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154B1 - Cabinet panel assembly - Google Patents

Cabinet panel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154B1
KR100981154B1 KR1020100033110A KR20100033110A KR100981154B1 KR 100981154 B1 KR100981154 B1 KR 100981154B1 KR 1020100033110 A KR1020100033110 A KR 1020100033110A KR 20100033110 A KR20100033110 A KR 20100033110A KR 100981154 B1 KR100981154 B1 KR 10098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nection
bar
break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열화
Original Assignee
성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열화 filed Critical 성열화
Priority to KR102010003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PURPOSE: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is provi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replacement operation of a main circuit breaker by includ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circuit breaker with a main connection bar. CONSTITUTION: A plurality of main connection bars(40) are arranged on a base panel(30) in parallel. The main connection bar is made of conductive materials. The main connection bar electrically connects each distribution unit(20). A connector(50) electrically connects the main connection bar.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a second connection unit, and a connection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bar. A second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reaker. The connection unit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unit with the second connection unit.

Description

분전반 어셈블리{Cabinet panel assembly}Distribution panel assembly {Cabinet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분전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메인 차단기의 교체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부품의 위치변경을 초래하지 않음으로써 교체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메인 차단기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현장 작업성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분전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he replacement of the main circuit breaker for supplying and cutting off power does not cause a change in the position of components that are already install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replacement ope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increase convenience of field workability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일반적으로 전력의 사용이 요구되는 건물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분전반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building that requires the use of electric power is equipped with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이러한 분전반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메인 차단기(1)와, 상기 메인 차단기(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전자부품에 인가해 주기 위한 복수의 분전 유니트(2)들과 상기 메인 차단기(1)와 분전 유니트(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 주기 위한 복수의 메인 연결바(3)들과 서브 연결바(4)들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distribution panel assembly includes a main circuit breaker 1 for supplying and cutting off power and a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units for a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circuit breaker 1 to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2) and a plurality of main connecting bars (3) and sub connecting bars (4)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reaker (1) and the power distribution unit (2).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차단기(1)를 용량이 크거나 작은 것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연결바(3)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들 간의 폭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베이스 패널(5)의 특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메인 연결바(3)들은 새로운 메인 차단기(1)의 접속단자들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재차 설치되어야만 한다. 결국, 이러한 단점을 가지는 종래기술로 인하여, 소비자의 경우 메인 차단기(1)의 교체에 소요되는 교체비용이 증대됨으로써 제품만족도가 떨어지게 되고 작업자의 경우 교체작업의 비효율성으로 업무효율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However, in the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main breaker 1 is to be replaced with a large or small capacity, the width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to which the main connecting bars 3 are electrically connected is changed. In addition, the main connecting bars 3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base panel 5 should be installed agai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new main breaker 1. As a result, due to the prior art having such a disadvantage, the consumer ha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impaired due to the inefficiency of the replacement work is reduced by the replacement cost of the main breaker (1) is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consumer Will result.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연결바(3)와 서브 연결바(4)간의 전기적 연결작업을 위해 상기 서브 연결바(4)를 상기 메인 연결바(3)에 나사(6)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그 연결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나사결합 부위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로 전력공급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초래하였다.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ub-connecting bar (4) to the main connecting bar (3) screw 6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necting bar (3) and the sub connecting bar (4) By connecting using a coupling means such as, not onl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connection work, but also a structural problem due to the screw coupling site caused a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efficiency of power suppl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차단기의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교체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분전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that can reduce the replacement cost of the main circuit breaker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eplacement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차단기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 간의 전기적 연결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분전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electrical connection work between the main breaker and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메인 차단기와,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분전 유니트와, 상기 메인 차단기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들이 설치되는 베이스 패널을 구비하는 분전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 차단기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각 서로 평행한 직선형의 축선을 따라 상기 베이스 패널에 길게 설치되고, 전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된 메인 연결바들; 및 상기 메인 차단기의 각 접속단자와 상기 각 메인 연결바가 동축상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메인 연결바들의 설치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각 메인 연결바와 메인 분전반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연결바와 동축적인 위치에서 접속되는 제1접속부, 상기 메인 차단기와 동축적인 위치에서 접속되는 제2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circuit breake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reaker to receive power from the main circuit breaker And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including the main breaker and a base panel on which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are installed, wherein the main circuit breaker is installed on the base panel along a straight axis parallel to each othe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reaker and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Main connection bars formed by a conductive material; And when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main breaker and the main connection bars are not coaxially positioned, the main connection bars and the main distribution panel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adjacent main connection bars. A connector having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at a coaxial position with the main connection bar,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at a coaxial position with the main break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상기 커넥터의 제1접속부는, 상기 메인 연결바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메인 연결바와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메인 연결바가 상기 연결단자의 삽입슬릿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having an insertion slit into which the main connection bar is inserted,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nection bar and the connector is made by inserting the main connection bar into the insertion slit of the connection terminal.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상기 메인 연결바와 분전 유니트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분전 유니트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연결바에 접속되는 복수의 서브 연결바를 구비하되, 상기 각 서브 연결바는 상기 메인 연결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여서, 상기 서브 연결바와 메인 연결바 간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메인 연결바가 상기 서브 연결바의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nection bar and the power distribution unit,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 connection bar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bar, each sub connection bar The main connecting ba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ub connecting bar and the main connecting ba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connecting ba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ub connecting bar.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메인 차단기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들의 위치고정을 위하여 다수의 위치결정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ase pane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 fixing the main breaker and the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units.

