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955B1 -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 Google Patents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955B1
KR100976955B1 KR1020100031126A KR20100031126A KR100976955B1 KR 100976955 B1 KR100976955 B1 KR 100976955B1 KR 1020100031126 A KR1020100031126 A KR 1020100031126A KR 20100031126 A KR20100031126 A KR 20100031126A KR 100976955 B1 KR100976955 B1 KR 10097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lifting
guide
elastic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운하
방종관
이상수
Original Assignee
김운하
방종관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하, 방종관, 이상수 filed Critical 김운하
Priority to KR102010003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9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9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PURPOSE: An up and down banner cradle is provided to implement elasticit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by installing a curved part on the banner cradle. CONSTITUTION: A guide unit(100) of a circular or polygonal cylindrical structure is attached the circumference of a column and has a guide recess with an uneven face. A cradle main body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s up and down and makes a banner cradle(B) protruded. The banner cradle is inserted into an upper part of a banner through an insertion recess(220). An elastic member is protruded outside of a guide line to be contacted with a guide groove through a linear contact and a plane contact.

Description

승하강식 배너거치대{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본 발명은 배너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이나 지주 등의 이부에 부착되어 배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holder, and relates to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reet lamp or props such that the height of the banner can be adjusted.

일반적으로, 각종 광고 또는 홍보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현수막이 가로(街路)변에 설치되고 있는데, 이 가로변에 설치되고 있는 대부분의 현수막들 중 특히 세로로 설치되는 배너형 현수막의 경우는 지주의 양측 또는 일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설치되는 가로대에 직물소재의 현수막(banner) 상단 또는 상하단 모두를 걸어 고정하는 것에 의해 그 게시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목적한 광고 또는 홍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banners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for various advertising or promotion purposes. Among the banners placed on the side of the road, the banner-type banners, which are installed vertically,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p or It is intended to achieve the intended advertisement or publicity effect by maintaining the posting state by fixing both the top or top and bottom of the banner (banner) of the fabric material on the horizontal bar is installed to a certain length protruding to one side.

도 1은 종래의 세로 현수막을 설치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 conventional vertical banner is installed.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세로형 현수막(10) 즉 배너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게시수단은 지주(30)의 일측 또는 양측의 일정높이 위치에 현수막의 상단을 협지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설치되는 가로대(20)에 대해 현수막의 상단을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그 설치높이로 인하여 별도의 사다리나 보조차량이 요구되는 등 현수막의 설치 및 제거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도로의 갓길에 차량을 일시적으로 정차시킨 후에 일일이 가로등이나 기둥에 직접 배너를 거치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거치 또는 교체의 과정 중에 도로교통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나 각종 안전사고에 작업자가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rtical banner 10, that is, the conventional posting means for installing the banner is a horizontal bar protruding so as to pinch the top of the banner at a certain height position of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pport (30) In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op of the banner about (20),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banner is very cumbersome, such as a separate ladder or an auxiliary vehicle is required due to its installation height, and the vehicle is temporarily stopped on the side of the road. Since the banner must be mounted or replaced directly on the street lamp or the pilla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ers were exposed to traffic accidents or various safety accidents as well as disturbing the flow of road traffic during the mounting or replacement process.

