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044B1 -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044B1
KR100982044B1 KR1020070070510A KR20070070510A KR100982044B1 KR 100982044 B1 KR100982044 B1 KR 100982044B1 KR 1020070070510 A KR1020070070510 A KR 1020070070510A KR 20070070510 A KR20070070510 A KR 20070070510A KR 100982044 B1 KR100982044 B1 KR 10098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refrigerator
drie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535A (ko
Inventor
최명갑
Original Assignee
최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갑 filed Critical 최명갑
Priority to KR102007007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04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4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using chemical treatment, adsorption or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눈이콩(일명 서목태)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쥐눈이콩은 예로부터 밭에서 나는 약이라 여겨왔고 이의 성분으로는 단백질, 지방질, 탄수화물, 섬유소, 회분,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B1,비타민 B2, 라이신 알긴산, 글루타민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의 약리작용에 있어서는 옛문헌인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신약본처(神藥本草)에 의하면 쥐눈이콩은 심장, 간장, 비위, 신장의 강화 및 혈액순환 항암작용, 골다공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의 예방과 허약한 사람은 살찌게 하고 살이 찐 사람은 체지방을 분해하여 배설시키는 신비의 약리작용을 하는 곡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쥐눈이콩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 중에는 인체의 위장, 취장, 신장을 냉하게 하여 식욕을 저하하는 냉한성분과 위장, 취장, 신장을 습하게 하여 원기를 저하시키는 한습성분이 대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삶거나 쪄도 차가운 냉한성분과 한습성분이 제거되지 않아 이를 과다 또는 장기간 복용하면 폐, 비위, 신장 및 대장에 한습증이 정체해짐으로서 원기가 빠지고 쉽게 피로하며 설사를 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쥐눈이콩(서목태)에 함유되고 있는 상기한 인체의 체질을 냉하게 하는 냉한성분과 습하게하는 한습성분을 제거하고 이에 한방 보양제를 첨가하여서 대중적인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이의 발명의 요지는 생강즙에 의해 숙성된 마의 분말 15~25중량%를 후술한 제1공정의 1-3의 쥐눈이콩을 생탁주에 주침숙성 처리과정에서 쥐눈이콩이 함유하고 있는 한냉성분이 주정성분에 의해 분홍색으로 변한 생탁주와 혼합하여 70~100℃에 30분동안 가열하여 제 6공정의 마풀술을 얻은 후, 이 마풀술에 상기한 제1공정에서 얻어진 쥐눈이콩의 가루 40~60중량%, 제 2공정에서 얻어진 검은깨가루 10~14중량%, 제3공정에서 얻어진 백출가루 10~14중량%, 제4공정에서 얻어진 홍화씨가루 4~6중량%, 제5공정에서 얻어진 홍송솔잎가루 1중량%를 혼합하여 정환기에 투입해 알환을 만들어 이를 건강보조식품으로 장기간 복용하면 통풍증, 심장질환, 간장, 혈액순환, 신장병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쥐눈이콩을 이용한 대중적인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함으로서 국민보건증진과 농민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70510
쥐눈이콩, 탁주주침, 백출분말, 홍화씨, 홍송솔잎

Description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ealth aid Food using beans}
