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912B1 -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912B1
KR100974912B1 KR1020080047935A KR20080047935A KR100974912B1 KR 100974912 B1 KR100974912 B1 KR 100974912B1 KR 1020080047935 A KR1020080047935 A KR 1020080047935A KR 20080047935 A KR20080047935 A KR 20080047935A KR 100974912 B1 KR100974912 B1 KR 10097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rane
pipe
filtration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1833A (en
Inventor
이의신
허용록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8004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912B1/en
Publication of KR2009012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3Open housings
    • B01D2313/2031Frame or cage-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B01D2313/24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6Specific mechanisms for loading the membrane in a mod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송풍기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과 연결되는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산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복수의 산기공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에 각각의 상기 분리막 모듈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과 연결되는 여과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여과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a separator unit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diffuser line is connected to the air diffuser line connected to the blower on the upper surface to distribute the air to the inside A main frame having a connector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acid pores formed therein for discharg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diffuser line; A plurality of separator modules fixed vertically in the main frame; And a fixed pip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frame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main frame, and having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separator modules at one side thereof, and a filtration lin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hrough a filtration pump at an upper surface thereo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ration pipe is formed to connect the filtration line connecto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과 여과 배관 및 산기배관을 일체화함으로써 생물 반응조 내에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더욱 컴팩트해질 뿐만 아니라 프레임 구조물의 수직방향 양쪽으로 균등하게 공기가 유입되어 각각의 분리막 모듈 하부에 있는 산기공으로 균일하게 분출될 수 있어 막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in the bioreactor by integrating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the filtration pipe and the acid pipe, the space occupied by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is more compact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structure Air flows evenly to both sides and can be evenly ejected to the acid pores below each separator module, thereby reducing membrane fouling,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membrane.

분리막 모듈,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분리막 유니트, 산기배관, 여과 배관, 일체형 Membrane Module, Membrane Frame Structure, Membrane Unit, Dissipative Piping, Filtration Piping, Integrated

Description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membrane unit using same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처리용량에 해당하는 일정 수량의 분리막 모듈을 설치한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내부의 빈 공간을 공기가 유입되는 산기배관으로 이용하고,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의 일부분을 고액분리된 처리수가 집수되는 여과 배관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a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use an empty space inside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quantity of membrane modules corresponding to a treatment capacity is installed as an air inlet pip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a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which allow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to be used as a filtration pipe for collecting solid-liquid treated water.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 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1960년대 미국에서 해수담수화 계획의 일환으로 역삼투공정 (reverse osmosis)이 개발되었다. 1970년경에는 고분자재질의 역삼투막과 모듈이 개발되었으며 그 후 다른 종류의 모듈들이 개발,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다. 막 분리 공정은 증류기술과는 달리 상변화가 없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은 장점이 있다. 분리막은 역삼투압막(reverse osmosis membrane)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등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membrane technology is a separation technology using a material-selective permeation property of the polymer material, reverse osmosis was developed in the 1960s as part of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 Around 1970, polymer reverse osmosis membranes and modules were developed, and then other types of modules were developed and mass produced. Membrane separation process, unlike the distillation technology, there is no phase change can save energy and the process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vice occupies less space. Separation membranes have been developed around reverse osmosis membranes and have been widely applied to ultrafiltration membranes, microfiltration membranes, and nanofiltration membranes.

기존의 분리막은 나권형(spiral wound), 관형(tubular), 중공사형(hollow fiber), 판틀형(plate and frame)등의 형식들이 있는데, 이중에서 중공사형은 중공사의 직경이 0.2∼2mm이며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 형태이므로 중공사의 단위 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에 비해서 매우 커서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형식의 분리막은 분리막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도포할 수 있는 지지체가 필요하지만 중공사형식의 분리막은 직경이 작으므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진 중공사막들 사이에 부유물질이 막의 표면에 부착되어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며 막 오염에 약하고 일단 오염된 막은 세척하기가 어려워 막오염이 심한 공정에는 사용하기가 어렵고 강한 폭기나 외부의 충격에 절단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separators include spiral wound, tubular, hollow fiber, plate and frame, among which hollow fiber has a diameter of 0.2 ~ 2mm and hollow Since this hollow tube is hollow, the membrane area ratio per unit volume of the hollow fiber is very large compared to other types, resulting in high productivity. Other types of membranes require a support to apply a polymer to form a membrane, but hollow fiber type membranes Since the diameter is small, it can maintain its own shap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upport. However,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made of one module, suspended solid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embrane to prevent the flow of water. Once contaminated membranes are difficult to clean, they are difficult to use in highly fouled processes and are subject to strong aeration or external impac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be cut.

