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545B1 -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545B1
KR100974545B1 KR1020080062629A KR20080062629A KR100974545B1 KR 100974545 B1 KR100974545 B1 KR 100974545B1 KR 1020080062629 A KR1020080062629 A KR 1020080062629A KR 20080062629 A KR20080062629 A KR 20080062629A KR 100974545 B1 KR100974545 B1 KR 10097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xtracted
filtering
obesity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658A (ko
Inventor
김진숙
장대식
김영숙
이윤미
손은진
김정현
김찬식
정동호
이준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6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 및 상기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얻어지는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부탄올층 분휙물을 이용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호장근, 항비만, 췌장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Description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Compositions and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본 발명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고지혈증 또는 대사성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서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31.8%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나 1995년도의 14.8%에 비하여 10년 동안 두 배 이상으로 증가되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러한 증가 추세에 따라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2001년도에 1조7천억원에서 매년 증가되고 있으며 정부의 국민건강 증진종합계획에서는 2010년까지 성인 비만율을 30% 수준으 로 유지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5.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p 61-64). 비만은 그 자체가 갖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호흡기 질환, 골관절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비만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Antipatis V. J. et al., 2001, Obesity as a global problem. In International textbook of obesity. Per Bjorntorp, ed.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UK. p3-22),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비만을 세계적인 영양문제로 다루어 건강을 해치는 단순 위험인자가 아닌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비만은 에너지의 과다 섭취, 운동부족뿐 아니라 신경계 분비적 요인, 약물원인,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식사, 운동, 행동 요법이나 약물 치료 등이 쓰이고 있다.
최근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중 하나가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제(pancreatic lipase inhibitor)이다. Pancreatic lipase는 triglyceride를 2-monoacylglycerol과 fatty acid로 분해하는 핵심 효소로서 (Bitou N. et al., 1999, Lipid 34:441-445), 현재 알려진 대표적인 pancreatic lipase inhibitor로는 Streptomyces toxitricini로부터 유래된 lipstatin의 유도체인 tetrahydrolipstatin (Orlistat)가 있다. 현재 의약품으로도 시판 중인 Orlistat는 섭취된 지방의 약 30%를 저해할 정도로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Drent M. et al., 1995, Int . J. Obesity . 19:221-226). 그러나 이와 같은 효능에도 불구하고 위장장애, 과민증, 담즙분비장애, 지용성 비타민 흡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eter C. et al., 2001, Br . J. Clin. Pharmacol . 51:135-141). 또한 FDA의 체중감량 치료규정에 의하면 장기간 투여하는 항비만 약물효과는 약물 투여 전 체중의 5%가 감량되어야 하며, 이러한 감량효과는 최소한 12개월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Orlistat는 2년 동안 장기 투여할지라도 다이어트만 실시한 경우보다 3~5% 정도만 체중이 감소되고, 지용성 비타민 A, D, E 흡수를 방해하는 부작용이 나타난다. 1998년에 출시되어 2001년에 9억 6,300불의 매출이 발생하였지만 그후 이러한 부작용 및 효과의 미비로 인하여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작용이 없는 식품 및, 천연물로부터 pancreatic lipase inhibitor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Yamamoto M. et al., 2000, Int . J. Obesity . 24:758-764).
