제조공정에 첨가하지 않고 부직포 적층체에 담지시켜 사용하므로,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포름알데히드로 대표되는 유해가스에 대한 우수한 흡착효율을 나타내며, 목질재료의 물리기계적 성질이 변하지 않으며, 그 제조과정도 간단하다는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또한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유해가스 산화촉매를 흡착체와 함께 부직포에 담지시켜 흡착 및 분해를 동시에 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유해가스의 방산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다수의 부직포 사이에 활성탄, 황토,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및 규조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착체를 담지시켜 이루어지는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 위에 모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조의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준비한다. 일반적으로 PB, MDF 또는 HDF와 같은 목질합성보드의 제조는 절삭기나 파쇄기를 통한 목질소편(particle) 제조공정, 소편의 함수율 조정을 위한 건조공정, 접착제 도포공정, 접착제가 도포된 목질소편을 매트상의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공정, 성형된 목질소편 매트를 프레스로 압축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열압공정 및 냉각 후 규격치수에 맞추어 재단하고, 연삭(硏削)하는 마무리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조된 통상의 목질합성보드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적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은 아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부직포의 일면에 활성탄, 황토,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및 규조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착체를 분산시킨다. 상기 흡착체의 크기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10~400 ㎛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착체의 양은 합판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체를 분산매에 분산시킨 후 부직포에 분사함으로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 유기바인더나 로진이나 리그닌과 같은 천연성분소재의 접착제를 소량 혼합하여 분사함으로써 흡착체가 부직포에 담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흡착체는 부직포의 기공에 결합되어 높은 접착력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흡착효율이 크게 저하되지 않을 정도로 소량만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부직포 위에 다시 1 매의 부직포를 적층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흡착체를 분산시켜 담지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2 ~ 5 매의 부직포로, 바람직하게는 3 ~ 4 매의 부직포로 부직포 적층체를 형성하고 열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별도로 제조하여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합판제조공정 중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매 미만의 부직포로 구성되는 경우 담지되는 흡착체의 양이 적어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이 떨어지며, 5 매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부직포는 포름알데히드 흡착체를 담지하기에 적당한 것이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교환기, 그 중에서도 음이온교환기인 Hydroxylamine(HA), Diethylamine(DEA), Triethylamine(TEA)이 방사선 그래프트 중합에 의해 도입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흡착체의 담지체로서 뿐만 아니라, 이온교환기를 가져 자체로서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하는 기능을 하므로 더욱 우수한 포름알데히드 제거능을 나타낸다. 이때 도입되는 음이온 교환기의 양은 제한적이지 않지만, 4.0∼5.0meq/g 정도 도입하는 경우 흡착성능이 우수하다. 부직포의 면밀도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200g/m2이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1.5mm이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 하단 및 상단의 부직포는 흡착체의 입자크기 보다 작은 기공을 가지는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흡착체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흡착체와 함께 전이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촉매를 부직포에 담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포름알데히드 방산을 크게 억제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는 촉매를 함께 담지시킴으로써 그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체와 촉매를 분산매에 함께 분산시켜 분사함으로써 담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산화물로는 Fe, Cu, Mn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금속의 산화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망간산화물(MnO2)이 사용된다. 상기 촉매는 0.1 ~ 3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이금속산화물은 하기의 반응식에서와 같이 산화촉매로서 기능하여 포름알데히드를 산화시켜 이산화탄소로 분해하여 제거하게 된다. M은 전이금속을 나타낸다.
[반응식]
Figure 112010033790546-pat00001
상기의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이 적층되는 상기 기재면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요홈부에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의 부직포층이 안착되도록 한다. 미리 가구재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기재상에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적층하게 되면, 후에 재단하여 가구재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므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이 적층되는 요홈부는 가구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여러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 위에 모양층을 형성함으로써 합판을 제조하게 된다. 모양층은 멜라민수지(LPM, HPM) 라미네이트 코팅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합판을 소정의 모양으로 재단하여, 그 재단면인 상기 합판의 측면을 마감재로 처리한 가구재가 제공된다.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에 산화촉매를 함께 담지시킨 경우에는 상기 합판의 측면부에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과 연통하는 통기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측면 마감재에 형성되는 통기부를 통하여 공기가 가구재 내부로 유입되어 산화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의 방산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의 제조
활성탄분말(300 ㎛)을 분산매인 물에 혼합하여 교반한 후 폴리프로필렌부직포(0.5 m × 0.5 m, 면밀도 100g/m2,두께 2mm)위에 골고루 분사하였다. 부직포 100중량부에 대하여 활성탄분말 50중량부의 비율로 도포하였다. 그 위에 다시 부직포를 적층한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흡착체인 활성탄을 분사 도포하였다. 그 위에 다시 부직포를 적층한 후에 건조하여 분산매를 제거하였다. 이 후에 이를 열압착하여 부직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부직포 대신에 Hydroxylamine(HA)가 방사선 그래프트 중합에 의해 도입(5.0meq/g)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부직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의 제조
활성탄분말(300 ㎛)과 산화망간(77 wt% MnO2, 10㎛)을 혼합한 후에 분산매인 물에 분산시켜 분사하여 부직포에 담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6: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의 제조
인천 D사에서 구매한 E1형 파티클보드(PB)를 0.6 m×0.6 m로 절단하고, 양면에 0.5 m×0.5 m, 깊이 3mm의 요홈을 형성하였다. 이 요홈에 상기 실시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각각 적층하였다. 그 후 상기 기재의 양면에 LPM(Low pressure melamine) 필름을 코팅하여 합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포름알데히드 방산량 측정
상기 실시예 4~6에서 제조된 합판을 시험편으로 하여 KS M1998 데시케이터법 따라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시험편은 원판의 중앙 부분에서 치수 50㎜×150㎜ 채취하며 그 수는 측면을 포함한 시험편의 전 표면적이 1800㎠가 되도록 한다. 채취된 시험편은 온도 20±2℃, 습도 65±5%에서 항량(恒量)에 도달할 때까지 혹은 7일 동안 전처리한 다음 사용한다. 상기 시험편을 데시케이터에 설치하고, 24시간 후 물에 흡수된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를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한다.
