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008B1 -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 - Google Patents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008B1
KR100994008B1 KR1020080103294A KR20080103294A KR100994008B1 KR 100994008 B1 KR100994008 B1 KR 100994008B1 KR 1020080103294 A KR1020080103294 A KR 1020080103294A KR 20080103294 A KR20080103294 A KR 20080103294A KR 100994008 B1 KR100994008 B1 KR 10099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ember
distance
optical sensor
integrated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007A (ko
Inventor
강기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008B1/ko
Priority to US12/533,399 priority patent/US8723101B2/en
Publication of KR2010004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14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59Light-sensitive detector, e.g. photo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더욱 세분화된 외부방향들로의 이동조작이 가능하고, 회전 및 푸시조작이 가능한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조작부재; 및 상기 반사부와의 이격거리,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여부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평면상의 위치좌표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를 포함한다.
통합키, 광센서, 위치이동, 상하이동, 감지, 스위치, 엘모스, ELMOS

Description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Integrated key using optical sensor}
본 발명은 키의 회전, 푸시, 전후좌우 이동 등을 감지하는 통합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8방향 버튼은 전후좌우 버튼 및 4개의 대각선방향 버튼이 마련되어 8방향으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장치다. 상기 8방향 버튼은 전후좌우 및 각 대각선방향 등의 8가지 방향에 대한 버튼으로만 조작할 수 있으나 최근 네비게이션, 게임 등에서 8가지 방향뿐만 아니라 중심점을 기준으로 더욱 세분화된 외부방향으로의 이동조작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더욱 세분화된 외부방향들로의 이동조작이 가능하고, 회전 및 푸시조작이 가능한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조작부재; 및 상기 반사부와의 이격거리,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여부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평면상의 위치좌표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재의 가이드부를 감싸며 상기 조작부재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의 가이드부를 감싸는 본체;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홈; 상기 홈에 삽입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에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이동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 상기 복수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수축 또는 팽창력에 따라 상기 조작부재를 중심점에서 외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조작부재가 다양 한 위치좌표 값을 갖게 하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회전 운동하는 회전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광센서부는 패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 상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와의 이격거리 측정을 통해 상기 조작부재의 상하운동을 감지하고, 상기 조작부재 반사판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 상의 테두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와의 이격거리, 상기 회전감지센서와 조작부재와의 이격거리 및 상기 본체의 가로/세로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좌표 값을 산출함으로써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위치측정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는 조작부재의 반사부와의 이격거리, 회전여부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좌표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재의 더욱 세분화된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측정가능하게 하여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장치에의 세밀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100)의 정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100)는 하우 징(10), 조작부재(20), 지지부재(30) 및 광센서부(40) 등을 포함한다.
이하 구성요소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1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는 일부에 개구부(14)가 형성되고 측면 및 바닥면은 밀폐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에는 조작부재(20)가 삽입되는 지지부재(3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는 중앙부에 조작부재(20)의 하단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8)은 상기 조작부재(20)의 하단부가 조작부재(20)의 위치좌표 값(x, y)에 대한 광센서부(40)의 측정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부재(20)의 위치좌표 값(x, y)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 해당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의 상부에는 지지부재(30)의 저면에 설치된 상하이동편(32b)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32b)의 상하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홈(16)이 형성된다.
한편 조작부재(20)는 손잡이(21), 반사부(23a) 및 가이드부(22) 등을 포함한다.
손잡이(21)는 조작부재(20)의 상측에 형성되되, 사용자가 파지하여 중심점에서 외부방향으로의 이동조작, 회전조작 및 푸시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반사부(23a)는 상기 조작부재(20)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쪽 반지름 및 다른 쪽 반지름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반원문양이 서로 대칭 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원문양은 그레이 컬러로 도포된다.
한편 가이드부(22)는 상기 손잡이(21) 및 반사부(23a)의 사이에서 중심점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22-1, 22-2)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22-1, 22-2)에는 각각 탄성체(22a) 및 회전체(22b)가 수용되며, 상기 회전체(22b)는 홈(22-1, 22-2)의 입구부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편(22c)에 의해 홈의 외부로 일부만 노출되며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부(22)의 회전체(22b)는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상기 가이드부(22)의 회전체(22b)는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조작부재(20)의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22)의 회전체는 홈에서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20)의 중심점방향에서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지지부재(3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1통공(30a) 및 제2통공(30b)이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지지부재(30)의 본체의 수용공간에는 조작부재(20)의 가이드부(22)가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재(20)의 손잡이(21)는 제1통공(30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조작부재(20)의 하단은 제2통공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10)의 관통공(18)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0)의 본체의 저면부에는 복수의 홈(32-1, 32-2)과, 상기 복수의 홈(32-1, 32-2)에 삽입되는 탄성체(32a)와, 상기 탄성체(32a)에 의해 상 하 운동하고 상기 하우징(10)의 가이드 홈(16)에 가이드 되는 상하이동편(32b) 및 상기 상하이동편(32b)을 홈에서 이탈 방지하는 지지편(32c)이 마련된다.
