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926B1 -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926B1
KR100980926B1 KR1020080055009A KR20080055009A KR100980926B1 KR 100980926 B1 KR100980926 B1 KR 100980926B1 KR 1020080055009 A KR1020080055009 A KR 1020080055009A KR 20080055009 A KR20080055009 A KR 20080055009A KR 100980926 B1 KR100980926 B1 KR 10098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hydrogen
oxygen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975A (ko
Inventor
이근제
한국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926B1/ko
Priority to US12/283,459 priority patent/US20090311560A1/en
Publication of KR2009012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91Concentration; Density
    • H01M8/04798Concentration; Density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활성화를 1차로 진행한 후, 연료전지의 수소 입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출구를 서로 바꾸어 연료전지 활성화를 2차로 진행하여, 연료전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에 소정 유량의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각각 공급한 후, 반응을 마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가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와;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를 각각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로,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각각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로 바꾸어서,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는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연료전지, 역활성화, 수소 입출구, 공기(또는 산소) 입출구

Description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Method for reverse activation of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1차 활성화를 진행한 후, 연료전지의 수소 입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출구를 서로 바꾸어 연료전지 2차 활성화를 진행하여, 연료전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는 수소(H2)와 산소(O2)를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수소이온(H+)이 전달되는 전해질막(electrolyte membrane)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수소(H2)가 공급되는 연료극(anode)과 공기(또는 산소)가 공급되는 공기극(cathode)으로 구성되며,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와 분리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연료전지스택이라 한다.
상기 연료극에는 연료인 수소가, 상기 공기극에는 산화제인 공기(또는 산소)가 공급되는데, 연료극에서는 공급된 수소가 그 촉매층 산화 반응에 의해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이때 발생된 수소이온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하여,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공기극에 공급되며, 이에 공기극에서는 공급된 산소와 전자가 만나 촉매층 환원반응에 의해 산소이온이 생성되고, 상기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이 결합하여 물이 생성되는 원리를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전기 발생 원리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으로 조립 제작된 후 초기 운전시 전기 화학 반응에서 그 활성도가 떨어지므로, 연료전지 스택 조립 후 정상적인 초기 성능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활성화(Activation)라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프리-컨디셔닝(Pre-conditioning) 또는, 브레이크 인(break-in)으로 불리기도 하는 연료전지 활성화의 목적은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는 촉매를 활성화시키고, 전해질 막 및 전극내 포함된 전해질을 충분히 수화시켜 수소이온 통로를 확보하는데 있다.
이러한 촉매 활성화(catalytic activity)에 따른 전극내 수소 및 산소의 이온화 경향과 생성된 이온(H+, O2-) 및 전자의 이동도(mobility)와 같은 전기화학적 반응 효율에 따라 연료전지의 성능은 결정된다.
연료전지 스택의 제작 후, 활성화를 진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 운전이 이루어지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수반될 수 있다.
첫째, 전극 반응이 일어나는 삼상계면(TPB; Triple Phase Boundary) 즉, 전 해질 막과, 전극(연료극 및 공기극)촉매층과, 반응가스(수소, 공기)간의 분포가 효율적이지 않아, 반응점(active site)이 제한되고 반응물의 이동통로가 막히거나 고립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전극 촉매층에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촉매 효율 및 전자 전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전해질 막이 충분히 가수화 되지 않아, 수소 이온의 이동도가 낮게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연료전지 성능이 불안정하고 낮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 스택을 제작한 후, 최대 출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활성화(activation) 공정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연료전지에 가습 및 부하 사이클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연료전지 활성화 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에 반응가스인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각각 공급하면서 삼상계면에서 전극 반응을 유도하고, 전해질막을 충분히 수화시켜 수소이온의 통로를 확보하는 등의 방식으로 연료전지 활성화 방법이 진행된다.
