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13B1 - 복합옹벽 - Google Patents

복합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13B1
KR100979513B1 KR1020080021680A KR20080021680A KR100979513B1 KR 100979513 B1 KR100979513 B1 KR 100979513B1 KR 1020080021680 A KR1020080021680 A KR 1020080021680A KR 20080021680 A KR20080021680 A KR 20080021680A KR 100979513 B1 KR100979513 B1 KR 10097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base plate
steel ba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238A (ko
Inventor
김용곤
Original Assignee
대상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대상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8002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5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8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지반에 매립된 기초파일(100); 기초파일(100) 상부에 설치된 기초판(200); 기초판(200)의 전방에 상측으로 축조된 복수의 블록(300); 기초판(200)의 후방에 상측으로 설치된 지지부재(400); 상기 블록(300)과 상기 지지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를 포함하는 복합옹벽을 제시함으로써, 배면의 공간이 적은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공사기간이 적게 소요되는 옹벽의 구조를 제시한다.
옹벽, 기초파일, 강봉

Description

복합옹벽 {COMPLEX RETAINAING WALL}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하는 옹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옹벽 중 대표적인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옹벽은 배후토사(1)로부터 소정 이격공간을 두고 복수의 블록(2)이 축조되고, 후단부가 배후토사(1) 또는 앵커(미도시)에 정착된 전후방향 보강부재(3)의 전단부가 블록(2)에 정착됨과 아울러, 보강토(4)가 배후토사(1)와 블록(2)의 사이공간에 채움 및 다짐됨으로써, 그 블록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중력식 옹벽에 비해 경제성 및 역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므로, 다양한 변형예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옹벽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옹벽의 안정을 위해서는 옹벽 배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므 로, 현장 여건상 그 공간이 부족한 경우 시공이 불가능하다.
둘째, 배후토사를 각 층마다 채움 및 다짐하여야 하는데, 이 작업에 과도하게 많은 수고 및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면의 공간이 적은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공사기간이 적게 소요되는 옹벽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지반에 매립된 기초파일(100); 상기 기초파일(100) 상부에 설치된 기초판(200); 상기 기초판(200)의 전방에 상측으로 축조된 복수의 블록(300); 상기 기초판(200)의 후방에 상측으로 설치된 지지부재(400); 상기 블록(300)과 상기 지지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를 포함하는 복합옹벽을 제시한다.
상기 기초파일(100)은 H 파일(110)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H 파일(110)의 상단은 상기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과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강봉(410)이고, 상기 강봉(410)의 하단은 상기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과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은 기초판 H 파일(211)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판 H 파일(211)은 상기 H 파일(110)의 상단 및 상기 강봉(410)의 하단과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봉(410)은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300)은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축조되고, 상기 축조된 블록(300)의 상단과 상기 강봉(410)의 상단은 상호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강봉(410)에 결합한 강선(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옹벽은 좌우방향으로 복수의 단위옹벽(a)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위옹벽(a)은 상기 강봉(410) 하나와 복수의 강선(510) 및 블록(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옹벽(a)은 상기 축조된 블록(300) 중 한 층을 기준으로, 상기 강봉(410) 하나와 복수의 강선(510) 및 블록(300)이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510)은 상기 강봉(410)의 직전방에 설치된 중심블록(310)에 연결된 중심강선(511); 상기 중심블록(310)의 양측에 설치된 