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570B1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570B1
KR100975570B1 KR1020090110657A KR20090110657A KR100975570B1 KR 100975570 B1 KR100975570 B1 KR 100975570B1 KR 1020090110657 A KR1020090110657 A KR 1020090110657A KR 20090110657 A KR20090110657 A KR 20090110657A KR 100975570 B1 KR100975570 B1 KR 10097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splay device
case
coupled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776A (ko
Inventor
박재후
김진성
인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917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EP2161490B1/en
Priority to AT09177292T priority patent/ATE554334T1/de
Priority to CN201210056608.7A priority patent/CN102588720B/zh
Priority to CN201210056648.1A priority patent/CN102537626B/zh
Priority to CN200911000213.XA priority patent/CN101915348B/zh
Priority to US12/627,384 priority patent/US8695936B2/en
Publication of KR2010006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570B1/ko
Priority to US13/214,350 priority patent/US9282833B2/en
Priority to US13/214,330 priority patent/US20110297806A1/en
Priority to US13/362,424 priority patent/US2012012607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와이어가 와이어걸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와이어부를 벽면에 걸기 위해 벽면에 장착된 와이어걸이부와, 와이어걸이부에 마련되어 와이어부가 와이어걸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화면출력장치의 일종으로, 현재 각 가정 및 사무실 등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과 같이 두께가 얇고도 부피가 적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본체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께가 얇아 벽면에 걸어두고 사용할 경우 주거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벽에 걸어두기 위해 다양한 지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일 예로 액자를 벽멱에 거는 방식과 유사하게 와이어를 이용하여 벽면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크기 때문에 와이어 역시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와이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금속 등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와이어가 유연하지 아니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의 와이어걸이부가 거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수평을 조절하거나 하는 등으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움직이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가 운동하여 와이어걸이부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와이어가 와이어걸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장착된 와이어걸이부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와이어부가 걸리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제1반경을 가지는 헤드부와, 상기 벽면과 접하며 제2반경을 가지는 벽면지지부와, 상기 제1,2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감싸는 걸림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루버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중도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걸이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고리부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대직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제1대직경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대직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대직경부가 상기 삽입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부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대직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상기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부의 중도를 지지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와이어걸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중도를 커버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헤드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벽면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수용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감싸는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바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된다.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상기 와이어부와 상기 고정유닛은 나사 결합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된다.
상기 와이어부는 수나사 형상을 가지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암나사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삽입공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부는 그 단부에 마련되는 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볼부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는 후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된다.
상기 제1케이스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볼안착부;와, 그 상면에서 상기 볼안착부 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와이어삽입공;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삽입공은 상기 볼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에 삽입되되,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를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단턱;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부는 그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가 출입하는 이탈방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이탈방지 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 홈의 탈출경로를 차단하는 이탈방지 핀;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분리된 후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부를 결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된 하나의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한다.
상기 일체화된 하나의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부를 결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결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어느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와이어걸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부를 커버하는 이탈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움직여 와이어부와 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와이어부가 와이어걸이 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제품에 따라 와이어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이전설치 또는 변경설치 등을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이격부재와 회전암부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양단이 결합된 와이어부(20)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 와이어부(20)를 결합시키며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을 벽면에 대해 이격시키는 고정유닛(30)과,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에서 고정유닛(30) 하부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11)을 벽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부(2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후술할 와이어걸이부(6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데, 다수의 금속사를 꼬아 형성하고 외부에 피복을 입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부(20)의 양단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의 양측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는 배면(11)에서 수직하게 함몰 형성된 복수의 홀(12,13)이 마련되는데, 복수의 홀(12,13)은 와이어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11)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상부홀(12)과, 이격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11) 하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홀(13)을 포함한다.
상부홀(12)은 대략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 상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와이어부(20)의 길이는 한 쌍의 상부홀(12)사이의 거리(E)보다 길고, 한 쌍의 상부홀(12)사이의 중심과 접하는 수직선(F)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상단과 만나는 지점에서 한 쌍의 상부홀(12)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G,H)의 합보다 짧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20)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20)의 길이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가 변화하면 한 쌍의 상부홀(12)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G, H)의 합이 달라지기 때문에 와이어부(20)의 길이도 달라질 필요가 있다. 이에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20) 중 적절한 길이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부(20)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를 설 치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20)의 길이는 후술할 볼부(21)의 매듭부분을 제외한 것으로, 와이어부(20)의 길이는 상기 길이에 이탈방지부의 매듭부분의 길이가 추가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상부홀(12)에는 와이어부(20)의 단부와 결속된 고정유닛(30)이 스크류 결합된다.