아울러, 기존의 게시수단의 경우 배너의 상단만이 설치대에 협지 고정된 상태이므로 현수막이 강한 풍압에 견디지 못하고 세로형 현수막이 지주의 가로대로부터 분리되면서 바람에 날리게 되는 경우 안전사고의 발생우려와 함께 현수막에 의한 광고, 홍보 효과가 저하됨과 아울러 거리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아울러 함께 남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posting means, only the top of the banner is held in place on the installation stand, so when the banner does not withstand strong wind pressure and the vertical banner is separated from the rung of the prop, it is blown by the wind, it is a banner with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Advertisement and publicity effect caused by the deterioration and the problem of harming the aesthetics of the street also remained togeth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626208호에서는 기둥 외부에 별도의 지지봉과 로우프, 구동모터, 구동폴리 등으로 구성되는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에 관하여 제안한 바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력공급을 요한다는 점에서 설치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은 여전히 갖고 있었으며, 또한 각 장치마다 제작비가 높고 구성이 복잡하여 유지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유지보수에 힘이 든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0626208 has proposed a vertical banner mounting consisting of a separate support rod and rope, drive motor, drive pulley on the outside of the column, but the configuration is not only complicated There was still a problem that installation is limited in that it requires a separate power supply to operate the drive motor.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for each device. The problem of hardship still remain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너거치대의 승하강의 이동로인 가이드홈에 접촉하는 탄성체의 내측에서 탄성체를 지지하는 탄성체지지부를 구비하여, 탄성체의 안정적인 탄성구동을 확보하는 한편, 거치대본체의 상하이동시 가이드홈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이동을 구현하며, 탄성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부를 배치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탄성을 구현할 수 있는 승하강이 가능한 배너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le support of the elastic body having an elastic support for supporting the elastic body in the inner side of the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which is the movement path of the banner base While securing the drive, smooth movement is achieved by reducing friction with the simultaneous guide groove of the pedestal body, and by placing a bend to form elasticity, it provides a banner platform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o realize elasticity in a simple configuration. There is.

아울러, 배너 형태의 세로 현수막을 거치하는 거치대본체가 가이드부를 통해 용이하게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너의 거치 및 교체 작업의 신속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며,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배너거치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banner base for mounting the vertical banner in the banner form allows the user to easily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guide unit, which provides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the mounting and replacement of the banner, and provid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There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기둥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전면의 중심부에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요철면인 가이드홈(110)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통구조의 가이드부(100)와 상기 가이드홈(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가이드라인(210)이 양 측면이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전면에는 양측에 배너의 상단이 각각 끼워져 거치되도록 끼움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배너거치부(B)가 돌출되어 있는 거치대본체(200), 그리고 상기 가이드라인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수행하는 적어도 1 이상의 탄성체(240),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부표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내측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탄성체를 지지하는 탄성체지지구(230), 상기 거치대본체(20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거치대본체의 승하강을 조정하는 본체승하강조절봉(300) 및 상기 가이드부(100)를 기둥의 외주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기둥고정결착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lar is installed, the circular or polygonal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is formed by opening the guide groove 110, which is one side or both sides uneven surface up and down Both sides of the guide line 210 corresponding to both side edges of the cylindrical guide portion 100 and the guide groove 110 are insert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10, the front of the banner on both sides The holder main body 200 having the fitting groove 220 formed thereon so that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each other is protruded, and protrudes out of the guide line to make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At least one elastic body 240 to be performed, protru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the elastic support 23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inside the elastic body to support the elastic body 230 The pillar fixing fastener 40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by mounting the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and the guide portion 100 to adjus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older body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main body 200 To provide a lifting banner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특히, 상술한 구조의 배너거치대에서의 상기 탄성체지지구(230)는, 상기 탄성체의 절곡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구조물이며, 상기 탄성체의 절곡면의 중심축상에 원통형상의 구조물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elastic support 230 in the banner holder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 cylindrical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bending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on the central axis of the bending surface of the elastic bod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rrange to mat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대본체는, 상기 탄성체(240)의 말단부를 절곡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체의 말단의 일면과 이면에 돌출형성되어 배치되는 제1탄성체절곡부(231) 및 제2탄성체절곡부(232)와, 상기 제2탄성체절곡부(232)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탄성체 말단의 절곡부를 지지하는 분리격벽(2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body bending portion 231 and the second elastic body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nd of the elastic body so as to bend and support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body 240 It may further include a bent portion 232, a separation partition 233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acent to the second elastic body bent portion 232, and supports the bent portion of the elastic body end.

또한, 이 경우 상기 탄성체(240)는 상기 분리격벽(23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한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is case, the elastic body 2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separation partition 233.

