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297B1 - blind - Google Patents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297B1
KR100986297B1 KR1020080020246A KR20080020246A KR100986297B1 KR 100986297 B1 KR100986297 B1 KR 100986297B1 KR 1020080020246 A KR1020080020246 A KR 1020080020246A KR 20080020246 A KR20080020246 A KR 20080020246A KR 100986297 B1 KR100986297 B1 KR 10098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esh member
frame
space
b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5125A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102008002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297B1/en
Publication of KR2009009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1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는 창틀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통기공을 가지는 매쉬부재와; 매쉬부재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보다 밝은 광에 의한 시인성의 차이를 유발시킴으로써 실내의 인식을 방지하는 광커튼부를 가지는 발광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매쉬부재에 광 커튼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주거공간의 내부를 볼 수 없도록 함으로써 사생활을 보호 할 수 있다. The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stalled on a window frame or a veranda, and a mesh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d a light emitting means provided on the mesh member and having an optical curtain portion which prevents recognition of the indoors by causing a difference in visibility due to light brighter than indoors or outdoor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privacy by forming a light curtain on the mesh member so that the interior of the living space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광커튼, 통기성, 사생활 보호, 광커튼Light curtains, breathable, privacy, light curtains

Description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blind}Space blocking devic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인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 공간을 차단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blocking devic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 blocking device of a building that can protect privacy by block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by using the difference in visibility.

일반적으로 연립주택이나 아파트는 건물 사이의 간격이 넓지 않으므로, 창문 또는 거실의 창을 통하여 주거공간인 실내가 노출되고, 나아가서는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  Generally, townhouses or apartments do not have a wide space between buildings, and thus indoors, which are residential spaces, are exposed through windows or windows of living rooms, and there is a fear of invading privacy.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문을 통한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문에 브라인더나 커튼을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고 있는데, 이 경우 실내가 어둡고, 답답하며 통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order to prevent the exposure of privacy through the window, a blinder or curtain is installed on the window to block the interior space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terior is dark, stuffy, and has a relatively inferior breathability.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방충망에 특정문양을 삽입함으로써 단순한 방충효과 이외에 미적 효과를 구현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In view of this, in recent years, by inserting a specific pattern into the insect screen, a technique for realizing the aesthetic effect in addition to the simple insect repellent effect has been provided.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65799호에는 세로사 사이에 가로사를 엇갈리게 엮어 형성하고, 세로사에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제1색사 및 제2색사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교차시켜 총 3도의 색도를 이용해 문양을 구현한 방충망이 개시되 어 있다.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65799 is formed by interlacing horizontal yarns between vertical yarns, and crosses the first and second yarns with different colors on the vertical yarn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use a total of three degrees of chromaticity. Insect screens embodying patterns are disclosed.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311,449호에는 세로사에 가로사를 엇갈리게 엮은 방충망의 표면에 별도의 장식사를 색상별로 다수 형성하여 이도 내지 다수의 색도를 이용해 문양을 구현한 방충망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1,449 discloses a insect screen that implements a pattern using two or more chromaticities by forming a number of separate decorative yarns for each color on the surface of the insect screen interweave cross yarns in vertical yarn.

등록실용신안 제 0335107호에는 문양이 형성된 기능성 방충망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능성 방충망은 합성수지계 원사로 제직 된 방충망에 나염방법에 의하여 소정의 문양이 형성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Utility Model No. 0335107 discloses a functional insect screen with a pattern. The disclosed functional insect screen has been disclosed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by the printing method on the insect screen woven with synthetic resin yar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방충망들은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다수의 색도를 이 용하여 실내를 차단하고 있으나 색도의 차이만으로 주거공간의 노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었다. 특히, 실내 즉, 주거공간의 내부가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밝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시인성의 차이에 의한 차단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The insect screen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mprove the breathability and block the interior using a plurality of chromaticities, but only the difference in chromaticity could not completely block the exposure of the living space. In particular, when the interior, that is, the interior of the living space is relatively brighter than the outsid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blocking effect by the difference in visibility as described above.

등록 특허 제 0485287호에는 일 방향 투시되는 장식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장식필름은 광투과공의 주변에 위쪽으로 빛에 대해 흡수 및 반사되는 색상의 도포층을 달리하여 부착시키는 방향에 따라 빛이 한쪽 방향으로만 정상적으로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빛이 난반사되는 방향의 반대쪽인 실내 쪽의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Patent No. 0485287 discloses a decorative film viewed in one direction. The disclosed decorative film is a room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diffusely reflected by allowing the light to be projected normally in only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attaching the application layer of the color absorbed and reflected to the light upwards around the light transmitting hole. It has a structure that can secure the privacy of the residents of the page.