천연물을 활용한 항비만 소재 개발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작용기전 별로 식욕억제에 관여하는 물질로서 hydroxycitric acid(HCA), Olibra, 치커리, 이눌린 등의 식이섬유 등이 있으며, 지방의 소화 및 흡수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키토산, flavonoids 등이 있다. 열 발생을 유도하여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고추의 capsaisin, 녹차의 catechin, 레티노익산 등이 있고,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L-carnitine, conjugated linoleic acid(CLA), 우유 칼슘과 관련 단백질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생약재로는 지실, 양하, 결명자, 녹차, 소나무 잎, 괴화, 천궁, 오수유 등이 체중조절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Kim M. H., 2004, Korean J. Heath Psychol. 9:493-509, Reddy P. et al., 1998, Formulary 33:943-959, Burns A. A. et al., 2002, Eur . J. Clin . Nutr . 56:368-377, Delzenne N. M. et al., 2005, Br . J. Nutr . 1:157-161, Zacour A. C. et al, 1992, J. Nutr . Sci . Vitamilol. 38:609-613, Griffiths D. W. et al., 1986, Adv . Exp . Med . Biol . 1999:509-516).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와 같은 부작용이 적으며, 반대로 약효가 뛰어난 자연소재 비만치료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약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비만의 예방 및 치료법 등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를 하였으며, 본 발명은 비만의 주요원인 중에 하나인 에너지 과잉섭취, 이중 지방의 흡수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췌장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지방 에멀젼을 이용한 단기간 지방흡수 억제 효능 및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에서 체중증가 억제 및 체중 감소효과가 증명된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제공하여 비만의 예방,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대사성 질환 약학적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로 분획되는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및 부탄올층 분획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 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장근 추출물 및 상기 호장근 추출물의 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부탄올층 분휙물은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장관내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지방 식이로 유도한 항비만 실험에서 체중증가 억제 및 체중감소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은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항비만 실험에서 혈중내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을 강하하는 효능이 입증되었으므로,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비만은 대사 증후군의 중요한 원인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탄올층 분획물은 대사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도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호장근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및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고지혈증 또는 대사성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장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 Reynotria japonica Houtt.)은 마디풀과 (Polygon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줄기는 굵고, 줄기는 높이 1.5 m가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길이 6~12 cm이며 끝이 뽀죡하고, 잎자루는 길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6~8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세모진 달걀 모양이고, 흑갈색의 윤채가 있다. 전국의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2003, 89쪽). 호장의 근경과 뿌리는 호장 또는 호장근 (虎杖根, Polygoni Rhizoma = Reynoutriae Rhizoma)이라 하여 本草綱目 木部 中品에 수재되어 있다. 우리나라 민간에서는 완화, 이뇨, 화농성 피부염, 방광염, 항암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한의에서는 거풍이습, 파어 (破瘀), 통경, 진해 및 진경에 사용한다 (육창수, 아세아 생약도감, 도서출판 경원, 1997, 140쪽; 지옥표, 1975, 생약학회지, 6:1-4). 호장근의 약리작용으로는 지질대사억제작용 (Masaki H., et al., 1995, Biol . Pharm . Bull. 18:162-166, 1995), protein tyrosine kinase저해작용 (Jayatilake G. S., et al., 1993, J. Nat . Prod . 56: 1805-1810), 변이원성억제작용 (Su et al., 1995, Mutat. Res . 329:205-212) 등이 보고되어있다. 호장근의 성분으로는 polydatin, resveratrol, emodin, physcion, chrysophanoic acid 등 주로 stilbene과 anthraquinone 그리고 이들의 배당체가 알려져 있다 (Pan et al., 2000, Zhong Yao Cai, 23: 56-58; Zhang, 1999, Tianjin Yi Yao, 11:13-14).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제조방법
실험에 사용된 호장[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Reynotria japonica Houtt.; Polygonaceae]의 근경 (호장근)은 중국 운남성으로부터 공급되었으며, 증거표본 (no. KIOM-POCU1)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제제연구부의 식물표본실에 보관중이다.
1) 추출단계
음건세절한 호장근에 에탄올을 넣고, 추출용기에서 상온상태로 반복 추출한 후, 40℃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2) 농축단계
상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상태에서 농축한다. 이때, 구성성분의 분해 및 가수분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농축 시 온도를 40-45℃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3) 호장근 추출액 계통분리 단계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호장근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르말 헥산 (n-hexane), 에칠아세테이트 (EtOAc), 노르말 부탄올 (n-BuOH)로 순차적으로 계통분리를 하여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물 분획물을 각각 획득한다.
