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236B1 -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236B1
KR100996236B1 KR1020070014480A KR20070014480A KR100996236B1 KR 100996236 B1 KR100996236 B1 KR 100996236B1 KR 1020070014480 A KR1020070014480 A KR 1020070014480A KR 20070014480 A KR20070014480 A KR 20070014480A KR 100996236 B1 KR100996236 B1 KR 10099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formula
group
photoelectric conversion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381A (ko
Inventor
박찬석
이종찬
배호기
고재중
김강진
장송림
최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070014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236B1/ko
Priority to PCT/KR2007/001206 priority patent/WO2008099986A1/en
Priority to CN200780051263A priority patent/CN101663360A/zh
Publication of KR2008007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10Metal complexes of organic compounds not being dyes in uncomplexe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System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System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46Ruthenium compounds
    • C07F15/0053Ruthenium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루테늄(Ru)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료감응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에 염료로 사용되어 종래의 염료보다 현저히 향상된 광전기 변환 효율을 나타내며, 이산화티탄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Jsc(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와 몰 흡광계수가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염료감응, 염료, 루테늄, 광전변환소자

Description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A NOBLE Ru-TYPE SENSITIZERS AND METHOD FOR PREPARING OF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D5, D6 염료와 종래의 염료인 N3 염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태양전지의 J-V 커브와 IPCE 지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a), (b), (c)는 각각 D5, D6 및 N3을 DMF 용액, TiO2 필름 위에 코팅 한 후, 및 상기 필름을 KOH 수용액에 3일 동안 담군 후 염료를 제거한 후의 흡광 스펙트럼을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료감응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에 염료로 사용되어 종래의 염료보다 현저히 향상된 광전기변환효율을 나타내며, 이산화티탄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Jsc(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와 몰 흡광계수가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염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전변환소자 및 염료감응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1991년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태양전지가 개발된 이후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현저기 낮기 때문에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와 달리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을 생성할 수 있는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종래 염료감응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염료로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하기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1
그러나 아직도 상기 염료들과 비교하여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와의 결합력, 광전기 변환효율, Jsc(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 및 몰 흡광계수를 높여 태양전지의 효율성 및 내구성을 더욱 높일 것이 요청되고 있으며, 새로운 염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의 염료보다 현저히 향상된 광전기변환효율을 나타내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Jsc(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와 몰 흡광계수가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료를 포함하여 현저히 향상된 광전기 변환 효율을 나타내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와의 결합력이 강화되고, Jsc(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와 몰 흡광계수가 우수한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및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Ru)계 염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1 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또한 X,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X와 Y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화학식 2]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b1 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또한 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 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4 또는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6 및 화학식 7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3]
[RuCl2(p-cymene)]2
[화학식 4]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6
[화학식 7]
NH4NCS
상기 화학식 3, 4, 5, 6 및 7에서 a1, b1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담지시킨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담지시켜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조할 경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강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며, 광전기 변환효율, Jsc(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 및 몰 흡광계수가 높아 기존에 존재하였던 염료감응태양전지보다도 우수한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루테늄(Ru)계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a1 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또한 X,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X와 Y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화학식 2]
Figure 112007012849397-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b1 환은 수소 또는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 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또한 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펜틸인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인 것이 좋다.
Figure 112010040620119-pat0002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는 하기 화학식 3 또는 4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5, 화학식 6 및 화학식 7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double Wadsworth-Emmons 반응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3]
[RuCl2(p-cymene)]2
[화학식 4]
Figure 112007012849397-pat00010
[화학식 5]
Figure 112007012849397-pa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07012849397-pat00012
[화학식 7]
NH4NCS
상기 화학식 3, 4, 5, 6 및 7에서 a1, b1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염료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좋다.