한편 광센서부(40)는 상기 조작부재(20)의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부(23a)와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광센서부(40)는 ELMOS 사의 광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20)의 반사부(23a)와의 이격거리, 회전여부 또는 상기 조작부재(20)의 위치좌표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센서부(40) 및 조작부재(20)의 하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센서부(40)는 본체(41),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 및 위치측정센서(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41)는 정사각형의 패널로 형성되어, 상부에 마련되는 거리측정센서 및 위치측정센서(44)를 지지한다.
상기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는 본체(41)의 중앙부에 한 개 설치된다. 이러한 거리측정센서는 발광부(미도시), 수광부(미도시) 및 거리측정부(미도시), 회전감지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발광부는 설정 주기 간격으로 조작부재(20)의 하단부의 반사부(23a)로 빛을 발광한다.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광되고 반사부(23a)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광센서부(40)의 거리측정부가 광센서부(40)와 조작부재(20) 하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수광된 빛의 왕복속도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40)와 조작부재(20) 하단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에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조작부재(20)가 푸시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푸시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회전감지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빛의 파동을 분석하여 상기 조작부재(20)의 회전여부를 감지한다.
이하 회전감지부가 빛의 파동을 분석하여 상기 조작부재(20)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조작부재(20)의 반사부(23a)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가 조작부재(20)의 회전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반사부(23a)는 한쪽 반지름 및 다른 쪽 반지름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반원문양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발광부는 동일한 직경 상에서 두 포인트 즉 P1 및 P2에 동시에 서로 주파수가 상이한 빛을 발광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부(23a)가 제1위치(state1, 도 4a)에 위치할 경우 상기 P1 및 P2에는 반달문양이 존재하지 않아 P1 및 P2에 빛을 발광하면 수광부로 수광된 광은 P1 및 P2가 모두 반달문양을 접촉하지 않은 파형으로 분석된다.
한편 반사부(23a)가 제2위치(state2, 도 4b)에 위치할 경우 상기 P1 및 P2에는 모두 반달문양이 존재하여 P1 및 P2에 빛을 발광하면 수광부로 수광된 광은 P1 및 P2가 모두 반달문양을 접촉한 파형으로 분석된다.
한편 반사부(23a)가 제3위치(state3, 도 4c)에 위치할 경우 상기 P1에는 반달문양이 존재하고 P2에는 반달문양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P1 및 P2에 빛을 발광하면 수광부로 수광된 광은 P1은 반달문양을 접촉한 파형으로 분석되고 P2는 반달문양을 접촉하지 않은 파형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감지부는 P1 및 P2의 빛의 파형을 설정 주기 간격으로 분석하여 조작부의 파형이 state1→state2→state3→state1로 변화하면 상기 조작부재(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상기 감지신호는 state1에서 state2가 되는 순간, state3이 되는 순간 및 tate1이 되는 순간에 따라 설정된 회전각도에 따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23a)의 반달문양의 개수를 더 증가시켜 상기 조작부재(20)의 회전각도를 더욱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감지부는 P1 및 P2의 파형을 설정 주기 간격으로 분석하여 조작부의 파형이 state1→state3→state2→state1로 변화하면 상기 조작부재(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상기 감지신호는 state1에서 state3이 되는 순간, state2가 되는 순간 및 state1이 되는 순간에 따라 설정된 회전각도에 따라 발생시킨다.
