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71B1 -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71B1
KR100972971B1 KR1020080007739A KR20080007739A KR100972971B1 KR 100972971 B1 KR100972971 B1 KR 100972971B1 KR 1020080007739 A KR1020080007739 A KR 1020080007739A KR 20080007739 A KR20080007739 A KR 20080007739A KR 100972971 B1 KR100972971 B1 KR 10097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walking
rear axl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710A (ko
Inventor
이나경
Original Assignee
김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은 filed Critical 김나은
Priority to KR1020080007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밑창의 구조를 개선하여 착용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밑창의 뒷축부위에 지면과의 초기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평면접지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평면접지부로부터 엄지발가락측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신발밑창의 앞축과 뒷축부위가 소정의 곡률로 상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보행시 뒷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발밑창에 적용된 곡률의 진행방향이 사람의 일반적인 보행경로와 크게 어긋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보행성과 이로 인한 건강증진 측면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발부위가 삽입되는 신발갑피(2)의 하측에 신발밑창(1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신발밑창(10)은 발바닥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뒷축부위(12)에 해당하는 신발밑창(10)의 바닥면은 보행시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도록 하는 평면접지부(13)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접지부(13)가 형성된 뒷축부위(12)로부터 엄지발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을 따라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곡률중심선(C)을 기준으로 신발밑창(10)의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능성 신발, 신발갑피, 신발밑창