[반응식 1]
Figure 112010040620119-pat00028
상기 반응식 1에서 4, 5는 각각 화학식 4 및 화학식 5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제공하는 바, 상기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종래 염료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용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제조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이용해서 기판상에 산화물 반도체의 박막을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박막에 본 발명의 염료를 담지시킨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산화물 반도체의 박막을 설치하는 기판으로서는 그 표면이 도전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예로 글라스의 표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테르설폰 등의 투명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의 표면에 인듐, 불소, 안티몬을 도포한 산화주석 등의 도전 성 금속산화물이나 강, 은, 금 등의 금속 박막을 형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도전성은 보통 1000 Ω 이하가 바람직하며, 특히 100 Ω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로서는 금속산화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티탄, 주석, 아연, 텅스텐, 지르코늄, 갈륨, 인듐, 이트륨, 니오브, 탄탈, 바나듐 등의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티탄, 주석, 아연, 니오브, 인듐 등의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주석이 더욱 바람직하며, 산화티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혼합하거나 반도체의 표면에 코팅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의 입경은 평균 입경으로서 1 ∼ 500 nm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0 nm인 것이 좋다. 또한 이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는 큰 입경의 것과 작은 입경의 것을 혼합하거나, 다층으로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은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스프레이 분무 등으로 직접 기판상에 박막으로 형성하는 방법, 기판을 전극으로 하여 전기적으로 반도체 미립자 박막을 석출시키는 방법, 반도체 미립자의 슬러리 또는 반도체 알콕사이드 등의 반도체 미립자의 전구체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은 미립자를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기판상에 도포한 후, 건조, 경화 혹은 소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페이스트를 기판상에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의 경우, 슬러리는 2차 응집하고 있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분산매 중에 평균 1차 입경이 1 ∼ 200 nm이 되도록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분산매로서는 반도체 미립자를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물, 에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 또는 헥산 등의 탄화수소를 이용할 수 있고, 이것들은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물을 이용하는 것이 슬러리의 점도변화를 적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의 분산 상태를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분산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분산 안정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초산, 염산, 질산 등의 산, 또는 아세틸아세톤, 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슬러리를 도포한 기판은 소성할 수 있고, 그 소성온도는 1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고, 또 상한은 대체로 기재의 융점(연화점) 이하로서 통상 상한은 900 ℃이며, 바람직하게는 600 ℃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소성시간에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대체로 4시간 이내가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에서 기판상의 박막의 두께는 1 ∼ 200 ㎛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 ∼ 50 ㎛이다. 소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의 박층은 일부 용착하지만, 그러한 용착은 본 발명을 위해서는 특별하게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에 2차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반도체와 동일한 금속의 알콕사이드, 염화물, 질소화물, 황화물 등의 용액에 직접, 기판별로 박막을 침적시켜서 건조 혹은 재소성 함으로써 반도체 박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금속 알콕사이드로서는 티탄에톡사이드, 티탄니움이소프로에폭 사이드, 티탄 t-부톡사이드, n-디부틸-디아세틸 주석 등을 들 수 있고, 그것들의 알코올 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염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4염화 티탄, 사염화주석, 염화아연 등을 들 수 있고, 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산화물 반도체 박막은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박막 상으로 형성된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염료를 담지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로 용해해서 얻은 용액, 또는 염료를 분산시켜서 얻은 분산액에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이 설치된 기판을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액 또는 분산액 중의 농도는 염료에 의해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다. 침적시간은 대체로 상온에서 용매의 비점까지이고, 또 침적시간은 1분에서 48시간 정도이다. 염료를 용해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톤, t-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용액의 염료 농도는 보통 1× 10-6 M ∼ 1 M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 10-5 M ∼ 1× 10-1 M인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염료로 증감된 박막 상의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가진 본 발명의 광전변환소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담지하는 화학식 1의 표시되는 염료는 1종류일 수도 있고, 수 종류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혼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염료만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염료나 금속 착체 염료를 혼합할 수 있다. 혼합할 수 있는 금속 착체 염료의 예로서는 특별하게 제한은 없지만 M.K.Nazeeruddin, A.Kay, I.Rodicio, R.Humphry-Baker, E.Muller, P.Liska, N.Vlachopoulos, M.Gratzel, J. Am. Chem. Soc., 제115권, 6382쪽(1993년)에 나타나 있다 루테늄 착체나 그 4급염, 프탈로시아닌, 포르피린 등이 바람직하고, 혼합 이용하는 유기염료로서는 무금속의 프탈로시아닌, 포르피린이나 시아닌, 메로시아닌, 옥소놀, 트리페닐메탄계, WO2002/011213호에 제시되는 아크릴산계 염료 등의 메틴계 염료나, 크산텐계,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페릴렌계 등의 염료를 들 수 있다. 염료를 2종 이상 이용하는 경우에는 염료를 반도체 박막에 차례로 흡착시킬 수도, 혼합 용해해서 흡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의 박막에 염료를 담지할 때, 염료끼리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섭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염료를 담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포섭화합물로서는 데옥시콜산, 데히드로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콜산메틸에스테르, 콜산나트륨 등의 콜산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콜산 등의 스테로이드계 화합물, 크라운에테르, 사이클로덱스트린, 캘릭스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료를 담지시킨 후, 4-t-부틸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이나 초산, 프로피온산 등의 산성기를 가지는 화합물 등으로 반도체 전극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방법은 예를 들면 아민의 에탄올 용액에 염료를 담지한 반도체 미립자 박막이 설치된 기판을 담그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료감응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공하는 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담지시킨 산화 물 반도체 미립자를 이용한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종래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인 예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담지시킨 광전변환소자 전극(음극), 대전극(양극), 레독스 전해질, 정공수송 재료 또는 p형 반도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염료감응태양전지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의 일예로는 전도성 투명 기판 위에 산화티타늄 페이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페이스트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하여 산화티타늄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티타늄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가 용해된 혼합용액에 함침시켜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 상부에 대전극이 형성된 제2의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단계, 제2 유리기판 및 대전극을 관통하는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전극 및 상기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에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두고, 가열 압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대전극 및 산화티타늄 필름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홀을 통하여 대전극과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좋다.