그러나, 연료전지 스택의 구성중 분리판의 형상이 길어짐에 따라 연료(수소)농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위치에 따른 촉매의 활성화 차이가 생기게 되고, 따라서 전극막 어셈블리의 자체 성능에서 왼쪽 및 오른쪽의 성능 차이가 발생하여 연료전지에서 최고의 성능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료전지 활성화가 종료된 후, 분리판의 연료 농도를 측정한 결과, 첨부 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왼쪽 및 오른쪽에 연료 농도 차이가 발생하였고, 이는 전극막 어셈블리의 자체 성능에도 왼쪽 및 오른쪽의 성능 차이를 발생시켜 최고의 성능을 얻을 수 없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활성화 절차후 분리판이 길어짐에 따른 연료농도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시간당 들어오는 연료(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의 양은 일정하고 분리판에 걸리는 차압 또한 일정하나, 연료(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는 분리판의 유로를 지나갈수록 소모가 되므로 후단부에 가서는 연료의 농도가 감소하게 되므로, 결국 분리판이 길어짐에 따른 연료농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료가 공급될 때, 분리판의 위치에 따라 연료의 농도 차이가 생기게 되면, 전극막 어셈블리의 좌우측 부분에서도 촉매 활성화 차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료의 농도가 많은 곳은 그 만큼 촉매가 많이 활성화되고, 농도가 적은 곳은 그 만큼 촉매가 덜 활성화되며, 농도가 적은 곳은 계속 농도가 적은 상태로 유지되어 활성화 종료시까지 활성화가 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에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각각 공급한 후, 반응을 마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가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연료전지 1차 활성화를 진행하고, 이어서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를 각각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로,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각각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로 바꾸어서 동일한 방식으로 연료전지 2차 활성화를 진행함으로써, 분리판의 연료 및 공기(또는 산소)농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연료전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에 소정 유량의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각각 공급한 후, 반응을 마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가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와;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를 각각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로,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각각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로 바꾸어서,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는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후, 연료전지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높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는 낮게 되고, 상기 수소 출구쪽은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높고, 수소 농도 분포는 낮게 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후, 연료전지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1차 활성화 단계에서의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낮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는 높게 되고, 상기 1차 활성화 단계에서의 수소 출구쪽은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낮고, 수소 농도 분포는 높게 되어, 상기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수소 농도 분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연료전지 1차 활성화를 진행한 후, 연료전지의 수소 입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출구를 서로 바꾸어 연료전지 2차 활성화를 진행함으로써, 연료전지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농도를 균일한 분포로 유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료전지의 전극막 어셈블리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연료전지 1차 활성화후, 2차 역활성화를 진행하여, 연료전지의 최대 성능을 얻어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 활성화 단계를 1차 및 2차로 나누어 진행하되, 1차 활성화는 연료전지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에 각각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고, 2차 활성화는 역활성화 단계로서 연료전지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에 각각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최종 제조된 연료전지 스택을 연료전지 활성화용 장비(미도시됨)에 장착시킨 다음, 연료전지 1차 활성화를 진행한다.
즉, 활성화 장비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료전지 스택(10)의 수소 입구(12a)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14a)에 반응가스인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각각 공급한 후, 스택(10)의 내부에서 반응을 마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가 수소 출구(12b)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가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를 좀 더 상세하게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료전지의 셀 내부를 가수화시키기 위하여 연료전지의 냉각수 라인을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소정의 수준까지 상승시키고, 연료전지의 공기극(Cathode)입출구에 연결되어 있는 가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연료전지의 공기(또는 산소) 입구를 통해 공기극쪽으로 공급되는 공기(또는 산소)를 충분히 가습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가습은 연료전지의 전극막 어셈블리에 구비된 촉매층과 전해질막 등 이 충분히 수화되었을 때, 연료전지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때문이다.
즉, 연료전지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막은 물에 충분히 젖어 있을수록 이온전도도가 커져 저항에 의한 손실이 작아지지만, 상대습도가 낮은 반응기체의 공급이 계속되면 종국에는 고분자 전해질 막이 말라서 더 이상 쓸 수 없게 되므로,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에 있어서 그 공급되는 기체의 가습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가습과 함께, 반응가스인 수소와 공기(또는 산소)를 연료전지로 공급하는 바, 연료전지 스택(10)의 수소 입구(12a)를 통해 연료극(Anode)에 수소를 공급하고, 공기(또는 산소) 입구(14a)를 통해 공기극에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한다.
따라서, 연료전지의 연료극에는 연료인 수소가, 상기 공기극에는 산화제인 공기(또는 산소)가 공급됨에 따라, 연료극에서는 공급된 수소가 그 촉매층 산화 반응에 의해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이때 발생된 수소이온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하여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공기극에 공급되며, 이에 공기극에서는 공급된 산소와 전자가 만나 촉매층 환원반응에 의해 산소이온이 생성되고, 상기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이 결합하여 물이 생성되는 원리를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연료전지 스택(10)의 수소 입구(12a)를 통해 연료극(Anode)에 수소를 공급하고, 공기(또는 산소) 입구(14a)를 통해 공기극에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면서 1차 활성화를 진행하게 된다.