Description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s improved walk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신발밑창의 뒷축부위에 지면과의 초기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평면접지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평면접지부로부터 엄지발가락측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신발밑창의 앞축과 뒷축부위가 소정의 곡률로 상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보행시 뒷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발밑창에 적용된 곡률의 진행방향이 사람의 일반적인 보행경로와 크게 어긋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보행성과 이로 인한 건강증진 측면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신체 중에서 발부위는 직립시에 지면과 접촉하면서 인체의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보행 등의 적절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신체 부위이며, 신발은 이러한 인체의 발부위를 보호토록 함과 동시에 발바닥 전체가 지면과 맞닿도록 하여 인체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킴에 따라 발부위에 가해지는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 및 시판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들어서는 불규칙한 식생활과 패스트푸드의 섭취증가 및 운동부족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비만인구가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식생활의 개선과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이 필수적이지만, 바쁜 일상에 쫓기고 있는 현대인들의 경우 비만의 해소가 가능한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내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특별히 시간을 들이지 않고 신발을 착용하여 걷는 것만으로 운동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능성 신발이 보급되고 있으며,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야외활동이나 운동을 즐기는 인구가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추세에 발맞추어 신발산업이 다시 호황기를 맞고 있는 바, 이러한 기능성 신발의 대표적인 예로서 발바닥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앞축부위와 뒷축부위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신발밑창을 적용시킨 운동화나 워킹화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앞축부위와 뒷축부위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신발밑창이 적용된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신발밑창 부분에 인체의 운동곡률에 따라 적절한 경사도와 곡률이 적용되어 보행시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오래도록 신고 있어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신발의 착용감 및 운동효과를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전,후방 균형감각이 자연적으로 훈련되어 자세와 걸음걸이가 바르게 됨은 물론 하체의 근골격계를 강화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신발은 신발밑창의 앞축부위와 뒷축부위 가 발바닥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발바닥의 중심선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도 1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략 팔자(∨) 형태의 족적을 남기는 일반적인 사람의 보행경로를 기준으로 할 경우, 신발밑창의 앞축부위와 뒷축부위가 가지는 가상의 곡률중심선(C)이 사람의 일반적인 보행경로(W)와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기능성 신발은 도 1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축부위와 뒷축부위의 곡률중심선(C)이 발바닥의 중심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보행경로가 원칙적으로 십일자(Ⅱ) 형태를 이루게 되는 바, 종래의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의도적으로 십일자 보행을 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팔자 형태의 보행을 하게 되면, 도 1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신발밑창의 곡률중심선(C)이 도 1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바닥의 외측 뒷꿈치로부터 엄지발가락측을 향하게 되는 보행자의 보행경로(W)와 서로 어긋나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신발밑창에 적용된 곡률중심선(C)이 보행자의 보행경로(W)와 어긋나게 될 경우에는 보행시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발목이나 무릎 및 골반 부위에 뒤틀림과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운동부하가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기능성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여 보행이나 운동을 행하게 되면, 착용자의 발목이나 무릎 및 골반 부위에 무리가 가해져 통증이 유발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관절염이나 디스크로까지 발전될 소지가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사람이 까다롭고 자연발생적이지 못한 십일자 보행을 장시간 동안 의도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바, 이는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사람이 편하게 걸으면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를 원천적으로 무색하게 하는 요인이 됨은 물론, 익숙하지 않은 십일자 보행을 행함에 따라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보행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기능성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을 행할 시 최초 신발밑창이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신발밑창의 뒷축쪽 바닥면이 되는 바, 이러한 뒷축의 바닥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초 신발밑창이 지면과 접촉하는 보행개시의 단계에서 신발밑창이 지면과 선접촉을 이룸에 따라 뒷축 부위로부터 착용자의 발뒷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신발밑창이 보다 안전하게 분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발부위에 통증이 쉽게 발생함은 물론 장기간의 보행시 허리나 척추 부위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은 신발밑창의 뒷축부위에 지면과의 초기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평면접지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평면접지부로부터 엄지발가락측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 라 신발밑창의 앞축과 뒷축부위가 소정의 곡률로 상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보행시 뒷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신발밑창에 적용된 곡률의 진행방향이 사람의 일반적인 보행경로와 크게 어긋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보행성과 이로 인한 건강증진 측면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인체의 발부위가 삽입되는 신발갑피의 하측에 신발밑창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신발밑창은 발바닥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앞축부위와 뒷축부위가 상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뒷축부위에 해당하는 신발밑창의 바닥면은 보행시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도록 하는 평면접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접지부가 형성된 뒷축부위로부터 엄지발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을 따라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곡률중심선을 기준으로 신발밑창의 앞축부위와 뒷축부위가 상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을 행할 경우 최초 신발밑창이 지면과 접촉하는 보행개시의 단계에서 신발밑창의 바닥부에 형성된 평면접지부에 의하여 신발밑창이 지면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착용자의 발뒷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신발밑창이 보다 안전하게 분산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발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경감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의 보행시에도 허리나 척추 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팔자 걸음을 걷게 되더라도 보행에 따른 운동곡률의 중심이 되는 곡률중심선이 보행경로와 크게 어긋나지 않게 됨으로서, 보행시에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발목이나 무릎 및 골반 부위에 뒤틀림과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운동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능성 신발에 의한 보행성과 운동효과는 극대화시키면서도 착용자의 발목이나 무릎 및 골반 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은 최대한으로 경감시켜 착용자의 건강증진에 보다 더 크게 기여토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도 2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각종 신발(1)과 마찬가지로 인체의 발부위가 삽입되어 발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통상 가죽이나 피혁 제품으로 제조되는 신발갑피(2)와, 상기 신발갑피(2)의 하부에서 신발갑피(2)와 일체로 구비되어 인체의 발바닥 부분을 지지하는 신발밑창(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발밑창(10)은 신발(1)의 제조에 널리 적용되는 바와 같이 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발바닥 형상에 맞추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한 것일 수도 있고, 발포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상에 경질의 플라스틱판이나 금속판을 강성용 보조밑창으로 적용시킨 것일 수도 있으며, 바닥부에 미끄럼방지용 논슬립(Non-slip)창이 부착된 것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는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한 기능성 신발(1)의 신발밑창(10) 바닥부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착용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신발밑창(10)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며, 신발밑창(10) 자체의 재질이나 신발밑창(10)의 내부구조와 같은 사항에 구애를 받지 않는 것임을 서두에서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의 제 1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발바닥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경사지도록 한 신발밑창(10)에 있어, 상기 뒷축부위(12)에 해당하는 신발밑창(10)의 바닥면이 보행시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도록 하는 평면접지부(13)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의 제 2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신발밑창(10)에 있어 평면접지부(13)가 형성된 뒷축부위(12)로부터 엄지발가락이 위치하는 전방측 방향을 따라 대각선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곡률중심선(C)을 기준으로 신발밑창(10)의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상 상기 평면접지부(13)는 발바닥의 뒷꿈치 부위 중 외측 부분에 해당하 는 위치에서 전방측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고, 발바닥의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신발(1)을 착용한 사람이 일반적인 팔자 보행을 행할 경우 뒷꿈치에 해당하는 발바닥 부분 중 그 외측면이 지면과 비스듬한 상태로 가장 먼저 맞닿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상기 평면접지부(13)에 의하여 신발(1)을 착용한 사람이 보행을 시작하는 보행개시의 단계에서 신발밑창(10)의 바닥면이 지면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사항은 종래의 기능성 신발(1)과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1)에 의한 보행개시 시점을 비교 도시한 도 6의 (가) 및 (나)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4 및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면접지부(13)가 형성된 뒷축부위(12)로부터 엄지발가락이 위치하는 전방측 방향을 따라 대각선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곡률중심선(C)을 기준으로 신발밑창(10)의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경사지도록 하게 되면, 신발(1)을 착용한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또는 자연발생적으로 팔자 걸음을 걷게 되더라도 신발밑창(10)에 의한 곡률의 진행경로를 사람의 보행경로와 크게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신발밑창(10)의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곡률의 중심선(C)이 외측 뒷꿈치로부터 엄지발가락측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을 가지도록 하게 되면, 신발(1)을 착용한 사람이 팔자 걸음을 걷게 됨에 따라 발의 각도가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더라도, 보행에 따른 운동곡률의 중심이 되 는 상기 곡률중심선(C)이 도 1의 (나)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보행경로(W)와 평행선상에 놓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도면상 상기 곡률중심선(C)이 평면접지부(13)의 외측 단부에서 엄지발가락측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곡률중심선(C)이 발바닥 부분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른다는 조건하에서는 평면접지부(13)의 어느 위치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무방한데, 그 이유는 보행에 따른 운동곡률의 중심이 되는 상기 곡률중심선(C)이 팔자 보행에 따른 보행경로(W)와 완전히 일치하는 동일한 평행선상에 놓이지 않더라도 종래의 기능성 신발과 비교하여 곡률중심선(C)이 보행경로(W)와 크게 어긋나지 않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도면상 신발밑창(10)의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의 사이에 평면부로 이루어지는 중앙접지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바, 중앙접지부(14)의 면적이 넓을수록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한 반면, 보행에 따른 운동의 효과는 다소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중앙접지부(14)의 면적이 좁게 될수록 보행성보다는 운동효과에 중점이 맞추어지게 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밑창(10)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앙접지부(14)가 1/3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밑창(10)의 바닥면에 중앙접지부(14)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신발밑창(10)의 바닥 전체면이 앞축부위(11)로부터 뒷축부위(12)에 이르기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1)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중앙접지부(14)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필수적인 구성요소에는 해당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간주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초 신발밑창(10)이 지면과 접촉하는 보행개시의 단계에서 신발밑창(10)의 바닥부에 형성된 평면접지부(13)에 의하여 신발밑창(10)이 지면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착용자의 발뒷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신발밑창(10)이 보다 안전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발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의 보행시에도 허리나 척추 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또는 자연발생적으로 팔자 걸음을 걷게 되더라도 보행에 따른 운동곡률의 중심이 되는 곡률중심선(C)이 보행경로(W)와 크게 어긋나지 않게 됨으로서, 보행시에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발목이나 무릎 및 골반 부위에 뒤틀림과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운동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기능성 신발(1)에 의한 보행성과 운동효과는 극대화시키면서도 착용자의 발목이나 무릎 및 골반 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은 최대한으로 경감시켜 착용자의 건강증진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의 (가) 및 (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보행에 따른 족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신발밑창 바닥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종래의 기능성 신발과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에 의한 보행개시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2 : 신발갑피 10 : 신발밑창
11 : 앞축부위 12 : 뒷축부위 13 : 평면접지부
14 : 중앙접지부 C : 곡률중심선 W : 보행경로

