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040B1 -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 Google Patents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040B1
KR100972040B1 KR1020090023512A KR20090023512A KR100972040B1 KR 100972040 B1 KR100972040 B1 KR 100972040B1 KR 1020090023512 A KR1020090023512 A KR 1020090023512A KR 20090023512 A KR20090023512 A KR 20090023512A KR 100972040 B1 KR100972040 B1 KR 10097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electrode support
fluorescent lamp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삼표
Original Assignee
홍삼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삼표 filed Critical 홍삼표
Priority to KR102009002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040B1/en
Priority to PCT/KR2010/001711 priority patent/WO2010107275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57Driver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retrofit LED light sources
    • H05B45/3578Emulating the electrical 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Abstract

PURPOSE: An LED bulb is provided to emit light with various colors by combining red, green and blue LEDs. CONSTITUTION: An electrode supporting unit(2) has at least two electrodes(1). A body unit(16) is connected with the electrode supporting unit. At least one LED is mounted on the body unit. A light transmitting unit(3)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LED. A power device, an electrode connection unit, and a controller are arrang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ing unit. The power device applies power to the LED. The electrode connecting unit applies the power to the power devic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ED. A radiation fi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unit in order to directly contact with external air. A radiation hole is formed on the body unit in order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Description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s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존 형광등 소켓에 별도 수단의 추가나 기존 회로의 변경 없이 종래의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발광다이오드 전구(이하, LED 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bulb,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light emitting diode that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without the addition of a separate means to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or changes the existing circuit It relates to a light bul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LED bulb).

형광등은 인광막의 형광에 의해 빛을 발하는 전기 방전등으로 백열등에 비해 발열이 적고 더 효율적이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Fluorescent lamps are electric discharge lamps that emit light by the fluorescence of the phosphor film and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generate less heat and are more efficient than incandescent lamps.

이와 같은 형광등은 전극의 배치형태에 따라, 막대형(직관) 형광등, D형 또는 PL형 형광등, 2극형 형광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형광등과 형광전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Such fluorescent lamps can be classified into rod-shaped fluorescent tubes, D-type or PL-type fluorescent lamps, and bipolar fluorescent lamp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fluorescent lamp and a fluorescent bulb are used in the same sense.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막대형(직관) 형광전구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형광전구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D형 또는 PL형 형광전구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형광전구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형광전구의 좌측면도, 도 2d는 도 2a의 형광전구의 우측면도이다. Fig. 1A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rod-shaped (straight tube) fluorescent bulb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1B is a side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1A. FIG. 2A is a plan view of a D-type or PL-type fluorescent bulb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B is a front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2A, FIG. 2C is a left side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2A, and FIG. 2D is a fluorescent bulb of FIG. 2A. Right side view of the.

도 1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막대형 형광등(100), 및 D형 또는 PL형 형광등(110)은 각각 4개의 전극(101,111), 전극지지부(102,112) 및 빛투과부(103,113)를 포함한다. 1A to 2D, the rod-shaped fluorescent lamp 100 and the D- or PL-type fluorescent lamp 1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four electrodes 101 and 111, an electrode support part 102 and 112,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103 and 113, respectively. It includes.

4개의 전극(101,111)은 미도시된 형광등 소켓에 결합되며, 전극지지부(102,112)로 전원을 공급한다. 빛투과부(103,113)의 내부에는 아르곤 및 수은 증기의 혼합기체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4개의 전극(101,111)을 통해 전기가 공급되면, 빛투과부(103,113)를 통해 빛이 방출된다.The four electrodes 101 and 111 are coupled to a fluorescent lamp socket (not shown) and supply power to the electrode support parts 102 and 112. A mixture gas of argon and mercury vapor is filled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103 and 113. Therefore,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hrough the four electrodes 101 and 111,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s 103 and 113.

도 3a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전구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형광전구의 정면도이며, 도 3c 및 도 3d는 도 3a의 형광전구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3A is a plan view of a bipolar fluorescent bulb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B is a front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3A, and FIGS. 3C and 3D are left and right side views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3A.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종래의 2극형 형광등(120)은 2개의 전극(121), 전극지지부(122), 빛투과부(123) 및 체결부(125)를 포함한다.3A to 3D, the conventional bipolar fluorescent lamp 120 includes two electrodes 121, an electrode support part 122, a light transmitting part 123, and a fastening part 125.

2개의 전극(121)과 체결부(125)는 미도시된 2극형 형광등 소켓에 결합된다. 빛투과부(123)의 내부에는 아르곤 및 수은 증기의 혼합기체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2개의 전극(121)을 통해 전기가 공급되면, 빛투과부(123)를 통해 빛이 방출된다.The two electrodes 121 and the fastening part 125 are coupled to a bipolar fluorescent lamp socket (not shown). The inside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23 is filled with a mixed gas of argon and mercury vapor. Therefore,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hrough the two electrodes 121,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unit 123.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 소켓(150)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극형 형광등(12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극형 형광등 소켓(150)에 결합되면,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게 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the bipolar fluorescent lamp socket 150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bipolar fluorescent lamp 120 is coupled to the bipolar fluorescent lamp socket 150 as shown in FIG. 4, the bipolar fluorescent lamp 120 receives electricity from a power source and emits light.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단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160)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170)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a fluorescent lamp socket 160 of a single output inver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a fluorescent lamp socket 170 of a two output inver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를 참조하면, 공급 전원은 라인필터(140)를 통하여 잡음이 제거된 후 정류기(141)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발진부(142)에 공급된다. 발진부(142)에서는 수십 K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이를 인버터 구동부(143)에서 FET 소자 또는 IGBT 소자 등과 같은 트랜지스터 소자를 이용하여 형광등 점등에 필요한 전압으로 구동시켜 형광등(100)의 제1전극(P1)에 인가한다. 제2전극(P2)은 콘덴서(CAP)를 통하여 제4전극(P4)에 연결되고 제3전극(P3)은 인버터 구동부(143)의 일측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5, after the noise is removed through the line filter 140, the power supply is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by the rectifier 141 and supplied to the oscillator 142. The oscillator 142 oscillates a frequency of several tens of KHZ and drives the inverter driver 143 at a voltage necessary for lighting a fluorescent lamp using a transistor device such as a FET device or an IGBT device, and the like, and thus, the first electrode P1 of the fluorescent lamp 100. To apply. The second electrode P2 is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P4 through the capacitor CAP and the third electrode P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verter driver 143.