중공사형 분리막은 중공사막의 안에서 밖으로 여과되는 가압방식과 그 반대 방향으로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수 및 하수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활성슬러지법에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방식도 외부에서 순환하는 방식(external type)과 생물 반응조내에 직접 모듈을 침지하는 방식(submerged type)이 있다. 외부순환형은 침지형에 비해서 에너지 소모가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Hollow fiber type membrane can be used by the suction metho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ssure method filtered ou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n addition,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used in the activated sludge method used to treat sewage and sewage, and there are also external circulation and submerged type. The external circulation type has a disadvantage in that energy consump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immersion type.

통상적으로 침지형 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MBR(Membrane Bio Reactor) 공정은 생물반응조 내에 분리막 모듈을 직접 침지시키고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를 통해 처리수만을 여과 배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온 상압 조건에서 물속에 동일한 공기량을 주입하였을 때, 물속에 용존 산소의 용해도는 기포의 비표면적에 의하여 좌우되며, 이에 기포가 미세할수록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용존산소 용해도의 효율이 증가하며 에너지 손실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다.In general, MBR (Membrane Bio Reactor) process using the immersion membrane module is to immerse the membrane module directly in the bioreactor and to filter out only the treated water through solid-liquid separation by the membrane. In general, when the same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water under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the solubility of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depends o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bubbles.The smaller the bubble, the greater the specific surface area, so the efficiency of dissolved oxygen solubility increases and energy is increased. Loss is reduced and economical.

한편 대부분의 MBR 공정에서 분리막 모듈을 생물반응조 내에 침지시킬 때 처리용량에 해당하는 분리막 모듈을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 고정하여 제공한다.Meanwhile, in most MBR processes, when a membrane module is immersed in a bioreactor, a membrane module corresponding to a processing capacity is provided and installed in a separate frame.

이에 따라 분리막에 의한 여과는 분리막 모듈의 형태에 따라 상부집수 또는 양단집수의 과정을 거쳐 여과 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배출하게 되고,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시 분리막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전단력을 발생시켜 분리막 표면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의 탈리작용과 반응조내의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위해 산기배관을 통해 지속적인 공기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filtration by the separator is discharged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filtration pipe through the process of the upper or both end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embrane module, and dur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by the separator generates a shear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embrane surface Continuous air injection is made through the acid pipe for desorption of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urface and oxygen supply to the microorganisms in the reactor.

종래의 기술은 상기의 여과 배관 및 산기배관을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 프레임과 별도로 설치하여 프레임에 부착시켜 사용되어 왔으나, 부착물로 인하여 프레임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설치 공간의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The prior art has been used to attach the filtration pipe and the acid pipe to the frame by installing separately from the frame including the membrane module, but the structure of the frame is complicated by the attachment, constraints of the installation space is followed.

또한, 분리막의 세정이나 파손에 의한 수리를 위해 생물 반응조 외부로 배출시킬 시 세정이나 수리 후 재침지시킬 때 부착물의 파손 우려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ioreactor for cleaning or repair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mage of the deposit occurs when re-immersion after cleaning or repai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막 프레임 구조 물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산기배관과 여과 배관을 형성함으로써 공기배관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 방울이 산기배관을 통해 산기공으로 분출되도록 하고, 고액분리된 처리수가 여과 배관을 통해 집수되도록 하는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n empty space in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to form an acid pipe and a filtration pipe so that the air bubbles introduced through the air pipe is ejected to the acid pores through the air pip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a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to allow the solid-liquid separated treatment water to be collected through the filtration pipe.

또한, 본 발명은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과 여과 배관 및 산기배관을 일체화함으로써 생물 반응조 내에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더욱 컴팩트해질 뿐만 아니라 프레임 구조물의 수직방향 양쪽으로 균등하게 공기가 유입되어 각각의 분리막 모듈 하부에 있는 산기공으로 균일하게 분출될 수 있어 막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막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in the bioreactor by integrating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the filtration pipe and the acid pipe,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membrane frame structure becomes more compact as well as in both vertical directions of the fra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blow air into the acid pores under each membrane module to reduce the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thereby providing a membran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for extending the life of the membrane and a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송풍기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과 연결되는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산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복수의 산기공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에 각각의 상기 분리막 모듈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과 연결되는 여과 라 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여과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formed inside the hollow shape, connected to the blower is connected to the air diffuser line connected to the air blow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exhaust air supplied from the air diffuser line on the lower surface A main frame in which acid pores are formed; A plurality of separator modules fixed vertically in the main frame; And a fixed pip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frame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main frame, and having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separator modules at one side thereof, and a filtration lin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hrough a filtration pump at an upper surface thereo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ration pipe is formed to connect the filtration line connector.