특히,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는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반응가스 즉,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의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연료전지를 부하 또는 무부하 상태로 만들어주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에서, 연료전지 스택(10)의 내부에서 반응을 마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가 수소 출구(12b)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며, 연료전지의 셀전압이 기준 셀전압에 도달되었음을 측정하여 1차 활성화 종료 시점을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1차 활성화가 종료후, 분리판의 연료 농도를 측정하면,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또는 산소)입구 쪽은 연료(수소)의 농도가 수소입구 쪽은 공기(또는 산소)의 농도가 낮아 활성화가 덜 진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판의 연료 농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연료전지 초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료전지 2차 활성화를 진행하게 된다.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는 역활성화 단계로서, 연료전지 스택 자체를 180°회전시켜 활성화 장비에 재장착하여 진행된다.
즉, 연료전지 수소 입구(12a)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14a)를 각각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로 바꾸고, 수소 출구(12b)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14b)를 각각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로 바꾸어서,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와 동일하게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에서, 예를 들어 연료전지 분리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높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는 낮게 되는 반면, 수소 출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낮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 포는 높게 되어,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농도 분포가 균일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
이에,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소 및 공기의 농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2차 활성화 단계가 더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및 2차 활성화 단계는 수소 및 공기(산소)의 공급 경로를 서로 바꾸어 진행하되,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 활성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ⅰ) 연료전지를 활성화 장비에 장착한 후, 상기 연료전지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기의 가습 상태와 냉각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가 먼저 진행되는 바, 셀의 가수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수준으로 변화시킨다.
ⅱ) 상기 연료전지에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되, 연료전지를 무부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셀 내부의 가스채널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셀을 평형 상태로 유지시킨다.
ⅲ) 다음으로, 상기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부하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로서, 반응가스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셀 내부의 물의 양을 증가시키는 등의 과정을 통하여 셀의 가수화 상태를 유지하고 수소가스 이용율을 변화시킨다.
ⅳ) 상기 연료전지의 상태를 다시 무부하 상태로 변경시키고, 반응가스인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최소 한도로 재공급하는 바, 연료전지가 무부하에서 부하상태로 또는 부하에서 무부하상태로 반복되면 연료전지 활성화가 빠르게 이루어진 다.
ⅴ) 마지막으로, 상기 연료전지가 무부하 상태로 작동될 때 측정된 데이터와 부하 상태로 작동될 때의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기준범위내에 셀전압이 들어오면 활성화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상기 2차 활성화 단계후, 연료전지 분리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낮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높게 되는 반면, 수소 출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높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낮게 되어, 결국 상기 분리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농도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후 분리판(20)의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높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낮게 되는 반면, 수소 출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낮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높은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전지 2차(역) 활성화 단계는 상기 분리판(20)의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를 낮게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는 높게 하고, 수소 출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는 높게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낮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결국 상기 분리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농도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1차 활성화 단계후 분리판(20)의 수소 입출구쪽의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농도 분포와, 2차 활성화 단계후 분리판(20)의 수소 입출구쪽의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서로 상쇄되어, 분리판의 길이방향에 따라 균일한 수 소 및 공기 또는 산소) 농도 분포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결국 전극막 어셈블리의 전체 촉매를 활성화 하여 위치에 따른 성능 차이를 방지하고 연료전지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연료전지 활성화 단계후, 그리고 본 발명의 연료전지 활성화(1차 활성화 및 2차(역) 활성화) 단계후에 연료전지의 활성화에 따른 셀 전압을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 첨부한 도 3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화 방법이 약 5%의 성능 증가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연료전지 활성화후, 분리판의 수소 농도 분포를 측정한 그래프,
도 3은 종래의 연료전지 활성화 및 본 발명의 연료전지 역활성화에 따른 성능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전지 스택
12a : 수소 입구
12b : 수소 출구
14a : 공기(또는 산소) 입구
14b : 공기(또는 산소) 출구
20 : 분리판

Claims (4)

  1. 삭제
  2.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에 소정 유량의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각각 공급한 후, 반응을 마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가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를 각각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로,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각각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로 바꾸어서,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는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
    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료전지 1차 및 2차 활성화는:
    연료전지를 활성화 장비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기의 가습 상태와 냉각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에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되, 연료전지를 무부하 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부하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의 상태를 무부하 상태로 변경시키고, 반응가스를 재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가 무부하 상태로 작동될 때 측정된 데이터와 부하 상태로 작동될 때의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활성화가 완료됨을 확인하는 단계의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3.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에 소정 유량의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를 각각 공급한 후, 반응을 마친 수소 및 공기(또는 산소)가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
    연료전지의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를 각각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로, 수소 출구 및 공기(또는 산소) 출구를 각각 수소 입구 및 공기(또는 산소) 입구로 바꾸어서,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는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
    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료전지 1차 활성화 단계후,
    연료전지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높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는 낮게 되고, 상기 수소 출구쪽은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높고, 수소 농도 분포는 낮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2차 활성화 단계후,
    연료전지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1차 활성화 단계에서의 수소 입구쪽은 수소 농도 분포가 낮고,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는 높게 되고, 상기 1차 활성화 단계에서의 수소 출구쪽은 공기(또는 산소) 농도 분포가 낮고, 수소 농도 분포는 높게 되어, 상기 분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수소 농도 분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KR1020080055009A 2008-06-12 2008-06-12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KR10098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009A KR100980926B1 (ko) 2008-06-12 2008-06-12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US12/283,459 US20090311560A1 (en) 2008-06-12 2008-09-11 Method for reverse activation of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009A KR100980926B1 (ko) 2008-06-12 2008-06-12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975A KR20090128975A (ko) 2009-12-16
KR100980926B1 true KR100980926B1 (ko) 2010-09-07

Family

ID=4141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009A KR100980926B1 (ko) 2008-06-12 2008-06-12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311560A1 (ko)
KR (1) KR100980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11925A1 (de) * 2017-12-18 2019-06-19 Daimler Ag Verfahren zum Starten einer Brennstoffzelle
KR102654547B1 (ko) * 2019-12-06 202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
CN114361528B (zh) * 2020-10-13 2024-01-09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有效提高质子交换膜燃料电池低温启动能力的方法及***
CN113206277B (zh) * 2021-04-12 2022-04-2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燃料电池低温快速自启动方法及***
CN115763898A (zh) * 2022-12-29 2023-03-07 上海骥翀氢能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的活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073A (en) 1994-07-13 1997-10-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generator and method of the same
US20020127444A1 (en) 2000-11-29 2002-09-12 Gregory James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chemical fuel cell
US20070184314A1 (en) 2003-12-03 2007-08-09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KR20080040337A (ko) * 2006-11-03 200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응 가스 공급 라인 변경을 통한 연료전지의 성능 향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768B1 (ko) * 2005-12-09 2008-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의 활성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073A (en) 1994-07-13 1997-10-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generator and method of the same
US20020127444A1 (en) 2000-11-29 2002-09-12 Gregory James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chemical fuel cell
US20070184314A1 (en) 2003-12-03 2007-08-09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KR20080040337A (ko) * 2006-11-03 200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응 가스 공급 라인 변경을 통한 연료전지의 성능 향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1560A1 (en) 2009-12-17
KR20090128975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7976B2 (ja) 断面積が変化する反応物ガスチャネルを備えるバイポーラプレート、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そのような燃料電池スタックを有する乗り物
JP3939150B2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7491459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6745920B2 (ja) 活性領域の入口領域内の反応ガスチャネルにおいて幅が変化するバイポーラプレート、燃料電池スタック、このようなバイポーラプレートを有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乗り物
KR100980926B1 (ko) 연료전지 역활성화 방법
US7163760B2 (en) Fuel cell stack having a bypass flow passage
JP4522097B2 (ja) 燃料電池の制御方法
KR100862419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US20110123896A1 (en) Fuel cell
US12003006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EP1995812A1 (en) Fuel cell system
KR100619193B1 (ko)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JP2004247289A (ja) 燃料電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6156411A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EP2760072B1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provided with same
JP200732399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092560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KR101282619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JP2005038845A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KR10052908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JP2007005222A (ja)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2009064565A (ja) 燃料電池
JP419751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スタック
US20050186465A1 (en) Fuel cell system and stack used therein
JP5500022B2 (ja) ガス流路の構造及びこの構造のガス流路を有する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