상기 베이스 패널은, 위치고정용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분전 유니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들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위치고정용 밴드가 결합되는 위치고정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panel preferably includes a positioning rib to which the positioning band is coupled so as to fix the wir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using the positioning ban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메인 차단기와 메인 연결바들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차단기의 용량의 차이에 따라 접속단자들이 메인 연결바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그 메인 연결바들을 다른 위치에 재설치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메인 차단기의 교체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결국, 이러한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있어서 제품 교체 등에 소요되는 사후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제조자에게 있어서 업무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a connector connecting the main breaker and the main connecting bar, so that the main terminals are not coaxially arranged with the main connecting ba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apacity of the main breaker. As it is not required to reinstall the connecting bars in other locations, the replacement of the main breaker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advantage enables the customer to reduce the after-care costs required for product replacement and the like and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for the manufactur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전반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메인 차단기와 메인 연결바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의 결합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메인 연결바와 서브 연결바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메인 연결바와 서브 연결바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1 is a front view of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main breaker and the main connecting ba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in the engaged stat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main connecting bar and the sub connecting bar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nection bar and the sub connection bar is adop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o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메인 차단기와 메인 연결바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의 결합상태에서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메인 연결바와 서브 연결바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메인 연결바와 서브 연결바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main breaker and the main connecting bar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3 is a front view in a combined stat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main connection bar and the sub connection ba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connection bar and a sub connection bar employed in an example connected,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or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차단기(10)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20)들과 베이스 패널(30)과 메인 연결바(40)들과 커넥터(5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reaker 10, a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units 20, a base panel 30, a main connecting bar 40 and a connector 50.

상기 메인 차단기(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받아 상기 분전 유니트(20)들에 인가해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분전 유니트(2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속단자(11)들을 구비한다.The main breaker 10 receive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pplies the power to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11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

상기 접속단자(11)들을 일정한 폭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폭은 상기 메인 차단기(10)의 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용량이 큰 메인 차단기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메인 차단기보다 상기 폭이 크게 형성된다. The connection terminals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width depends on a capacity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ower of the main breaker 10. In other words, the main breaker having a large capacity is larger in width than the main breaker having a smaller capacity.

상기 각 분전 유니트(20)는,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그 메인 차단기(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부품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Each of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reaker 10 so as to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reaker 10 and apply the same to an electronic component.