여기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상의 "디귿자"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하단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하단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되, 상기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고, 상면에 상기 산기공이 각각 형성되는 분기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측면 및 상기 하단 프레임의 양측면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는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Herein, the main frame may include: an upper frame having a hollow “dimple” or “rectangular” shape inside; A bottom frame formed inside of a hollow " rectangular "shape; A branch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install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in a hollow shap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frame, and having the acid por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inside of the hollow frame extends vertically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central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and consists of a vertical frame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여기에서 또한, 상기 분리막 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산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산기공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 프레임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Here, the separator module is fixedly installed by a fixe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acid por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cid pores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main frame.

여기에서 또, 상기 여과 배관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되, 양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을 위한 제 1체결판이 구비된다.Here, the filtration pipe is formed in a hollow shape inside, both sides are formed in a closed shape, the first fastening plate for fixing to the main frame is provided.

여기에서 또,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여과 배관이 체결되도록 상기 제 1체결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체결판을 더 구비한다.Here, the main frame further includes a second fastening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so that the filtration pipe is fasten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분리막 유니트에 있어서, 생물 반응조 내에 설치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다리부가 형성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내측면에서 다단으로 부착 형성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안내 레일에 상기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수직 프레임이 각각 삽입 고정되어 다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mbrane unit including the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the membrane unit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o be installed in a bioreactor and having a leg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It includes a guide rail attached to the multi-stag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frame of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is inserted and fixed to each of the guide rail i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에 따르면,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 프레임 구조물과 여과 배관 및 산기배관을 일체화함으로써 생물 반응조 내에 분리막 프레임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더욱 컴팩트해질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수직방향 양쪽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각각의 분리막 모듈 하부에 있는 산기공으로 균일하게 분출될 수 있어 각각의 분리막 모듈에 작용하는 공기세정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요 공기량 저감에 따른 동력비 절감 및 막의 오염 저감에 따른 막의 수명 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the separator unit using the same, the frame structure including the membrane module and the filtration pipe and the acid pipe are integrat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embrane frame in the bioreactor, the membrane frame Not only is the space occupied by the structure more compact, but air is also flo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to be uniformly ejected into the acid pores below each membrane module, thus maximizing the air cleaning effect on each membrane modu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power according to the required air amount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membrane by reducing the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a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a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중 메인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pipe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main fram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은, 메인 프레임(110)과, 분리막 모듈(120) 및 여과 배관(130)으로 형성된다.1 to 4, the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main frame 110, a membrane module 120, and a filtration pipe 130.

먼저, 메인 프레임(110)은 상단 프레임(111)과, 하단 프레임(113)과, 분기 프레임(115)과, 수직 프레임(117)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프레임(111)과, 하단 프레임(113)과, 분기 프레임(115)과, 수직 프레임(117)이 산기배관을 형성되도록 각각 연통되어 일체로 형성된다.First, the main frame 110 is composed of the upper frame 111, the lower frame 113, the branch frame 115, the vertical frame 117, the upper frame 111, the lower frame 113 And the branch frame 115 and the vertical frame 11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as to form an diffuser pipe and are integrally formed.

상단 프레임(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상이고, 하기에서 설명할 여과 배관(130)이 설치되어 직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에 송풍기(101)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103)과 연결되는 산기 라인 연결구(111-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단 프레임(111)은 여과 배관(130)이 체결되도록 제 2체결판(111-3)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단 프레임(1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frame 111 is hollow as shown in Figure 3, the filtration pipe 1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in a "shaped" form to form a rectangular shape, connected to the blower 101 on the upper surface And an air diffuser line connector 111-1 is connected to the air diffuser line 103 for circulating air therein. Here, the upper frame 111 is further formed with a second fastening plate 111-3 to fasten the filtration pipe 130. Here, the top frame 111 may also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하단 프레임(113)은 내부가 중공상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다.The lower frame 113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shape.