레독스 전해질, 정공수송 재료, p형 반도체 등의 형태는 액체, 응고체(겔 및 겔상), 고체 등을 들 수 있다. 액상의 것으로서는 레독스 전해질, 용해염, 정공수송재료, p형 반도체 등을 각각 용매에 용해시킨 것이나 상온 용해염 등이, 응고체(겔 및 겔상)의 경우에는 이것들을 폴리머 매트릭스나 저분자 겔화제 등에 함유시 킨 것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고체의 것으로서는 레독스 전해질, 용해염, 정공수송재료, p형 반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공수송 재료로서는 아민 유도에나 폴리아세티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 트리페닐렌계 화합물 등의 디스코테크 액정상을 이용하는 물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형 반도체로서는 CuI, CuSC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극으로는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레독스 전해질의 환원 반응을 촉매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글라스 또는 고분자 필름에 백금, 카본, 로듐, 루테늄 등을 증착하거나, 도전성 미립자를 도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에 이용하는 레독스 전해질로서는 할로겐 이온을 대이온으로 하는 할로겐 화합물 및 할로겐 분자로 구성되는 할로겐 산화 환원계 전해질, 페로시안산염-페로시안산염이나 페로센-페리시늄 이온, 코발트 착체 등의 금속착체 등의 금속산화 환원계 전해질, 알킬티올-알킬디설피드, 비올로겐 염료, 하이드로퀴논-퀴논 등의 유기산화 환원계 전해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할로겐 산화 환원계 전해질이 바람직하다. 할로겐 화합물-할로겐 분자로 구성되는 할로겐 산화 환원계 전해질에 있어서의 할로겐 분자로서는 요오드 분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할로겐 이온을 대이온으로 하는 할로겐 화합물로서는 LiI, NaI, KI, CaI2, MgI2, CuI 등의 할로겐화 금속염, 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요오드, 이미다졸리움요오드, 피리디움요오드 등의 할로겐의 유기 암모늄염, 또는 I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독스 전해질은 이를 포함하는 용액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그 용매로는 전기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메톡시아세토니트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부틸로락톤, 디메톡시에탄, 디메틸카보네이트, 1,3-디옥소란, 메틸포르메이트,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3-메톡시-옥사졸리딘-2-온, 설포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에틸렌글리콜, 3-메톡시-옥사졸리딘-2-온, 부틸로락톤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들은 1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겔상 양전해질의 경우에는 올리고머 및 폴리머 등의 매트릭스에 전해질 또는 전해질 용액을 함유시킨 것이나, 전분자 겔화제 등에 동일하게 전해질 또는 전해질 용액을 함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레독스 전해질의 농도는 0.01 - 99 중량%인 것이 좋으며, 0.1 - 3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는 기판상의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염료를 담지한 광전변환소자(음극)에 그것과 대치하도록 대전극(양극)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레독스 전해질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염료의 합성
하기와 같은 반응을 거쳐 본 발명의 루테늄계 염료인 D5 및 D6을 합성하였다.
Figure 112010040620119-pat00029
Figure 112010040620119-pat00030
Figure 112010040620119-pat00031
모든 반응은 아르곤 가스 조건에서 진행되었고 사용된 모든 용매는 소듐으로 증류되었다. 1H, 13C, 31P NMR은 Varian Mercury 300 을 사용하였고 흡광도는 Perkin-Elmer Lambda 2S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였다. 모든 출발물질은 알드리치와 스트렘 시약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가. 4-브로모메틸-4'-메틸-2,2'-바이피리딘
이 화합물은 기존 문헌(Inorg. Chem. 1991, 30, 2942)의 합성방법을 이용하였다. 1H NMR (CDCl3): 8.65 (d, JH-H = 4.5 Hz, 1H), 8.54 (d, JH-H = 4.5 Hz, 1H), 8.43 (s, 1H), 8.24(s, 1H), 7.34 (d, JH-H = 4.5Hz, 1H), 7.17 (d, JH-H = 4.5Hz, 1H), 4.47(s, 2H), 2.45(s, 3H).
