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500B1 -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500B1
KR100988500B1 KR1020020058132A KR20020058132A KR100988500B1 KR 100988500 B1 KR100988500 B1 KR 100988500B1 KR 1020020058132 A KR1020020058132 A KR 1020020058132A KR 20020058132 A KR20020058132 A KR 20020058132A KR 100988500 B1 KR100988500 B1 KR 100988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tray
plate
coupling
conveyo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192A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5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압연기에서 생산된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회전하는 컨베이어장치에서 발생되는 선재코일 선단부의 끼임을 방지하는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곡선 형상으로 다수개가 한 라인으로 결합축들에 의해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며, 선재코일(1)이 놓여지는 상판(21)과, 상판(21)의 하면에서 그 측부가 좌우방향으로 부착된 결합판(22)과, 결합판(22)의 좌우에서 각각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1쌍의 관통공(27)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의 컨베이어 트레이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판(21)의 상면에는 결합판(22)에 직각된 끝단부에서 하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1단차부(23)가 형성되며, 상판(21)의 하면에는 끝단부에 마주하는 다른 끝단부에서 상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2단차부(24)가 형성된다.
선재코일, 컨베이어, 트레이, 압연기, 롤러

Description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A conveyor tray and a conveyor apparatus for conveying wire coil}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재코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a는 종래기술의 컨베이어장치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트레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 사이에 선재코일의 끼임이 발생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재코일의 이송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 사이의 결합관계를 선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가 컨베이어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선재코일 2 : 모터
4 : 스프로킷(sprocket) 5 : 안내판
10, 20 : 컨베이어 트레이
21 : 상판 22 : 결합판
27 : 관통공 29 : 결합축
본 발명은 선재압연기에서 생산된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회전하는 컨베이어장치에서 발생되는 선재코일 선단부의 끼임을 방지하는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재코일은 일반적으로 직경 5.5mm로부터 42mm까지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제품을 말한다. 이런 선재코일은 가로, 세로가 각각 160mm인 정사각형 단면의 빌렛(billet)을 12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후에 선재압연기(일명, '공형압연기'라고도 함)를 거쳐 생산되는데, 선재압연기에서는 조압연과 사상압연과 같은 20단계 이상의 압연과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압연이 완료되어 토출된 선재코일은 수 요가에게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나선형으로 감아 강선(steel cord) 또는 강대(steel band)로 집적되고, 이렇게 집적된 선재코일은 냉각과정, 검사과정 및, 포장과정 등과 같은 후처리 공정을 거쳐 최종제품으로 출하된다. 이런 선재코일이 집적된 후에 냉각과정으로 이송되는데 컨베이어장치가 사용된다. 이런 컨베이어장치에는 벨트, 롤러 또는 컨베이어 트레이가 이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선재코일의 하중에도 처지지 않는 컨베이어 트레이가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재코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는 선재코일(1)에 접하면서 선재코일(1)의 하중을 견뎌내는 컨베이어 트레이(10)를 포함하는데, 이런 다수개의 컨베이어 트레이(10)가 상호 밀접하게 하나의 폐곡선 형상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컨베이어장치에는 회전하는 라인의 컨베이어 트레이(10)를 회전시키는 스프로킷(4)과 이런 스프로킷(4)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동축(3)을 포함한다. 즉, 구동축(3)은 모터(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컨베이어 트레이(10)에 맞물리는 스프로킷(4)을 회전시킨다.
