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286B1 -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 Google Patents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286B1
KR100991286B1 KR1020080050213A KR20080050213A KR100991286B1 KR 100991286 B1 KR100991286 B1 KR 100991286B1 KR 1020080050213 A KR1020080050213 A KR 1020080050213A KR 20080050213 A KR20080050213 A KR 20080050213A KR 100991286 B1 KR100991286 B1 KR 10099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cking
spreader
sprock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171A (ko
Inventor
구재회
Original Assignee
구재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재회 filed Critical 구재회
Priority to KR102008005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2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적이나 하역시에 사용되는 스프레더와 관련되는 것이며, 특히 크레인과 연결되어 컨테이너를 구속하게 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에 관한 것으로서 록킹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메인스프레더의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핀챔버와; 상기 결합핀챔버 하부에 연결되며 제1스프라켓이 구비되고 하단부는 설치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 하부에 상단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록킹아암으로부터 돌출되는 록킹핀이 형성되는 록킹샤프트와; 어느 일측의 록킹샤프트 상단 부근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프라켓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원웨이클러치박스와;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받을 수 있도록 타측 록킹샤프트 부근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 및 기어박스와 상기 록킹샤프트를 연결하게 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웨이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제1샤프트만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상기 제1샤프트와 록킹샤프트의 회전이 동시에 연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에 관한 것이다.
오버하이트, 컨테이너, 스프레더, 보조스프레더, 원웨이클러치, 록킹샤프트

Description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Support spreader for over-height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적이나 하역시에 사용되는 스프레더와 관련되는 것이며, 특히 크레인과 연결되어 컨테이너를 구속하게 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에 관한 기술이다.
국제적인 교역의 활성화로 컨테이너에 화물을 넣어서 선박을 이용한 운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항공기나 기차, 차량을 통한 컨테이너의 운송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선박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컨테이너는 그 용량에 따라 보통 20피트급 또는 40피트급으로 구분되며 화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가 사용된다. 흔히, 오버하이트 컨테이너라고 하는 것은 그 높이가 일반적인 컨테이너보다도 높은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1은 일반적으로 항만 등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 선적 혹은 하역작업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장치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과 직접 연결되는 메인스프레더(4)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스프레더(4) 하부에 보조스프레더(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프레더(10) 하측에 컨테이너(5)를 구속시켜서 상기 컨테이너를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한다. 크레인의 운전석에는 운전자가 탑승하게 되며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항만에서의 컨테이너 화물처리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은 작업자의 숙련도나 관련장비의 성능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 화물은 상당한 무게를 가지므로 하역이나 선적 작업시 사소한 실수를 범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 화물이 스프레더에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크레인을 움직이게 되면 상기 컨테이너가 이동 중 낙하하게 되어 주변 작업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컨테이너 화물처리는 가급적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는 두가지 해결과제를 안고 있다.
기존에 알려진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로는 유압을 이용하여 메인스프레더, 보조스프레더 및 컨테이너를 연결하거나 연결해제하도록 하는 기술이 있었다. 하지만 유압을 이용하는 경우 복잡한 유압회로가 형성되어야 하고 그 외 부수하는 장치가 많이 요구되므로 제작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유압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여러 번 반복적인 조작이 필요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유압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것을 모르고 운전자가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경우가 많아 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큰 문제점도 있었다.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압식이 아닌 완전 기계식으로 동작되어 보조스프레더에 컨테이너를 연결하도록 하거나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원웨이클러치를 도입하여 레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만을 연결할 수도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 컨테이너와 보조스프레더가 연결이 된 경우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공하고자 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센터가이드로부터 출몰되어 거리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빔이 형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빔에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록킹아암이 결합되고 상단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록킹플레이트를 통해서 메인스프레더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메인스프레더의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핀챔버와; 상기 결합핀챔버 하부에 연결되며 제1스프라켓이 구비되고 하단부는 설치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 하부에 상단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록킹아암으로부터 돌출되는 록킹핀이 형성되는 록킹샤프트와; 어느 일측의 록킹샤프트 상단 부근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프라켓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원웨이클러치박스와;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받을 수 있도록 타측 록킹샤프트 부근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 및 기어박스와 상기 록킹샤프트를 연결하게 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웨이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제1샤프트만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상기 제1샤프트와 록킹샤프트의 회전이 동시에 연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는 상기 제1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제2샤프트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의 회전을 클러치수단을 거쳐서 전달받게 되며 상기 기어박스로 그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제3스프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스프라켓이 설치되는 제3샤프트의 하단부에 상기 링크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제3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4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는 제4샤프트의 하단부에 반대측 링크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3샤프트 또는 제4샤프트와 연결되는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록킹샤프트와 결합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링크플레이트 및 연결블럭을 이어주는 링크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아암에는 록킹핀이 컨테이너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디케이터는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서 운전자가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디케이터는 3개 이상의 상이한 램프로 구성되어 켜지는 램프의 색을 통하여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는 컨테이너 처리작업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메인스프레더와 연결되는 보조스프레더 내부의 작동부를 기계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즉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지연을 없앨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첨부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구체화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임을 지적하며 타인에 의한 단순한 변형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3은 정면도이며, 도4는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으로 보조스프레더는 센터가이드(1)를 갖추며 상기 센터가이드로부터 텔러스코픽 형식으로 출몰되어 거리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빔(2)이 구비된다. 상기 각 가이드빔(2)에는 록킹아암(100)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아암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대략 ∏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보조스프레더를 이루는 록킹아암(100)의 상면 끝단부 모서리에서 메인스프레더의 결합핀(미도시)이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아암(100)의 상단 단부에는 록킹플레이트(110)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110)는 상하로 개구되는 결합핀홀(115)이 구비된다.