아울러 상기 거치대본체(200)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체절곡부(231, 232) 및 분리격벽부(233)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통 구조의 본체하우징(H)과, 상기 본체하우징(H)을 덮으며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를 내장하며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본체승하강 조절봉이 끼움 결합되도록 조절봉끼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커버(C), 상기 본체커버(C)의 외측면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는 배너봉끼움홈이 서로 수평으로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배너거치부(B) 및 상기 본체하우징과 본체커버 및 배너거치부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J)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dle main body 200,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ortion (231, 232) and the separating partition wall portion 233, the body housing of the tubular structur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100 (H) and the main body cover (C) covering the main body (H) and the inner body is coupled to the built-in elastic body,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cover (C)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rod fitting hole 221 is fitted ),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ver (C) is protrud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10, the banner rod fitting grooves on both sid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horizontally Mounting unit (B) and the body housing and the coupling means (J) for coupling the body cover and the banner mounting unit integrally.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조절봉끼움통공(221)의 내부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홈이(221a)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의 상단에는 상기 조절봉끼움통공과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32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ontrol rod fitting through hole 22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crew groove (221a) to be screwed, the upper and lower control rod fitting through hole of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Thread 320 may be formed to be screwed wi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의 하단에는 봉의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봉고정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hrough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of the rod from side to 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의 측면 외부에서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에 끼워져 수평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수평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봉(32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from the side outside of the control rod fixing through hole 31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and horizontal so that the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does not move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rod 320 is fixed to be further configured to include.

이 경우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봉(320)의 일측단에는 서로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산과 나사홈이 각각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rod fixing through hole 310 and one side end of the fixing rod 3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crew thread and the screw groove to be screw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배너거치대에서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하우징과 본체커버 및 배너거치부에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in the elevating banner mou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bolt and nut that is fitted in the at least one through-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body housing and the body cover and banner mounting portion.

상술한 발명 중 어느 경우이든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의 양측에 부설되며, 상기 배너의 하단 일측을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고정 결착시킬 수 있는 배너고정결착구를 더 포함되어 구성할 수 있다.Any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anner fixing fastener that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the lower side of the banner can be fix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하강식 배너거치대는, 원통 형태의 몸체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를 감쌀 수 있는 하부커버(1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vating banner mounting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groove 121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is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ver 120 is further included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

아울러, 상기 하부커버의 몸체에는 상기 삽입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봉거치홈(122)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봉(320)의 말단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xing rod groove 122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lower cover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fixing rod 320 is inserted through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The terminal can be mounted.

한편, 상기 배너거치부(B)의 어느 일측면 이상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통공 형태의 국기봉끼움홈(R)이 상기 배너봉끼움홈(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국기봉 등을 꽂을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banner mounting portion (B) has a through-shaped flag rod fitting groove (R)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ner sid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anner rod fitting groove 220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attaching a flag stick.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강이 가능한 이동식 배너거치대를 제공함에 있어, 배너거치대의 승하강의 이동로인 가이드홈에 접촉하는 탄성체의 내측에서 탄성체를 지지하는 탄성체지지부를 구비하여, 탄성체의 안정적인 탄성구동을 확보하는 한편, 거치대본체의 상하이동시 가이드홈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이동을 구현하며, 탄성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부를 배치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탄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movable banner holder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provided with an elastic support for supporting the elastic body inside the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which is the movement path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anner base, stable elastic drive of the elastic body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smooth movement by reducing friction with the simultaneous guide groove of the holder body, and by placing a bent portion to form elasticity, elasticity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아울러, 종래의 제안되었던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에 비하여 고장 및 비용증가의 원인이 되는 전기장치를 구성요소로 하지 않고 탄성걸림구의 탄성력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며, 외부 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한다 하더라도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도록 간단한 기계적 구조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because it uses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catching hole, rather than the electric device that causes the failure and the cost as a compon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vertical banners.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nother advantage that it can be configured with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so that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failure.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배너거치대는 배너 형태의 세로 현수막을 거치하는 거치대본체가 가이드부를 통해 용이하게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너를 거치하거나 교체할 때 사다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세로 현수막을 용이하게 거치 및 교체를 할 수 있으며 배너를 거치하거나 교체할 때 별도의 차량 및 사다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지면에서 거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elevating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easily ascend and lower through the guide unit to mount the vertical banner in the form of a banner to easily mount the vertical banner without using a ladder or the like when mounting or replacing the banner. It can be mounted and replaced, and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vehicle and ladder when mounting or replacing a banner, so that the operator can safely mount and replace on the ground to secur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worker. There is this.