나. 4,4'-비스브로모메틸-2,2'-바이피리딘
이 화합물은 기존 문헌(Inorg. Chem. 1991, 30, 2942)의 합성 방법을 이용하였다. 1H NMR (CDCl3): 8.67 (d, JH-H = 4.5 Hz, 2H), 8.43 (s, 2H), 7.36 (d, JH-H = 4.5 Hz, 2H), 4.48 (s, 4H).
다. 4-다이에틸포스포노메틸-4'-메틸-2,2'-바이피리딘 (1):2
4-브로모메틸-4'-메틸-2,2'-바이피리딘(2 g, 7.60 mmol)과 과량의 트라이에틸포스파이트(5 mL, 0.29 mol)의 혼합 용액은 6시간 동안 80 ℃ 조건하에서 교반시켰다. 그 이후 상온까지 온도를 내린 후 진공 조건하에서 과량의 트라이에틸포스파이트를 제거하였다. 오일성의 잔유물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옅은 노란색의 1번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1H NMR (CDCl3): 8.60 (d, JH-H = 4.5 Hz, 1H), 8.52 (d, JH-H = 4.5 Hz, 1H), 8.32 (s, 1H), 8.22 (s, 1H), 7.31 (d, JH-H = 5.4 Hz, 1H), 7.12 (d, JH-H = 5.4 Hz, 1H), 4.06 (dq, 3JH-P= 7.2 Hz, 4H), 3.22 (d, 2JH-P = 21.3 Hz, 2H), 2.43 (s, 3H), 1.26 (t, 3JH-H = 7.2 Hz, 6H).
라. 4,4'-비스(다이에틸포스포노메틸)-2,2'-바이피리딘 (2):2
이 화합물은 상기 다의 1번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CDCl3): 8.60 (d, JH-H = 5.1 Hz, 2H), 8.33 (s, 2H), 7.32 (d, JH-H = 5.1 Hz, 2H), 4.07 (dq, 3JH-P = 11.4Hz,3JH-H = 7.2 Hz, 8H), 3.23 (d, 2JH-P = 22.2 Hz, 4H), 1.27 (t, 3JH-H = 7.2 Hz, 12H).
마. 4-브로모-1-다이에틸포스포노메틸-벤젠.
4-브로모벤질 브로마이드(10 g, 40 mmol)와 트라이에틸포스파이트(5 mL, 0.29 mol)는 혼합용액은 80 ℃에서 17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 이후 합성은 상기 다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투명한 오일) 1H NMR (CDCl3): 7.29 (d, JH-H = 8.4 Hz, 2H), 7.04 (d, JH-H = 8.4 Hz, 2H), 3.89 (dq, 3JH-P = 12.2 Hz, JH-H = 7.5 Hz, 4H), 2.96 (d, 2JH-P = 21.3 Hz, 2H), 1.14 (t, 3JH-H = 7.5 Hz, 6H); 31P NMR (CDCl3): 19.99.
바. 4-브로모-[N,N-(다이부틸아미노)-스티릴]벤젠
4-브로모-1-다이에틸포스포노메틸-벤젠(7.47 g, 24.30 mmol)과 파라-다이부틸아미노벤즈알데하이드(4.73 g, 20.3 mmol)을 THF 용액에 녹인 후 소듐하이드라이드(63.2 w/w oil, 0.92 g, 24.3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켜 상온으로 온도를 내린 후 용매는 진공 조건하에서 제거하였다. 건조 후 남은 잔유물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silica gel, CH2Cl2/hexane 1:5, Rf : 0.6) 1H NMR (CDCl3): 7.44 (d, JH-H = 7.8 Hz, 2H), 7.38 (d, JH-H = 7.8 Hz, 2H), 7.33 (d, JH-H = 7.4 Hz, 2H), 7.22 (d, JH-H = 7.4 Hz, 2H), 7.02 (d, Jvinyl-H-H = 16.2 Hz, 1H), 6.81 (d, Jvinyl-H-H = 16.2 Hz, 1H), 3.31 (t, 4H), 1.58 (m, 4H), 1.37 (m, 4H), 0.98 (t, 6H); 13C{1H} NMR (CDCl3): 148.1, 137.5, 131.7, 129.8, 128.0, 127.5, 124.1, 122.3, 120.0, 111.7, 50.9, 29.6, 20.5, 14.2. Anal. Calcd. for C22H28BrN : C, 63.39; H, 7.30. Found : C, 63.20; H, 7.26.