본 발명은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쥐눈이콩이 다량함유하고 있는 인체의 체질을 냉하게 하는 냉한성분과 습하게 하는 한습성분을 제거하고 이에 한방보양제를 첨가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옛문헌인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본초학, 동의보감에는 쥐눈이콩은 꺼멓게 볶아서 더운 것을 술에 담가 놓고 조금씩 마시면 적풍(賊風)과 풍비(風痺), 냉혈증(冷血症)등의 예방에 효능이 있고, 또한 조선 세종조의 의방유취에는 허약 체질에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장수하게 하는 처방으로 쥐눈이 콩을 이용한 기록이 있으며 또한 신약본초(神藥本草)에는 쥐눈이 콩은 해독성이 강하고 콩팥과 방광 등의 질병예방에 특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과다 섭취하면 위장, 취장, 신장 등의 장내에서 한냉증과 한습증에 의해 소화 흡수를 어렵게 하거나 원기를 저하한다고 의학·한의학에 관한 인터넷포털사이트 백과사전의 약재 등에 소개되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과제는 쥐눈이콩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 중에는 인체의 체질을 냉하게 하는 냉한성분과 한습성분을 제거함에 있어 생탁주에 주침 숙성하여 중화 되게하고 이에 한방보양제를 첨가함으로서 심장, 간장, 비위, 신장의 강화 및 통풍증, 골다공증 등의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쥐눈이콩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 중에는 아주 차가운 냉한성분과 한습성분을 생탁주에 주침 숙성하여 제거하므로서 심장, 간장, 비위, 신장의 강화 및 혈액순환 항암작용, 골다공증 등의 예방과 신장, 고혈압, 변비, 간장, 빈혈 등을 예방하는 약리작용을 하는 "검은 참깨" 와 비장, 위장의 기능 보호 및 신장기능을 보호하고 골수를 도우는 약리작용을 하는 "마" 와 비장과 위장을 튼튼히 하며 설사와 식은 땀을 멈추고 장의 습기를 제거하며 음식을 잘 삭혀 속을 편안하게 하는 약리작용을 하는 "백출"과 의혈증 예방과 혈로 혈액순환, 뼈를 튼튼히 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약리작용을 하는 "홍화씨" 와 비장의 열과 비위기능을 보호하고 혈액냉증을 제거하는 약리작용을 하는 "홍송솔잎" 등을 고루 혼합하여 알환으로 하여 복용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어, 이의 구성비는 쥐눈이콩40~60중량%, 검은깨10~14중량%, 마15~25중량%, 백출10~14중량%, 홍화씨4~6중량%, 홍송솔잎1중량%로 구성하고 이에 첨가제 및 용제로서 통상의 생탁주(막걸리), 원적외선이 대량 방출되는 황토가루, 소취제 및 향신제인 생강, 용제인 생수 등으로 조성하고 이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삭제
본 발명의 구성비는 쥐눈이콩 40~60중량%, 검은참깨 10~14중량%, 마 15~25중량%, 백출 10~14중량%, 홍화씨 4~6중량%, 홍송솔잎 1중량%로 구성하고 이에 첨가제로서 통상의 생탁주(막걸리), 황토흙가루, 생강, 증류수 등으로 조성하고 이의 제조공정을 도 1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제1공정의 1(1-1)은 쥐눈이콩 40~60중량%을 생탁주(첨가제)와 함께 옹기질그릇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제거시킨 다음 쥐눈이콩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5시간 건조시키고 상기 주침과정의 한습 및 냉한성분을 가진 쥐눈이콩의 성분분해로 인하여 분홍색으로 변화 된 생탁주는 1차로 냉장고에 보관한다.
제1공정의 2(1-2)는 태양빛에 건조된 상기 쥐눈이콩을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2차로 옹기 질그릇에 담아서 혼합주침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시킨 다음 쥐눈이콩을 건져서 통풍이 잘 되는 태양빛에 2차로 5시간 건조시키고 이때 사용된 생탁주는 2차로 냉장고에 보관시킨다.
제1공정의 3(1-3)은 상기 태양빛에 의해 건조된 쥐눈이콩을 2차로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3차로 옹기질그릇에 담아 혼합주침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시킨 후 쥐눈이콩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서 3차로 건조시켜 쥐눈이콩이함유하고 있는 인체의 위장, 취장, 신장을 냉하게 하여 식욕을 저하하는 냉한성분과 위장, 취장, 신장을 습하게 하는 한습성분을 최대한 제거하고, 쥐눈이콩과 1~3차 혼합 주침으로 쥐눈이콩의 성분분해로 인하여 짙은 분홍색으로 변화된 생탁주는 3차로 냉장고에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한 태양빛에 의하여 수분이 충분히 제거된 쥐눈이콩은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한 후 냉장고에 보관한다.