아울러, 본 발명은 그 구성요소 및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는데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 경제적이며 유지보수를 요한다 하더라도 그 비용이 저렴하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advantage that the components and the structure is simple, not only low cost to manufacture, but also low cost of maintenance and economical and require low maintenance.

도 1은 종래의 세로 현수막을 가로등에 설치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배너거치대의 전체 구성도 및 요부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또는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배너거치대의 일실시예의 종단면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 conventional vertical banner is installed on a street lamp.
2a and 2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main part of the lifting banner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or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elevating banner mounting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배너거치대의 전체 구성도 및 전면부의 평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conceptually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levating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ane of the front part.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가로등이나 외부 지주물에 부착할 수 있는 가이드부(100)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며, 현수막(X)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치대본체(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거치대 본체에는 현수막(B2)를 장착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배너거치부(B)가 구비되며, 상기 배너거치부의 양측면에는 배너 현수막(B2)의 상부지지대(B1)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너거치부(B)는 상기 거치대본체의 표면에 돌출형성되는바, 가이드부의 가이드홈(110)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 함께 배너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홈에 선 또는 면접촉하여 거치대 본체(200)을 상하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탄성체의 절곡부의 내측에서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탄성체지지구(230)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unit 100 which can be attached to a street lamp or an external support,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unit, the mounting body 200 to move the banner (X) up and down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In particular, the holder body is provided with a banner mounting portion (B) protruding to mount the banner (B2), the upper support (B1) of the banner banner (B2) can b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banner mounting portion It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e banner mounting portion (B)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surface of the holder body, the banner may be moved together when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110) of the guide portion.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support 230 for supporting the elastic body in the bent portion of the elastic body for moving or fixing the cradle main body 200 up and down in line or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배너거치대(이하, '배너거치대'라 한다.)의 요부의 수직 종단면을 사시도 형태로 구현한 것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a is a vertical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ain portion of the elevating banner mounting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nner mounting frame") in a perspective view, Figure 3b is a plan view of Figure 3a.

도 3a의 (a)는 본 발명에 따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의 가이드부(100)와 거치대본체(200)의 분리사시도를, (b)는 가이드부(100)와 거치대본체(200)의 수직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a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ortion 100 and the cradle main body 200 of the elevating banner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 the vertical type of the guide unit 100 and the cradle main body 200 The cross section is show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너거치대는, 기둥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전면의 중심부에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요철면인 가이드홈(110)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통구조의 가이드부(1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가이드라인(210)이 양 측면이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전면에는 양측에 배너의 상단이 각각 끼워져 거치되도록 끼움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배너거치부(B)가 돌출되어 있는 거치대본체(200)를 구비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가이드라인(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수행하는 적어도 1 이상의 탄성체(240)를 구비하며, 아울러 상기 탄성체의 절곡면의 내측에 일정 부분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원통구조의 탄성체 지지구(2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본체(20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거치대본체의 승하강을 조정하는 본체승하강조절봉(300) 및 상기 가이드부(100)를 기둥의 외주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기둥고정결착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너거치부(B)의 어느 일측면 이상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통공 형태의 국기봉끼움홈(R)이 상기 배너봉끼움홈(220)의 상부에 형성시키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진 통공형태의 국기봉끼움홈(R)은 배너광고 이외에도 국경일 등에 국기를 꽂을 수 있는 구조물로서, 삽입된 국기봉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삽입구조를 마련할 수 있어 적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is installed,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10, which is one side or both sides is formed by opening up and down Or it comprises the guide part 100 of a polygonal cylindrical structure.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guide line 210 corresponding to both edges of the guide groove 110 are insert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10, the front of the banner is fitted so that the top of the banner is fitted on each side. Banner holder (B) is formed with a groove 22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200 protrud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elastic body 24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above-described guide line 210 to perform a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and also a predetermined portion inside the be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support 230 of a cylindrical structure spaced apart to protrude. In addition, the column fixed fastener 400 to be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s 300 and the guide portion 100 to be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200 to adjus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ounting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banner mounting portion (B) has a structu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nner rod fitting groove 220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flag rod fitting groove (R)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You can also implement The inclined through-hole flag pin fitting groove (R) is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lag, such as national holidays in addition to the banner advertis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insertion structure so that the inserted flag rod is not easily separated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상기 가이드부(100)는 원통 또는 다각형의 통구조를 구비하며, 중심부에는 개구된 요철홈인 가이드홈(110)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110)은 개구된 홈에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10) 부분은 후술한 탄성체의 절곡부에 접하여 상기 탄성체(240)를 수축 이완하게 되며, 상기 탄성체는 탄성치지지구(230)에 의해 일정부분 이상은 수축되지 않도록 지지되어 안정적인 이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체의 수축 이완 동작을 통해 탄성력에 의해 거치대 본체(200)을 상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The guide part 100 h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rical structure, and a guide groove 1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110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groove. Can be. The guide groove 110 is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be described later to shrink and relax the elastic body 240, the elastic body is supported by the elastic tooth support 230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r more is not contracted to provide a stable relaxation You can do it. Through the contraction-relaxing motion of the elastic body, the cradle main body 200 is moved up and down by an elas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fixed.