도 2a는 종래기술의 컨베이어장치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트레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컨베이어 트레이(10)는 선재코일(1)에 접하면서도 스프로킷(4)에 맞물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컨베이어 트레이(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상판(11)을 포함하고, 이런 상판(11)의 하면에는 1쌍의 결합판(12)이 부착된다. 이때, 결합판(12)의 측부는 상판(11)의 하면에 부착되고, 결합판(12)에는 결합축(15)이 삽입되는 관통공(13)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컨베이어 트레이(10)는 결합축(15)에 의해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10')에 결합된다. 즉, 컨베이어 트레이(10)의 좌측 관통공(13)이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10')의 우측 관통공에 상호 교차되게 위치하고, 이런 관통공들에 결합축(15)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된 결합축(15)의 외측에는 고정판(14)이 키(16)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판(14)의 하부에는 안내판(5)이 컨베이어장치에 설치되어 선재코일(1)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컨베이어 트레이(10)의 처짐을 방지한다. 결합축(15)은 회전하는 스프로킷(4)의 원주상에 형성된 홈에 맞물려서, 컨베이어 트레이(10)가 스프로킷(4)에 의해 회전된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 사이에 선재코일의 끼임이 발생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컨베이어 트레이(10)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라인이 회전하면서 선재코일(1)을 이송하게 된다. 그러면, 컨베이어 트레이(10)가 라인의 상부에서 선재코일(1)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상호 밀접하는 1쌍의 상판(11)의 간극(G)은 좁고, 컨베이어 트레이(10)가 스프로킷(4)과 맞물리면서 원주선상을 회전하기 시작하는 경우에는 상판(11)의 간극(G')이 점차 넓어지게 된다. 하지만, 적층된 선재코일(1)의 선단부가 간극 G 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이송되는 경우에는 간극 G 가 회전을 시작하는 위치부터 간극 G' 과 같이 점차 넓어지 게 되고, 이런 간극 G' 사이에 선재코일(1)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종래기술의 컨베이어장치에 선재코일(1)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재코일(1)이 걸려 컨베이어장치의 작동을 중단해야 하며, 이로 인해 조업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재코일의 선단부가 컨베이어장치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걸림이 발생한 그 선단부를 용접기를 이용해 절단해야 하고, 절단된 선재코일의 선단부는 다른 설비 또는 컨베이어장치를 손상시키고,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컨베이어 트레이의 상판의 형상을 변형하여 스프로킷의 원주상을 회전하는 컨베이어 트레이의 상판 사이 간극에 발생하는 선재코일 선단부의 끼임을 방지하는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곡선 형상으로 다수개가 한 라인으로 결합축들에 의해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며, 선재코일이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그 측부가 좌우방향으로 부착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좌우에서 각각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1쌍의 관통 공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의 컨베이어 트레이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판에 직각된 끝단부에서 하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1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끝단부에 마주하는 다른 끝단부에서 상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제공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원주상에는 홈이 형성된 스프로킷과, 상기 홈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들에 의해 한 라인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트레이를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는 선재코일이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그 측부가 좌우방향으로 부착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좌우에서 각각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1쌍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판에 직각된 끝단부에서 하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1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끝단부에 마주하는 다른 끝단부에서 상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의 상기 제 2단차부는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의 제 1단차부에 상호 밀접하게 맞물리고,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의 결합판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의 결합판은 각기 결합판에 형성된 1쌍의 관통공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접하며, 상기 1쌍의 관통공에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가 상기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와 결합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재코일의 이송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트레이(20)는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상판(2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부재이고, 이런 상판(21)의 상면에서는 어느 끝단부에서 하면방향으로 제 1단차두께(T)만큼 직각되게 절취된 제 1단차부(23)가 형성되고, 상판(21)의 하면에서는 상기 끝단부와 마주하는 다른 끝단부에서 상면방향으로 제 2단차두께(T')만큼 직각되게 절취된 제 2단차부(24)가 형성된다. 이런 제 1, 제 2단차부(23, 24)는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좌우에서 결합하는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들의 단차부들과 각각 접하게 되고, 이런 제 1, 제 2단차부(23, 24)는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판(21)의 하면에는 결합판(22)의 측부가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제2단차부(23, 24)에 직각되게 부착된다. 이런 결합판(22)의 좌우에는 원주곡면을 가진 전, 후부(26, 25)가 각각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결합축(29)이 관통하는 관통공(27)이 형성된다. 관통공(27)은 결합판(22)의 전, 후부(26, 25)로부터 각각 일정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1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판(22)의 전부(26)는 상판(21)의 내측에서 외부방향으로 제 1절편두께(D')만큼 단차되게 형성되고, 결합판(22)의 후부(25)는 상판(21)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제 2절편두께(D)만큼 단차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판(21)의 하면에는 상기와 같은 결합판(2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다른 결합판이 상판(21)의 중심에 상호 대칭되게 더 부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컨베이어 트레이(20)는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들과 좌우에서 각각 결합된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 사이의 결합관계를 선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트레이(20)는 결합축(29)에 의해 라인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20')에 결합되고, 그 하부에 위치한 안내판(5)에 의해 지지된다.