상기 베이스 패널(30)은,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분전 유니트(20)들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위치결정구멍(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구멍(31)들은,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분전 유니트(20)들을 상기 베이스 패널(30)에 위치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베이스 패널(30)은, 상기 위치결정구멍(31)에 상기 메인 차단기(10)의 삽입레그(미도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The base panel 30 is a portion in which the main breaker 10 and the power distribution unit 20 are installed, an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31 are formed. These positioning holes 31, the main breaker 10 and the power distribution unit 20 by the coupling is made in a state fixed to the base panel 30,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That is, the main breaker 10 and the base panel 30 are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in a state where an insertion leg (not shown) of the main breaker 1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1. The bond is mad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패널(30)은, 상기 분전 유니트(20)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W)들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위치고정리브(32)를 구비한다. 즉,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들에 위치고정용 밴드(B) 내에 결속시킨 다음, 그 위치고정용 밴드(B)를 상기 위치고정리브(32)에 고정시킴으로써, 다수의 와이어(W)들의 서로 뒤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ase panel 30 includes a position fixing rib 32 to fix the wires W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That is, as shown in FIG. 1, by binding the wires W to the fixing band B, and then fixing the positioning band B to the positioning rib 32, The plurality of wires W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상기 각 메인 연결바(40)는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각 분전 유니트(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30)에 서로 평행한 직선형의 축선(도 4참조;C1 , 이하 '제1축선'이라 함)들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Each of the main connection bars 40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reaker 10 and each of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and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aluminum, and formed on the base panel 30. It is installed long along the parallel linear axis (see Fig. 4; C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xis').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메인 연결바(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연결바(40)와 동축적인 위치(도 4 참조, C1 축선상에 위치)에서 접속되는 제1접속부(51),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동축적인 위치(도 4 참조, C2 축선상에 위치)에서 접속되는 제2접속부(52), 상기 제1접속부(51)와 제2접속부(5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53)를 구비한다. The connector 50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reaker 10 and the main connection bar 40 to a position coaxial with the main connection bar 40 (see FIG. 4, on the C1 axi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1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1,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2 connected to the main breaker 10 in a coaxial position (see FIG. 4, on the C2 axis lin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1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art 53 which connects the two connection parts 52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차단기(10)의 접속단자(11)들은 상기 메인 연결바(40)의 제1축선(C1)과는 다른 축선상(도 4참조;C2, 이하 '제2축선'이라 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51)와 제2접속부(52)는 서로 다른 축선(C1,C2)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제1축선(C1)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절곡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s 11 of the main breaker 10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C1 of the main connection bar 40 (see FIG. 4; C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axi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 are positioned on different axes C1 and C2, and the connecting portion 53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first axis C1. It is bent at an ang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메인 연결바(40)들을 연결시키는 커넥터(5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메인 차단기(10)의 용량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11)들이 상기 메인 연결바(40)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 연결바(40)들을 다른 위치에 재설치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메인 차단기(10)의 교체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결국, 이러한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있어서 제품 교체 등에 소요되는 사후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제조자에게 있어서 업무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50 connecting the main breaker 10 and the main connection bar 40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s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capacity of the main breaker 10. Even if the main connecting bar 40 is not coaxially disposed, the work of reinstalling the main connecting bars 40 to another location is not requir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replacement of the main breaker 10. Has the advantage.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advantage enables the customer to reduce the after-care costs required for product replacement and the like and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for the manufactur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50)는, 이러한 장점 이외에도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메인 연결바(40)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을 도출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50, in addition to these advantages,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derives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work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reaker 10 and the main connecting bar 40.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50)의 제1접속부(51)는, 상기 메인 연결바(40)가 삽입되는 삽입슬릿(54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54)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단자(54)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연결단자(54)의 삽입슬릿(54a)에 상기 메인 연결바(40)를 삽입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커넥터(50)와 메인 연결바(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50)와 메인 연결바(40)를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of the connector 50 has a connecting terminal 54 having an insertion slit 54a into which the main connecting bar 40 is inserted.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necting terminal 54, the connector 50 and the main connecting bar 40 through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main connecting bar 40 into the insertion slit 54a of the connecting terminal 54. )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operator can connect the connector 50 and the main connecting bar 40 to each other without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터(50)의 제1접속부(51)의 구성에 더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하는 구성이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of the connector 50, a configuration is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즉, 본 실시예는 상기 메인 연결바(40)와 분전 유니트(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일측이 상기 분전 유니트(20)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연결바(40)에 접속되는 복수의 서브 연결바(60)들을 구비한다.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bar 40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nection bar 40 and the power distribution unit 20 Sub connection bars 60 are provided.