4) 호장근 부탄올 층의 HPLC 분석을 통한 표준화
[실험방법]
건조 호장근 5.5 kg을 분쇄하여 에탄올로 상온에서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건조된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각각 용매분획하여 최종적으로 부탄올층 분획물 105 g 을 얻었으며, 이 부탄올층 분획물을 250 /ml 농도로 조제한 후 10 를 취하여 컬럼에 주입하여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준품 Rasveratrol-8-O-β-D-glucoside, torachrysone-8-O-β-D-glucoside, Emodin-8-O-β-D-glucoside, Emodin 을 50%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각각 20, 10, 5, 2.5, 1.25 /ml 농도로 검량선용 표준용액을 조제하였으며, 10 를 컬럼에 주입하고 HPLC를 실시하여 chromatogram을 얻었고 이 peak data를 plot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사용된 HPLC system은 Agilent 사의 1200 HPLC, DAD 검출기 및 Chemstation software를 사용하였으며, Phenomenex사의 Luna 5C-18 (4.0 × 250 mm) 분석컬럼을 사용하였다. 시료주입은 시료자동주입기를 이용하여 10 를 주입하였으며, 이동상은 물과 메탄올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유속 1.0 ml/min으로 하였고, 파장은 290 nm로 하였다. Gradient는 물 : 메탄올 (70 : 30)으로 시작하여 35분 후 물 : 메탄올 (0 : 100) 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후 10분간 메탄올 100% 로 용리하였다. 분석용매는 모두 HPLC grade용매 (Fisher scientific) 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PLC 분석을 통하여 호장근 부탄올층에는 Rasveratrol-8-O-β-D-glucoside는 10.6분대, torachrysone-8-O-β-D-glucoside 19.46분대, Emodin-8-O-β-D-glucoside 23.09분대, Emodin 33.65분대에 나타난다.
또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sveratrol-8-O-β-D-glucoside가 41.48%, torachrysone-8-O-β-D-glucoside가 2.92%, Emodin-8-O-β-D-glucoside 36.76%, Emodin 2.56%임을 확인하였다.
성분명
함 량
㎍/㎖ ㎎/g
1 Rasveratrol-8-O-β-D-glucoside 10.37 41.48
2 Torachrysone-8-O-β-D-glucoside 0.73 2.92
3 Emodin-8-O-β-D-glucoside 9.19 36.76
4 Emodin 0.64 2.56
1. 호장근 추출물 및 계통분리 분휙물 제조
음건 세절한 호장근 6.8kg을 에탄올 36ℓ에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40℃에서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탄올 추출물 580g을 얻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된 호장근 추출물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르말 헥산(46g), 에칠아세테이트(250g), 노르말 부탄올(150g), 물(134g)층으로 계통분리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층들의 분획물을 얻었다.
II . 췌장 지방분해효소( pancreatic lipase ) 활성 억제 실험
상기의 제조된 호장근 추출물과 그 추출물의 헥산층, 에칠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및 물층의 각각 분획물을 이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돼지 췌장 지방분해효소 (porcine pancreatic lipase) 활성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방법]
췌장 지방분해효소 억제 실험은 돼지 췌장 지방분해효소(porcine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enzyme buffer[10 mM MOPS (morpholinepropanesulphonic acid) and 1 mM EDTA, pH 6.8]에 혼합된 porcine pancreatic lipase(Sigma, St. Louis, MO, USA) 30 μL(10 units)와 Tris buffer(100 mM TrisHC1 and 5 mM CaCl2, pH 7.0) 850 μL를 혼합하여 준비한다. 여기에 다양한 농도로 준비한 시험 물질과 양성 대조약물로 Orlistat는 Xenical(Roche, Basel, Switzerland)사용하여 100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15분간 인큐베이션한다. 이후 substrate solution[10mM p-NPB(p-nitrophenylbutyrate) in dimethylformamide] 20μL를 첨가한 다음 15분간 더 인규베이션한다. Lipase 활성은 p-NPB가 lipase에 의하여 가수분해되어 나오는 p-nitrophenol을 ELISA reader (BIO-TEK, Synergy HT, USA)를 이용하여 40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ipase 활성 억제 정도는 시험 물질에 의하여 억제된 흡광도의 비율을 퍼센트 값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고, lipase의 활성을 50% 억제하는 농도(IC50)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상기 실험 예에 따라 실험하여 시험관 내에서 췌장 지방분해효소 활성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억제효능(IC50 값)
(㎍/mL)
호장근 추출물 98.97
호장근 추출물의 헥산층 >100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49.09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25.42
호장근 추출물의 물층 >100
Xenical 0.16
표 1의 결과와 같이 호장근 추출물 및 여러 분획물 들에서 섭취한 지방의 장관 흡수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억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ipase 활성 50% 억제농도 (IC50)를 계산한 결과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경우 25.42 μg/ml으로 분획물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에칠아세테이트 층 및 호장근 추출물에서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대조약물인 Xenical의 경우는 0.16 μg/ml이였다.