양측블록(320)에 연결된 양측강선(5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면의 공간이 적은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공사기간이 적게 소요되는 옹벽의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옹벽은 기본적으로, 기초지반에 매립된 기초파일(100); 기초파일(100) 상부에 설치된 기초판(200); 기초판(200)의 전방에 상측으로 축조된 복수의 블록(300); 기초판(200)의 후방에 상측으로 설치된 지지부재(400); 블록(300)과 지지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 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옹벽과 달리 기초판(200)의 하부에 기초파일(100)을 매립하고, 이에 의해 토압을 분담하여 저항하도록 한 점, 이러한 기초판(200)에 설치된 지지부재(400)가 전방의 블록(300)을 지지하도록 한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배면토사의 토압이 모두 전방의 블록(300)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를 통해 기초파일(100)에 분담하여 작용하게 되므로, 종래의 보강토 옹벽과 같이 배면의 공간을 넓게 차지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구조적으로 안정된 옹벽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보강토 옹벽과 같이 배후토사를 채움 및 다짐할 필요가 없으므로, 적은 공사기간 내에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초파일(100)은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기초지반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H 파일(110)과 같이 강성이 큰 재료에 의해 보강되는 것이 좋고, H 파일(110)의 상단은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4 참조).
지지부재(400)는 블록(300)에 작용하는 토압을 기초판(200) 및 기초파일(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역시 강봉(410)과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좋고, 강봉(410)의 하단은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4 참조).
본 발명에 의한 옹벽에서 뼈대를 이루는 구조는 강봉(410)과 기초파일(100) 의 결합구조라 할 수 있으므로,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은 별도의 기초판 H 파일(211)을 포함하도록 하고, 그 기초판 H 파일(211)은 기초파일(100)의 H 파일(110)의 상단 및 강봉(410)의 하단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강성이 큰 뼈대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4 참조).
강봉(410)은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힘의 전달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블록(300) 또한 다소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축조되는 것이 옹벽의 안정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축조된 블록(300)의 상단과 강봉(410)의 상단이 상호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연결부재(500)는 강봉(410)과 같은 지지부재(400)와 블록(300)을 연결하여, 블록(300)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부재(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다수의 블록(300)과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강선(510)과 같은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봉(410) 하나가 한 줄의 블록(300)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토압의 크지 않은 경우에는, 강봉(410) 하나가 여러 줄의 블록(300)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복합옹벽은 좌우방향으로 복수의 단위옹벽(a)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단위옹벽(a)은 강봉(410) 하나와 복수의 강선(510) 및 블록(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옹벽(a)은 축조된 블록(300) 중 한 층을 기준으로, 강봉(410) 하나와 복수의 강선(510) 및 블록(300)이 결합한 구조를 취한다.
도 2,6,7은 단위옹벽(a)으로서, 하나의 강봉(410)이 세 줄의 블록(300)을 지지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강선(510)은 강봉(410)의 직전방에 설치된 중심블록(310)에 연결된 중심강선(511); 중심블록(310)의 양측에 설치된 양측블록(320)에 연결된 양측강선(5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옹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옹벽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사시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응력 분포도.
도 6은 평면도.
도 7은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단위옹벽 100 : 기초파일
110 : H 파일 200 : 기초판
210 : 내부 배근 211 : 기초판 H 파일
300 : 블록 310 : 중심블록
320 : 양측블록 400 : 지지부재
410 : 강봉 500 : 연결부재
510 : 강선 511 : 중심강선
512 : 양측강선

Claims (10)