상기와 같은 장식필름 빛의 투과방향을 한정한 것으로, 창문에 부착하거나 필름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하며, 통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o limit the transmissive direction of the decorative film light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supporting means for attaching to the window or to support the film, there is a problem of poor breathabilit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주거공간 내부로의 시선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으며,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block from the line of sight from the outside to the interior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that can improve the breatha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의 조도 차이를 이용하여 실내 즉, 주거공간을 차단할 수 있는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ace blocking device of a building that can block the indoor, that is, the residential space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tion of the indoor or outdo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는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통기공이 설치되는 매쉬부재와, 상기 매쉬부재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보다 밝은 광에 의한 시인성의 차이에 의해 실내의 인식을 방지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t is provided with a mesh member installed in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d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mesh member to prevent the recognition of the room due to the difference in visibility by light brighter than indoor or outdoor do.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수단은 상기 매쉬부재에 설치되며 다수의 반사면을 가지는 재귀반사부재들과, 상기 프레임 또는 이와 인접되는 측에 설치되어 상기 재귀반사부재들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유니트들을 구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with the retroreflective members provided on the mesh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and lamp units installed on the frame or adjacent to the lamp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retroreflective members. do.

상기 발광수단은 매쉬부재가 외주면으로부터 광을 방출하기 위한 광파이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또는 이와 인접되는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파이버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유니트의 램프는 CCFL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The light emitting means includes a lamp unit in which a mesh member is made of an optical fiber for emitting ligh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installed on the frame or an adjacent side thereof to irradiate the optical fiber with light. The lamp of the lamp unit consists of a CCFL lamp or a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는 건축물의 실내 즉, 주거공간과 실외의 조도 차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실내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하며,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는 연립주택, 아파트, 주택, 특히 저층 주택의 창문 또는 거실의 창을 통한 주거공간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recognize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by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tion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at is, the living space and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eathability. The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can prevent invasion of privacy by preventing exposure of the living space through the windows of the townhouses, apartments, houses, especially low-rise houses or the windows of the living room.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는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조도의 차이에 의해 주거공간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ir permeability and to prevent the exposure of the living space by the difference in the illuminance, an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ures 1 and 2.

도면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10)는 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등의 주거공간의 창 또는 거실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를 관찰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격자상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지지되며 공기가 원활하게 통기 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12)을 가지는 매쉬부재(13)와, 상기 매쉬부재에 설치되어 실내 또는 실외보다 밝은 조도의 광을 조사하여 시인성의 차이에 의해 실내 인식을 방지하는 발광수단(2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pace blocking device 10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in a window or a living room porch of a residential space such as a house, apartment, townhouse, or the like so as not to observe or recognize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or installed on the veranda. A mesh member 13 having a lattice-shaped frame 11, a mesh member 13 supported by the frame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2 so that air can be smoothly ventilated, and installed in the mesh member, It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means 20 for irradiating the light of the bright illumination to prevent indoor recognition by the difference in visibility.

상기 프레임(11)은 창틀 또는 배란다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격자 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차단하고자 하는 측의 공간 넓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넓이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은 합성수지, 금속 또는 목재로 일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매쉬부재(13)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은 후술하는 발광수단의 램프로부터 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도광 가능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ame 11 is formed on a lattic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ize of a window frame or a porch. The shape of the fram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has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pace to be blocked. The frame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metal or wood. A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1 to support the edge of the mesh member 13. The frame 1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capable of guiding light from the lamp of the light emitt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매쉬부재(13)는 프레임(11)이 가로사와 세로사가 상호 직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쉬부재(13)는 금속세사들이 직조되어 이루어진 금속망 또는 합성수지 망으로 이루어지며 주거공간인 실내와 실외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mesh member 13 may be formed by weaving a frame 11 between a horizontal yarn and a vertical yarn. The mesh member 13 is made of a metal net or synthetic resin net made of metal yarns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indoor and outdoor living space.

상기 발광수단(20)은 상기 매쉬부재(13)에 설치되어 주거공간과 외부사이에 빛의 커튼을 형성하여 주거공간인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 유니트(21)와, 이 램프 유니트(2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광커튼부(22)를 구비한다. The light emitting means 20 is installed in the mesh member 13 to form a curtain of light between the living space and the outside to block the indoor and outdoor living space, the lamp unit 21 and the lamp unit The light curtain part 22 is provided us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21.