분기 프레임(115)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하단 프레임(113)의 폭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되, 하단 프레임(113)과 연통되고, 상면에 산기 라인(10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산기공(115-1)이 각각 형성된다.Branch frame 115 is installed inside the hollow in the multi-sta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113,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frame 113, the upper surface air diffuser for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diffuser line 103 ( 115-1) are formed respectively.

수직 프레임(117)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단 프레임(111)의 양측면 및 하단 프레임(113)의 양측면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단 프레임(111)과 하단 프레임(113)과 연통된다.The vertical frame 117 is hollow and protrudes from the centers of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11 and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113 to extend vertically,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3. .

그리고, 분리막 모듈(120)은 메인 프레임(110) 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되, 메인 프레임(110)의 수직 프레임(117)의 하단에서 산기공(115-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산기공(115-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 프레임(121)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여기에서, 분리막 모듈(120)은 공지의 구성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membrane module 120 is vertically fixed in the main frame 110, and diffuses pores 11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user 115-1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117 of the main frame 110. -1) is fixedly spaced apart by a fixed distance from the fixed frame 121. Here, the separator module 120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여과 배관(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 프레임(111)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에 각각의 분리막 모듈(120)과 연결되는 연결관(131)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105)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107)과 연결되는 여과 라인 연결구(13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여과 배관(130)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되, 양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 프레임(111)에 고정을 위한 제 1체결판(135)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여과 배관(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프레임(111)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는 데, 이때 연결관(131)은 저면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pipe 1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110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upper frame 111 of the main frame 110, the connection is connected to each membrane module 120 on one side A pipe 131 is provided, and a filtration line connector 133 connected to the filtration line 107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filtration pump 10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Here, the filtration pipe 130 is formed inside the hollow shape, both sides are formed in a closed form, the first fastening plate 135 for fixing to the upper frame 111 of the main frame 110 is provided do. Here, the filtration pipe 130 may b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1, as shown in Figure 4, wherein the connection pipe 13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a membrane unit using a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mbrane unit using a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200)는, 생물 반응조(109) 내에 설치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다리부(211)가 형성되는 지지틀(210)과, 지지틀(210)의 내측면에서 다단으로 부착 형성되는 안내 레일(220)을 포함하며, 각각의 안내 레일(220)에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의 수직 프레임(117)이 각각 삽입 고정되어 다단 설치된다. 이때, 안내 레일(220)은 수직 프레임(117)이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을 고정시키도록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membrane unit 200 using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so as to be installed in the bioreactor 109, and a support frame having a leg portion 211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guide rail 220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210 in multiple stag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10, and each of the guide rails 220 is perpendicular to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ames 117 are inserted and fixed,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t this time, the guide rail 220 is formed in a top shape is opened so that the vertical frame 117 is inserted, the bottom surface is closed to secure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오폐수 처리공정은 생물 반응조(109)의 내부에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이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의 하부에 송풍기(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방울이 배출할 수 있도록 산기공(115-1)이 배치되며, 분리막 모듈(120)의 상부는 여과 펌프(105)와 연결되어 분리막 모듈(120)을 통해 고액분리된 처리수가 집수되어 여과 라인(107)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즉, 송풍기(101)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산기 라인(103)과 산기 라인 연결구(111-1)를 통해 상단 프레임(111)으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수직 프레임(117)과, 하단 프레임(113) 및 분기 프레임(115)으로 유통되어 결국 산기공(115-1)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배출된다.Hereinafter, whe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pipe structure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the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pipe structure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is perpendicular to the inside of the biological reactor 109, An acid pore 115-1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so that air bubbles introduced through the blower 101 are discharg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embrane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pump 105. Thus, the treated liquid separated through the membrane module 120 is collec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ion line 107. That is, air generated in the blower 101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frame 111 through the diffuser line 103 and the diffuser line connector 111-1, which in turn is the vertical frame 117 and the lower frame 113. And it is distributed to the branch frame 115 and eventually distributed evenly to the acid pores (115-1) is discharged.

그리고, 각각의 분리막 모듈(120)을 통해 고액분리된 처리수는 분리막 모 듈(120)의 상부에서 집수되어 연결관(131)을 통하여 여과 배관(130)으로 이동 후 여과 라인 연결구(133)를 통해 여과 라인(107)으로 배출되게 된다.Then, the treated liquid separated through the membrane module 120 is collec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embrane module 120 is moved to the filtration pipe 13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31 and then the filtration line connector 133 Through the filtration line 107.