상기 각 록킹플레이트(110) 하부에는 상기 결합핀의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결합핀챔버(120)가 배치되며, 상기 결합핀챔버(120) 하부에는 제1샤프트(1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샤프트(130)는 고정되는 설치플레이트(14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샤프트(130)에는 또한 제1스프라켓(sp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설치플레이트(140)를 기준으로 그 하부로 록킹샤프트(150)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록킹샤프트(150)의 하단부에는 록킹핀(151)이 결합된다. 상기 록킹핀(151)은 록킹아암(100) 하단부보다 돌출되는 것이며 상기 록킹샤프트(150)는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설치플레이트(140)는 고정되되, 그 위에는 회전되는 제1샤프트(130)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회전가능한 록킹샤프트(15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샤프트(130)와 록킹샤프트(150)는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원웨이클러치박스(160), 기어박스(170) 및 링크기구(180)가 활용된다. 특히 상기 제1샤프트(130)는 단독으로 회전될 필요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샤프트(130)와 록킹샤프트(150)가 동시에 연동되어 회전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각각의 록킹아암(100)에 구비되는 2개의 록킹샤프트(150) 중 어느 일측 록킹샤프트 상단 부근에 원웨이클러치박스(160)를 두도록 하며, 타측 록킹샤프트 상단 부근에는 기어박스(170)를 두도록 한다.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160)는 제1샤프트(130)에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sp1)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며, 또한 원웨이클러치박스(160)로 전달된 회전력은 기어박스(170)로도 전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와 기어박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160)는 하우징(161)을 갖추고 그 내부에 제2샤프트(162)와 제3샤프트(163) 및 한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클러치수단(164)이 구비된다.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클러치(164)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샤프트(162)는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61)에 설치되는데 그 상단부에 는 제2스프라켓(sp2)이 결합되며 상기 제2스프라켓(sp2)은 체인(c)으로 상기 제1스프라켓(sp1)과 연결된다. 상기 제1샤프트(130)의 회전력은 제2스프라켓(sp2)에 의해 제2샤프트(162)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제2샤프트(162)와 인접하여 제3샤프트(163)가 설치되며 상기 제3샤프트(163) 상단부에는 제3스프라켓(sp3)이 연결된다. 상기 제2샤프트(162)와 제3샤프트(163)간의 회전력 전달 및 차단을 위해 클러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2샤프트(162)가 동력전달이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3샤프트(163)도 회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2샤프트(162)가 동력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3샤프트(163)로는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3스프라켓(sp3)을 통해서 기어박스(170)로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상기 기어박스(170)는 하우징을 갖추며 제4샤프트(171)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제4스프라켓(sp4)이 결합되어 체인(c)을 이용하여 상기 제3스프라켓(sp3)과 제4스프라켓(sp4)간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샤프트(163)와 제4샤프트(171) 하단부에는 링크기구(180)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링크기구(180)의 타단부는 각각의 록킹샤프트(150)에 연결되어 록킹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링크기구(180)는 원웨이클러치박스(160) 및 기어박스(170)를 록킹샤프트(150)와 연결시키는 수단이 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기구(180)는 크게 링크플레이트(181), 연결블럭(182) 및 링크바(18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플레이트(181)는 제3샤프트(163) 또는 제4샤프트(171)와 연결되는 것이 며, 각 샤프트의 하단부에 편심되게 결합이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록킹샤프트(150)에는 연결블럭(182)이 하나씩 결합되며 상기 링크플레이트(181)와 연결블럭(182)은 링크바(183)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 제3샤프트(163) 및 제4샤프트(171)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링크기구(180)를 거쳐서 록킹샤프트(150)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록킹샤프트(150)의 회전각도는 90도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록킹샤프트(150)의 최대 회전각도범위는 90도가 되는 것이다.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결합핀홀(115)을 통해서 메인스프레더의 결합핀이 하강하게 되며 상기 결합핀이 결합핀챔버(120)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합핀을 90도 회전되게 조작하게 된다.