그 결과를 KS F3104의 등급과 함께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포름알데히드 방출량(mg/L) 등급
실시예 4 0.5 E0
실시예 5 0.35 E0
실시예 6 0.3 SE0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6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의 방산량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5, 6의 경우에는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가 2 ~ 5매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부직포 사이에 활성탄, 황토,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및 규조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착체와 함께 Fe, Cu, Mn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금속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촉매가 담지되어 형성되는 포름알데히드 제거층을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HDF(High Density Fiberboard)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하고 상기 포름알데히드 제거층 위에 모양층을 형성하여 제조된 합판을 소정의 모양과 크기로 재단하고, 측면을 마감재로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재로서, 상기 마감재로 처리한 측면부에 포름알데히드 제거층과 연통하는 통기부가 형성되는 가구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음이온교환기인 HA(hydroxylamine), DEA(diethylamine) 또는 TEA(triethylamine)가 방사선 그래프트 중합에 의해 도입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산화물은 MnO2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
KR1020100049230A 2010-05-26 2010-05-26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KR10099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30A KR100996654B1 (ko) 2010-05-26 2010-05-26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30A KR100996654B1 (ko) 2010-05-26 2010-05-26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654B1 true KR100996654B1 (ko) 2010-11-25

Family

ID=4341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230A KR100996654B1 (ko) 2010-05-26 2010-05-26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369B1 (ko) * 2012-01-03 2014-01-14 이혜옥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산 저감 가구재의 제조방법
KR101911225B1 (ko) 2018-04-26 2018-10-24 정병재 친환경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023B1 (ko) 2000-12-29 2004-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패널
KR100610468B1 (ko) * 2005-06-24 2006-08-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동차 내부의 유입되는 유해가스 흡착제 조성물
WO2006111458A1 (en) 2005-04-18 2006-10-26 Owens-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Fire retardant laminate
JP2007321089A (ja) * 2006-06-02 2007-12-13 Idemitsu Technofine Co Ltd 水性消臭性組成物、消臭性基材の製造方法、消臭性基材、消臭性積層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023B1 (ko) 2000-12-29 2004-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패널
WO2006111458A1 (en) 2005-04-18 2006-10-26 Owens-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Fire retardant laminate
KR100610468B1 (ko) * 2005-06-24 2006-08-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동차 내부의 유입되는 유해가스 흡착제 조성물
JP2007321089A (ja) * 2006-06-02 2007-12-13 Idemitsu Technofine Co Ltd 水性消臭性組成物、消臭性基材の製造方法、消臭性基材、消臭性積層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369B1 (ko) * 2012-01-03 2014-01-14 이혜옥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산 저감 가구재의 제조방법
KR101911225B1 (ko) 2018-04-26 2018-10-24 정병재 친환경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939B1 (ko) 접착성이 향상된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CN104772795B (zh) 一种夹芯板及其生产方法
CN101269513A (zh) 多功能环保型人造板及其制备方法
KR100667371B1 (ko) 기능성 숯 보드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1047315B1 (ko) 목질패널로 제조한 난연 탄화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12864B1 (ko) 건축용 미장재
JP6663750B2 (ja) パーティクルボード
KR100996654B1 (ko)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KR102005920B1 (ko) 기능성 친환경 파티클보드 제조용 난연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22445A1 (zh) 一种木质防火压力板及其制造方法
KR100702622B1 (ko) 건축용 또는 가구용 섬유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3953671B2 (ja) 活性化木炭の製造方法
KR101444200B1 (ko) 목질패널로 제조한 탄화보드의 난연성 개선방법
CN105667004B (zh) 一种原位消除室内化学污染的方法
JP2001048648A (ja) 成形炭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6596B1 (ko) 부착강도와 불연성능 및 마감재 기능을 강화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시공방법
CN113249056B (zh) 一种阻燃型发光降醛功能助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70175B1 (ko) 가스 흡수재
JP2014151599A (ja) 木質ボード
KR101787575B1 (ko) 가구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
JP4520501B2 (ja) 機能性炭ボード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7131529A (ja) 活性化木炭の製造方法
KR100706302B1 (ko) 가구 및 건축 자재의 유해물질 차단제
KR101351369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산 저감 가구재의 제조방법
KR101179504B1 (ko) 천연 무늬목 결을 이용한 내장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