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832B1 -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832B1
KR100974832B1 KR1020090112124A KR20090112124A KR100974832B1 KR 100974832 B1 KR100974832 B1 KR 100974832B1 KR 1020090112124 A KR1020090112124 A KR 1020090112124A KR 20090112124 A KR20090112124 A KR 20090112124A KR 100974832 B1 KR100974832 B1 KR 10097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iece
bracket member
plat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102009011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04B7/10Shell structures, e.g. of hyperbolic-parabolic shape; Grid-like formations acting as shell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04H2015/205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made from two sheets with intermediate spac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에 관한 것으로, 횡방향 반력을 줄이기 위해 어퍼패브릭을 조각화한 다수 개의 어퍼조각패브릭, 이 어퍼패브릭의 하측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봉한 로어패브릭의 횡방향 반력을 줄이기 위해 조각화한 다수 개의 로어조각패브릭, 이 어퍼조각패브릭 끼리 연결하는 어퍼브라켓부재, 및 이 로어조각패브릭 끼리 연결하는 로어브라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타이케이블로써 패브릭과 연결되는 메인케이블의 장력을 감쇄함으로써 메인케이블의 장력을 현저히 줄이고, 타이케이블과 메인케이블의 연결부위인 지지점의 반력을 크게 줄여줌에 따라 메인케이블의 굵기를 줄일 수 있으며, 지지점의 반력 저감에 따른 압축링과 같은 기존 구조물의 내부응력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중막, 장스팬 구조물, 타이 케이블

Description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LENS TYPE DOUBLE MEMBRANE AIR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케이블로써 패브릭과 연결되는 메인케이블의 장력을 감쇄함으로써 메인케이블의 장력을 현저히 줄이고, 타이케이블과 메인케이블의 연결부위인 지지점의 반력을 크게 줄여줌에 따라 메인케이블의 굵기를 줄일 수 있으며, 지지점의 반력 저감에 따른 압축링과 같은 기존 구조물의 내부응력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에 관한 것이다.
공기로 막(membrane)지붕을 떠받치는 공기막구조(Air membrane supported sturcture)는 기둥없는 대공간(spacial structure)을 형성하는데 가장 경제적인 구조방식이다. 공기로 막(membrane)을 떠받치는 공기막구조(Air supported membrane sturcture)를 지붕으로 사용한 스타디움으로는 전세계적으로 소수의 사례가 있다. 미국의 메트로돔, 캐리어돔, 캐나다의 벤쿠버돔, 일본의 도쿄돔등이다. 이들 스타디움의 지붕은 공기압으로 지붕전체를 떠받치는 일중공기막구조 방 식(air supported type)이며, 경기장에 따라서는 실내에 음향이나 단열을 위해 커텐처럼 통기(通氣)가 되는 내막(內膜,Thermal, Acoustic liner)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어 이중공기막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특히, 도쿄돔, 메트로돔, 캐리어돔등의 일중공기막구조는 건물 실내 전체에다 강압된 공기를 불어넣어 외부보다 높은 실내 공기압이 지붕을 떠받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드시 건물전체를 밀폐시켜야 한다.
이런 구조적인 조건으로 인하여 출입문,창호,유지관리,환기등에 어려움이 있었다.
출입문의 경우 회전문등의 공기가 세어나가지 않는 특수한 문의 형태가 요구되어지며, 공기가 새어나가는 유리창 등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어 환기의 어려움이 있고, 실내전체에 공기를 불어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기를 불어넣는 대용량의 에어 블로워가 다수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많은 공기블로워를 가동하기 위해서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기존 일중공기막구조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여 돔구장 등의 지붕으로 가장 적합한 새로운 이중공기막구조방식이 제안된다.