제2공정의 1(2-1)은 검은 참깨 10~14중량%를 깨끗한 정수로 청결하게 세척하여 부드러운 채판에 담아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 끓는 증기로 2분동안 찐다.(2분이 초과되면 검은 참깨의 기름이 빠지면 효능이 약해진다.)
제2공정의 2(2-2)는 상기와 같이 채판에 담아서 찐 검은 참깨를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서 건조시킨 다음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쇄한 후 냉장고에 보관한다.
제3공정의 1(3-1)은 적량의 맑은 정수(첨가제)를 옹기 질그릇에 담고 햇빛을 보지 못한 땅속의 황토흙을 채취하여 부드러운 천으로 걸른 황토가루 적량을 상기 질그릇에 담긴 물과 혼합한 황토물에 백출 10~14중량%를 침지하여 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백출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충분히 건조시킨다.
제3공정의 2(3-2)는 건조된 백출을 옹기 질그릇에 담아 70~80℃의 열로서 자연황색이 나도록 가열한 다음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제분한 후 냉장고에 보관한다.
제4공정의 1(4-1)- 홍화씨4~6중량%를 증류수에 세척하여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완벽하게 건조시키고 건조된 홍화씨를 옹기질그릇에 담아 70~80℃의 열에서 황색 빛이 나도록 굽는다.
제4공정의 2(4-2)는 구운홍화씨를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하여 냉장고에 보관한다.
제5공정의 1(5-1)은 홍송솔잎 1중량%를 채취하여 채판에 담아 끓는 증기로 솔잎의 송진이 빠지지 않도록 살짝 쪄서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린다.
제5공정의 2(5-2)는 잘 말린 홍송 솔잎을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하여 냉장고에 보관한다.
제6공정의 1(6-1)은 비교적 많은 양의 생강(첨가제)을 마쇄기로 부드럽게 마쇄하여 천으로 걸려 얻어진 묽은 생강즙을 옹기 질그릇에 담고 잘 건조된 마 15~25중량%를 상기 옹기질그릇에 담긴 생강즙과 혼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마를 건져내어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서 충분히 건조시킨다.
제6공정의 2(6-2)는 상기의 건조된 마를 옹기 질그릇에 담아서 70~80℃의 열에 가열하여 황색이 나도록 굽는다.
제6공정의 3(6-3)은 상기 구운 마를 제분기로 부드럽게 분말화 한다.
제7공정의 1(7-1)은 상기 제1공정에서 얻어진 분홍색으로 변화하여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상기 제6공정의 3(6-3)에서 얻어진 마 가루를 혼합하여 90~100℃에서 30분정도 가열하여 마풀술을 얻는다.
제7공정의 2(7-2)는 상기 마풀술에 냉장고에 보관중인 쥐눈이콩 가루 40~60중량%와 냉장고에 보관중인 제2공정의 검은 참깨가루 10~14중량%와 제3공정에의 백출가루 10~14중량% 및 제4공정의 홍화씨가루 4~6중량%, 제5공정의 홍송솔잎가루 1중량%를 혼합한 후, 이를 제환기에 투입하여 복용하기에 용이한 일정크기의 알환을 만들어 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3%이하가 되게 건조함으로서 완성한다.
제7공정의 1(7-1)에서 생강즙에 의해 숙성된 마를 태양빛에 완벽하게 건조한 후 분말화된 것을 냉장고에 보관했던 분홍색으로 변화된 생탁주와 혼합 가열하여 얻어진 마풀술에 쥐눈이콩가루와 검은 참깨가루, 제3공정의 백출가루, 제4공정의 홍화씨가루, 제5공정의 홍송솔잎가루를 혼합한 후 제환기에 투입하여 대중적으로 복용하기에 편리한 알환이 되게 함으로서, 통풍질환 및 혈액순환, 골다공증 등의 예방에 유익한 건강보조식품이 되게 하였기 때문에 국민보건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상기한 쥐눈이콩이 생탁주에 의해 주침 숙성과정으로 분홍색으로 변한 것은 쥐눈이콩 고유의 색상이 분해된 것이고 쥐눈이콩 껍질에 함유된 냉한성분은 주침 숙성과정에서 주정성분에 의해 분해·중화제거된 것을 알게 되었다.