III . 지방에멀젼 ( Lipid emulsion ) 단기간 흡수능력 분석
췌장 지방 분해효소 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보인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을 이용하여 쥐의 장관에서 지방의 분해되어 흡수되는 정도를 억제하는 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4주령의 male wistar rat(Orient Bio, Korea)을 1주일간 순화하여 준비하였다. 실험 전 18시간 동안 절식한 후 3ml Lipid emulsion(3ml Corn oil, 50mg cholic acid, 3ml saline and 1g cholestryl oleate) 과 호장근 부탄올층 분획물 (POCU-1b)을 최종 농도가 10, 25, 50mg/kg가 되도록 혼합하여 경구로 투여하고, 음성 대조군 (negative control) 에는 동량의 saline만 투여하며, 양성 대조군 (positive control) 으로는 약물이 혼합되지 않은 lipid emulsion만을 투여한다. 대조약물로는 Orlistat은 Xenical(Roche, Basel, Switzerland)를 사용하여 200mg/kg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직전 및 약물 투여 후 1시간 간격으로 총 5시간동안 미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다. 채취한 혈액은 55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plasma를 분리한다. Plasma triacylglyceride 농도는 Wako Triglyceride E-Test kit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실험결과]
상기의 실험방법에 따른 실험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Lipid emulsion과 약물을 혼합 투여하여 단기간 지방흡수의 억제능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lipid emulsion 만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 (positive control)에서는 투여 2시간 후에 혈액내 중성지방 양이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saline 만을 투여한 음성 대조군 (negative control)에서는 중성지방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호장근 부탄올층 분획물 (POCU-1b) 및 Xenical를 투여한 군에서는 양성 대조군과 달리 중성지방의 증가가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또한 호장근 부탄올층 분획물의 경우 실험에 사용한 10, 25, 50mg/kg의 모든 농도에서 lipid emulsion만을 투여하였던 양성대조군 (positive control) 군보다 유의한 지방흡수 억제 효능이 나타났으며 (p<0.01), 50mg/kg의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가장 우수한 지방흡수 억제 효능을 보였다.
IV . In vivo 항비만 효능
1) 비만 동물 모델에서 비만 예방 효능 검증( In vivo 지방생성 억제실험)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의 체중증가 억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 mouse에 고지방사료와 약물을 혼합 공급하여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이 비만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방법]
시험동물은 생후 3주령 female ICR mouse를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비만 유도를 위한 고지방식이로는 AIN-76A(Research Diets, Inc., D12451, 칼로리 구성: 지방 45%, 탄수화물 35%, 단백질 20%)를 사용하였으며, 정상식이는 Purina Rodent Chow(Purina Korea Inc., Product No. 38057, 칼로리 구성: 지방 12%, 탄수화물 63%, 단백질 25%)를 사용하였다. 사료와 음용수는 자유 급식하였다. 시험약물인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POCU-1b)과, 대조약물인 Xenical는 AIN-76A 사료에 다음의 농도(호장근 0.1%, 0.5%, 1%; Xenical 0.1%)가 되도록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시험군은 다음과 같이 (1) 정상식이군(NOR), (2) 고지방식이군(HFD), (3) Xenical 투여군, (4)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 0.1% 투여군, (5)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 0.5% 투여군, (6)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 1% 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군별로 10주 동안 약물이 혼합된 고지방 사료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
Lipid emulsion과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이 고지방식이를 급이한 정상쥐의 비만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체중증가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지방식이군의 경우 3주 후부터 정상식이를 공급한 군에 비하여 차이를 보이며 꾸준한 체중증가가 관찰되었으며,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 급이군 및 Xenical 급이군의 경우 약 4주 후부터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10주후 시험 종료시 체중의 변화를 살펴보면,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0.1, 0.5, 1% 급이군은 각각 체중이 37.5g, 34.95g, 34.0g으로 고지방식이군 40.1g에 비하여 모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01), Xenical의 경우도 33.4g으로 호장근 1%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복부지방 감소효과의 육안 결과는 도 5와 같으며, 각 부위별 지방 무게를 측정한 결과는 도 6 내지 도 8과 같다. 생식주위 지방은 고지방 식이군에서 약 1.1g으로 정상식이군 0.13g에 비하여 약 9배 증가한 반면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0.1, 0.5, 1% 급이군에서는 0.9g, 0.6g, 0.5g으로 지방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0.5, 1% 급이군에서 고지방식이 급이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 억제가 관찰되었다 (p<0.05). 신장주위지방 및 피하지방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비만 동물 모델에서 비만 치료 효능 실험( In vivo 지방분해 실험)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이 체중감소에 미치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지방 사료로 비만을 유도한 rat(Diet induced obesty (DIO) rat)에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을 투여하여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방법]