1쌍의 컨베이어 트레이(20, 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2단차부(24)와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제 1단차부(23')가 상호 대응되게 맞물리고, 그 상하 사이에는 여유간극이 존재한다. 그리고, 컨베이어 트레이(20)의 결합판(22)은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20')의 결합판(22')과 맞대기 형식으로 상호 교차되는데, 이때 결합판(22, 2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들의 중심축은 일치한다. 이런 관통공(27)에 결합축(29)이 삽입되어 1쌍의 컨베이어 트레이(20, 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삽입된 결합축(29)의 외측둘레에는 고정판(28)이 키(30)에 의해 고정되며, 이런 고정판(28)은 컨베이어 트레이(20)가 결합축(29)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축(29)은 그 중심에 컨베이어장치의 스프로킷이 맞물리게 되는데, 이를 위해 컨베이어 트레이를 지지하는 1쌍의 안내판(5)은 상호 이격되어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다.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컨베이어 트레이가 컨베이어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트레이(20)가 설치된 컨베이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컨베이어 트레이(20)는 결합축(29)에 의해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들과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폐곡선 형상의 라인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폐곡선으로 연결된 라인의 내측에는 스프로킷(4)이 컨베이어 트레이(20)들과 맞물린다. 더 정확하게는 컨베이어 트레이(20)들의 결합축(29)들이 스프로킷(4)의 원주면상에 형성된 홈에 맞물린다. 그리고, 스프로킷(4)은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구동축(3)에 맞물려 폐곡선의 컨베이어 트레이(20)들을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에는 컨베이어장치의 컨베이어 트레이(20)에 선재코일(1)이 놓여지고, 컨베이어 트레이(20)의 하부에 설치된 안내판(5)이 선재코일(1)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처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장치의 컨베이어 트레이(20)에 선재코일(1)이 놓여지면, 선재코일(1)은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트레이(20)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면, 선재코일(1)은 회전하는 롤러(7)에 전달되어 전방으로 진행된다. 또한, 회전하는 롤러(7) 사이에는 지지판(8)이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 고정된다.
여기에서, 컨베이어 트레이(20)가 전방으로 직선 진행하는 위치에서는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상판(21)이 맞물리면서 간극 G 는 미세할만큼 좁고, 컨베이어 트레이(20)가 스프로킷(4)과 맞물리면서 하부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는 간극 G 가 간극 G' 과 같이 점차 넓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상판(21)이 절곡된 형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컨베이어 트레이(20)는 종래기술과 같은 상판(21)의 두께를 사용하여 선재코일(1)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회전하는 컨베이어 트레이 사이의 간극 G' 은 선재코일(1)의 선단부가 삽입될 정도로 넓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베이어장치에서 발생되는 선재코일 선단부의 끼임이 방지된다.
또한, 컨베이어 트레이(20)의 상판(21)에서 단차부(23, 24)의 길이 및 단차두께(T, T')가 조정되면, 간극(G')은 더 미세하게 좁힐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는 단차를 갖는 상판이 구비된 컨베이어 트레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스프로킷의 원주상에서 회전하는 컨베이어 트레이들의 간극(G')에 선재코일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끼어드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해 작업중단이 발생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폐곡선 형상으로 다수개가 한 라인으로 결합축들에 의해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며, 선재코일이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그 측부가 좌우방향으로 부착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좌우에서 각각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1쌍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의 컨베이어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판에 직각된 끝단부에서 하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끝단부에 마주하는 다른 끝단부에서 상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제 2단차부는 1쌍의 컨베이어 트레이가 결합될 경우 한 쪽의 컨베이어 트레이의 제 2단차부와 다른 쪽의 컨베이어 트레이의 제 1단차부가 상호 대응되게 맞물리고, 그 상하 사이에 여유간극이 존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의 컨베이어 트레이.