상기 결합핀챔버(120)에 결합핀이 삽입되면 상기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는 연결 상태를 이루게 되며, 크레인을 이용하여 보조스프레더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스프레더를 컨테이너가 놓여진 곳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보조스프레더에 컨테이너를 구속되게 해야 한다. 상기 보조스프레더의 록킹아암(100)을 컨테이너 상부면에 내려 놓도록 하며, 록킹핀(151)을 컨테이너 상부면 네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함몰된 홈에 맞추도록 한다. 상기 홈에 삽입된 록킹핀(151)을 90도 회전시켜야 컨테이너가 보조스프레더에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록킹핀(151)과 연결된 록킹샤프트(150)를 회전시켜야 한다.
보조스프레더를 컨테이너 상면에 위치시킨 경우 상기 결합핀은 보조스프레더 에 대해 클로즈(close) 상태이나 상기 록킹핀(151)은 컨테이너에 대해 오픈(open)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불일치를 없애기 위해 상기 결합핀을 오픈 상태로 전환해야 하며 운전자가 결합핀을 90도 만큼 회전시키도록 조작한다. 이때 상기 결합핀은 결합핀챔버(12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1샤프트(13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1샤프트(130)의 회전이 있더라도 제2샤프트(162)를 통하여 제3샤프트(163)로는 회전력의 전달은 되지 않아야 한다. 즉, 상기 제1샤프트(130)의 회전방향은 클러치를 통한 회전력 전달이 되지 않는 방향이 된다. 상기 제1샤프트(130)가 회전되어 결합핀이 보조스프레더에 대해 오픈 상태로 되면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간 구속상태는 해제된다.
연이어 운전자는 결합핀을 직전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작하며, 이 경우 제1샤프트(130), 제2샤프트(162), 제3샤프트(163), 제4샤프트(171)는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제2샤프트(162)와 제3샤프트(163)를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164)를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샤프트(163) 및 제4샤프트(171)와 연결된 링크기구(180)도 동작되므로 각 록킹샤프트(150)도 90도 만큼 회전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으로 메인스프레더와 보조스프레더는 연결되고 동시에 보조스프레더와 컨테이너도 연결상태로 전환이 되므로 컨테이너를 원하는 곳으로 최종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작업자가 안전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190)를 더 두는 것으로 한다.
상기 인디케이터(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아암(100)의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나 보조스프레더 어디나 작업자에게 잘 보이는 곳이라면 그 위치는 상관없다. 상기 인디케이터(190)는 보조스프레더의 록킹핀(151)이 컨테이너와 제대로 연결이 된 경우에 안전이 확보되었으므로 이동시켜도 좋음을 의미하는 소리나 표시가 나타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시각이나 청각을 통하여 안전확보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으로 함이 좋으며, 특히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점멸하는 LED램프와 같은 것을 사용하며 신호등 체계처럼 녹색, 황색, 적색 등 최소한 3색 이상으로 구성되는 램프들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 녹색램프가 점등되면 제대로 록킹핀이 컨테이너와 연결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며, 적색인 경우 제대로 연결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인디케이터를 활용하므로써 컨테이너 하역이나 선적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는 컨테이너 화물 처리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게 동작이 되므로 작업시간을 최소로 하므로 기존 보조스프레더를 대체하여 폭넓은 사용이 기대된다.
도1은 일반적으로 항만 등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 선적 혹은 하역작업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장치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3은 정면도.