상기 각 서브 연결바(60)는,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연결바(40)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을 구비하여서, 상기 서브 연결바(60)와 메인 연결바(40) 간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메인 연결바(40)가 상기 서브 연결바(60)의 삽입홈(61)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5 and 6, each of the sub connection bars 6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61 into which the main connection bar 40 is insert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bar 40 is to be made by the main connection bar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1 of the sub connection bar (60).

이러한 서브 연결바(6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는, 작업자가 상기 분전 유니트(20)와 메인 연결바(40)를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종래기술과 같이 나사에 의한 전기적 연결시에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 문제로 인하여 전력공급의 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sub connection bar 60 allows the operato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distribution unit 20 and the main connection bar 40 to each other without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ropertie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move the factors that hinder the efficiency of the power supply due to the structural deformation problem occurring dur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y the screw as in the prior art.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채용되는 커넥터(50)는, 점선으로 도시된 브라켓(100)으로부터 형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브라켓(100)의 일부분인 것으로, 상기 브라켓(100)을 절단시킴으로써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connector 50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rom the bracket 100 shown in dashed lines. That is, the connector 50 is part of the bracket 100 and is formed by cutting the bracket 100.

이러한 브라켓은, 서로 다른 규격 및 용량의 메인 차단기(10)와 메인 연결바(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규격의 커넥터(50,50a,50b)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The bracket is for efficiently forming the connectors 50, 50a and 50b of different siz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reaker 10 and the main connecting bar 40 of different sizes and capacities.

즉, 하나의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규격 및 형상이 다른 세 개의 커넥터(50,50a,50b))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세 개의 커넥터(50,50a,50b)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하, 상기 세 개의 커넥터를 각각 제1커넥터(50), 제2커넥터(50a)와 제3커넥터(50b)라 한다. That is, by forming three connectors (50, 50a, 50b)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using one bracket 100, three connectors (50, 50a, 50b) can be made with one mold The effect is derived. Hereinafter, the three connectors are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or 50, a second connector 50a, and a third connector 50b, respectively.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50a)와 제3커넥터(50b)에는, 각각 두 개의 나사구멍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50)에 채용된 연결단자(54)를 상기 제2커넥터(50a)와 제3커넥터(50b)에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e first connector 50, the second connector 50a, and the third connector 50b, two screw hole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54 employed in the first connector 50 is provided. ) Can be employed in the second connector 50a and the third connector 50b.

상술한 브라켓(100)은, 상기 제2커넥터(50a)가 메인 차단기(10)의 접속단자(11)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원래의 접속단자(11)의 폭과는 다른 폭을 가지는 메인 차단기(10)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제1커넥터(50) 또는 제3커넥터(50b)를 이용하여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The bracket 100 has a wid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original connection terminal 11 as necessary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onnector 50a is alread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main circuit breaker 10. When the replacement of the main breaker 10 having a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by enabling the connection work using the first connector 50 or the third connector 50b.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표시패널(200)과 표시부재(202)를 더 구비한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tribu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shown in this figure further includes a display panel 200 and a display member 202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표시패널(20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분전반 유니트(20)들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표시패널(200)은, 메인 연결바(40)들의 배열 방향의 축선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관통공(201)들을 구비한다. 상기 각 관통공(201)들에는, 상기 표시부재(202)의 삽입턱(미도시)이 관통한다. The display panel 2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main breaker 10 and the distribution panel units 20. The display panel 200 includes a pair of through holes 201 disposed at intervals along an axis lin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in connection bars 40. Insertion jaws (not shown) of the display member 202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201.