고정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31)와, 제1케이스(31)와 결합하며 내부에 와이어부(20)의 단부가 감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케이스(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31)의 외주면에는 고정유닛(30)내부에 와이어부(20)의 단부를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33)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3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34)가 마련된다.
와이어부(20)는 와이어삽입공(33)에 대응하여 와이어부(20)의 단부에는 와이어부(20)가 고정유닛(30)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삽입공(33)보다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 볼부(21)가 마련된다.
볼부(21)는 금속재의 와이어부(20)의 단부에 이중사출 등을 통해 와이어부(20)의 두께보다 직경이 큰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부(20)를 한 쌍의 고정유닛(30)의 제1케이스(31)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33)에 삽입한 후 와이어부(20)의 양단에 이중사출 등을 통해 볼부(21)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부(20)가 고정유닛(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케이스(3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3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36)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케이스(31)와 결합되어 와이어부(20)의 단부가 감기는 원통부(37)가 형성된다.
제2케이스는 결합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유닛은 상부홀에 직접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부(20)의 단부는 제1케이스(31)와 제2케이스(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서 감긴 상태로 고정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20)의 단부는 원통부(37)를 감고 볼부(21)측이 매듭이 지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볼부(21)측이 매듭이 지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20)에 큰 하중이 걸려 와이어부(20)를 당기는 힘이 커지더라도 매듭지어진 볼부(21)가 와이어부(2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홀(13)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40)가 결합된다.
이격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측에 스크류삽입홀(41)이 형성되고 벽면과 접촉하는 이격부재(40)의 배면측은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에 접촉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2완충부재(42)가 장착된다.
이격부재(4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디스플 레이장치(10)의 하측을 벽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격부재(4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고정유닛(3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과의 평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2완충부재(34,42)는 각각 벽면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일 예로 루버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타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격부재(4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를 틸팅시키는 회전암부(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전암부(50)는 상,하 또는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격부재(40)는 회전암부(5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43)를 포함한다.
고정유닛(30) 및 이격부재(40)가 고정되는 상, 하부홀(13)은 임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수직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맞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된 VESA홀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에 별도의 홀가공없이 VESA홀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와이어부(20)가 연결된 고정유닛(30) 및 이격부재(40)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4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20)가 결합된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걸기 위한 와이어걸이부(60)와, 와이어걸이부(60)로부터 와이어부(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와이어부(20)를 벽면에 고정하는 와이어걸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와이어걸이부(60)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61)와, 헤드부(61)의 후측에 형성되어 와이어부(20)의 일측이 안착되는 수용부(62)와, 수용부(62)의 후측에 형성되어 벽면과 접하는 벽면지지부(63)를 포함한다.
와이어걸이부(60)의 중심에는 와이어걸이부(60)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홀(64)이 형성되어, 스크류(65)가 스크류홀(64)에 삽입되어 벽면에 장착됨으로써 와이어걸이부(60)가 벽면에 고정된다.
또한, 헤드부(61)의 배면은 와이어부(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부(61)의 전면에는 스크류(6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부(66)가 장착된다.
수용부(62)는 헤드부(61)와, 벽면지지부(63)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수용부(72)에 걸리는 와이어부(60)가 와이어걸이부(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70)는 루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수용부(62)의 둘레를 감싸도록 와이어걸이부(60)에 장착된다.
이탈방지부(70)는 벽면지지부(43)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몸체부(71)와, 몸체부(7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용부(62) 상부를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지지부(43)의 외주면에 결합하나, 변형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72')가 벽면을 향하도록 하여 이탈방지부(70')가 테이퍼형의 헤드부(61)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돌기부(72)는 루버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단부에는 와이어부(20)를 감싸는 걸림턱부(73)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걸이부(60)에 이탈방지부(70)를 장착하고 와이어걸이부(60)를 벽면에 결합시킨 후 헤드부(61)를 캡부(66)가 커버하여 와이어걸이부(60)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 후, 디스플레이장치(10)와 결합된 와이어부(20)를 와이어걸이부(60)에 걸면 와이어부(20)는 헤드부(61)의 배면의 테이퍼 형상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수용부(62)측으로 이동한다. 와이어부(20)는 수용부(62)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에 의해 이탈방지부(70)의 돌기부(72)와 헤드부(61)의 배면사이의 이격된 틈사이로 와이어부(20)의 일측이 삽입되어 동작이 완료된다.