사. [N,N-(다이부틸아미노)-스티릴]벤즈알데하이드 (3):3
4-브로모-[N,N-(다이부틸아미노)-스티릴]벤젠(5g, 12.94 mmol)은 다이에틸이 서 용매로 녹인 후 -10 ℃ 조건하에서 1.6 M n-부틸리튬(8.9 mL, 14.23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10 ℃ 조건하에서 약 30분간 교반된 후 상온에서 DMF(0.97 mL, 12.56 mmol)을 적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 이후 6 M HCl (50 mL)용액을 첨가하고 분별 깔때기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후 MgSO4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고 남은 용매는 진공 조건하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남은 물질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CH2Cl2/hexane 1:3, Rf : 0.3). 화합물은 옅은 노란색 고체 1H NMR (CDCl3): 9.95 (s, 1H), 7.82 (d, JH-H = 7.6 Hz, 2H), 7.59 (d, JH-H = 7.4 Hz, 2H), 7.40 (d, JH-H = 7.4 Hz, 2H), 7.19 (d, Jvinyl-H-H = 16.2 Hz, 1H), 6.89 (d, Jvinyl-H-H = 16.2 Hz, 1H), 6.63 (d, JH-H = 7.6 Hz, 2H), 3.30 (t, 4H), 1.59 (m, 4H), 1.37 (m, 4H), 0.97 (t, 6H); 13C{1H} NMR (CDCl3): 191.8, 148.6, 144.9, 134.4, 132.8, 130.4, 128.5, 126.3, 123.6, 122.0, 111.6, 50.9, 29.6, 20.5, 14.2. Anal. Calcd. for C23H29NO : C, 82.34; H, 8.71. Found : C, 82.16; H, 8.64.
아. 4-다이부틸아미노스티릴스티릴스티릴-4'-메틸-2,2'-바이피리딘 (4):2, 3
3번(0.47 g, 1.41 mmol) 과 2번(0.47 g, 1.41 mmol) 화합물이 용해된 THF 용액(30 mL)에 포타슘 t-부톡사이드 (0.16 g, 1.41 mmol)를 적가한 후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물 10mL를 적가한 후 THF만 진공상태에서 건조하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다이클로로메탄/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분리하였다. 금 색 분말. 1H NMR (CDCl3): 8.63 (d, 3JH-H = 5.1 Hz, pyridine, 1H), 8.58 (d, 3JH-H= 5.1 Hz, pyridine, 1H), 8.52 (s, pyridine, 1H), 8.27 (s, pyridine, 1H), 7.52 (d, 3JH-H = 8.7 Hz, 2H), 7.48 (d, 3JH-H = 8.7 Hz, 2H), 7.44 (d, 3Jvinyl-H-H = 16.2 Hz, 1H), 7.41 (d, 3JH-H = 5.1 Hz, pyridine, 1H), 7.39 (d, 3JH-H = 8.4 Hz, 2H), 7.16 (d, 3JH-H = 5.1 Hz, pyridine, 1H), 7.11 (d, 3Jvinyl-H-H = 16.2 Hz, 1H), 7.09 (d, 3Jvinyl-H-H = 16.2 Hz, 1H), 6.88 (d, 3Jvinyl-H-H = 16.2 Hz, 1H), 6.63 (d, 3JH-H = 8.7 Hz, 2H), 3.30 (t, 4H), 2.46 (s, 3H), 1.59 (m, 4H), 1.37 (m, 4H), 0.97 (t, 6H); 13C{1H} NMR (CDCl3): 156.7, 156.1, 149.6, 149.1, 148.3, 148.1, 146.0, 139.1, 134.5, 133.2, 129.7, 128.1, 127.5, 126.4, 125.3, 124.9, 124.4, 123.0, 122.2, 121.0, 118.3, 111.7, 50.9, 29.6, 21.4, 20.5, 14.2. Anal. Calcd. for C35H39N3 : C, 83.79; H, 7.84. Found : C, 83.50; H, 7.76.
자. 4,4'-비스(다이부틸아미노스티릴스티릴)-2,2'-바이피리딘(5):2, 3
상기 아의 4번의 화합물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CDCl3): 8.67 (d, 3JH-H = 5.1 Hz, pyridine, 2H), 8.54 (s, pyridine, 2H), 7.53 (d, 3JH-H = 8.1 Hz, 4H), 7.49 (d, 3JH-H = 8.1 Hz, 4H), 7.46 (d, 3Jvinyl-H-H = 16.5 Hz, 2H), 7.42 (d, 3JH-H = 5.1 Hz, pyridine, 2H), 7.39 (d, 3JH-H = 7.8 Hz, 4H), 7.12 (d, 3Jvinyl-H-H = 16.5 Hz, 2H), 7.09 (d, 3Jvinyl-H-H = 16.2 Hz, 2H), 6.88 (d, 3Jvinyl-H-H = 16.2 Hz, 2H), 6.63 (d, 3JH-H = 7.8 Hz, 4H),3.30 (t, 8H), 1.58 (m, 8H), 1.37 (m, 8H), 0.97 (t, 12H); 13C{1H} NMR (CDCl3): 156.6, 149.7, 148.1, 146.1, 139.1, 134.5, 133.3, 129.7, 128.1, 127.5, 126.4, 125.3, 124.3, 123.0, 121.1, 118.3, 111.7, 50.9, 29.6, 20.5, 14.2. Anal. Calcd. for C58H66N4: C, 85.04; H, 8.12. Found : C, 84.90; H, 8.02.