즉, 상기 표시부재(202)는 상기 한 쌍의 관통공(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턱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재(202)에는 상기 각 분전 유니트(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기에 대한 명칭이, 예컨대 'P1'(조명 1에 대한 표시)과 같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관통공(201)들은, 상기 메인 연결바(40)의 축선 방향으로 따라 복수쌍으로 배열된다. That is, the display member 202 includes a pair of insertion jaw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through holes 201. In the display member 202, names of devi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are displayed, for example, as 'P1' (indication for illumination 1). The pair of through holes 201 are arranged in plural pair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connecting bar 40.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표시패널(200)의 복수쌍의 관통공(201)들 중 원하는 위치에 있는 임의의 관통공(201)들에, 원하는 표시부재(202)를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esired display member 202 is easily positioned in any of the through holes 201 at desired positions among the plurality of pairs of through holes 201 of the display panel 20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ix it.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메인 차단기 11:접속단자
20:분전 유니트 30:베이스 패널
31:위치결정구멍 32:위치고정리브
40:메인 연결바 50:커넥터
51:제1접속부 52:제2접속부
53:연결부 54:연결단자
554a:삽입슬릿 60:서브 연결바
61:삽입홈 B:위치고정용 밴드
C1:제1축선 C2:제2축선
W:와이어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main circuit breaker 11: connection terminal
20: power distribution unit 30: base panel
31: Positioning hole 32: Position fixing rib
40: Main connecting bar 50: Connector
51: first connection portion 52: second connection portion
53: connector 54: connector
554a: inserting slit 60: sub connecting bar
61: Insertion groove B: Position fixing band
C1: First axis C2: Second axis
W: Wire

Claims (6)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메인 차단기와,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분전 유니트와, 상기 메인 차단기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들이 설치되는 베이스 패널을 구비하는 분전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20)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각 서로 평행한 직선형의 축선(C1)을 따라 상기 베이스 패널(30)에 길게 설치되고, 전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된 메인 연결바(40)들; 및
상기 메인 차단기(10)의 각 접속단자(11)와 상기 각 메인 연결바(40)가 동축상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메인 연결바(40)들의 설치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각 메인 연결바(40)와 메인 분전반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연결바(40)와 동축적인 위치에서 접속되는 제1접속부(51),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동축적인 위치에서 접속되는 제2접속부(52), 및 상기 제1접속부(51)와 제2접속부(5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53)를 구비하는 커넥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A main breake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reaker to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reaker,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In the distribution panel assembly having a base panel, which is installed
The main connection bar is installed in the base panel 30 along a straight axis C1 parallel to each othe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reaker 10 and the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units 20 and formed by a conductive material. 40; And
When each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main connection bar 40 of the main breaker 10 are not coaxially positioned,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main connection bars 40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changed. Positions coaxial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51 and the main breaker 10 connected at a coaxial position with the main connection bar 40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ain connection bars 40 and the main distribution board. And a connector 50 hav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52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53 and a connecting portion 53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 to each oth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0)의 제1접속부(51)는, 상기 메인 연결바(40)가 삽입되는 삽입슬릿(54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5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메인 연결바(40)와 커넥터(50) 간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메인 연결바(40)가 상기 연결단자(54)의 삽입슬릿(54a)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of the connector 50 has a connecting terminal 54 in which an insertion slit 54a into which the main connecting bar 40 is inserted is formed.
Distribution boar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necting bar 40 and the connector 50 is configured by the main connecting bar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54a) of the connecting terminal (5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결바(40)와 분전 유니트(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분전 유니트(20)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연결바(40)에 접속되는 복수의 서브 연결바(60)를 구비하되,
상기 각 서브 연결바(60)는 상기 메인 연결바(40)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을 구비하여서, 상기 서브 연결바(60)와 메인 연결바(40) 간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메인 연결바(40)가 상기 서브 연결바(60)의 삽입홈(61)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nection bar 40 and the power distribution unit 2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unit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bar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 connecting bar 60,
Each of the sub connection bars 6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61 into which the main connection bar 40 is inserted,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ub connection bar 60 and the main connection bar 40 is performed through the main connection bar. Distribution boar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4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1) of the sub connecting bar (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30)에는, 상기 메인 차단기(10)와 복수의 분전 유니트(20)들의 위치고정을 위하여 다수의 위치결정구멍(31)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nel (30), the distribution pane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31) are formed for fixing the main breaker (10) and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30)은, 위치고정용 밴드(B)를 이용하여 상기 분전 유니트(20)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W)들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위치고정용 밴드(B)가 결합되는 위치고정리브(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nel 30 has a fixing band B so that the fixing band B can fix the wires W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Distributing pane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sition fixing rib (32) to be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전 유니트(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기에 대한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200)과 상기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표시부재(202)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패널(200)은, 상기 메인 연결바(40)들의 배열 방향의 축선인 상하방향의 축선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재(202)의 한 쌍의 삽입턱이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201)들을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관통공(201)들은, 상기 메인 연결바(40)들의 배열 방향의 축선인 상하방향의 축선을 따라 복수쌍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isplay panel 200 for displaying a name of a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distribution units 20, and a display member 202 on which the name is displayed.
The display panel 200 i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axis, which is an axi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in connecting bars 40, and a pair of insertion jaws of the display member 202 penetrate therethrough. Through holes 201 of the,
The pair of through holes (201), the distribution pane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plurality of pairs along the axis of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axi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in connecting bar (40).
KR1020100033110A 2010-04-12 2010-04-12 Cabinet panel assembly KR100981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10A KR100981154B1 (en) 2010-04-12 2010-04-12 Cabinet pane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10A KR100981154B1 (en) 2010-04-12 2010-04-12 Cabinet panel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154B1 true KR100981154B1 (en) 2010-09-10

