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440B1 - 일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440B1
KR100973440B1 KR1020100039959A KR20100039959A KR100973440B1 KR 100973440 B1 KR100973440 B1 KR 100973440B1 KR 1020100039959 A KR1020100039959 A KR 1020100039959A KR 20100039959 A KR20100039959 A KR 20100039959A KR 100973440 B1 KR100973440 B1 KR 10097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tting
disposable container
disposable
cut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호 filed Critical 윤성호
Priority to KR102010003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부(11)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용기부(100)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110)이 점철방식으로 구비되어 외력 발생 시 상기 절취수단(110)이 용기부(100)로부터 분리되어, 포크, 젓가락, 이쑤시개와 같은 주방용 집기도구가 구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음식물을 손으로 집어서 섭취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용기에 포크 및 이쑤시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 주방용 집기도구를 부착시켜 필요 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가 손을 통해 음식물을 만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쾌감과 이로 인해 음식물 섭취 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용기{Disposable package}
본 발명은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외 혹은 실내에서 일회용 용기 사용 시 포크, 젓가락, 이쑤시개와 같은 주방용 집기도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손으로 집어서 섭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에 대처하기 위하여 일회용 용기에 주방용 집기도구를 부착시켜 집기도구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일회용 용기에 구비된 도구를 통해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용기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식당에서 주문자에게 음식물을 배달할 때 주로 사용되며, 또한, 가정에서는 음식물 섭취 후 뒤처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음식물을 준비해서 야외로 나가게 되는 경우 설거지와 같은 뒤처리 발생을 없애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주로 그릇이나 접시, 컵과 같은 식기의 형상으로 제작되며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에는 용기로서 적당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통상적으로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또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일회용 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일회용 용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부(11)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용기부(1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에 형성된 수용부(11)에는 음식물이 담겨지게 되며, 개방된 상기 용기부(10)의 상부는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통해 밀폐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일회용 용기를 통해 음식물의 이동이나 배달 시 수용부(11)에 담긴 음식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 용기는 휴대성이 우수한 제품이기 때문에 실내, 혹은 야외에서 편하게 먹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별도로 챙겨야 하는 포크, 젓가락, 이쑤시개 등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음식물 섭취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감안하여 포크 또는 젓가락을 함께 포장할 수 있게 형성된 일회용 용기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포크, 젓가락 등은 길이가 일회용 용기보다 상당히 길기 때문에 포크 또는 젓가락이 온전하게 부착될 수 있는 일회용 용기는 사각형 모양의 대형 용기에서나 가능하여 일반적인 소용량의 일회용 용기 사용 시 포크 또는 젓가락과 같은 집기 도구를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손으로 음식물을 집어서 섭취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피자를 주문하여 가정이나 야외에서 먹게 되는 경우, 밀가루 재료인 피자를 먹을 때는 포크나 젓가락을 이용해서 집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손으로 집어서 먹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피자는 차치하더라도, 일회용 용기에 담긴 샐러드나 피클과 같은 사이드 메뉴 섭취 시 포크 또는 젓가락이 준비되지 않으면 손으로 집어 음식물을 섭취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밀가루 재질인 피자와는 다르게 샐러드나 피클은 손에 묻을 경우 냄새가 스며들어 음식물 섭취 후에도 냄새가 잘 없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 섭취 시 사용자가 손을 통해 음식물을 만지는 경우 비위생적이어서 불쾌감이 발생되기도 하며, 또한 음식물 섭취 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기 때문에 화장실이나 수돗가를 찾아가는 등의 2차적인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외 혹은 실내에서 일회용 용기 사용 시 포크, 젓가락, 이쑤시개와 같은 주방용 집기도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손으로 집어서 섭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에 대처하기 위하여 일회용 용기에 주방용 집기도구를 부착시켜 집기도구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일회용 용기에 구비된 도구를 통해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용기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이 점철방식으로 구비되어 외력 발생 시 상기 절취수단이 용기부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포크, 젓가락, 이쑤시개와 같은 주방용 집기도구가 구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음식물을 손으로 집어 섭취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용기에 포크 및 이쑤시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 주방용 집기도구를 부착시켜 필요 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가 손을 통해 음식물을 만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쾌감과 이로 인해 음식물 섭취 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회용 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의 절취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에서 연결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에서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의 절취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에서 연결부, 제1절취부, 제2절취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 절취수단(110)이 구비되어, 포크, 젓가락, 이쑤시개와 같은 주방용 집기도구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절취수단(110)을 용기부(100)로부터 분리시켜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 섭취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불쾌감과 불편함을 해소하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부(100) 상단 외주면에 절취수단(110)이 점철방식으로 형성되어, 외력 발생 시 상기 절취수단(110)이 용기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11)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110)이 점철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외력 발생 시 상기 절취수단(110)이 용기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용기부(100)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110)은 0.5cm ~ 1.0cm 정도의 두께로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용기부(1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절취수단(110)의 두께는 가변적으로 설정되게 하여 사용자가 손을 통해 상기 절취수단(110)을 잡고 용기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절취수단(110)의 점철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홀(H)이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취수단(110)과 용기부(100)는 최초에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태지만 외력 발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절취수단(110)에 형성된 홀(H)에 의해 쉽게 절취되어 상기 용기부(100)와 절취수단(110)이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취수단(110)의 점철방식에서 절취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 형성된 홀(H)은 상기 용기부(100)의 외주면 상단측에서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110) 측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용기부(100) 상단에 별도의 커버(미도시)가 구비되어 수용부(11)의 음식물을 밀폐한 상태라 할지라도 상기 절취수단(110)의 홀(H)이 용기부(100)의 측면부에 형성되면 상기 홀(H)을 통해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홀(H)이 용기부(100)의 측면이 아닌 최상단 외측인 절취수단(110) 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절취수단(110)을 용기부(100)로부터 분리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절취수단(110)의 점철방식에서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110)에 형성된 홀(H)을 대신하여 상기 절취수단(110) 하단면에 다수의 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절취수단(110)을 꺾는 방식을 통해 상기 용기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 절취수단(110)은 제1절취부(111) 및 제2절취부(112),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13)로 이루어진다.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는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의 용기부(100)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는 각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의 일측에는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13)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13)는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포함하는 절취수단(110)이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으로부터 절취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3)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가 상호 연결되어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 점철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13)를 먼저 절취하게 되면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 사이에 홈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 용기부(100)로부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절취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의 타측은 점철방식으로 이루어져 최초에는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가 연결된 부위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가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용기부(100)에 담긴 음식물 섭취 시 포크 및 이쑤시개와 같은 집기도구가 없을 경우 사용자가 손이 아닌 포크 및 이쑤시개 대용으로 상호 분리된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음식물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3)와 대응하는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의 끝단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포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가 상호 대응하는 면은 뾰족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포크 또는 이쑤시개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11)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플라스틱 용기부(100)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110)이 점철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 발생 시 상기 절취수단(110)이 용기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수단(110)과 용기부(100)는 최초에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태지만 외력 발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점철방식 의해 절취되어 상기 용기부(100)와 절취수단(110)이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수단(110)은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113)는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 점철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13)를 먼저 절취하게 되면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 사이에 홈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 용기부(100)로부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절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는 상호 대응하는 면이 날카로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가 상호 연결된 부위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분리된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를 각각 포크 또는 이쑤시개 대용으로 사용하여 용기부(100)에 담긴 음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상기 연결부(113)와 대응하는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의 끝단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포크로 사용되며, 상기 제1절취부(111)와 제2절취부(112)가 상호 대응하는 면은 뾰족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포크 또는 이쑤시개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회용 용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용기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이 점철방식으로 형성되어 외력 발생 시 상기 절취수단이 용기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포크, 젓가락, 이쑤시개와 같은 주방용 집기도구가 구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음식물을 손으로 집어서 섭취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용기에 포크 및 이쑤시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 주방용 집기도구를 부착시켜 필요 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가 손을 통해 음식물을 만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쾌감과 이로 인해 음식물 섭취 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 수용부 100 : 용기부
110 : 절취수단 111 : 제1절취부
112 : 제2절취부 113 : 연결부
H : 홀