한편 위치측정센서(44)는 바람직하게는 본체(41)의 테두리에 각각 설치된 4쌍의 발광부(미도시), 수광부(미도시) 및 거리측정부(미도시)와, 하나의 위치계산 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4개의 발광부는 설정 주기 간격으로 조작부재(20)의 하단부의 반사부(23a)로 서로 상이한 주파수의 빛을 발광한다. 한편 상기 4개의 수광부는 각 발광부에 의해 발광되고 반사부(23a)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한다. 한편 거리측정부는 4개의 발광부에서 각각 발광되고 4개의 수광부에서 각각 수광한 빛의 왕복속도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40)와 조작부재(20) 하단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위치계산부가 조작부재(20)의 위치를 계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계산부는 상기 4개의 위치측정센서(44)의 거리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각 발광부와 조작부재(20) 하단과의 대각선 거리(ⓐⓑⓒⓓ), 상기 회전감지부 및 조작부재(20)와의 기본적으로 설정된 이격거리(ⓗ) 및 상기 본체(41)의 가로 및 세로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재(20)의 위치좌표 값(ⓧ,ⓨ)을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즉 a2 = h2 + x2 + y2, b2 = h2 + x2 + (L-y)2, c2 = h2 + (L-x)2 + (L-y)2, d2 = h2 + (L-x)2 + y2가 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위치계산부가 조작부재(20)의 다양한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치를 계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계산부는 조작부재(20)의 다양한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치좌표 값(ⓧ,ⓨ)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예1)- 푸시동작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조작부재(20)의 손잡이(21)가 사용자로부터 가압되면 상기 지지부재(30)의 저면부에 설치된 상하이동편(32b)이 탄성체(32a)를 수축시키며 홈(32-1)으로 이동되며 상기 조작부재(20)의 하단이 광센서부(40)의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에 접근한다.
이어서 상기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의 거리측정부는 발광부에 의해 발광되고 반사부(23a)에 의해 반사된 빛의 왕복속도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40)와 조작부재(20) 하단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어서 상기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의 거리측정부는 상기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조작부재(20)가 푸시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푸시동작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우선 조작부재(20)의 손잡이(21)가 사용자로부터 가압 해제되면 기 지지부재(30)의 저면부에 설치된 상하이동편(32b)이 탄성체(32a)의 팽창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조작부재(20)의 손잡이(21)를 본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실시예2)- 회전동작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조작부재(20)의 가압부가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조작부재(20)의 가이드부(22)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20)가 지지부재(30)의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지지부재(3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이어서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의 회전감지부는 상기 수광부가 설정 주기 간격으로 수광한 P1 및 P2의 빛의 파형의 파동을 분석하여 조작부의 파형이 state1→state2→state3→state1로 변화하면 상기 조작부재(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의 회전감지부는 state1에서 state2가 되는 순간, state3이 되는 순간 및 tate1이 되는 순간마다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state 별 설정이동각도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의 회전감지부는 상기 수광부가 설정 주기 간격으로 수광한 P1 및 P2의 빛의 파형의 파동을 분석하여 조작부의 파형이 state1→state3→state2→state1로 변화하면 상기 조작부재(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의 회전감지부는 state1에서 state3이 되는 순간, state2가 되는 순간 및 state1이 되는 순간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state 별 설정이동각도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실시예3)- 위치이동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조작부재(20)의 가압부가 사용자에 의해 중심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조작부재(20)의 가이드부(22)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20)가 지지부재(30)의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어서 위치측정센서(44)의 거리측정부는 4개의 발광부에서 각각 발광되고 4개의 수광부에서 각각 수광된 빛의 왕복속도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40)와 조작부재(20) 하단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어서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42)의 위치계산부는 상기 4개의 위치측정센서(44)의 거리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각 발광부와 조작부재(20) 하단과의 대각선 거리(ⓐⓑⓒⓓ), 상기 회전감지부 및 조작부재(20)와의 기 설정된 이격거리(ⓗ) 및 상기 본체(41)의 가로 및 세로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재(20)의 위치좌표 값(ⓧ,ⓨ)을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위치계산부는 조작부재(20)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치좌표 값(ⓧ,ⓨ)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센서부 및 조작부재의 하단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센서부의 거리측정부가 광센서부와 조작부재 하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조작부재의 반사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가 조작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위치계산부가 조작부재의 위치를 계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위치계산부가 조작부재의 다양한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치를 계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5)

  1.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조작부재; 및
    상기 반사부와의 이격거리,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여부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평면상의 위치좌표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부를 포함하는 통합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가이드부를 감싸며 상기 조작부재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합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의 가이드부를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홈;
    상기 홈에 삽입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이동편을 포함한 통합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
    상기 복수의 홈에 각각 삽입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수축 또는 팽창력에 따라 상기 조작부재를 중심점에서 외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조작부재가 다양한 위치좌표 값을 갖게 하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회전 운동하는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통합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패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 상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와의 이격거리 측정을 통해 상기 조작부재의 상하운동을 감지하고, 상기 조작부재 반사판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거리 및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 상의 테두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와의 이격거리, 상기 회전감지센서와 조작부재와의 이격거리 및 상기 본체의 가로/세로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좌표 값을 산출함으로써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위치측정센서를 포함하는 통합키.