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비>
쥐눈이콩-5,000g 마-2,000g 검은 참깨-1,200g
백출-1,200g 홍화씨-500g 홍송 솔잎-100g
<첨가제>
생탁주-10ℓ(10,000mg) 생강-3,000g 지중황토-300g
생수-약간
실시 제1공정의 1(1-1)은 쥐눈이콩 5,000g을 옹기질그릇에 담고 생탁주10ℓ(10,000g)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시킨 후 쥐눈이콩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5시간 건조시키고 분홍색으로 변한 생탁주는 1차로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 제1공정의 2(1-2)는 태양빛에 건조된 상기 쥐눈이콩을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2차로 옹기질그릇에 담아 혼합주침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시킨 다음 쥐눈이콩을 건져서 2차로 통풍이 잘 되는 태양빛에 5시간 건조시키고 상기한 2차 주침의 생탁주(2,000g)는 2차로 냉장고에 보관시켰다.
실시 제1공정의 3(1-3)은 상기 태양빛에 의해 건조된 쥐눈이콩을 옹기질그릇에 담아서 2차로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3차로 5시간 숙성한 후 쥐눈이콩은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완벽하게 건조시킴으로서 쥐눈이콩에 대량 함유되고 있는 차가운 냉한성분과 한습성분을 대부분 제거하고, 쥐눈이콩과 혼합 주침으로 인하여 분홍색으로 변화된 생탁주(6000g)는 3차로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상기 충분하게 건조된 쥐눈이콩은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제분한 분말(4,500g)을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 제2공정의 1(2-1)은 검은 참깨(1,200g)를 깨끗한 물로 청결하게 세척하여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된 검은 참깨를 부드러운 채판에 담아 끓는 증수로 2분간 살짝 쪘다.
실시 제2공정의 2(2-2)는 상기와 같이 찐 검은 참깨를 부드러운 채판에 담아서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쇄한 분말(1,100g)을 냉장고에 보관 하였다.
실시 제3공정의 1(3-1)은 맑은 정수1,500g(1.5ℓ)을 옹기질그릇에 담고 햇빛을 보지 못한 땅속의 황토를 채취하여 부드러운 천으로 걸른 황토가루(300g)를 상기 질그릇에 담긴 물에 용해시킨 후 이에 백출(1,200g)을 혼합수침하여 3시간이 경과된 후 백출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건조시켰다.
실시 제3공정의 2(3-2)는 건조된 백출을 옹기 질그릇에 담아 70~80℃의 열로 황색이 나도록 가열한 후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제분하여 분말(1,100g)을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 제4공정의 1(4-1)은 홍화씨(500g)를 증류수(1,000g)에 세척하여 부드러운 채판에 담아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건조시키고 건조된 홍화씨를 옹기 질그릇에 담아 70~80℃의 열에 황색 빛이 나도록 구었다.
실시 제4공정의 2(4-2)는 상기 구운 홍화씨를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 된 450g을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 제5공정의 1(5-1)은 홍송 솔잎(100g)을 채취하여 채판에 담아 수증기로 솔잎의 송진이 빠지지 않도록 2분동안 살짝 쪄서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말렸다.
실시 제5공정의 2(5-2)는 잘 말린 상기 홍송 솔잎을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된 것 80g을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실시 제6공정의 1(6-1)은 수분함량 30%의 생강(3,000g)을 마쇄기로 부드럽게 마쇄하여 천으로 걸러 얻어진 묽은 생강즙(1,500g)을 옹기 질그릇에 담고 잘 건조된 마(2,000g)를 상기 생강즙(1,500g)과 혼합하여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충분히 건조시켰다.
실시 제6공정의 2(6-2)는 상기 태양빛에 의해서 건조된 마를 옹기 질그릇에 담아서 70~80℃의 열을 가하여 황색빛이 나도록 구었다.