기존 이중 공기막은 내부로 공기 주입시 발생하는 내압으로 인해 막이 압력을 받아 부풀어오르게 되면서 메인케이블에 분담되는 막면적 만큼의 하중을 받게 됨에 따라 메인케이블에 발생하는 하중이 증가됨으로써 안전을 고려해 메인케이블의 굵기를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지지점의 반력 증가로 인해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중막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메인케이블과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메인케이블을 축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타이케이블로 결속함으로써 각 메인케이블에 발생하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 메인케이블의 굵기를 줄일 수 있고, 지지부위의 횡방향 반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붕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구조용 천으로 상부막과 하부막을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에 고정, 체결하여 케이블과 막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막에 작용하는 누르는 힘과 부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은: 횡방향 반력을 줄이기 위해 어퍼패브릭을 조각화한 다수 개의 어퍼조각패브릭, 이 어퍼패브릭의 하측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봉한 로어패브릭의 횡방향 반력을 줄이기 위해 조각화한 다수 개의 로어조각패브릭, 이 어퍼조각패브릭 끼리 연결하는 어퍼브라켓부재, 및 이 로어조각패브릭 끼리 연결하는 로어브라켓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브라켓부재는, 이웃한 상기 어퍼조각패브릭을 양측에 접하게 형성 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어퍼조각패브릭 각각을 상기 어퍼플레이트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어퍼가압편, 상기 어퍼가압편과 상기 어퍼조각패브릭과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속하는 어퍼결속부재, 및 상기 어퍼조각패브릭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상기 어퍼조각패브릭의 결속 상태를 지지하는 어퍼에지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브라켓부재는, 이웃한 상기 로어조각패브릭을 양측에 접하게 형성되는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조각패브릭 각각을 상기 로어플레이트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로어가압편, 상기 로어가압편과 상기 로어조각패브릭과 상기 로어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속하는 로어결속부재, 및 상기 로어조각패브릭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상기 로어조각패브릭의 결속 상태를 지지하는 로어에지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브라켓부재와 상기 로어브라켓부재는 타이케이블에 의해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브라켓부재은 하측에 어퍼연결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연결플레이트는 제 1어퍼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 1어퍼걸고리는 어퍼조각패브릭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어퍼메인케이블을 삽입하고, 상기 어퍼메인케이블은 상기 타이케이블의 상측을 힌지 연결한 제 2어퍼걸고리에 힌지 가능하게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브라켓부재은 하측에 로어연결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연결플레이트는 제 1로어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 1로어걸고리는 로어조각패브릭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로어메인케이블을 삽입하고, 상기 로어메인케이블은 상기 타이케이블의 하측을 힌지 연결한 제 2로어걸고리에 힌지 가능하게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이중막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메인케이블과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메인케이블을 축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타이케이블로 결속함으로써 각 메인케이블에 발생하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 메인케이블의 굵기를 줄일 수 있고, 지지부위의 횡방향 반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붕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구조용 천으로 상부막과 하부막을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에 고정, 체결하여 케이블과 막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막에 작용하는 누르는 힘과 부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연결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타이케이블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은 어퍼조각패브릭(20), 로어조각패브릭(40), 어퍼브라켓부재(100) 및 로어브라켓부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어퍼조각패브릭(20)은 어퍼패브릭(upper fabric,10)을 일정한 크기 또는 불규칙한 크기의 다수 개로 조각화한 각각을 의미한다.
그리고, 로어조각패브릭(40)은 로어패브릭(lower fabric,30)을 일정한 크기 또는 불규칙한 크기의 다수 개로 조각화한 각각을 의미한다.
이때, 어퍼패브릭(10)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상측에 형성되는 막을 말하고, 로어패브릭(30)은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하측에 형성되는 막을 말한다.
특히,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은 가장자리끼리 연결되어 내부를 밀봉하고, 내부로 에어를 연속적,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의 이중막은 가장자리를 철골 등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때,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이 구조물에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빛의 투과성을 갖고, 방수성과 내구성 등을 구비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퍼패브릭(10)은 이중막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부 방향과 측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로어패브릭(30)은 이중막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하부 방향과 측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래서, 어퍼패브릭(10)은 다수 개로 조각화된 어퍼조각패브릭(20)으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내부의 에어 압력에 의한 횡방향 반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로어패브릭(30)은 다수 개로 조각화된 로어조각패브릭(40)으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내부의 에어 압력에 의한 횡방향 반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어퍼조각패브릭(20) 끼리는 어퍼브라켓부재(100)에 의해 연결 되고, 로어조각패브릭(40) 끼리는 로어브라켓부재(20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은 다양한 형상으로 조각화 가능하지만, 평면상 정사각 형상이거나 직사각 형상으로 조각화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3에서처럼,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이 서로 다른 크기로 조각화될 경우, 후술할, 어퍼메인케이블(315)과 로어메인케이블(325)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후술할, 타이케이블(300)은 경사지게 된다.
한편, 어퍼브라켓부재(100)는 이웃한 어퍼조각패브릭(20)을 연결할 경우 최대한 밀봉 처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로어브라켓부재(200)는 이웃한 로어조각패브릭(40)을 연결할 경우 최대한 밀봉 처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어퍼브라켓부재(100)는 어퍼플레이트(110), 어퍼가압편(120), 어퍼결속부재(130) 및 어퍼에지로프(140)를 포함한다.