상기 거치대본체(200)는 상기 가이드홈(110)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구조의 가이드라인(210)이 구비된 구조물로 본체하우징(H)과 커버(C)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하우징과 커버는 나사고정할 수 있는 결합수단(J)이나 본체하우징과 커버의 말단 접촉부를 단차를 두어 결합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분리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holder main body 200 is a structure provided with a guide line 210 of a concave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the guide groove 110 is composed of a body housing (H) and cover (C).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cover may take a structure that couples the coupling means (J) that can be screwed or the terminal contact portion of the main housing and the cover with a step, it is preferable to form a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separately.

특히,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라인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수행하는 적어도 1 이상의 탄성체(240)와 상기 탄성체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탄성체지지구(23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at least one elastic body 24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guide line to perform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and an elastic support 230 supporting the elastic body inside the holder body. It is desirable to have.

상기 탄성체(240)는 상기 가이드홈(110)의 면과 선접촉 면접촉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의 띠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를 대향되는 한쌍의 구조물을 마주하는 구조를 적어도 1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 마주하는 탄성체는 분리격벽(233)을 통해 분리된다. 특히 상기 분리격벽(233)과 함께,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를 절곡시켜 지지하는 제1탄성체절곡부(231)과 제2탄성체절곡부(232)는 띠 형상의 탄성체를 절곡시켜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탄성체에는 양 말단에 이러한 제1및 제2 탄성체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체 절곡부는 상기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일면과 이면에 이격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body 240 is in line contact surfac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10, preferably a metal strip-like structure can be used.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t least one structure facing a pair of structures facing the elastic body, in which case the elastic bodies facing each other are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ion partition 233. In particular, the first elastic body bending portion 231 and the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ortion 232 supporting the bending end portions of the elastic body together with the separating partition wall 233 may be bent to form an elastic force by bending the band-shaped elastic body. can do. Each elastic body may have such first and second elastic body bent portions at both ends,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y bend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with the elastic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제1 및 제2탄성체절곡부(231, 232)는 띠 형상의 탄성체를 이용하는 경우 일정한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하게 굴곡을 형성하고 가이드 하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간단하게 탄성체의 말단부만을 절곡시켜 원활한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치대 본체 표면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격벽(233)과 제1 및 제2탄성체절곡부(231, 232)는 서로 이격되도록 도시된 구조와 같이 배치되어, 상기 탄성체(240)가 가이드홈(110)의 산부분과 접촉하여 수축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이러한 이격간격을 부드럽게 미끄러져갈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할 수축을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arts 231 and 232 use a band-shaped elastic bod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arts 231 and 232 simply bend the end portions of the elastic body without any additional structure to form and bend uniformly to secure a constant elastic force. By ensuring tha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surface of the cradle main body more. In addition, the separation partition 233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arts 231 and 232 are arranged as shown in the structur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lastic body 240 is in contact with the mountain portion of the guide groove 110 In the case of contractio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elastic body can smoothly slide such a spacing interval to facilitate smooth contraction.