실시 제6공정의 3(6-3)은 상기 구운 마를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시킨 마분말(2,500g)을 얻게 되었다.
실시 제7공정의 1- 1~3차 공정에서 분홍색으로 변화 감량(3/10)되어 냉장고에 보관했던 상기 생탁주(7,000g)와 상기한 마풀술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생강즙에 의해 숙성되는 과정 1/4 감량된 마 가루(3,000g)를 혼합하여 90~100℃에서 1시간을 끓여서 1/10감량된 마풀술 9,000g(9kg)를 얻었다.
실시 제7공정의 2(7-2)는 상기 마풀술(6,000g)에 상기한 냉장고에 보관했던 쥐눈이콩가루(4,500g)와 상기한 검은 참깨가루(1,100g)와 상기한 백출가루(1,100g)와 홍화씨가루(450g)와 홍송솔잎가루(80g)를 혼합하여 제환기에 투입하여 복용하기에 용이하게 일정크기의 알환을 얻고 이를 80℃의 온도에서 24시간 건조시켰던 바, 수분 함량 3%인 제품 13,000g(13kg)를 얻게 되었다. (상기 건조과정에서 250g 감량이 되었다.)
현재 사회적으로 만연되어 가고 있는 심장질환 및 통풍증의 중요원인에 대하여 학계의 연구결과로는 잔여 농약성분이 오염된 식생활로 인해 간장의 해열·해독작용의 에너지가 부족한데 있고, 이와 같은 결손에너지를 돕는데는 쥐눈이콩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쥐눈이콩 속에 다량 함유되고 있는 인체의 위장, 취장, 신장을 냉하게 하여 식욕을 저하하는 냉한성분과 위장, 취장, 신장을 습하게 하는 한습성분을 제거되지 못한 관계로 이의 대중적인 음용을 기피하고 있는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어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이의 시제품을 생산하여 허약한 체질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6~8개월 음용하도록한 임상실험에서, 기대치 이상으로 이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이의 사업화는 매우 밝은 것으로 전망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은 제1공정의 1 1-2는 제1공정의 2
1-3은 제1공정의 3 2-1은 제2공정의 1
2-2는 제2공정의 2 3-1은 제3공정의 1
3-2는 제3공정의 2 4-1은 제4공정의 1
4-2는 제4공정의 2 5-1은 제5공정의 1
5-2는 제5공정의 2 6-1은 제6공정의 1
6-2는 제6공정의 2 6-3은 제6공정의 3
7-1은 제7공정의 1 7-2는 제7공정의 2

Claims (1)

  1.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의 구성비는 쥐눈이콩 40~60중량%, 검은참깨 10~14중량%, 마 15~25중량%, 백출 10~14중량%, 홍화씨 4~6중량%, 홍송솔잎 1중량%로 구성하고 이에 첨가제로서 통상의 생탁주(막걸리), 황토흙가루, 생강, 증류수 등으로 조성하고 이의 제조공정을 도 1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제1공정의 1(1-1)은 쥐눈이콩 40~60중량%을 생탁주(첨가제)와 함께 옹기질그릇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제거시킨 다음 쥐눈이콩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5시간 건조시키고 상기 주침과정의 한습 및 냉한성분을 가진 쥐눈이콩의 성분분해로 인하여 분홍색으로 중성화 된 생탁주는 1차로 냉장고에 보관하고,
    제1공정의 2(1-2)는 태양빛에 건조된 상기 쥐눈이콩을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2차로 옹기질그릇에 담아서 혼합주침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시킨 다음 쥐눈이콩을 건져서 통풍이 잘 되는 태양빛에 2차로 5시간 건조시키고 이때 사용된 생탁주는 2차로 냉장고에 보관하며,
    제1공정의 3(1-3)은 상기 태양빛에 의해 건조된 쥐눈이콩을 2차로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3차로 옹기질그릇에 담아 혼합주침하여 상온에서 5시간 숙성시킨 후 쥐눈이콩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서 3차로 건조시켜 쥐눈이콩이함유하고 있는 인체의 체질을 냉하게 하는 냉한성분과 한습성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쥐눈이콩과 1~3차 혼합 주침으로 쥐눈이콩의 성분분해로 인하여 짙은 분홍색으로 변화된 생탁주는 3차로 냉장고에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한 태양빛에 의하여 수분이 충분히 제거된 쥐눈이콩은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한 후 냉장고에 보관하는 제1공정과;
    제2공정의 1(2-1)은 검은 참깨 10~14중량%를 깨끗한 정수로 청결하게 세척하여 부드러운 채판에 담아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 끓는 증기로 2분 동안 찐고(2분이 초과되면 검은 참깨의 기름이 빠지면 효능이 약해진다.),