한편, 각각의 분리막 모듈(120)의 하단부를 수직 프레임(117)에 고정 프레임(121)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산기공(115-1)에서 분출된 공기를 통한 분리막 모듈(120) 표면에서의 전단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fixing the lower end of each membrane module 120 to the vertical frame 117 using the fixing frame 121, the shear force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module 120 through the air ejected from the acid pores (115-1) To maximize.

한편, 여과 배관(130)을 상단 프레임(111)에 고정시킬 때 제 1체결판(135) 및 제 2체결판(111-3)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분리막 모듈(120)의 교환시 여과 배관(130)과 상단 프레임(111)을 분리만 하면 분리막 모듈(120)이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분리막 모듈(12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tration pipe 130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11 by fastening the bolts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135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111-3 by fixing the filtration at the exchange of the membrane module 120 The membrane module 120 can be easily replaced because the membrane module 120 is easily exposed only by separating the pipe 130 and the upper frame 11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200)는 지지틀(210)의 측면에 안내 레일(220)을 다단으로 설치하고, 안내 레일(220)에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의 수직 프레임(117)을 삽입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의 교환이 가능하고,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을 생물 반응조(109)에 침지시키거나 생물 반응조(109)로부터 꺼낼 때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00)의 좌우 균형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the membrane unit 200 using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guide rail 220 in multiple stages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210,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in the guide rail 220) Since the vertical frame 117 of the structure 10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he pipe integral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can be exchanged individually, and the pipe integral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is immersed in the bioreactor 109 or the biological When it is removed from the reaction tank 109 by maintain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pipe-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100 is easy to insert and discharge.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중 메인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frame of the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gral pipe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mbrane unit using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송풍기 103 : 산기 라인101: blower 103: air diffuser line

105 : 여과 펌프 107 : 여과 라인105: filtration pump 107: filtration line

109 : 생물 반응조 110 : 메인 프레임109: biological reactor 110: main frame

111 : 상단 프레임 113 : 하단 프레임111: upper frame 113: lower frame

115 : 분기 프레임 117 : 수직 프레임115: branch frame 117: vertical frame

120 : 분리막 모듈 130 : 여과 배관120: membrane module 130: filtration piping

210 : 지지틀 220 : 안내 레일210: support frame 220: guide rail

Claims (6)

내부가 중공상의 "디귿자"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송풍기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과 연결되는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상단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하단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하단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되, 상기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고, 상면에 산기공이 각각 형성되는 분기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측면 및 상기 하단 프레임의 양측면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는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과;The upper frame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dimple" or "rectangular", the upper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blower and connected to the diffuser line for distributing air to the inside, and the hollow "rectangular" inside The bottom frame is formed in a shape, the inside is hollow in the multi-stage install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frame, the bottom fram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ottom frame, the branch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inside is hollow in the upper A main frame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centers of both sides of the frame and at both sides of the bottom frame, the main frame comprising a vertical frame communicating with the top frame and the bottom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산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산기공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 프레임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분리막 모듈; 및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modules fixedly installed by a fixing frame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acid por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cid pores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main frame; And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되, 양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에 각각의 상기 분리막 모듈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과 연결되는 여과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을 위한 제 1체결판이 구비되는 여과 배관을 포함하며;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shape, both sides are formed in a closed form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main frame, and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membrane module A filtration line connecto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connected to a filtration lin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filtration pump, and includes a filtration pipe having a first fastening plate for fixing to the main frame;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 프레임에는,In the upper frame of the main frame, 상기 여과 배관이 체결되도록 상기 제 1체결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체결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And a second fasten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so that the filtration pipe is fasten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의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분리막 유니트에 있어서,In the membrane unit comprising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of claim 1, 생물 반응조 내에 설치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다리부가 형성되는 지지틀과;A support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so as to be installed in the bioreactor and having a leg portion formed at a bottom thereof; 상기 지지틀의 내측면에서 다단으로 부착 형성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guide rail attached to the multi-stag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frame, 각각의 상기 안내 레일에 상기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수직 프레임이 각각 삽입 고정되어 다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분리막 유니트.Membrane unit using a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frame of the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is inserted and fixed to each of the guide rail, respectively.
KR1020080047935A 2008-05-23 2008-05-23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KR100974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35A KR100974912B1 (en) 2008-05-23 2008-05-23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35A KR100974912B1 (en) 2008-05-23 2008-05-23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33A KR20090121833A (en) 2009-11-26
KR100974912B1 true KR100974912B1 (en) 2010-08-09