특히, 탄성체의 수축이 너무 많이 이루어져 다시 이완하기 어려울 정도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체지지구(230)가 탄성체의 절곡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지지구(230)는 상기 탄성체의 절곡면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탄성체가 일정부분 이상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의 절곡면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상기 탄성체지지구(230)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원활한 지지와 동시에 탄성회복을 원활하게 하는바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contracting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relax aga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ody support 23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bent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he elastic support 23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contra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the elastic support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central axis of the be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Arranged so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230 coincide with the support, it is preferable to smoothly support the elastic recovery at the same time.

상기 거치대본체(200)는, 상기 수평 및 수직방향가이드부(230, 231)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통 구조의 본체하우징(H)과 상기 본체하우징(H)을 덮으며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를 내장하며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본체승하강 조절봉이 끼움 결합되도록 조절봉끼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커버(C)로 형성된다.The cradle main body 200 includ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guide parts 230 and 231, and has a tubular body housing H and a main body housing H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100. Covering the inside is coupled to the elastic body built-in, the lower portion is formed of a body cover (C) is formed with a control rod fitting hole 221 is formed so that the body lifting control rod is fitted.

또한, 상기 본체커버(C)는 상기 커버(C)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승하강 조절봉(300)이 끼움 결합되도록 조절봉끼움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커버(C)의 외측면에는 배너봉 끼움홈(220)이 서로 수평으로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배너거치부(B)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cover (C)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C) control rod fitting hole 221 so that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is fitted.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ver (C) may be provided with a banner mounting portion (B) in which the banner rod fitting grooves 2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horizontally.

아울러 상기 본체 커버(C)에 형성되는 조절봉끼움통공의 내부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홈(2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여기에 결합되는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의 상단에는 상기 조절봉끼움통공과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32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ontrol rod fitting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cover (C) may be formed with a screw groove (221a) to enable the screw coupling,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is coupled to Preferably, the threaded portion 321a is formed to be screwed with the control rod fitting hole.

특히, 도시된 구조처럼,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의 하단에는 봉의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봉고정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의 측면 외부에서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에 끼워져 수평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수평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봉(320)을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이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게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structure, the adjustment bar fixing through hole 310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of the rod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may be formed. In addition, a fixed rod 320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from the side outside of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to be horizontally inserted so as to horizontally fix the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so as not to move up and down (320). ) May be further included. Through this,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at random.

특히,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100)을 보호할 수 있는 하부커버(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커버(120)는 원통 형태의 몸체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커버(120)의 몸체에는 상기 삽입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봉거치홈(122)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봉(320)의 말단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는 방청, 방습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재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는 도시된 것처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3a,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ower cover 120 that can protect the guide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lower cover 120 has an insertion groove 121 hav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wrapped. In addition, the body of the lower cover 12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ixing rod groove 12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the fixing rod inserted through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mount the end of 320). In addition, the lower cover is preferably formed using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hat can be rust-proof, moisture-proof. As shown in the lower cover,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a separate typ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integral.

또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고정봉의 일측단에는 서로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산과 나사홈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thread and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and one side end of the body fixing rod to be screwed together for a more stable coup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100)의 하단의 양측에는 상술한 배너의 하단 일측을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고정 결착시킬 수 있는 배너고정결착구(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anner fixing fastener (not shown) that can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bove-described guide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unit. .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0: 가이드부
110: 가이드홈
120: 하부커버
121: 삽입홈
200: 거치대본체
210: 가이드라인
220: 끼움홈
230: 탄성체지지구
231: 제1탄성체절곡부
232: 제2탄성체절곡부
233: 분리격벽
240: 탄성체
300: 본체승하강조절봉
310: 조절봉고정통공
320: 고정봉
400: 기둥고정결착구
B: 배너거치부
H: 본체하우징
J: 결합수단
100: guide part
110: guide groove
120: lower cover
121: insertion groove
200: holder body
210: guidelines
220: fitting groove
230: elastic support
231: first elastic body bending part
232: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ortion
233: partition wall
240: elastomer
300: body lowering control rod
310: control rod fixing hole
320: fixed rod
400: pillar fixing fastener
B: banner
H: main unit housing
J: Joining means