    제2공정의 2(2-2)는 상기와 같이 채판에 담아 찐 검은 참깨를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서 건조시킨 다음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쇄한 후 냉장고에 보관하는 제2공정과;
    제3공정의 1(3-1)은 적량의 맑은 정수(첨가제)를 옹기질그릇에 담고 햇빛을 보지 못한 땅속의 황토흙을 채취하여 부드러운 천으로 걸른 황토가루 적량을 상기 질그릇에 담긴 물과 혼합한 황토물에 백출 10~14중량%를 침지하여 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백출을 건져서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충분히 건조시키고,
    제3공정의 2(3-2)는 건조된 백출을 옹기질그릇에 담아 70~80℃의 열로서 자연황색이 나도록 가열한 다음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제분한 후 냉장고에 보관하는 제3공정과;
    * 제4공정의 1(4-1)은 홍화씨 4~6중량%를 증류수에 세척하여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 충분하게 건조시키고 건조된 홍화씨를 옹기질그릇에 담아 70~80℃의 열에서 황색 빛이 나도록 굽고,
    제4공정의 2(4-2)는 구운 홍화씨를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제4공정과;
    제5공정의 1(5-1)은 홍송솔잎 1중량%를 채취하여 채판에 담아 끓는 증수의 수증기로 솔잎의 송진이 빠지지 않도록 살짝 쪄서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리고,
    제5공정의 2(5-2)는 잘 말린 홍송솔잎을 제분기에 투입하여 부드럽게 분말화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제5공정과;
    제6공정의 1(6-1)은 비교적 많은 양의 생강(첨가제)을 마쇄기로 부드럽게 마쇄하여 천으로 걸려 얻어진 묽은 생강즙을 옹기질그릇에 담고 잘 건조된 마 15~25중량%를 상기 옹기질그릇에 담긴 생강즙과 혼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마를 건져내어 통풍이 잘되는 태양빛에서 충분히 건조시키고,
    제6공정의 2(6-2)는 건조된 상기의 마를 옹기 질그릇에 담아서 70~80℃의 열에 가열하여 황색이 나도록 구으며,
    제6공정의 3(6-3)은 상기 구운 마를 제분기로 부드럽게 분말화하는 제6공정과;
    제7공정의 1(7-1)은 상기 제1공정에서 얻어진 분홍색으로 변화되어 냉장고에 보관했던 생탁주와 상기 제6공정의 3(6-3)에서 얻어진 마 가루를 혼합하여 90~100℃에서 30분정도 가열하여 마풀술을 얻게하고,
    제7공정의 2(7-2)는 상기 마풀술에 상기한 냉장고에 보관중인 쥐눈이콩 가루 40~60중량%와 냉장고에 보관중인 제2공정의 검은 참깨가루 10~14중량%와 제3공정에의 백출가루 10~14중량% 및 제4공정의 홍화씨가루 4~6중량%, 제5공정의 홍송솔잎가루 1중량%를 혼합한 후, 이를 제환기에 투입하여 대중적으로 장기간 복용하기에 용이한 일정크기의 알환을 만들어 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3~5%이하가 되게 건조함을 특징으로 한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70070510A 2007-07-13 2007-07-13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KR10098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510A KR100982044B1 (ko) 2007-07-13 2007-07-13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510A KR100982044B1 (ko) 2007-07-13 2007-07-13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535A KR20070087535A (ko) 2007-08-28
KR100982044B1 true KR100982044B1 (ko) 2010-09-14

Family

ID=3861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510A KR100982044B1 (ko) 2007-07-13 2007-07-13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0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6279A (zh) * 2014-06-30 2014-11-19 马鞍山雨润百瑞食品有限公司 一种南瓜口味的驴肉丸及其制备方法
CN104687061A (zh) * 2015-02-13 2015-06-10 成都市亚丁胡杨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健康养生冰粉及其制备方法和一种冰粉粉的制备方法