(1) 시험동물은 생후 3주령 male SD rat을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시험약물 투여전 DIO rat을 만들기 위하여 AIN-76A(Research Diets, Inc., D12451, 칼로리 구성: 지방 45%, 탄수화물 35%, 단백질 20%) 고지방 사료를 13주 동안 공급하여 고도의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으로는 동일 주령의 SD rat에 Purina Rodent Chow(Purina Korea Inc., Product No. 38057, 칼로리 구성: 지방 12%, 탄수화물 63%, 단백질 25%)를 공급하여 사용하였다. 사료와 음용수는 자유 급식하였다. 13주후 고도비만이 유도된 DIO rat및 정상 rat을 다음과 같이 (1) 정상식이군(NOR), (2) 고지방식이군(HFD), (3) Xenical 투여군, (4)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 0.1% 투여군, (5)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 1% 투여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시험약물인 POCU-1b와, 대조약물인 Xenical는 다음의 농도로(POCU-1b 0.1%, 1%; Xenical 0.1%) AIN-76A 사료와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각각의 군별로 7주 동안 약물이 혼합된 고지방 사료를 공급하며,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2) 체중 및 식이섭취량은 시험물질 투여 개시 직전 및 시험기간 동안 주 1회씩 측정하였다.
(3) 시험 종료 후 실험동물을 16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부검시 복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3,000rpm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 및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을 이용하여 지방대사 관련 지표인 중성지방(triglyceride), HDL(high density lipoprotein), LDL(low density lipoprotein), 총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을 혈청자동분석기(Hitachi 7060,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부검시 채취한 지방조직의 무게를 조사하기 위하여 혈액을 채취한 후 생식기 주위지방(좌/우), 신장주위지방(좌/우), 피하지방 (좌/우) 및 갈색지방을 조심스럽게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한 후 지방조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5) 부검시 적출한 지방조직을 10%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포르말에 포매하여 슬라이드 조직을 준비한 후 H&E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 하에서 지방세포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1) 체내 지방분해 효능 결과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쥐의 체중 감소 및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지방사료를 약물 공급전 10주동안 공급하여 고도의 비만을 유도한 후 약물을 투여하여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1% 급이군의 경우 고지방식이 급이군과 비교하여 약물을 투여한 직후 급격한 체중의 감소양상이 나타났으며 (p<0.01), Xenical 급이군 또한 체중의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p<0.01). 하지만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1% 급이군의 체중감소 폭이 Xenical 급이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체중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p<0.01), 반대로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0.1% 급이군의 경우에는 별다를 체중 감소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도 10 내지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부위별 지방 무게를 측정한 결과, 생식주위 지방은 고지방 식이군에서 약 11g으로 정상식이군 6.2g에 비하여 약 2배 증가한 반면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0.1, 1% 급이군에서는 11.1g, 6.3g으로 0.1% 급이군에서는 지방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1% 급이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지방무게가 감소되었다(p<0.01). Xenical 급이군 또한 지방무게가 감소되었으며(p<0.01),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1% 급이군이 가장 뚜렸한 지방무게의 감소 폭을 보였다. 신장주위지방 및 피하지방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났으며, 갈색지방의 경우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0.1% 급이군에서도 유의적인 지방무게 감소가 관찰되었다. (p<0.01)
2) 혈액 지질함량 분석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 급이가 혈액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도 14 내지 도17에 나타난 바와 같다. 총콜레스테롤 농도의 경우 고지방 식이 급여군에서 60% 이상 증가하였으며,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급이군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혈액내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었다. 이러한 경향은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및 LDL 콜레스테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Xenical의 경우 중성지방 감소 효과는 없었다.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고지방식이 급여군에서 다소 증가하고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 급이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은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는 않다.