차. D5
상기 아의 4번 화합물 리간드(0.20 g, 0.40 mmol)와 다이클로로(p-사이멘)루테늄(II) 다이머(0.12 g, 0.20 mmol)를 DMF로 녹이고 그 용액을 8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4'-다이카르복실릭 에시드-2,2'-바이피리딘(0.097 g, 0.40 mmol)을 적가한 후 16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이 용액에 암모늄사이오시아네이트(0.91, 11.96 mmol)를 넣고 13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 하에서 용매를 건조하고 물(200 mL)을 넣고 화합물을 침전시켰다.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거르고 대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이 침전물을 다시 메탄올에 녹인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1.2 mmol을 적가하여 녹이고, 녹인 용액은 Sephadex LH-20을 이용하여 메탄올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염료 용액은 묽은 질산 용액을 첨가하여 다시 염료 침전물을 얻은 후 거름종이로 분리하였다. 진한보라색 분말. 1H NMR (DMSO): 9.47 (d, JH-H = 8.1 Hz, 1H), 9.09 (d, JH-H = 7.8 Hz, 1H,), 9.05 (s, 1H), 8.93 (s, 1H), 8.88 (s, 1H), 8.75 (s, 1H), 8.63 (d, JH-H = 8.1 Hz, 1H), 8.26 (d, JH-H = 7.8 Hz, 1H), 8.0 ~ 6.5 (m, 16H), 3.30 (m, 4H), 2.08 (s, 3H), 1.53 (m, 4H), 1.30 (m, 4H), 0.92 (m, 6H). Anal. Calcd. for C49H47N7O4RuS2 : C, 61.10; H, 4.92. Found : C, 60.98; H, 4.87.
카. D6
상기 자의 5번 화합물 리간드(0.135 g, 0.165 mmol)와 다이클로로(p-사이멘)루테늄(II) 다이머(0.050 g, 0.082 mmol)를 DMF로 녹이고 그 용액을 8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4'-다이카르복실릭 에시드-2,2'-바이피리딘(0.040 g, 0.165 mmol)을 적가한 후 16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이 용액에 암모늄사이오시아네이트(0.91, 11.96 mmol)를 넣고 13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 후 진공 하에서 용매를 건조하고 물(200 mL)을 넣고 화합물을 침전시켰다.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거르고 대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이 침전물을 다시 메탄올에 녹인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94 mmol을 적가하여 녹이고, 녹인 용액은 Sephadex LH-20을 이용하여 메탄올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염료 용액은 묽은 질산 용액을 첨가하여 다시 염료 침전물을 얻은 후 거름종이로 분리하였다. 진한보라색 분말. 1H NMR (DMSO): 9.43 (d, JH-H = 8.1 Hz, 1H), 9.15 (d, JH-H = 7.8 Hz, 1H,), 9.00 (s, 1H), 8.86 (s, 1H), 8.55 (s, 1H), 8.35 (s, 1H), 8.1 ~6.5 (m, 30H), 3.29 (m, 8H), 1.51 (m, 8H), 1.29 (m, 8H), 0.92 (m, 12H). Anal. Calcd. for C72H74N8O4RuS2 : C, 67.53; H, 5.82. Found : C, 67.41; H, 5.80.