Family

ID=4300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10A KR100981154B1 (en) 2010-04-12 2010-04-12 Cabinet panel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1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5446U (en) 1985-02-13 1986-08-23
JP2000188805A (en) 1998-12-21 2000-07-04 Fuji Electric Co Ltd Connection conductor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KR100641031B1 (en) 2006-03-31 2006-11-02 (주)제일피앤피 A switch board for a electric power apparatus
KR20080003842U (en) * 2007-03-08 2008-09-11 홍권기 Distributing 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5446U (en) 1985-02-13 1986-08-23
JP2000188805A (en) 1998-12-21 2000-07-04 Fuji Electric Co Ltd Connection conductor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KR100641031B1 (en) 2006-03-31 2006-11-02 (주)제일피앤피 A switch board for a electric power apparatus
KR20080003842U (en) * 2007-03-08 2008-09-11 홍권기 Distributing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3136A1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9806502B2 (en) Hybrid plug-on/pigtail neutral bar
KR101297487B1 (en) Distribution board for having multi modular
US10439341B2 (en) Hybrid neutral plug on bar with distributed pitch
KR100672960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bus-bar
JP2006238562A (en) Plug-in distribution board
US20130294035A1 (en) Device for Accommodating Mounting Rail Module Cases
KR100534589B1 (en) Between main busbar and sub busbar for an distribution switchboard and connecting apparatus thereof
KR100981154B1 (en) Cabinet panel assembly
JP2009219292A (en) Terminal block for primary feeding
JP2013187947A (en) Plug-in power distribution board
JP4062741B2 (en) Terminal conversion unit
US9806438B2 (en) Ground bracket for an outlet of a rack power distribution unit and related method
US10218159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neutra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JP5652836B2 (en) Bus structure of single-phase three-wire distribution board
JP6936716B2 (en) Ground terminal unit
JP5441032B2 (en) Bus structure of single-phase three-wire distribution board
KR20140147474A (en) A distributing board
JP6433336B2 (en) Distribution board
JP4836249B2 (en) Distribution board
CN109950795A (en) Current distribution units especially in electrical panel or cabinet
KR102180369B1 (en) Bus bars for power supply of peripheral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Z182097A3 (en)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al installation instruments
JP2019149898A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board
JP6178996B2 (en) Plug-in unit used for plug-in distribution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