Claims (1)

  1. 인체의 발부위가 삽입되는 신발갑피(2)의 하측에 신발밑창(1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신발밑창(10)은 발바닥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을 따라 곡률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평면접지부(13)가 형성된 뒷축부위(12)로부터 엄지발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을 따라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곡률중심선(C)을 기준으로 신발밑창(10)의 앞축부위(11)와 뒷축부위(12)가 상방향을 따라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신발밑창(10)의 상방향을 따라 곡률로 경사지게 형성된 뒷축부위(12)에는 보행시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는 평면접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밑창(10)의 중간부분에는 전체 3/1 면적의 중앙접지부(14)를 형성 하여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KR1020080007739A 2008-01-25 2008-01-25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KR10097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739A KR100972971B1 (ko) 2008-01-25 2008-01-25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739A KR100972971B1 (ko) 2008-01-25 2008-01-25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710A KR20090081710A (ko) 2009-07-29
KR100972971B1 true KR100972971B1 (ko) 2010-08-11

Family

ID=4129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739A KR100972971B1 (ko) 2008-01-25 2008-01-25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3531A1 (en) * 2019-02-06 2020-08-13 Fuerst Group, Inc. Footwear article for wal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45A (ko) * 2004-10-06 2006-04-11 이호형 뒤축을 개량한 건강 신발
KR100798868B1 (ko) 2007-05-22 2008-02-01 주식회사 아이비워킹 건강 신발
KR100851537B1 (ko) 2008-04-18 2008-08-11 (주)티오엠 기능성 신발 밑창
KR20090003909U (ko) * 2007-10-23 2009-04-28 강형철 기능성 건강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45A (ko) * 2004-10-06 2006-04-11 이호형 뒤축을 개량한 건강 신발
KR100798868B1 (ko) 2007-05-22 2008-02-01 주식회사 아이비워킹 건강 신발
KR20090003909U (ko) * 2007-10-23 2009-04-28 강형철 기능성 건강신발
KR100851537B1 (ko) 2008-04-18 2008-08-11 (주)티오엠 기능성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710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352B2 (en) Propulsive sole for impact distribution and round walking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JP5138682B2 (ja) 人間の足構造と歩行とに適したエルゴノミックな靴底
US8266825B2 (en) Shoe sole element
US20120317844A1 (en)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US20120285040A1 (en) Spring shoe sole device
KR102140044B1 (ko)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US20160157551A1 (en) Ankle stability footwear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230170565A (ko) 신발
KR100972971B1 (ko)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US20040221487A1 (en) Shoe construction
JP2017148321A (ja) インソール
KR101920227B1 (ko) 신발 및 신발 제조 방법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JPH09308706A (ja) 半球体的***状底式履き物型トレーニング器具
JP2006263397A5 (ko)
KR200384323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JP3240015U (ja) 一本歯下駄
KR200384325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KR200340469Y1 (ko) 신체 교정을 위한 신발패드
JP3087900U (ja) 履き物
JP3168694U (ja) 履物
JP2005169053A (ja) 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