[실시예 2]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제조
태양전지는 Dyesol 티타니아 페이스트(Dyesol Ltd., Australia)로 제조한 TiO2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때 Dyesol 페이스트는 티타니움(Ⅳ)이소프로록사이드로 전처리된 FTO 유리기판 위에 닥터 블레이드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FTO 위의 페이스트는 450 ℃에서 30분간 소성하여 13 ㎛ 두께의 TiO2 박막층을 형성하였다. 소성된 박막층은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DMF를 용매로 한 0.5 mM 농도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D5가 용해된 염료용액에 담지시켰다. 담지된 염료코팅박막은 미결합된 염료를 제거하기 위하여 3시간 동안 DMF 용액에 침지시키고, 이후 DMF를 제거하기 위하여 3일 동안 에탄올 용액에 침지시켰다. 염료가 코팅된 TiO2 박막은 에탄올로 헹구고, 이후 통상의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따라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 때 태양전지에 사용된 레독스 전해질 용액은 용매를 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로하여 0.05 M I2, 0.1 M LiI, 0.6 M 1,2-디메틸-3-헥실이미다졸리움 요오드와 0.5 M 4-tert-부틸피리딘을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1-5]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되, D5 염료를 대신하여 각각 D6, N3([Ru-(dcbpyH2)2(NCS)2], 여기서 dcbpyH는 4,4'-dicarboxy-2,2'- bipyridine), D13, D14, D15 및 D16을 염료로 사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12849397-pat00017
상기 제조된 태양전지의 광전자화학특성(photo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PCE 지수, 흡광 스펙트럼 및 몰 흡광계수를 측정하여 도 1, 도 2,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1에는 Jsc(short-circuit photocurrent density), Voc(open circuit voltage), FF(fill factor), 광전자 전환효율(η)을 측정하여 나타내었으며, 표 2에는 흡광피크 및 몰 흡광계수를 나타내었다.
태양전지의 광전자화학특성은 Keithley M 236 소스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광원으로는 AM 1.5 필터(Oriel)가 구비된 300 W Xe 램프를 이용하였고, 전극크기는 0.4 × 0.4 cm2, 빛의 세기는 1 sun(100 mW/cm2)으로 하였다. 빛의 세기는 Si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IPCE 지수는 PV Measurement 사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용액과 TiO2 필름에서의 염료의 흡광 스펙트럼들을 측정은 HP 8453A 다이오드 어레이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사용하였다.
[표 1]
염료 Jsc(mA/cm2) Voc(V) FF η(%)
N3 9.80 0.63 0.66 4.1
D5 10.8 0.63 0.68 4.6
D6 11.7 0.63 0.66 4.8
D13 3.39 0.58 0.70 1.4
D14 4.43 0.58 0.67 1.7
D15 3.79 0.58 0.66 1.5
D16 2.36 0.54 0.56 0.72
도 1은 본 발명의 염료인 D5, D6과 N3 염료를 담지시켜 제조한 태양전지의 J-V 커브 및 IPCE(%)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D5, D6은 N3에 비하여 커브가 전 파장에 걸쳐 높음을 알 수 있으며, 광에너지 전환효율이 각각 4.6% 및 4.8%로 N3의 4.3에 비하여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루테늄계 염료는 종래 태양전지에 널리 사용되던 N3 염료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효율을 가지는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2]
염료 λmax(nm) (εmax(104 M-1cm-1))
N3 385(1.36), 533(1.33)
D5 441(4.03), 527(2.60)
D6 449(7.85), 539(3.43)
D13 453(1.61)
D14 463(1.99), 532(1.76)
D15 452(2.16)
D16 471(4.54), 555(2.67)
또한 도 2의 (a), (b), (c)는 각각 D5, D6 및 N3을 5.0 × 10-6 M 농도의 DMF 용액, DMF 용액에서 0.5 nm의 농도로 코팅한 7 ㎛의 두께의 TiO2 필름, 및 상기 필름을 10 mM KOH 수용액에 3일 동안 담가 염료를 제거한 후의 흡광 스펙트럼을 측정한 것으로, 도 2a(용액 스펙트라) 및 도 2b(필름 스펙트라)를 및 표 2를 통하여 필름에 D5와 N3이 거의 대등한 양으로 필름에 흡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D6은 N3과 비교하여 약 73%의 몰이 필름에 흡착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b 및 도 2c는 TiO2 표면으로부터 N3은 완전히 제거되었음에 비하여 D5 및 D6은 각각 84%, 및 77% 만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원발명의 D5 및 D6이 N3에 비하여 TiO2 표면에 강하게 흡착하여 태양전지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D5, D6의 R인 부틸을 메틸, 에틸, 프로필로 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료를 제조한 결과 상기 D5 및 D6와 대등한 정도의 광전지 변환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와의 결합력에 있어서도 대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는 종래의 염료보다 현저히 향상된 광전기 변환 효율을 나타내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Jsc(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와 몰 흡광계수가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Ru)계 염료:
    [화학식 1]
    Figure 112007012849397-pat00018
    상기 화학식 1에서 a1 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또한 X,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X와 Y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화학식 2]
    Figure 112007012849397-pat00019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b1 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또한 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들 중 하나인 루테늄(Ru)계 염료.