KR1020080103294A 2008-10-21 2008-10-21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 KR10099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94A KR100994008B1 (ko) 2008-10-21 2008-10-21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
US12/533,399 US8723101B2 (en) 2008-10-21 2009-07-31 Integrated movement sensing key with a reflection unit comprising semicircle motif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94A KR100994008B1 (ko) 2008-10-21 2008-10-21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07A KR20100044007A (ko) 2010-04-29
KR100994008B1 true KR100994008B1 (ko) 2010-11-11

Family

ID=4210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294A KR100994008B1 (ko) 2008-10-21 2008-10-21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23101B2 (ko)
KR (1) KR100994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41B1 (ko) * 2013-09-17 2015-03-12 (주)코텍 화상출력부를 구비하는 조절 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4040B2 (en) * 2015-09-25 2019-10-15 Apple Inc. Crown with three-dimensional input
DE102019220005A1 (de) * 2019-12-18 2021-06-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ehsteller mit einer optischen Erfassung der Dreh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39B1 (ko) * 2005-07-28 2007-04-24 포스텍전자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9673A (en) * 1963-04-30 1966-03-08 Honeywell Inc Photosensitive device for determining relative rotation
JPH06111695A (ja) 1992-09-29 1994-04-22 Pioneer Electron Corp ジョグダイヤル状スイッチ
US5943233A (en) * 1994-12-26 1999-08-24 Sharp Kabushiki Kaisha Input device for a computer and the lik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NO300943B1 (no) * 1995-04-03 1997-08-18 Steinar Pedersen Redskap for posisjonering og kontroll av objekter i to eller tre dimensjoner
JPH08287779A (ja) 1995-04-11 1996-11-01 Mic Electron Co ビデオのジョグ・シャトルスイッチ
GB2312685A (en) * 1996-04-30 1997-11-05 Thomas Isaac Passmore Bobbin thread payoff detection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6121955A (en) * 1997-08-06 2000-09-19 Primax Electronics Ltd. Computer joystick having two optical sensors for generating vector signals
JP2000299034A (ja) 1999-04-14 2000-10-24 Nidec Copal Corp スイッチ付きロータリエンコーダ
JP2003068161A (ja) 2001-08-24 2003-03-07 Nec Kansai Ltd Elパネル及びelパネル付きキースイッチ
KR100645246B1 (ko) 2004-10-15 2006-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JP2006323692A (ja) 2005-05-19 2006-11-30 Smk Corp ジョグ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39B1 (ko) * 2005-07-28 2007-04-24 포스텍전자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41B1 (ko) * 2013-09-17 2015-03-12 (주)코텍 화상출력부를 구비하는 조절 노브
WO2015041426A1 (ko) * 2013-09-17 2015-03-26 (주)코텍 화상출력부를 구비하는 조절 노브
US9911556B2 (en) 2013-09-17 2018-03-06 Kortek Corporation Control knob having image output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23101B2 (en) 2014-05-13
KR20100044007A (ko) 2010-04-29
US20100096537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7093B1 (en)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an object
EP1850210B1 (en) Opto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relative movements or relative positions of two objects
JP4018627B2 (ja) 位置及び運動を検出するための光電装置及びその方法
US10489669B2 (en) Sensor utilising overlapping signals and method thereof
WO2005055031A3 (en) Light emitting stylus and user input device using same
JP200853358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と相互作用する複数オブジェクトの位置・大きさ・形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701095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KR100994008B1 (ko) 광센서를 이용한 통합키
JP2007071564A (ja) 光学式触覚近接センサ
JP2009134761A (ja) 非接触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US7826310B2 (en) Acoustic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movement of a navigation device
KR20170070201A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기적 디바이스에 의해 탐지되는 공간적 구조를 위한 장난감 조립 시스템 및 방법
JP2006344195A (ja) 静電容量式の座標検出装置
JP2020067668A (ja) 入力システム
TWM451589U (zh) 光學感測式輸入裝置
CN106462298A (zh) 模块和用于运行模块的方法
KR101151046B1 (ko) 스위치 장치
KR101116998B1 (ko) 스위치 장치
CN110879664B (zh) 键盘
KR100339923B1 (ko) 광을 이용한 좌표 입력 장치 및 좌표 인식 방법
JPH0638224B2 (ja) 光学式トランスレータ装置
RU2666320C2 (ru) Световой отражательный адаптивный датчик касания
KR101116997B1 (ko) 스위치 장치
JP2606693Y2 (ja) 操作スイッチ装置
KR101602601B1 (ko) 피에조 효과를 이용한 롱키와 멀티키 인식이 가능한 터치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