상기 광커튼부(22)는 상기 매쉬부재(13)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유니트(2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반사면(24)을 가지는 재귀반사부재(25)들을 구비한다. 상기 반사면(24)은 상기 램프 유니트(2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방 또는 전방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는 측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매쉬부재(13)에 부착되는 재귀반사부재(25)는 상기 램프 유니트(2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노출되도록 현가시킴이 바람직하다. The optical curtain part 22 is provided on the mesh member 13 and has retroreflective members 25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24 for reflec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unit 21 to the front. do. The reflective surface 24 preferably has an inclined structure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unit 21 can be irradiated to the sid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On the other hand, the retroreflective member 25 attached to the mesh member 13 is preferably suspended so that it is gradually exposed to uniformly receiv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unit 21.

상기 광커튼부(22)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쉬부재(13)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매쉬부재(13)의 가로사(13a) 또는 세로사(13b)의 적어도 일측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반사면(26)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ptical curtain portion 22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made of a mesh member 13 as shown in FIG. 3, wherein the horizontal yarn 13a or the vertical yarn (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26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side of 13b).

또한 상기 광커튼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파이버(27)들에 의해 직조된 매쉬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매쉬부재를 이루는 광파이버(27)의 외주면에는 광파이버를 통하여 투과되는 광이 유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ptical curtain portion 22 may be made of a mesh member woven by the optical fibers 27, as shown in Figure 4,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tical fiber 27 constituting the mesh member A plurality of notches are formed so that this can flow out.

상기 램프유니트(2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커튼부(22)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 또는 이와 인접되는 측에 설치되는 램프(21a)를 구비하는데, 이 램프(21a)는 CCFL 램프,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경우 풀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적, 청, 녹색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The lamp unit 21 is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ptical curtain portion 22, as shown in Figs. 2 to 4, the lamp unit 21 is provided with a lamp (21a) provid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frame (11) The lamp 21a may be formed of a CCFL lamp, a light emitting diode, or the like. When the lamp is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it is preferable to have red, blue, and green light emitting diodes so as to realize full color.

상기 램프유니트(21)는 상기 프레임(11)에 이를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 적으로 형성되어 램프(2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광 커튼부(22) 측으로 조사하기 위한 도광판(21b)을 더 구비한다.The lamp unit 21 further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21b formed on the frame 11 to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irradiat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21a to the light curtain unit 22.

한편, 상기 발광수단(20)은 매쉬부재(13)에 부착되는 발광램프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램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또는 동물의 형상으로 구현가능한 발광다이오드, CCFL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쉬부재(13)에는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means 20 may be made of light emitting lamps attached to the mesh member 13, the lamp is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CCFL le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picture or animal as shown in FIG. Can be. The mesh member 13 may further include a phosphor that emits light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를 이용하여 창문 또는 아파트의 베란다를 통한 주거공간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단장치의 프레임(11)을 창틀 또는 베란다에 고정한다. In order to prevent invasion of privacy of the living space through the windows or the veranda of the apartment using the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1 of the blocking device is fixed to the window frame or the veranda.

이 상태에서 상기 램프(21)를 발광시켜 상기 매쉬부재(13)에 설치된 재귀반사부재(25)에 광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램프(21)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상기 재귀반사부재(25)의 반사면(24)에 의해 반사되어 하나의 광 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주거공간인 실내와 실외의 조도 차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볼 수 없게 된다. 즉, 주간에는 실외의 밝기보다 상기 재귀반사부재(25)의 반사면(24)을 통하여 조사되는 광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밝으므로 외부로부터 이 광 커튼을 통 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없다. 특히 주간에는 실내가 실외보다 어둡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부의 확인이 어려우나 베란다 또는 창틀에 상술한 바와 같은 광커튼부(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lamp 21 emits light and irradiates light to the retroreflective member 25 installed in the mesh member 13. In this wa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21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surface 24 of the retroreflective member 25 to form a light curtain.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se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due to the difference in illumina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spaces. That is, during the day, the brightness of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reflecting surface 24 of the retroreflective member 25 is relatively brighter than the brightness of the outside, so that the inside cannot be seen through the light curtain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since the interior is darker than the outdoor during the day,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interior relatively, but since the optical curtain portion 22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veranda or the window frame, the blocking effect can be enhanced.

그리고 야간에는 창문 또는 창틀에 설치된 매수부재에 광 커튼부(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내에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하여도 시선은 차단장치의 매쉬부재 측, 즉, 광커튼부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주거공간을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At night, since the light curtain unit 22 is installed in the purchase member installed on the window or the window frame, the gaze stays on the mesh member side of the blocking device, that is, the optical curtain unit even when the lighting is installed indoo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living space from the outside view.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은 매쉬부재(13)에 반사면이 형성되거나 매쉬부재가 광파이버로 이루어진 경우 프레임(11)에 의해 구획된 전 영역에서 발광하게 되므로 차단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on the mesh member 13 or the mesh member is formed of an optical fiber, light may be emitted from all regions partitioned by the frame 11, thereby maximizing a blocking effect.