어퍼플레이트(110)는 어퍼조각패브릭(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이웃한 어퍼조각패브릭(20)을 양측에 접하게 형성된다.
특히, 어퍼플레이트(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어퍼가압편(120)은 어퍼조각패브릭(20) 각각을 어퍼플레이트(110)에 밀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적어도 한 쌍의 어퍼조각패브릭(20)은 어퍼플레이트(110)와 어퍼가압편(120) 사이에 개재된다.
이 어퍼가압편(1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어퍼결속부재(130)는 어퍼가압편(120)과 어퍼조각패브릭(20)과 어퍼플레이트(110)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어퍼결속부재(130)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한 기계체결요소로 한다.
물론, 어퍼결속부재(130)는 한 쌍 이상의 어퍼조각패브릭(20)과 어퍼플레이트(110)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할 수 있지만, 어퍼조각패브릭(20)을 보호하기 위해 한 쌍 이상의 어퍼조각패브릭(20)을 면접하며 가압하는 어퍼가압편(120)을 함께 결속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퍼에지로프(140)는 어퍼조각패브릭(20)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어퍼조각패브릭(20)의 결속 상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어퍼조각패브릭(20)이 어퍼가압편(120)과 어퍼플레이트(110) 사이에서 이탈하려는 장력을 받게 되는데, 어퍼에지로프(140)는 이 어퍼조각패브릭(20)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어퍼가압편(120)과 어퍼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걸림으로써 장력에 대한 어퍼조각패브릭(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어퍼에지로프(140)는 가장자리가 말려진 어퍼조각패브릭(20)에 삽입되나, 다양한 방식으로 어퍼조각패브릭(20)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이웃한 어퍼조각패브릭(20)은 어퍼결속부재(130)에 의해 어퍼가압편(120)과 어퍼플레이트(110)에 충분히 밀착됨에 따라 밀봉 처리되고, 어퍼가압편(120)과 어퍼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어퍼에지로프(140)와 어퍼조각패브릭(20)의 가장자리에 의해 더욱 밀봉 처리된다.
아울러, 어퍼플레이트(110)와 어퍼가압편(120)은 내구성을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어퍼조각패브릭(20)이 어퍼플레이트(110)와 어퍼가압편(120)에 직접적으로 접할 경우 찢어지거나 더러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조각패브릭(20)은 어퍼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어퍼완충패드(122)를 형성할 수도 있고, 어퍼가압편(120)과의 사이에 어퍼완충패드(1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편의상, 어퍼완충패드(122)는 어퍼조각패브릭(20)과 어퍼가압편(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어퍼완충패드(122)는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로어브라켓부재(200)는 로어플레이트(210), 로어가압편(220), 로어결속부재(230) 및 로어에지로프(240)를 포함한다.
로어플레이트(210)는 로어조각패브릭(4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이웃한 로어조각패브릭(40)을 양측에 접하게 형성된다.
특히, 로어플레이트(2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로어가압편(220)은 로어조각패브릭(40) 각각을 로어플레이트(210)에 밀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적어도 한 쌍의 로어조각패브릭(40)은 로어플레이트(210)와 로어가압편(220) 사이에 개재된다.
이 로어가압편(2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로어결속부재(230)는 로어가압편(220)과 로어조각패브릭(40)과 로어 플레이트(210)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로어결속부재(230)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한 기계체결요소로 한다.
물론, 로어결속부재(230)는 한 쌍 이상의 로어조각패브릭(40)과 로어플레이트(210)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할 수 있지만, 로어조각패브릭(40)을 보호하기 위해 한 쌍 이상의 로어조각패브릭(40)을 면접하며 가압하는 로어가압편(220)을 함께 결속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어에지로프(240)는 로어조각패브릭(40)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로어조각패브릭(40)의 결속 상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로어조각패브릭(40)이 로어가압편(220)과 로어플레이트(210) 사이에서 이탈하려는 장력을 받게 되는데, 로어에지로프(240)는 이 로어조각패브릭(40)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로어가압편(220)과 로어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 걸림으로써 장력에 대한 로어조각패브릭(4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로어에지로프(240)는 가장자리가 말려진 로어조각패브릭(40)에 삽입되나, 다양한 방식으로 로어조각패브릭(40)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이웃한 로어조각패브릭(40)은 로어결속부재(230)에 의해 로어가압편(220)과 로어플레이트(210)에 충분히 밀착됨에 따라 밀봉 처리되고, 로어가압편(220)과 로어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로어에지로프(240)와 로어조각패브릭(40)의 가장자리에 의해 더욱 밀봉 처리된다.