도4는 측면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센터가이드 2 : 가이드빔
100 : 록킹아암 110 : 록킹플레이트
115 : 결합핀 홀 120 : 결합핀챔버
130 : 제1샤프트 140 : 설치플레이트
150 : 록킹샤프트 151 : 록킹핀
160 : 원웨이클러치박스 161 : 하우징
162 : 제2샤프트 163 : 제3샤프트
164 : 클러치 170 : 기어박스
171 : 제4샤프트 180 : 링크기구
181 : 링크플레이트 182 : 연결블럭
183 : 링크바 190 : 인디케이터

Claims (8)

  1. 센터가이드로부터 출몰되어 거리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빔이 형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빔에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록킹아암이 결합되고 상단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록킹플레이트를 통해서 메인스프레더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메인스프레더의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핀챔버와;
    상기 결합핀챔버 하부에 연결되며 제1스프라켓이 구비되고 하단부는 설치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 하부에 상단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록킹아암으로부터 돌출되는 록킹핀이 형성되는 록킹샤프트와;
    어느 일측의 록킹샤프트 상단 부근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프라켓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원웨이클러치박스와;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받을 수 있도록 타측 록킹샤프트 부근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 및 기어박스와 상기 록킹샤프트를 연결하게 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원웨이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제1샤프트만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상기 제1샤프트와 록킹샤프트의 회전이 동시에 연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박스는,
    상기 제1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제2샤프트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의 회전을 클러치수단을 거쳐서 전달받게 되며 상기 기어박스로 그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제3스프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스프라켓이 설치되는 제3샤프트의 하단부에 상기 링크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제3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4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는 제4샤프트의 하단부에 반대측 링크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3샤프트와 연결되는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록킹샤프트와 결합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링크플레이트 및 연결블럭을 이어주는 링크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아암에는,
    록킹핀이 컨테이너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서 운전자가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3개 이상의 상이한 램프로 구성되어 켜지는 램프의 색을 통하여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4샤프트와 연결되는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록킹샤프트와 결합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링크플레이트 및 연결블럭을 이어주는 링크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KR1020080050213A 2008-05-29 2008-05-29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KR10099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13A KR100991286B1 (ko) 2008-05-29 2008-05-29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13A KR100991286B1 (ko) 2008-05-29 2008-05-29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171A KR20090124171A (ko) 2009-12-03
KR100991286B1 true KR100991286B1 (ko) 2010-11-01

Family

ID=4168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213A KR100991286B1 (ko) 2008-05-29 2008-05-29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2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297B1 (ko) 1999-05-19 2001-09-24 한만엽 갠트리 크레인의 동력전달시스템
KR200312607Y1 (ko) 2003-02-18 2003-05-12 구재회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297B1 (ko) 1999-05-19 2001-09-24 한만엽 갠트리 크레인의 동력전달시스템
KR200312607Y1 (ko) 2003-02-18 2003-05-12 구재회 오버헤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171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651B (zh) 用于提升联运集装箱的吊具
CN102149617B (zh) 通用集装箱锁定***
TWI461340B (zh) 聯結裝置
US20190241358A1 (en) Container corner lock for locking a shipping container into position
EP3003915B1 (en) System for securing containers with compressive and torsional actuating unit
KR100991286B1 (ko) 오버하이트 컨테이너용 보조스프레더
US10759635B2 (en) SIDAS—spreader impact damage avoidance system
WO2006078170A1 (en) Device for a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EP2539268B1 (en) Container-lifting spreader with absolute positioning of twist-locks
CN108407698B (zh) 随车抓抓具
CN108382281B (zh) 带随车抓的自卸车
CN113715859B (zh) 对自动扭锁装置的改进
US3746377A (en) Coupler
KR200397104Y1 (ko) 컨테이너 야적용 크레인 이동방지장치
US20230257219A1 (en) Container manipulation device and hoisting device
CN110431102B (zh) 用于提升联运集装箱的侧向提升吊具以及操作侧向提升吊具的方法
CN108382285B (zh) 随车抓防脱装置
CN104190910A (zh) 新型钢包翻包机
CN108457919B (zh) 一种包含液压控制***的带随车抓的自卸车
CN201932832U (zh) 一种双20英尺集装箱吊具控制***
CA2932383C (en) Sidas - spreader impact damage avoidance system
US20240253897A1 (en) Door release mechanism for a container system
JP2024520203A (ja) 自動ロック機構、ロックシステム及びロック機構を動作させる方法
WO2021258230A1 (es) Aparato que produce el movimiento del sistema de amarre con cierre (twist-lock) de forma remota
JP6263459B2 (ja) タワークレーン及び増し締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