이 후 디스플레이장치(10)의 수평을 맞추는 등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움직이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부(20)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와이 어부(20)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와이어걸이부(60)에 장착된 이탈방지부(70)에 의해 와이어부(20)가 와이어걸이부(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이탈방지부의 구성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제1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포함되는 이탈방지부(8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61)의 전면을 폐쇄하는 동시에 와이어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8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전면은 헤드부(61)의 내부를 폐쇄하는 캡부(81)가 형성되고, 캡부(81)의 테두리측에는 와이어부(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82)가 돌출 형성된다.
캡부(81)와 이탈방지부(82)사이에는 헤드부(61)의 테두리와 결합하는 체결부(83)가 형성되고, 헤드부(61)의 테두리가 체결부(83)에 삽입됨으로써 이탈방지부(80)가 헤드부(61)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82)의 양 측에는 와이어부(20)에 대응하여 와이어수용홈(84)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80)는 와이어부(20)가 와이어걸이부(60)에 걸려진 상태에서 와이어수용홈(84)을 와이어부(20)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헤드부(61)에 장착시켜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2실시예와 비교하여 와이어부와, 와이어걸이부 및 이탈방지부의 구성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거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도에 체결부(92)가 마련된 와이어부(90)와, 디스플레이장치(10)와 결합된 와이어부(90)를 벽면에 걸기 위한 와이어걸이부(100)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와이어부(9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10)를 포함한다.
와이어부(9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후술할 와이어걸이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 등으로 형성된 와이어와, 와이어(91)의 중도에 마련되어 와이어(91)를 와이어걸이부(100)에 결 합시키기 위한 체결부(92)를 포함한다.
체결부(92)는 와이어(91)가 삽입되는 고리부(93)와, 와이어걸이부(100)와 결합하는 몸체부(97)를 포함한다.
고리부(93)는 와이어(91)의 직경보다 고정 크기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92)가 와이어를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97 : 94,95,96)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제1,2대직경부(94,95)와, 한 쌍의 제1,2대직경부(94,95)사이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소직경부(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97)와 고리부(93)는 강성이 좋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체결부(92)에 대응하여 와이어걸이부(100)는 삽입부(101)가 형성되고, 삽입부(101)는 하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이탈방지부(110)가 마련된다.
삽입부(101)에는 와이어걸이부(100)를 벽면에 장착하는 스크류(65)가 관통하는 스크류홀(103)이 형성된다.
삽입부(101)의 테두리측이나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체결부(92)가 삽입부(10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테이퍼부(10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삽입부(101)에 테이퍼부(102)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를 삽입부(101)에 삽입하고, 하향으로 운동시키면 제1,2대직경부(94,95)사이의 소직경 부(96)가 이탈방지부(110)에 맞물리게 되어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가 이탈방지부(110)의 배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체결부(92)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체결부(92)와 연결된 와이어(91)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
체결부(92)와 와이어걸이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104)이 마련되며, 다른 하나는 금속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영구자석(104)은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의 전면에 마련되거나, 와이어걸이부(100)의 삽입부(101)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와이어걸이부(100)의 삽입부(101)에 영구자석(104)을 마련한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시 설치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아니하여 체결부(92)를 와이어걸이부(100)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못하는 경우에도 영구자석(104)의 자력에 의해 체결부(92)가 와이어걸이부(100)의 삽입부(101)에 인접하는 경우 체결부(92)가 삽입부(101)에 삽입된다.