아울러, 로어플레이트(210)와 로어가압편(220)은 내구성을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로어조각패브릭(40)이 로어플레이트(210)와 로어가압편(220)에 직접적으로 접할 경우 찢어지거나 더러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로어조각패브릭(40)은 로어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로어완충패드를 형성할 수도 있고, 로어가압편(220)과의 사이에 로어완충패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어퍼완충패드(122)는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가장자리끼리 연결된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조각화된 어퍼조각패브릭(20)은 수평방향의 인장력과 수직방향의 인장력을 함께 작용 받음에 따라 그 합 방향으로 반력을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조각화된 로어조각패브릭(40)은 수평방향의 인장력과 수직방향의 인장력을 함께 작용 받음에 따라 그 벡터합 방향으로 반력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 각각은 하나의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을 조각화한 후 대응되는 어퍼브라켓부재(100)와 로어브라켓부재(200)로써 연결함에 따라, 수평방향 인장력은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이 연속되게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그래서, 벡터합 방향의 반력은 소정 감소하게 된다.
이때, 로어브라켓부재(200)의 분해 상태는 어퍼브라켓부재(100)의 분해 상태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조각화된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은 수직방향의 인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각화된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 각패브릭(40)에 작용하는 벡터합 방향의 반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조각화된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을 연결하는 어퍼브라켓부재(100)와 로어브라켓부재(200)는 타이케이블(300)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더욱 상세히, 어퍼브라켓부재(100)는 하측에 다수 개의 어퍼연결플레이트(311)를 형성한다.
특히, 어퍼브라켓부재(100)는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어퍼패브릭(10) 전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최소의 단위 길이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퍼연결플레이트(311)는 어퍼플레이트(11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어퍼연결플레이트(311)는 볼트 등에 의해 어퍼플레이트(110)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퍼연결플레이트(311)는 제 1어퍼걸고리(313)를 형성한다.
특히, 제 1어퍼걸고리(313)는 어퍼연결플레이트(311)에 다수 개 형성된다.
아울러, 제 1어퍼걸고리(31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후술할, 어퍼메인케이블(315)을 지지하기 위해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어퍼걸고리(313)는 어퍼연결플레이트(311)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제 1어퍼걸고리(313)는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어퍼연결플레이 트(311)에 삽입된 후 너트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어퍼걸고리(313)는 어퍼플레이트(11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어퍼플레이트(110)에 접하여 연결되는 어퍼조각패브릭(20)의 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 별도의 어퍼연결플레이트(31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어퍼걸고리(313)는 어퍼메인케이블(315)을 삽입한다.
즉, 제 1어퍼걸고리(313)는 'U'자 형상이기 때문에 내측에 어퍼메인케이블(315)을 지지한다.
이 어퍼메인케이블(315)은 타이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장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에 전달되는 수직방향 인장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어퍼메인케이블(315)은 양측을 자유단으로 구비할 수 있으나,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의 가장자리와 동시에 구속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에 걸리는 수평방향 장력을 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어퍼메인케이블(315)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어퍼메인케이블(315)은 타이케이블(300)의 상측을 힌지 연결한 제 2어퍼걸고리(317)에 힌지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는, 타이케이블(300)과 어퍼메인케이블(315)을 연결함으로써 타이케이블(300)의 장력이 어퍼메인케이블(315)을 통해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 2어퍼걸고리(31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 에 의해 타이케이블(300)을 힌지 연결한다.
아울러, 제 2어퍼걸고리(317)는 호환성을 위해 제 1어퍼걸고리(3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로어브라켓부재(200)는 하측에 다수 개의 로어연결플레이트(321)를 형성한다.
그리고, 로어연결플레이트(321)는 로어플레이트(21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로어연결플레이트(321)는 볼트 등에 의해 로어플레이트(210)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어연결플레이트(321)는 제 1로어걸고리(323)를 형성한다.
특히, 제 1로어걸고리(323)는 로어연결플레이트(321)에 다수 개 형성된다.