3) 지방세포의 크기 분석
부검시 채취한 지방세포의 형태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 18, 19와 같이 고지방식이를 급이한 군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성 있게 정상식이 급이군에 비하여 2.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Xenical 급이군에서는 이러한 지방세포 크기의 증가가 50% 가량 억제되었다. 또한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급이한 군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크기의 증가가 억제되었으며, 0.5% 급이군에서는 30%, 1% 급이군에서는 50% 이상 고지방 급이군에 비하여 지방세포 크기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p<0.01).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은 췌장 지방분해효소 활성 억제, 장관 지방흡수 억제, 체중 증가 억제 및 체중 감소 등에 있어 우수한 항비만 효능이 있으므로, 새로운 비만 및 고지혈증, 대사성 증후군과 같은 관련 질병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호장근의 추출 및 계통분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호장근 부탄올층 분획물의 HPLC 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지방 에멀젼 (lipid emulsion) 단기간 흡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복부지방 감소효과의 육안 결과사진.
도 6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생식기주위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신장주위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피하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고도비만 쥐의 체중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고도비만 쥐의 생식기주위지방 무게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고도비만 쥐의 신장주위지방무게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의 고도비만 쥐의 피하지방 무게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POCU-1b)의 고도비만 쥐의 갈색지방 무게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이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이 혈중 중성지방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6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이 HDL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7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이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8은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이 지방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9는 호장근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이 지방세포 크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Claims (14)

  1.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부탄올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부탄올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6. 삭제
  7.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부탄올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부탄올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부탄올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부탄올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부탄올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칠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호장근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80062629A 2008-06-30 2008-06-30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KR10097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29A KR100974545B1 (ko) 2008-06-30 2008-06-30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29A KR100974545B1 (ko) 2008-06-30 2008-06-30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58A KR20100002658A (ko) 2010-01-07
KR100974545B1 true KR100974545B1 (ko) 2010-08-11

Family

ID=4181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29A KR100974545B1 (ko) 2008-06-30 2008-06-30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707B1 (ko) * 2020-04-09 2020-07-03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Emodin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대사질환 치료 및 항 비만용 약학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6211B (zh) 2009-12-29 2015-06-24 韩国韩医学研究院 使用虎杖的丁醇部位和乙酸乙酯部位来治疗和预防肥胖症的组合物和功能食品
CN103239525B (zh) * 2013-05-23 2014-11-05 山西省肿瘤研究所 一种活血降脂药酒及其制备方法
CN105348335B (zh) * 2015-12-01 2018-03-27 青岛大学 一种决明酮‑8‑O‑β‑D‑吡喃葡萄糖苷对照品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886B1 (ko) 1996-11-01 1999-06-15 김상조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692560B1 (ko) 2004-06-18 2007-03-13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886B1 (ko) 1996-11-01 1999-06-15 김상조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692560B1 (ko) 2004-06-18 2007-03-13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707B1 (ko) * 2020-04-09 2020-07-03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Emodin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대사질환 치료 및 항 비만용 약학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58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State-of-the-art review of dark tea: From chemistry to health benefits
Martel et al. Anti-obesogenic and antidiabetic effects of plants and mushrooms
Cherniack Polyphenols: planting the seeds of treatment for the metabolic syndrome
Mohamed Functional foods against metabolic syndrome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and cardiovasular disease
US8158683B2 (en)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extracts of aronia and methods of using same to promote weight loss
Bhattacharjya et al. Current concepts and prospects of mulberry fruits for nutraceutical and medicinal benefits
Turrini et al. Possible effects of dietary anthocyanins on diabetes and insulin resistance
Srinivasa et al.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L.) seed: promising source of nutraceutical
Fernández‐Fernández et al. Citrus waste recovery for sustainable nutrition and health
US20060233828A1 (en) Dietary supplement including He Shou Wu, parasitic loranthus and green tea to promote weight loss
Chen et al. Procyanidin B2: A promising multi-functional food-derived pigment for human diseases
KR100974545B1 (ko)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Changiz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hypolipidemic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Melissa officinalis and Berberis vulgaris in rats
JP2009173652A (ja) 紅茶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中性脂肪吸収阻害用組成物
Shenoy et al. Role of nutraceuticals, functional foods, and spices in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orders
Dixit et al. Anti-obese activity of Butea monosperma (Lam) bark extract in experimentally induced obese rats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Saad et al. Anti-obesity medicinal plants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Valizadeh et al.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weight management: a review
Mojica et al. Hibiscus sabdariffa 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Cope Nutraceuticals for weight loss
US9504725B2 (en) Compositions and functional fo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besity using polygonum cuspidatum butanol fraction and ethyl acetate fraction
Lee et al. Cissus quadrangularis extracts decreases body fat through regulation of fatty acid synthesi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