KR101578070B1 (ko) 2015-04-08 2015-12-16 김경일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 혈당 조절, 위장 장애 증상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160122569A (ko) 2015-04-14 2016-10-24 방순옥 검은깨, 쥐눈이콩 및 어성초가 포함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3224A (ko) 2018-03-28 2019-10-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쥐눈이콩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77A (ko) * 1998-12-16 1999-03-25 양양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건강보조식품
KR19990033732A (ko) * 1997-10-22 1999-05-15 강희송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00072072A (ko) * 2000-07-21 2000-12-05 오환근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9009A (ko) * 2007-01-23 2007-02-14 박영돈 검정깨, 쥐눈이콩, 및 마늘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732A (ko) * 1997-10-22 1999-05-15 강희송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9990024177A (ko) * 1998-12-16 1999-03-25 양양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건강보조식품
KR20000072072A (ko) * 2000-07-21 2000-12-05 오환근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9009A (ko) * 2007-01-23 2007-02-14 박영돈 검정깨, 쥐눈이콩, 및 마늘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6279A (zh) * 2014-06-30 2014-11-19 马鞍山雨润百瑞食品有限公司 一种南瓜口味的驴肉丸及其制备方法
CN104687061A (zh) * 2015-02-13 2015-06-10 成都市亚丁胡杨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健康养生冰粉及其制备方法和一种冰粉粉的制备方法
KR101578070B1 (ko) 2015-04-08 2015-12-16 김경일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 혈당 조절, 위장 장애 증상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160122569A (ko) 2015-04-14 2016-10-24 방순옥 검은깨, 쥐눈이콩 및 어성초가 포함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3224A (ko) 2018-03-28 2019-10-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쥐눈이콩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535A (ko) 200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8367B (zh) 一种养生茶
CN103535596B (zh) 一种富含膳食纤维保健粉及其制备方法
CN109924456A (zh) 一种黑芝麻黄精丸的制备方法
CN1314343C (zh) 沙棘茶保健茶、复方沙棘茶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0982044B1 (ko) 쥐눈이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CN104605070A (zh) 一种基于桑叶和杜仲的复合茶及其制备方法
CN106071822A (zh) 一种凉粽的制作方法
KR100897411B1 (ko) 가시오가피가 함유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CN101347188A (zh) 一种蛋鸡饲料和用中药制酊剂炮制鸡蛋的方法
CN100336455C (zh) 印楝保健茶及其制造工艺
CN105076728B (zh) 富硒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0815375B1 (ko) 닭과 한약재를 이용한 닭 대보중탕 및 그 제조방법
CN106942133A (zh) 一种斗鸡的养殖方法
KR20100076161A (ko) 꾸지뽕나무와 오죽대통과 죽염을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CN105709149A (zh) 药用植物富硒富锌酵素及其制备方法
CN104946488A (zh) 养生龟酒及其制备方法
KR20060120992A (ko) 청국장용 분말 및 메주 제조장법
CN108347978A (zh) 乳酸菌发酵全大蒜制备方法
CN108496892A (zh) 一种土乌鸡的饲养方法
CN103652572A (zh) 一种谷物保健粉及其制备方法
CN104082527B (zh) 一种育珠蚌饵料
CN102240036B (zh) 一种健肾保健食品
KR20110017041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소금의 제조방법
CN111557578A (zh) 一种中药养生药枕及其制备方法
KR101397189B1 (ko) 두충 및 오가피를 이용한 추출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23

Effective date: 201007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