Claims (14)

기둥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전면의 중심부에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요철면인 가이드홈(110)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통구조의 가이드부(100);
상기 가이드홈(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가이드라인(210)이 양 측면이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전면에는 양측에 배너의 상단이 각각 끼워져 거치되도록 끼움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배너거치부(B)가 돌출되어 있는 거치대본체(200);
상기 가이드라인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수행하는 적어도 1 이상의 탄성체(240);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부표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내측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탄성체를 지지하는 탄성체지지구(230);
상기 거치대본체(20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거치대본체의 승하강을 조정하는 본체승하강조절봉(300); 및
상기 가이드부(100)를 기둥의 외주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기둥고정결착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It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the guide portion 100 of the circular or polygonal cylindric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formed by opening the guide groove 110 of one side or both sides uneven surface up and down;
Both sides of the guide line 210 corresponding to both edges of the guide groove 110 are insert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10, and the front of the banner is fitt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anner is mounted on both sides. A cradle main body 200 in which a banner mounting portion B on which 220 is formed is protruded;
At least one elastic body 24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guide line to perform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An elastic support (230)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elastic body to support the elastic body;
A main body elevating adjustment bar 300 which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adle main body 200 and adjusts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radle main body; And
Elevated banner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llar fixing fastener 400 for fixing the guide portion 100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l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지지구(230)는,
상기 탄성체의 절곡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구조물이며,
상기 탄성체의 절곡면의 중심축상에 원통형상의 구조물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230,
It is a cylindrical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be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he elevating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bending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o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는,
상기 탄성체(240)의 말단부를 절곡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체의 말단의 일면과 이면에 돌출형성되어 배치되는 제1탄성체절곡부(231) 및 제2탄성체절곡부(232)와,
상기 제2탄성체절곡부(232)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탄성체 말단의 절곡부를 지지하는 분리격벽(2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older body,
A first elastic body bending part 231 and a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art 232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a rear surface of the end of the elastic body so as to be bent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240;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acent to the second elastic bending portion 232, the lifting and lifting banner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artition 233 for supporting the bent portion of the elastic en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40)은 상기 분리격벽(23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한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elastic body 240 is a lifting banner top,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around the separation partition 23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200)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체절곡부(231, 232) 및 분리격벽부(233)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통 구조의 본체하우징(H);과,
상기 본체하우징(H)을 덮으며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를 내장하며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본체승하강 조절봉이 끼움 결합되도록 조절봉끼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커버(C);
상기 본체커버(C)의 외측면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는 배너봉끼움홈이 서로 수평으로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배너거치부(B); 및
상기 본체하우징과 본체커버 및 배너거치부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J)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radle main body 200,
A body housing (H)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y bending parts 231 and 232 and the separating partition part 233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100;
A main cover (C) covering the main body housing (H) and having an elastic body embedded therein, and having an adjustment rod fitting hole (221)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main lowering control rod is fitte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ver (C) is protrud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10, the banner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nner rod fit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horizontally (B); And
Lifting and lifting banner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oupling means (J) for integrally coupling the body housing and the body cover and banner mount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끼움통공(221)의 내부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홈이(221a)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의 상단에는 상기 조절봉끼움통공과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32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inside of the control rod fitting hole 221 is formed with a screw groove (221a) to be screwed,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is screw threaded to enable the screw and the control rod fitting hole ( 321a) is a lifting banner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의 하단에는 봉의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봉고정통공(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Lifting and lowering banner st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rod fixed through hole 310 formed by penetrating the body of the rod left and right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의 측면 외부에서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에 끼워져 수평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본체승하강조절봉(300)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수평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봉(32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Fixed rod 320 inserted into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from the side outside of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to be horizontally inserted and fixed horizontally so that the body lifting control rod 300 does not move up and down Lifting banner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봉(320)의 일측단에는 서로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산과 나사홈이 각각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 elevating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and the screw groov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rod fixing hole 310 and one side end of the fixing rod 320 to be screwed togeth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하우징과 본체커버 및 배너거치부에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coupling means is a lifting and lifting banner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and nut are fitted into at least one through-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housing and the body cover and the banner mounting portion.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의 양측에 부설되며, 상기 배너의 하단 일측을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고정 결착시킬 수 있는 배너고정결착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It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the lifting banner mounting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nner fixing fastener that can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식 배너거치대는,
원통 형태의 몸체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를 감쌀 수 있는 하부커버(1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lifting and lowering banner stand is
An insertion groove 121 in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is opened in a lengthwise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a lower cover 120 which can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s further formed. Elevated banner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includ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몸체에는 상기 삽입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봉거치홈(123)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고정통공(31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봉(320)의 말단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fixed rod groove 123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lower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the end of the fixed rod 320 is inserted through the adjustment rod fixing hole 310. Lifting banner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o be mounte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너거치부(B)의 어느 일측면 이상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통공 형태의 국기봉끼움홈(R)이 상기 배너봉끼움홈(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At least one side of the banner mounting portion (B) is formed in the flag rod fitting groove (R) of the through-hole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ner sid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anner rod fitting groove 220 Up and down banner stand.
KR1020100031126A 2010-04-05 2010-04-05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KR1009769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126A KR100976955B1 (en) 2010-04-05 2010-04-05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126A KR100976955B1 (en) 2010-04-05 2010-04-05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955B1 true KR100976955B1 (en) 2010-08-18