  2. 구동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제공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원주상에는 홈이 형성된 스프로킷과, 상기 홈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들에 의해 한 라인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 트레이를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는 선재코일이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그 측부가 좌우방향으로 부착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좌우에서 각각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1쌍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판에 직각된 끝단부에서 하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1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끝단부에 마주하는 다른 끝단부에서 상면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단차부는 1쌍의 컨베이어 트레이가 결합될 경우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의 상기 제 2단차부와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의 제 1단차부가 상호 대응되게 맞물리고, 그 상하 사이에 여유간극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의 결합판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의 결합판은 각기 결합판에 형성된 1쌍의 관통공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접하며,
    상기 1쌍의 관통공에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트레이가 상기 다른 컨베이어 트레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20020058132A 2002-09-25 2002-09-25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컨베이어장치 KR100988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132A KR100988500B1 (ko) 2002-09-25 2002-09-25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132A KR100988500B1 (ko) 2002-09-25 2002-09-25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192A KR20040029192A (ko) 2004-04-06
KR100988500B1 true KR100988500B1 (ko) 2010-10-20

Family

ID=3733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132A KR100988500B1 (ko) 2002-09-25 2002-09-25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5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756A (ja) * 1992-06-10 1993-12-21 Enuma Chain Seisakusho:Kk 搬送チェーン用のトッププレート
JPH0648534A (ja) * 1992-07-28 1994-02-22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JPH10157821A (ja) * 1996-10-03 1998-06-16 Mamoru Kusuhara ローラチエン用トッププレート
JP2001139121A (ja) * 1999-11-16 2001-05-22 Yamakyu Chain Kk 三次元搬送ライン用チェーン
KR20020089449A (ko) * 2001-02-14 2002-11-29 야마큐 체인 가부시키가이샤 3차원 반송라인용 체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756A (ja) * 1992-06-10 1993-12-21 Enuma Chain Seisakusho:Kk 搬送チェーン用のトッププレート
JPH0648534A (ja) * 1992-07-28 1994-02-22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JPH10157821A (ja) * 1996-10-03 1998-06-16 Mamoru Kusuhara ローラチエン用トッププレート
JP2001139121A (ja) * 1999-11-16 2001-05-22 Yamakyu Chain Kk 三次元搬送ライン用チェーン
KR20020089449A (ko) * 2001-02-14 2002-11-29 야마큐 체인 가부시키가이샤 3차원 반송라인용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192A (ko) 2004-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467A (en) Chain conveyor
US4040302A (en) Chain drive for a transfer machine
JP6667478B2 (ja) ワーク搬送用パレット移送装置
TWI815852B (zh) 一種翻板機元件和翻板機
KR100988500B1 (ko) 컨베이어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선재코일 이송용컨베이어장치
CA2768630C (en) Helical conveyor
JPS63262319A (ja) パイプコンベヤにおけるベルト案内装置
JP6439826B2 (ja) コンベヤチェーン
KR20170052723A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WO2021235012A1 (ja) 容器搬送機構
JP2017226508A (ja) 整列装置
JP7394700B2 (ja) 容器搬送機構
KR20090005555U (ko) 체인 컨베이어
JP2900256B1 (ja) チェーンコンベヤにおける渋滞防止装置
JP2013086927A (ja) 倍速コンベヤチェーン及び倍速コンベヤ
KR102680881B1 (ko) 다열 벨트 컨베이어
JP4296496B2 (ja) 物品載置搬送装置
KR20090006177U (ko) 체인 콘베이어
KR19990021105A (ko)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JPH0249217Y2 (ko)
JP2001121211A (ja) 多条条鋼搬送用ピンチローラー
JPS5940110Y2 (ja) 熱間圧延線材の移送装置
JP2002338030A (ja) コンベヤ装置
KR101670168B1 (ko) 선재 컨베이어 장치
US7334754B1 (en) Guide rails for conveying band-form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1

Effective date: 201006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