Family

ID=4160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935A KR100974912B1 (en) 2008-05-23 2008-05-23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912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70B1 (en) 2011-08-05 2013-10-22 김백암 A Membrane Module with an Air Pipe and Suction Pipe Frame Capable of High Integration
KR101364344B1 (en) 2012-12-14 2014-02-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KR101394992B1 (en) * 2013-11-11 2014-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assette shaped modular water treatment package system
KR101437818B1 (en)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Hollow fiber membrane frame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KR101464831B1 (en) * 2012-12-04 2014-11-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KR101627554B1 (en) 2016-02-25 2016-06-07 백운학 Membrane filtering equipment for mbr
KR101713927B1 (en) 2016-09-05 2017-03-09 백운학 Membrane bioreactors filter apparatus for cassette ty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259A1 (en) * 2013-12-11 2015-06-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Immersion-type filteration device
KR101960775B1 (en) * 2013-12-11 2019-03-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Submerged-Type Filtration Apparatus
CN106102882B (en) * 2014-03-28 2019-04-02 可隆工业株式会社 Filter device
KR101942810B1 (en) * 2018-04-13 2019-04-17 (주)신우엔지니어링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2162074B1 (en) * 2019-10-15 2020-10-06 주식회사 코레드 Immersible tubular filtration membrane module
CN116395774B (en) * 2023-06-06 2023-08-11 河北彩客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DATA synthesis productio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192A (en) * 2002-12-14 2004-06-22 박헌휘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mbined with Air Diffu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192A (en) * 2002-12-14 2004-06-22 박헌휘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mbined with Air Diffus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70B1 (en) 2011-08-05 2013-10-22 김백암 A Membrane Module with an Air Pipe and Suction Pipe Frame Capable of High Integration
KR101464831B1 (en) * 2012-12-04 2014-11-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KR101364344B1 (en) 2012-12-14 2014-02-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WO2014092336A1 (en) * 2012-12-14 2014-06-19 Kolon Industries, Inc. Filtering apparatus
KR101394992B1 (en) * 2013-11-11 2014-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assette shaped modular water treatment package system
WO2015069070A1 (en) * 2013-11-11 2015-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assette type water treatment package system
KR101437818B1 (en)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Hollow fiber membrane frame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KR101627554B1 (en) 2016-02-25 2016-06-07 백운학 Membrane filtering equipment for mbr
KR101713927B1 (en) 2016-09-05 2017-03-09 백운학 Membrane bioreactors filter apparatus for cassette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33A (en)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912B1 (en) Hollow fiber membrane frame construction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KR100932739B1 (en) Membrane unit for having diffuser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section pipe integrated membrane module
KR101713927B1 (en) Membrane bioreactors filter apparatus for cassette type
KR101627554B1 (en) Membrane filtering equipment for mbr
CN113244774A (en) Membrane module system using membrane bundle enclosure and pulsed aer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958154B1 (en) Integral type immers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equipment for air scouring
KR20120139805A (en)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US10335740B2 (en) Submerged-type filtration apparatus
KR100552712B1 (en) High flux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KR101448709B1 (en) Membrane module,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KR20080087899A (en)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EP2342316A1 (en) Method for the filtration of a bioreactor liquid from a bioreactor; cross-flow membrane module, and bioreactor membrane system
KR101031673B1 (en) Stack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stacking method thereof
JP2007209949A (en) Filtrate recovery device of solid-liquid mixed/processed liquid
KR100236921B1 (en) Immersion 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by using the same
JP3918304B2 (en) Hollow fiber membrane processing equipment
WO2018051630A1 (en) Membrane-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system
KR200361822Y1 (en) High flux membrane unit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KR20120044594A (en) Air diffuser forming separated diffuser frame and air chamber
KR100340450B1 (en)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Using Hollow Fiber
KR102336809B1 (en) Filtering apparatus of submerged type
JP2011078940A (en) Air diffuser i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pipe line continuing to the same
CN101648763A (en) Low energy-consumption integrative membrane bioreactor
CN201529492U (en) Membrane component sealing head
CN1329315C (en) Membrane biore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