이 후 디스플레이장치(10)의 수평을 맞추는 등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움직이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20)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와이어(20)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길이방향을 길게 형성된 이탈방지부(110)에 의해 제1대직경부(94)가 걸림상태를 유지하여 이탈이 방지되고, 체결부(92)가 삽입부(101)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영구자석(104)의 자력에 의해 체결부(92)가 삽입부(101)에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와이어(91)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92)와 와이어걸이부(100)의 형상은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 예로 체결부는 제2대직경부가 생략되어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와이어걸이부의 삽입공은 도12에 개시된 것이 비해 소정정도 크게 마련되어 체결부가 보다 용이하게 와이어걸이의 삽입공을 안내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은 제1실시예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를 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10(a)에서와 같이 드릴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홀을 형성하고, 도 10(b)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앵커(67)를 홀에 삽입하고, 도 10(c)와 같이 이탈방지부(70)가 결합된 와이어걸이부(60)를 벽면의 홀에 위치시킨 후 스크류(65)를 결합시키면, 스크류(65)의 결합시 앵커(67)가 벽면의 홀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이후, 와이어걸이부(60)에 캡부(66)를 장착하여 벽면에 대한 와이어걸이부(60)의 고정을 완료한다.
이 때 앵커는 일 예로 플러그앵커(plug anchor)일 수 있다.
이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20)를 와이어걸이부(60)에 걸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은 제1실시예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벽면에 고정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른 형태의 벽면은 일 예로 일반적인 제1벽면(A)의 전방에 소정간격 이격된 제2벽면(B)이 마련된 이중 벽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1(a)에서와 같이 드릴 등을 이용하여 제2벽면(B)에 홀을 형성하고, 도 11(b)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앵커(68)를 홀에 삽입하고, 도11(c)와 같이 이탈방지부(70)가 결합된 와이어걸이부(60)를 제2벽면(B)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로 위치시킨 후 스크류(65)를 결합시키면, 스크류(65)의 결합시 앵커(68)가 제2벽면(B)의 홀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이후, 와이어걸이부(60))에 캡부(66)를 장착하여 벽면에 대한 와이어걸이부(60)의 고정을 완료한다.
이 때 이중 벽면구조에서는 앵커의 일 예로 앵커를 삽입하면 앵커 끝단이 펼쳐지는 토글앵커(toggle anchor)일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제 2, 3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도 2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도 2의 일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와이어부(11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121)와, 제1케이스(121)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121)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2케이스(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12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10)의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공(123)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12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124)가 마련된다.
와이어삽입공(123)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와이어부(110)의 단부에는 와이어삽입공(123)에 대응하여 와이어부(110)가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탈방지부(111)가 마련된다.
이탈방지부(111)는 와이어삽입공(123)에 대응하여 수나사 형태로 마련되며, 금속재의 와이어부(110)의 단부에 다이캐스팅 등을 통해 와이어부(110)의 두께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부(110)를 한 쌍의 고정유닛(120)의 제1케이스(121)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123)에 스크류 결합하여 와이어부(110)가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2케이스(12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8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125)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부(111)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126)이 형성된다.
와이어부(110)는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스크류 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110)에 큰 하중이 걸려 와이어부(110)를 당기는 힘이 커지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2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도 2의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4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와이어부(13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141)와, 제1케이스(141)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141)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2케이스(142)와, 와이어부(130)와 결합되어 제1,2케이스(141,142)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14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30)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 공(144)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케이스(14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145)가 마련된다.
와이어삽입공(144)은 와이어부(130)가 삽입되도록 제1케이스(141)의 배면으로부터 절개된다.
와이어부(130)는 고정부재(143)에 의해 단부가 고정되는데, 고정부재(143)는 금속재질의 환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와이어홀(146)이 형성된다.
와이어부(130)를 와이어홀(146)에 삽입하여 고정부재(143)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관통시킨 후, 와이어부(130)의 단부에 이탈방지부(131)를 형성하여 와이어부(130)가 고정부재(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131)는 금속재의 와이어(130)의 단부에 다이케스팅 등을 통해 와이어홀(14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4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8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14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부(130)가 결합된 고정부재(143)를 제1케이스(141)내에 안착시키고, 제1케이스(141)의 와이어삽입공(144)에 와이어부(130)의 중도를 수용시킨 후, 제2케이스(142)를 제1케이스(141)에 결합하고 결합스크류(85)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40)을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결합시킨다.