특히 매쉬부재에 반사면(26)이 형성된 경우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매쉬부재의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므로 이 부위에서 광커튼부가 형성되어 주거공간과 실외의 차단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reflective surface 26 is formed on the mesh member, sinc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esh member, an optical curtain portion is formed at this portion, thereby maximizing the blocking effect between the living space and the outdo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는 광커튼부를 이용하여 조도의 차이를 유발시킴으로써 시인성의 차이에 의해 시각적으로 내부의 투시를 곤란하게 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tect the privacy by making the visual perception difficult due to the difference in visibility by causing a difference in illuminance using the optical curtai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 blocking devi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ace blocking devi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광커튼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3 is a partial abla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curt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광 커튼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4 is a partial abla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 curtain,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공간차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ilding spac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차단을 위한 공간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매쉬부재와; A mesh member installed at a boundary of a space for blocking; 매쉬부재(13)에 설치되며, 실내 또는 실외보다 밝은 광에 의한 시인성의 차이를 유발시킴으로써 실내의 인식을 방지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하며,It is provided on the mesh member 13, and the light emit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recognition of the room by causing a difference in visibility by light brighter than indoor or outdoor; 상기 발광수단은 매쉬부재 또는 프레임에 설치된 램프 유니트와, 상기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다수의 광반사면을 가진 재귀반사부재들로 이루어진 광커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 The light emitting means includes a light curtain unit comprising a lamp unit installed in the mesh member or the frame and a retro-reflectiv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ight reflecting surfaces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amp unit.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매쉬부재는 광파이버로 이루어져 광커튼부를 이루며, 상기 프레임 또는 이와 인접되는 측에는 상기 광파이버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유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 The mesh member is formed of an optical fiber to form an optical curtain portion, the frame or the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p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ptical fiber is installed on the frame or adjacent thereto.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커튼부는 매쉬부재에 현가되는 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 The optical curtain unit is a space blocking devic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amp suspended in the mesh member.
KR1020080020246A 2008-03-04 2008-03-04 blind KR100986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246A KR100986297B1 (en) 2008-03-04 2008-03-04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246A KR100986297B1 (en) 2008-03-04 2008-03-04 bli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25A KR20090095125A (en) 2009-09-09
KR100986297B1 true KR100986297B1 (en) 2010-10-07

Family

ID=4129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246A KR100986297B1 (en) 2008-03-04 2008-03-04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2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43Y1 (en) * 2011-08-19 2013-10-1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Blind for sensitive faculty lighting equipment
KR101483068B1 (en) * 2013-02-06 2015-01-16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Blind controlling humidity and brightness peripheral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646A (en) * 1996-01-18 1997-07-29 Yamata Sangyo Kk Screen door
KR20030078485A (en) * 2002-03-29 2003-1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ublication and settlement of account for an electronic check
KR200378485Y1 (en) * 2004-12-07 2005-03-11 학교법인 동의학원 Blind having illuminating eff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646A (en) * 1996-01-18 1997-07-29 Yamata Sangyo Kk Screen door
KR20030078485A (en) * 2002-03-29 2003-1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ublication and settlement of account for an electronic check
KR200378485Y1 (en) * 2004-12-07 2005-03-11 학교법인 동의학원 Blind having illuminating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25A (en)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9856T3 (en) Light 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procedure thereof
KR100986297B1 (en) blind
KR101835771B1 (en) smart blind system
WO2018003970A1 (en) Daylighting device
KR20090107593A (en) Light covering ration adjustmentalbe roll blind
JP6182818B2 (en) building
JPWO2018221505A1 (en) Light diffusing member for daylighting member and daylighting device
JP2015140644A (en) building
KR100984830B1 (en) Transparency conversion apparatus of a glass window using by luminous textiles
KR20100076765A (en) The insect window net for sunshading and the windows using it
JP5288591B2 (en) Line-of-sight shielding device
JP2007016542A (en) Blindfolding plate-like body
KR200473683Y1 (en) Multi-functional blind
CN206847018U (en) Multifunctional air current diffuser
JP2010121299A (en) Bay window daylighting device
KR20130034403A (en) Window screening apparatus equipped with light guide plate
KR101831288B1 (en) Blind for led media facade
KR100985868B1 (en) A central-controlled lightscape system using the light-shades
JP2015158118A (en) Net for window screen
KR101946413B1 (en) Awning device with ventilation function
KR20120004035A (en) Blind
Harris Practical aspects of lighting as related to conservation
WO2021181836A1 (en) System, method and kit for preventing invasion of insects into specific area
JP3240520U (en) blackout cloth
KR200435413Y1 (en) Grid-shaped insect screen that does not expose the inside of the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