Family

ID=4275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126A KR100976955B1 (en) 2010-04-05 2010-04-05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95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601A (en) * 2019-05-03 2020-11-11 (사)광주옥외광고협회 Banner advertising device
KR102196626B1 (en) * 2020-06-12 2020-12-30 박찬홍 device for raising a flag which adjusted high and low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200U (en) 1973-06-13 1975-02-27
US4329800A (en) 1980-12-02 1982-05-18 Eastern Electrical Equipment Co., Inc. Adjustable display device
JPH0716973U (en) * 1993-08-30 1995-03-2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Large signboards posted in high places
US20080028652A1 (en) 2000-10-06 2008-02-07 Makhija Manu B Sign hold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200U (en) 1973-06-13 1975-02-27
US4329800A (en) 1980-12-02 1982-05-18 Eastern Electrical Equipment Co., Inc. Adjustable display device
JPH0716973U (en) * 1993-08-30 1995-03-2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Large signboards posted in high places
US20080028652A1 (en) 2000-10-06 2008-02-07 Makhija Manu B Sign holde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601A (en) * 2019-05-03 2020-11-11 (사)광주옥외광고협회 Banner advertising device
KR102289174B1 (en) * 2019-05-03 2021-08-11 (사)광주광역시옥외광고협회 Banner advertising device
KR102196626B1 (en) * 2020-06-12 2020-12-30 박찬홍 device for raising a flag which adjusted high and 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955B1 (en) Banner advertising device rise and fall type
US20040173724A1 (en) Banner mount
US20020170217A1 (en) Banner holder
KR200476568Y1 (en) Placard hanging apparatus and placard hanginh system using the same
KR100883057B1 (en) Length type banner setter
KR100870051B1 (en) Placard hanger
KR20110042704A (en) Bicycle parking apparatus
KR200287319Y1 (en) Hanging banner establishing structure
CN214006678U (en) Large-span truss that structure is firm
CN101290400A (en) Lens installing mechanism for partial frame glasses
CN210891302U (en) Hanging lamp
CN111456351B (en) Assembled stainless steel railing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216104B1 (en)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load facility
CN113096526A (en) Electric power tower safety warning device
KR102564617B1 (en) Elevating banner stand device
CN217151533U (en) Fender is enclosed in municipal works's construction
KR200397735Y1 (en) Length type automatic hanging banner rise and fall device
CN207381756U (en) A kind of power communication cabinet
CN107907956B (en) A kind of ADSS optical cable and steel tower attachment device
KR20090088290A (en) Hoister equipment of flag
KR200365725Y1 (en) Supporting tool for screen-signboard device
KR20160042558A (en) Placard hanging apparatus and placard hanginh system using the same
CN104359062A (en) Lifting type camping place floodlight
CN215670634U (en) Office area stair
KR200303072Y1 (en) A hanger equipment for hanging banner vert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