와이어부(130)에는 이탈방지부(131)가 견고하게 형성됨으로써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도 와이어부(130)가 고정부재(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으며, 고정부재(143)는 제1,2케이스(141,142)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수용된 채로 결합스크류(85)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 배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큰 하중에도 불구하고 고정부재(143)가 제1,2케이스(141,142)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6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61)와, 이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는 후크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62)가 제1케이스(161)에 삽입될 때 제2케이스(162)의 제2단턱(161a)이 제1케이스(161)의 제1단턱(161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케이스(162)의 커버(162b)는 제1케이스(161)의 전면을 폐쇄할 수 있다.
제1케이스(161)는 와이어부(150)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공(16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삽입공(163)은 제1케이스(16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 점에서 소정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61)는 볼부(151)를 수용하기 위한 볼안착부(16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볼안착부(164)는 와이어삽입공(163)과 대응하는 제1케이스(161)의 내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150)는 그 단부에 볼부(15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볼부(151)는 다이캐스팅 등을 통하여 와이어삽입공(16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150)는 와이어삽입공(16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150)가 와이어삽입공(163)에 삽입되고 와이어부(150)의 볼부(151)가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에 지지됨으로서 와이어부(150)는 제1케이스(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162)가 제1케이스(161)에 후크 결합하는 경우 제2케이스(162)의 커버(162b)는 제1케이스(161)의 와이어삽입공(163)을 폐쇄하기 때문에 와이어부(150)는 제1케이스(161) 및 제2케이스(1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케이스(162)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166)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스크류(165)가 스크류홀(166)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유닛(160)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162)는 완충부재(16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67)는 벽면에 지지되어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부(150)의 중도를 와이어삽입공(163)에 삽입하고 와이어부(150)의 볼부(151)를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에 안착시킨 후, 제2 케이스(162)를 제1케이스(161)에 결합시켜 와이어삽입공(163)을 폐쇄한 후, 결합스크류(165)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6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와이어부(150)는 견고하게 형성되는 볼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와 같이 큰 하중이 결리는 경우에도 와이어부(150)가 제1케이스(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8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81)와, 이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케이스(181)와 제2케이스(182)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8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중심부에는 스크류홀(186)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스크류(185)가 스크류홀(186)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유닛(180)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는 와이어부(17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1이탈방지부(171)와 이격되어 와이어부(170)의 중도에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부(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2이탈방지부(172)는 금속재의 와이어부(170)에 다이캐스팅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180)은 제1케이스(181)의 바깥측 외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83)와, 이탈방지홈(183)를 관통하고 제1케이스(181)의 상측 외면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핀삽입홈(184)와, 이 핀삽입홈(184)에 결합하는 이탈방지핀(18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2이탈방지부(172)가 이탈방지홈(183)에 삽입되고 이탈방지핀(185)이 핀삽입홈(184)에 삽입되는 경우, 이탈방지핀(185)은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2이탈방지부(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이탈방지부(171)는 이탈방지핀(185)에 의해서 탈출 경로가 차단됨으로서 와이어부(170)는 고정유닛(1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를 이탈방지홈(183)에 삽입하고 이탈방지핀(185)을 핀삽입홈(184)에 삽입한 후, 결합스크류(187)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8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와이어부(170)는 견고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71, 17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와 같이 큰 하중이 결리는 경우에도 와이어부(170)가 제1케이스(18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와 도 14 내지 19의 실시예는 와이어부를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 외에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 와이어부를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도 14 내지 도 19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4 내지 도 19는 고정유닛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부를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와이어부를 고정유닛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따른 와이어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17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제1와이어부(170a)와 제2와이어부(170b), 제3와이어부(17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가 변화하면 한 쌍의 상부홀(12)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G, H)의 합이 달라지기 때문에 와이어부(20)의 길이도 달라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75) 중 적절한 길이를 가지는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1와이어(170a))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80)을 이용하여 제1와이어(170a)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180)은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다른 하나(예를 들면, 제 2와이어(170b))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유닛(180)과 결합하고 있는 제1와이어(170a)를 고정유닛(180)으로부터 분리한 후 제2와이어(170b)를 고정유닛(18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17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유닛(180)과 결합시킬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17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하여 고정유닛(18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각각은 고정유닛(180)과 결합/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각각은 고정유닛(120)과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와이어부(110)의 이탈방지부(111)는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유닛(120)의 와이어삽입공(123)은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2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15와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각각은 고정유닛(140)과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부재(143)는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에 의해서 구속됨으로서 와이어부(130)는 고정유닛(14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가 분리되는 경우 고정부재(143)는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로부터 해제됨으로서 와이어 부(130)는 고정유닛(1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4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16과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각각은 고정유닛(160)과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는 후크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서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는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가 결합되는 경우 와이어부(150)의 볼부(151)는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에서 구속됨으로써 와이어부(150)는 고정유닛(1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가 분리되는 경우 와이어부(150)의 볼부(151)는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와이어부(150)는 고정유닛(16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6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18과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각각은 고정유닛(180)과 핀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와이어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가 고정유닛(180)의 이탈방지홈(183)에 삽입되고 이탈방지핀(185)이 핀삽입홈(184)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각각은 고정유닛(180)과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이탈방지핀(185)이 핀삽입홈(184)에서 빠지는 경우 와이어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는 고정유닛(180)의 이탈방지홈(18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8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를 설치할 때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와이어부(1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2와 도 23은 도 21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높이조절부재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높이조절부재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200)은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1)와 체결부재(202), 높이조절부재(2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01)는 제1케이스(201a)와 제2케이스(201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1a)와 제2케이스(201b)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201)는 와이어부(190)를 결속할 수 있다. 