    Figure 112010040620119-pat00032
  3. 하기 화학식 4 또는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6 및 화학식 7의 화합물과 순차적으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루테늄(Ru)계 염료의 제조방법:
    [화학식 3]
    [RuCl2(p-cymene)]2
    [화학식 4]
    Figure 112010040620119-pat00021
    [화학식 5]
    Figure 112010040620119-pat00022
    [화학식 6]
    Figure 112010040620119-pat00023
    [화학식 7]
    NH4NCS
    [화학식 1]
    Figure 112010040620119-pat00033
    상기 화학식에서 a1 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b1 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치환기로는 할로겐 원자, 아미드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또는 아실기일 수 있으며, 또한 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이며, 또한 X,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X와 Y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40620119-pat0003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하기 반응식의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Ru)계 염료의 제조방법:
    [반응식]
    Figure 112010040620119-pat00035
    상기 반응식에서 4, 5는 각각 화학식 4 및 화학식 5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5. 제1항 기재의 염료로 담지시킨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포섭화합물의 존재하에 염료를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가 이산화티탄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1 ∼ 5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9. 제5항 기재의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태양전지는 전도성 투명 기판 위에 산화티타늄 페이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페이스트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하여 산화티타늄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티타늄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가 용해된 혼합용액에 함침시켜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 상부에 대전극이 형성된 제2의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단계, 제2 유리기판 및 대전극을 관통하는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전극 및 상기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에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두고, 가열 압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대전극 및 산화티타늄 필름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홀을 통하여 대전극과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 기 열가소성 고분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KR1020070014480A 2007-02-12 2007-02-12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6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80A KR100996236B1 (ko) 2007-02-12 2007-02-12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07/001206 WO2008099986A1 (en) 2007-02-12 2007-03-13 Noble ruthenium-type sensitize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200780051263A CN101663360A (zh) 2007-02-12 2007-03-13 贵金属钌型敏化剂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80A KR100996236B1 (ko) 2007-02-12 2007-02-12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381A KR20080075381A (ko) 2008-08-18
KR100996236B1 true KR100996236B1 (ko) 2010-11-23

Family

ID=3969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480A KR100996236B1 (ko) 2007-02-12 2007-02-12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6236B1 (ko)
CN (1) CN101663360A (ko)
WO (1) WO2008099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9452A (zh) * 2010-11-01 2013-07-03 株式会社东进世美肯 新型钌系染料及其制造方法
DE102010054525A1 (de) * 2010-12-15 2012-04-26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KR101051111B1 (ko) * 2011-02-10 2011-07-22 (주)솔라시스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함유하는 태양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044A (ja) 1999-11-22 2001-06-05 Fuji Photo Film Co Ltd 色素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化合物を含む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2001226607A (ja) 2000-02-18 2001-08-21 Fuji Photo Film Co Ltd ルテニウム錯体色素、光電変換素子および光電池
EP1176618A1 (en) 2000-07-25 2002-01-30 Fuji Photo Film Co., Ltd. Metal complex dy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photoelectric cell
EP1213776A2 (en) 2000-12-08 2002-06-12 Fuji Photo Film Co., Ltd. Metal complex dye for a dye sensitized solar cel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331B1 (ko) * 2005-04-2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스틱 전극 및 이를 채용한 태양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044A (ja) 1999-11-22 2001-06-05 Fuji Photo Film Co Ltd 色素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化合物を含む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2001226607A (ja) 2000-02-18 2001-08-21 Fuji Photo Film Co Ltd ルテニウム錯体色素、光電変換素子および光電池
EP1176618A1 (en) 2000-07-25 2002-01-30 Fuji Photo Film Co., Ltd. Metal complex dy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photoelectric cell
EP1213776A2 (en) 2000-12-08 2002-06-12 Fuji Photo Film Co., Ltd. Metal complex dye for a dye sensitized solar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3360A (zh) 2010-03-03
KR20080075381A (ko) 2008-08-18
WO2008099986A1 (en)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024B1 (ko)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Wu et al. D–π–M–π–A structured platinum acetylide sensitizer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R100969675B1 (ko) 신규한 엔-아릴카바졸 잔기-함유 유기염료 및 이의제조방법
EP1628356B1 (en) Dye-sensitize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KR101008226B1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5003871B2 (ja) 二核金属錯体、金属錯体色素、光電変換素子、及び光化学電池
KR101320999B1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1426A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0403B1 (ko) 벤조티아다이아졸 발색부-함유 신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2308B1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4338981B2 (ja)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KR20100136931A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4230228B2 (ja)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KR100996236B1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9676B1 (ko) 신규한 줄로리딘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3248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루테늄계 염료
EP2386607A2 (en) Novel organic dye containing trialkoxysilyl group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00128096A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8258A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8094A (ko) 신규한 줄로리딘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3863A (ko) 신규한 유기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8255A (ko) 신규한 스파이로바이플루오렌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0491B1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3658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스쿠아레인계 염료
KR20130080998A (ko) 플루오렌 유도체 및 그의 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