  1. 기초지반에 매립된 기초파일(100);
    상기 기초파일(100) 상부에 설치된 기초판(200);
    상기 기초판(200)의 전방에 상측으로 축조된 복수의 블록(300);
    상기 기초판(200)의 후방에 상측으로 설치된 지지부재(400);
    상기 블록(300)과 상기 지지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파일(100)은 H 파일(110)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H 파일(110)의 상단은 상기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과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400)는 강봉(410)이고,
    상기 강봉(410)의 하단은 상기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강봉(410)에 결합한 강선(510)이고,
    좌우방향으로 복수의 단위옹벽(a)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위옹벽(a)은 상기 강봉(410) 하나와 복수의 강선(510) 및 블록(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옹벽.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200)의 내부 배근(210)은 기초판 H 파일(211)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판 H 파일(211)은 상기 H 파일(110)의 상단 및 상기 강봉(410)의 하단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옹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410)은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옹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300)은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축조되고, 상기 축조된 블록(300)의 상단과 상기 강봉(410)의 상단은 상호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옹벽.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옹벽(a)은
    상기 축조된 블록(300) 중 한 층을 기준으로, 상기 강봉(410) 하나와 복수의 강선(510) 및 블록(300)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옹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510)은
    상기 강봉(410)의 직전방에 설치된 중심블록(310)에 연결된 중심강선(511);
    상기 중심블록(310)의 양측에 설치된 양측블록(320)에 연결된 양측강선(5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옹벽.
KR1020080021680A 2008-03-07 2008-03-07 복합옹벽 KR100979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680A KR100979513B1 (ko) 2008-03-07 2008-03-07 복합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680A KR100979513B1 (ko) 2008-03-07 2008-03-07 복합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238A KR20090096238A (ko) 2009-09-10
KR100979513B1 true KR100979513B1 (ko) 2010-09-02

Family

ID=4129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680A KR100979513B1 (ko) 2008-03-07 2008-03-07 복합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6622B2 (en) * 2016-03-30 2018-01-02 Robert Gordon McIntosh Retaining wall system, method of supporting same, and kit for use in constructing same
CA183952S (en) 2018-10-05 2019-08-12 Rocky Mountain Stone Works Ltd Block for a retaining wall
CN110130384A (zh) * 2019-05-10 2019-08-16 中国建筑西南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既有超高层建筑疏桩基础加固方法
CN110144922A (zh) * 2019-05-10 2019-08-20 中国建筑西南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既有超高层建筑疏桩复合地基加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570B1 (ko) * 1994-09-24 1999-02-18 김우중 조립식 판넬 옹벽
JP2001262593A (ja) * 2000-03-21 2001-09-26 Sanshu Concrete Kogyo:Kk 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1348894A (ja) * 2000-06-06 2001-12-21 Joji Yamashita 擁壁構築方法
JP2007291707A (ja) * 2006-04-25 2007-11-08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570B1 (ko) * 1994-09-24 1999-02-18 김우중 조립식 판넬 옹벽
JP2001262593A (ja) * 2000-03-21 2001-09-26 Sanshu Concrete Kogyo:Kk 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1348894A (ja) * 2000-06-06 2001-12-21 Joji Yamashita 擁壁構築方法
JP2007291707A (ja) * 2006-04-25 2007-11-08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238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2270B (zh) 一种含eps缓冲层的桩基挡墙抗震支挡结构及施工方法
CN207244654U (zh) 桩托二层挡土墙结构
CN103572775B (zh) 填土边坡的半装配式挡土墙的施工方法
KR100979513B1 (ko) 복합옹벽
CN203080470U (zh) 桩-承台-挡墙组合支挡结构
CN108316309A (zh) 深基坑支挡的双排桩复合结构及其施工方法
CN201801843U (zh) 一种带锚碇结构的水上重力式挡土结构
CN110409525A (zh) 软弱土及不良地质复合地基加固方法
KR101005351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203741848U (zh) 钢管板式支挡结构
CN106522269A (zh) 一种挡土墙及边坡支护***
KR101352858B1 (ko) 옹벽블록용 저항체
JP7115817B2 (ja) 大型土嚢を用いた補強土壁及び大型土嚢を用いた土留め方法
CN207878441U (zh) 一种软土地基的加固结构
CN207538068U (zh) 一种高边坡框架式挡土墙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2085723B1 (ko) 보강토옹벽 보강장치
CN215104618U (zh) 桥台结构
KR101001907B1 (ko) 조립식 옹벽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CN113216225A (zh) 一种抵御高边坡墙背填土压力的超静定防护结构
JP6860895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CN207267994U (zh) 波形钢板式挡土墙
CN209040151U (zh) 桩托三层挡土墙结构
KR101824176B1 (ko)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옹벽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