케이스(201)와 와이어부(190)는 도 2 또는 도 14, 도 15, 16, 도 18의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결합됨으로서, 와이어부(190)가 케이스(2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201)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01)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 등의 체결홀(204)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홀(204)에 결합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02)가 삽입되어 케이스(201)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유닛(200)은 벽면에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1)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지지됨으로서, 케이스(201)의 높이(또는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에 대해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1)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사이에는 높이조절부재(203)가 개재(介在)될 수 있다. 케이스(201)와 높이조절부재(203)는 하나의 유닛처럼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케이스(201)와 높이조절부재(203)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지지됨으로서,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케이스(201)와 높이조절부재(203)의 높 이(또는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에 대해 이격시킬 수 있다. 다만, 높이조절부재(203)가 개재됨에 따른 높이조절부재(203)에 의한 길이 변화에 해당하는 만큼 체결부재(202)도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선택적으로 높이조절부재(203)를 사용하여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는 잭(jack)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잭(jack)의 설치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이 벽면으로부터 적정 간격 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24는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5와 도 26은 도 24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220)은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1)와 체결부재(222), 높이조절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21)는 제1케이스(221a)와 제2케이스(222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21a)와 제2케이스(221b)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221)는 와이어부(210)를 결속할 수 있다. 케이스(221)와 와이어부(210)는 도 2 또는 도 14, 도 15, 16, 도 18의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결합됨으로서, 와이어부(210)가 케이스(2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221)와 높이조절부재(223)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23)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 등의 체결홀(224)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홀(224)에 결합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22)가 삽입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케이스(221)와 높이조절부재(223)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23)는 케이스(221)에 결합하되, 케이스(22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23)와 케이스(221)는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23)는 케이스(221)의 중심부에 삽입되는데, 높이조절부재(223)와 케이스(221)가 서로 접촉하는 지점에 나사 체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조절부재(223)에 외면에는 나사돌기(225)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221)의 내면에는 나사돌기(225)와 대응하는 걸림돌기(2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높이조절부재(223)가 케이스(221)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높이조절부재(223)는 케이스(221) 내측으로 들어가거나 케이스(221) 외측으로 나올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높이조절부재(223)를 동작시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 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기 위해서 높이조절부재(223)를 케이스(221)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높이조절부재(223)가 케이스(221) 외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조절한 후 체결부재(222)를 이용하여 고정유닛(22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좀더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서 높이조절부재(223)를 케이스(221)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높이조절부재(223)가 케이스(221)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조절한 후 체결부재(222)를 이용하여 고정유닛(22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잭(jack)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이 벽면으로부터 적정 간격 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8와 도 29는 도 27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240)은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41)와 체결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41)는 제1케이스(241a)와 제2케이스(241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41a)와 제2케이스(241b)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241)는 와이어부(230)를 결속할 수 있다. 케이스(241)와 와이어부(230)는 도 2 또는 도 14, 도 15, 16, 도 18의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결합됨으로서, 와이어부(230)가 케이스(2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241)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41)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 등의 체결홀(24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홀(243)에 결합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42)가 삽입되어 케이스(241)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242)는 케이스(241)의 중심부에 삽입되되, 케이스(24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재(242)와 케이스(241)는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재(242)의 외주면에 제1나사산(242a)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242)의 내주면에 제1나사산(242a)과 대응하는 제2나사산(24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242)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에 따라 케이스(241)는 체결부재(242)를 따라서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서 벽 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기 위해서 체결부재(242)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케이스(241)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좀더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서 체결부재(242)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케이스(141)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더욱 가깝게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잭(jack)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이 벽면으로부터 적정 간격 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1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이격부재와 회전암부의 조립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거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4는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도 15는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도 16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태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따른 와이어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2와 도 23은 도 21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5와 도 26은 도 24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와 도 29는 도 27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디스플레이장치 11 : 배면
12 : 상부홀 13 : 하부홀
20 : 와이어부 30 : 고정유닛
40 : 이격부재 50 : 회전암부
60 : 와이어걸이부 61 : 헤드부
62 : 수용부 70 : 이탈방지부
71 : 몸체부 72 : 돌기부
73 : 걸림턱부.