아울러, 제 1로어걸고리(32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후술할, 로어메인케이블(325)을 지지하기 위해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로어걸고리(323)는 로어연결플레이트(321)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제 1로어걸고리(323)는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로어연결플레이트(321)에 삽입된 후 너트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로어걸고리(323)는 로어플레이트(21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로어플레이트(210)에 접하여 연결되는 로어조각패브릭(40)의 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 별도의 로어연결플레이트(32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로어걸고리(323)는 로어메인케이블(325)을 삽입한다.
즉, 제 1로어걸고리(323)는 'U'자 형상이기 때문에 내측에 로어메인케이블(325)을 지지한다.
이 로어메인케이블(325)은 타이케이블(300)에 작용하는 장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로어조각패브릭(40)과 로어조각패브릭(40)에 전달되는 수직방향 인장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로어메인케이블(325)은 양측을 자유단으로 구비할 수 있으나, 로어패브릭(30)과 로어패브릭(30)의 가장자리와 동시에 구속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로어패브릭(30)과 로어패브릭(30)에 걸리는 수평방향 장력을 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어메인케이블(325)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로어메인케이블(325)은 타이케이블(300)의 상측을 힌지 연결한 제 2로어걸고리(327)에 힌지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는, 타이케이블(300)과 로어메인케이블(325)을 연결함으로써 타이케이블(300)의 장력이 로어메인케이블(325)을 통해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 2로어걸고리(32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타이케이블(300)을 힌지 연결한다.
아울러, 제 2로어걸고리(327)는 호환성을 위해 제 1로어걸고리(3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타이케이블(300)은 어퍼메인케이블(315)과 로어메인케이블(325)의 각 장력을 나누어 가지게 됨에 따라, 어퍼메인케이블(315)과 로어메인케이블(325)의 최대 장력을 현저히 줄여주고, 이로 인해,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의 횡방향 반력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어퍼조각패브릭(20) 및 로어조각패브릭(40)에 발생하는 벡터합 반력은 크게 감소한다.
그리고, 어퍼메인케이블(315)과 로어메인케이블(325)의 설계 사이즈가 줄어듦에 따라 반력이 크게 줄어 압축링과 같은 메인구조물(도시하지 않음)의 부담을 덜어주어 경제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어퍼메인케이블(315)과 로어메인케이블(325)은 각각 어퍼플레이트(110)와 로어플레이트(210)에 의해 대응되는 어퍼조각패브릭(20)과 로어조각패브릭(40)을 구속하기 때문에 어퍼패브릭(10)과 로어패브릭(30)은 작용하는 누르는 힘과 부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연결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의 타이케이블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어퍼패브릭 20: 어퍼조각패브릭
30: 로어패브릭 40: 로어조각패브릭
100: 어퍼브라켓부재 110: 어퍼플레이트
120: 어퍼가압편 130: 어퍼결속부재
140: 어퍼에지로프 200: 로어브라켓부재
210: 로어플레이트 220: 로어가압편
230: 로어결속부재 240: 로어에지로프
300: 타이케이블 311: 어퍼연결플레이트
313: 제 1어퍼걸고리 315: 어퍼메인케이블
317: 제 2어퍼걸고리

Claims (6)

  1. 횡방향 반력을 줄이기 위해 어퍼패브릭을 조각화한 다수 개의 어퍼조각패브릭;
    상기 어퍼패브릭의 하측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봉한 로어패브릭의 횡방향 반력을 줄이기 위해 조각화한 다수 개의 로어조각패브릭;
    상기 어퍼조각패브릭 끼리 연결하는 어퍼브라켓부재; 및
    상기 로어조각패브릭 끼리 연결하는 로어브라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브라켓부재와 상기 로어브라켓부재는 타이케이블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브라켓부재는,
    이웃한 상기 어퍼조각패브릭을 양측에 접하게 형성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어퍼조각패브릭 각각을 상기 어퍼플레이트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어퍼가압편;
    상기 어퍼가압편과 상기 어퍼조각패브릭과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속하는 어퍼결속부재; 및
    상기 어퍼조각패브릭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상기 어퍼조각패브릭의 결속 상태를 지지하는 어퍼에지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브라켓부재는,
    이웃한 상기 로어조각패브릭을 양측에 접하게 형성되는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조각패브릭 각각을 상기 로어플레이트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로어가압편;
    상기 로어가압편과 상기 로어조각패브릭과 상기 로어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속하는 로어결속부재; 및
    상기 로어조각패브릭의 가장자리에 축 삽입되어 상기 로어조각패브릭의 결속 상태를 지지하는 로어에지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브라켓부재는 하측에 어퍼연결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연결플레이트는 제 1어퍼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 1어퍼걸고리는 상기 어퍼조각패브릭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어퍼메인케이블을 삽입하고;