Claims (4)

  1. 삭제
  2.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용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절취수단이 점철방식으로 구비되어 외력 발생 시 상기 절취수단이 용기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절취수단은
    상기 용기부의 상단 외주면 양측에 구비되는 제1절취부 및 제2절취부와;
    상기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된 상기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와, 상기 연결부는 점철방식으로 형성되어 외력 발생 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대응하는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의 끝단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가 상호 대응하는 면은 뾰족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KR1020100039959A 2010-04-29 2010-04-29 일회용 용기 KR10097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59A KR100973440B1 (ko) 2010-04-29 2010-04-29 일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59A KR100973440B1 (ko) 2010-04-29 2010-04-29 일회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440B1 true KR100973440B1 (ko) 2010-08-05

Family

ID=4275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59A KR100973440B1 (ko) 2010-04-29 2010-04-29 일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9443A (en) * 2019-09-18 2021-06-02 Blue Buffalo Entpr Inc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ackaged food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584A (ko) * 2004-04-10 2005-10-13 김경민 스틱(젓개) 분리형 일회용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584A (ko) * 2004-04-10 2005-10-13 김경민 스틱(젓개) 분리형 일회용 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9443A (en) * 2019-09-18 2021-06-02 Blue Buffalo Entpr Inc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ackaged food product
US11104482B2 (en) 2019-09-18 2021-08-31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ackaged food product
GB2589443B (en) * 2019-09-18 2022-10-12 Blue Buffalo Entpr Inc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ackaged food product
US11993419B2 (en) 2019-09-18 2024-05-28 Blue Buffalo Enterprises, Inc.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ackaged food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440B1 (ko) 일회용 용기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190109697A (ko) 가루 받침대가 있는 밀어먹는 떡 통
JP3226254U (ja) 木製食器
KR200449275Y1 (ko)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JP2014117494A (ja) 汁物をすくい取る食器具
CN218942761U (zh) 一种新型餐具
JP3172986U (ja) 大型調理器具
TWI364267B (en) Spoon combined with fork
CN208973215U (zh) 一种分体式快餐托盘
JP3157636U (ja) 蓋付き容器
CN201631038U (zh) 蛋黄蛋清分离杯
KR20110136010A (ko) 취식구
CN209661188U (zh) 折叠收纳式儿童组合器皿
KR102223747B1 (ko) 헤드업 위생 젓가락
JP3150212U (ja) 乳幼児の食事に適する米飯成型器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405657Y1 (ko) 바닥에 닿지 않는 위생 젓가락
CN110949830A (zh) 一种新型食品罐头
JP3201440U (ja) 食具レストとして使用可能な箸袋
JP3190750U (ja) 積上げ可能式弁当箱
KR200378909Y1 (ko)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CN203000514U (zh) 一种带碗陶瓷汤锅
RU120949U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акет-вкладыш
CN102670020A (zh) 一种组合式套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