Claims (37)

  1.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부가 걸리는 수용부를 구비한 와이어걸이부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환형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환형의 홈을 커버하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제1반경을 가지는 헤드부와, 상기 벽면과 접하며 제2반경을 가지는 벽면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2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감싸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루버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 지장치.
  9.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장착된 와이어걸이부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중도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걸이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고리부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대직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제1대직경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대직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대직경부가 상기 삽입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대직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4.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상기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부의 중도를 지지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와이어걸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중도를 커버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헤드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벽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수용부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감싸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와 상기 고정유닛은 나사 결합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수나사 형상을 가지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암나사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그 단부에 마련되는 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볼부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는 후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볼안착부;와, 그 상면에서 상기 볼안착부 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와이어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삽입공은 상기 볼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에 삽입되되,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를 지 지하는 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그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부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가 출입하는 이탈방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이탈방지 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 홈의 탈출경로를 차단하는 이탈방지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분리된 후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부를 결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된 하나의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된 하나의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부를 결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제1반경을 가지는 헤드부와, 상기 벽면과 접하며 제2반경을 가지는 벽면지지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0090110657A 2008-11-30 2009-11-17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7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9177292T ATE554334T1 (de) 2008-11-30 2009-11-27 Hilfsvorrichtung für anzeigevorrichtung
EP09177292A EP2161490B1 (en) 2008-11-30 2009-11-27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CN201210056648.1A CN102537626B (zh) 2008-11-30 2009-11-30 用于显示装置的支撑器件
CN200911000213.XA CN101915348B (zh) 2008-11-30 2009-11-30 用于显示装置的支撑器件
CN201210056608.7A CN102588720B (zh) 2008-11-30 2009-11-30 用于显示装置的支撑器件
US12/627,384 US8695936B2 (en) 2008-11-30 2009-11-30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13/214,350 US9282833B2 (en) 2008-11-30 2011-08-22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13/214,330 US20110297806A1 (en) 2008-11-30 2011-08-22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13/362,424 US20120126076A1 (en) 2008-11-30 2012-01-31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0213 2008-11-30
KR1020080120213 2008-11-30
KR20090015774 2009-02-25
KR1020090015774 2009-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776A KR20100061776A (ko) 2010-06-09
KR100975570B1 true KR100975570B1 (ko) 2010-08-13

Family

ID=4236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657A KR100975570B1 (ko) 2008-11-30 2009-11-17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75570B1 (ko)
CN (3) CN102588720B (ko)
AT (1) ATE554334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037B1 (ko) * 2011-03-08 2013-01-03 주식회사 제이아이케이솔루션 디스플레이용 지지장치
KR101460233B1 (ko) * 2013-07-11 2014-1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부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CN105342229B (zh) * 2015-12-13 2017-01-18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安装位置可调整的镜子
GB201614739D0 (en) * 2016-08-31 2016-10-12 Tomtom Int Bv A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220042730A (ko) * 2020-09-28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와 그 설치 방법
CN114370563A (zh) * 2020-10-15 2022-04-1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屏幕固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021A (ja) 1996-12-06 1998-06-26 Fujitsu General Ltd 壁掛けテレビ取付け装置
JP2002006771A (ja) * 2000-06-20 2002-01-11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取付装置
KR20030027925A (ko) * 2003-03-14 2003-04-07 주식회사 보이스피아 음성인식을 이용한 구조요청 장치 및 그 방법
KR200327925Y1 (ko) * 2003-06-30 2003-09-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벽면 고정장치
KR20090117085A (ko) * 2008-05-08 2009-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55A (en) * 1889-07-02 Picture-hanger
US769695A (en) * 1903-10-15 1904-09-13 Rose Mfg Company Picture-hanging device.