    상기 어퍼메인케이블은 상기 타이케이블의 상측을 힌지 연결한 제 2어퍼걸고리에 힌지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브라켓부재는 하측에 로어연결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연결플레이트는 제 1로어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 1로어걸고리는 상기 로어조각패브릭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로어메인케이블을 삽입하고;
    상기 로어메인케이블은 상기 타이케이블의 하측을 힌지 연결한 제 2로어걸고리에 힌지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1020090112124A 2009-11-19 2009-11-19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10097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24A KR100974832B1 (ko) 2009-11-19 2009-11-19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24A KR100974832B1 (ko) 2009-11-19 2009-11-19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832B1 true KR100974832B1 (ko) 2010-08-11

Family

ID=4275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124A KR100974832B1 (ko) 2009-11-19 2009-11-19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8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70B1 (ko) 2012-09-11 2014-03-11 조병욱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CN104763209A (zh) * 2015-03-25 2015-07-08 东南大学 一种可折叠展开的充气索膜结构
KR101540190B1 (ko) * 2014-12-09 2015-07-2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형 진동 제어 가능한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KR101546636B1 (ko) 2014-12-09 2015-08-2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형구조물을 구비한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WO2016093433A1 (ko) * 2014-12-09 2016-06-1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KR101631662B1 (ko) * 2015-01-30 2016-06-20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철골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2A (ja) * 1992-06-18 1994-01-11 Ohbayashi Corp 二重膜構造体の施工方法
JPH10159392A (ja) * 1996-11-29 1998-06-16 Takenaka Komuten Co Ltd 半二重空気膜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2A (ja) * 1992-06-18 1994-01-11 Ohbayashi Corp 二重膜構造体の施工方法
JPH10159392A (ja) * 1996-11-29 1998-06-16 Takenaka Komuten Co Ltd 半二重空気膜構造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70B1 (ko) 2012-09-11 2014-03-11 조병욱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101540190B1 (ko) * 2014-12-09 2015-07-2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형 진동 제어 가능한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KR101546636B1 (ko) 2014-12-09 2015-08-2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형구조물을 구비한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WO2016093433A1 (ko) * 2014-12-09 2016-06-1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KR101631662B1 (ko) * 2015-01-30 2016-06-20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철골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N104763209A (zh) * 2015-03-25 2015-07-08 东南大学 一种可折叠展开的充气索膜结构
CN104763209B (zh) * 2015-03-25 2017-03-29 东南大学 一种可折叠展开的充气索膜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832B1 (ko) 구조물용 렌즈형 이중공기막
KR101544153B1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CN209924245U (zh) 一种方便拆卸的环保型吊顶
CN101363245A (zh) 单向双层拉索幕墙
US5823704A (en) Holding device for the anchorage of single- or multilayer webs to a stationary structural member
CN103057980A (zh) 用于月台遮蔽或月台密封的顶帘
CN205329898U (zh) 一种可拆分墙体
CN211058100U (zh) 一种抗震动式建筑装饰幕墙
CN211468117U (zh) 安全可靠的公交车风道结构
DE59507341D1 (de) Fassadenkonstruktion für gebäude
CN108049536A (zh) 双层玻璃和前后凹凸造型的玻璃幕墙***及其施工方法
US20110259383A1 (en) Suspended false ceiling for lightweight housing module
CN219011499U (zh) 一种新型单元式etfe气枕膜结构***
CN213477329U (zh) 一种金属复合板幕墙安装结构
CN207686084U (zh) 电梯井道外墙玻璃安装结构
CN214170347U (zh) 一种防护窗户
KR101818605B1 (ko) 선박용 갑판의 지지구조
CN101096969B (zh) 安装换气扇的固定构造
CN217782486U (zh) 一种玻璃肋板形式双层玻璃中内侧玻璃安装结构
JP2513735Y2 (ja) 水切り装置を備えたエアビ−ムテント
CN213000532U (zh) 一种撕碎机的筛网结构
CN217353095U (zh) 一种开放式蜂窝铝板幕墙的连接结构
CN111561167B (zh) 一种装配式建筑门型构件加固方法
CN210507996U (zh) 一种模块式天花板吊顶的安装结构
CN210767455U (zh) 一种夹胶玻璃吊顶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