US883201A (en) * 1906-03-22 1908-03-31 Harry T Johnson Terminal connector.
US1675282A (en) * 1926-11-10 1928-06-26 Stransky Products Corp Anchoring device for framed pictures and the like
GB384616A (en) * 1932-08-10 1932-12-08 Carl Christian Frederik Herman Improved device for maintaining suspended articles in position on walls
US3384987A (en) * 1966-07-07 1968-05-28 Robert A. Prechtl Picture frame righting and spacing means
US4309017A (en) * 1979-09-04 1982-01-05 Slemmons John W Reversable two-position frame hanger
CN2203489Y (zh) * 1994-08-16 1995-07-12 韩云志 拉线开关延线器
CN2244880Y (zh) * 1995-08-09 1997-01-15 陈汉奎 加盖挂钩隐藏型的壁挂钩
CN2255775Y (zh) * 1995-09-08 1997-06-11 陈汉奎 绳吊式画框壁挂钩
US5803425A (en) * 1997-02-24 1998-09-08 Mccoy, Ii; Charles A. Wall hanging devices and methods
US5947438A (en) * 1998-02-12 1999-09-07 Lemire; Robert Picture frame hanger having vertical and horizontal adjustability
KR100461178B1 (ko) * 2002-03-26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CN1652257A (zh) * 2005-02-23 2005-08-10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壁挂式电视的壁挂装置
US20070183866A1 (en) * 2006-02-09 2007-08-09 Hangman Products, Inc. Self locating wall fastener
KR100779374B1 (ko) * 2006-07-25 2007-11-23 신정훈 4줄 와이어 구조를 갖는 승강릴의 와이어 꼬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021A (ja) 1996-12-06 1998-06-26 Fujitsu General Ltd 壁掛けテレビ取付け装置
JP2002006771A (ja) * 2000-06-20 2002-01-11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取付装置
KR20030027925A (ko) * 2003-03-14 2003-04-07 주식회사 보이스피아 음성인식을 이용한 구조요청 장치 및 그 방법
KR200327925Y1 (ko) * 2003-06-30 2003-09-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벽면 고정장치
KR20090117085A (ko) * 2008-05-08 2009-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37626B (zh) 2015-10-21
CN101915348B (zh) 2014-07-09
CN101915348A (zh) 2010-12-15
CN102588720A (zh) 2012-07-18
KR20100061776A (ko) 2010-06-09
CN102537626A (zh) 2012-07-04
CN102588720B (zh) 2015-09-02
ATE554334T1 (de)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936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KR100975570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EP2161490B1 (en)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EP2302280B1 (en)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KR10139071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US20080083865A1 (en) Hanger and display
US7707691B2 (en)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0000768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5547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RU104276U1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на базе троса
KR1013565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US20130270407A1 (en) Universal Mount System For A Monitor
KR102451486B1 (ko) 이젤형 tv 거치대
KR20070022911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 브래킷
KR100549309B1 (ko)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변 벽걸이 장치
KR101944500B1 (ko) 토션바의 비틀림 작동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장치
KR100607207B1 (ko) 벽걸이 각도 조절장치
JP6464033B2 (ja) 椅子のメモ台取付け構造並びにそれを用いた椅子
KR10146475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JP2017101386A (ja) 躯体の固定構造
JP2016175428A (ja) モニタの支持構造およびモニタの取り付け方法
KR19990032064U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캐비네트에 일체로 설치되는 카메라장치
KR19990003604U (ko) 모니터용 외장스피커 장착구조
KR19990013895U (ko) 모니터용 외장스피커의 장착구조
JP2008292464A (ja) ナビゲーション用据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