도 6을 참조하면, 공급 전원이 라인필터(140)를 통하는 동안 잡음이 제거된 후 정류기(141)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발진부(142)에 공급된다. 발진부(142)에서는 수십 K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이를 인버터 구동부(143)에서 FET 소자 또는 IGBT 소자 등과 같은 트랜지스터 소자를 이용하여 형광등 점등에 필요한 전압으로 구동시켜 형광등 제1 및 제2전극(P1,P2)에 인가한다. 제3 및 제4전극(P3,P4)는 인버터 구동부(143)의 다른 일측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6, noise is removed while the power supply is passed through the line filter 140, and then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by the rectifier 141 and supplied to the oscillator 142. The oscillator 142 oscillates a frequency of several tens of KHZ and drives the inverter driver 143 at a voltage necessary for lighting a fluorescent lamp using a transistor device such as a FET device or an IGBT device, thereby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 Is applied.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verter driver 143.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통상적인 형광등은 소비전력이 40W 정도이고, 표면 온도가 60℃ 정도이며, LED 전구에 비하여 수명이 짧다는 단점을 갖는다. 아울러 종래의 형광등은 빛투과부의 내부에 수은과 같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을 내포하고 있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about 40W, the surface temperature is about 60 ℃, shorter life compared to the LED bulb.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ontains a material that can pollute the environment, such as mercury insid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또한 종래의 형광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진공설비와 같은 제조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is not easy because a manufacturing apparatus such as a large-scale vacuum equipment is required to manufacture a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또한 기존 형광등의 경우 사용자가 적색, 청색, 녹색, 보라색 등 임의의 원하는 색상을 얻기가 매우 힘들었고 이를 위하여 백색 형광등의 표면에 별도 코팅지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특정 가스를 형광등에 주입하여 색상을 얻는 방법이 있으나 제조원가가 비싸고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for a user to obtain any desired color such as red, blue, green, and purpl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For this purpose, a method of obtaining a color by attaching a separate coated paper on the surface of the white fluorescent lamp or injecting a specific gas into the fluorescent lamp is requir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and the work is inconvenient.

또한 기존 형광등의 경우 밝기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밝기조절용 제어장치가 필요하고, 이 제어장치의 설치 공사가 부가적으로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s need a separate brightness control devic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requires additional installation work of this control device.

또한 기존 형광등을 여러개를 하나로 묶어 전원 스위치를 연결하여 사용함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형광등을 온/오프하기가 힘들다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difficult to individually turn on / off the fluorescent lamps by using a plurality of existing fluorescent lamps by connecting a power switch.

또한 기존 형광등은 인테리어에 필요한 용도에 맞게 형광전구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판형, 각형, 역삼각형, 타원형 등 여러 종류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s were inconvenient in that it was difficult to form various types of fluorescent bulb cross sections, such as plate, square, inverted triangle, and elliptical shape, which were not circular.

또한 기존 형광등은 빛을 특정 부분에 조사하기 위하여 형광등에 별도의 집광수단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s were inconvenient to install a separate light collecting means in the fluorescent lamp in order to irradiate light to a specific portion.

또한 기존 형광등은 몸체에서 60℃ 이상의 열이 발생하나, 이러한 열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없어 그대로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generates heat above 60 ℃ in the body, there was a problem that waste as it can not recycle such thermal energy.

이러한 문제점들 중 일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는 도광판을 사용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 형광등의 전등 설비를 모두 교체하고 결선공사를 새로 하여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교체 작업이 복잡해지는 단점 이 있었다. 또한, 일부의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는 기존의 형광등 소켓에 사용시 기존에 장착된 전자식 안정기를 제거하거나 일부 결선을 변경하여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ome of these problems, LED replacement lamp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the LED lamp for replacing th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ight guide plate, the replacement cost is increased and the replacement work is complicated because all the existing lighting fixtures have to be replaced and the wiring work has to be renewed. In addition, some fluorescent light bulb replacement LED bulbs have a problem that can be used only when the electronic ballast is removed or some connection is changed when used in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본 발명은 상기 기존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형광등의 설비나 회로의 변경 또는 추가 없이 기존 형광등 소켓에 그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emitting diode bulb that can be used as it is mounted in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without changing or adding a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equipment or circuit.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밝기, 색상 및 온/오프를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빛투과부를 교체할 수 있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color, and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diode bulb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e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and replace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to replace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o suit the user's taste To provide a light bulb.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등 소켓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전극을 구비한 전극지지부; 상기 전극지지부와 연결되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몸체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상측으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키는 빛투과부;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부;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장치부에 +, -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연결부; 및 상기 전원장치부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upport having at least two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fluorescent lamp socket; A body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support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installed therein; A light transmission part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above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for apply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 electrode connector installed in the electrode support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s to a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PWM 신호를 출력하는 PWM 드라이버; 상기 PW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싱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 PWM driv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microprocessor and outputting a PWM signal; A transis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PWM signal and turn on / of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a current sensing resistor measuring current to maintain a constant current of the transistor.

또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각각에 대해 상기 PWM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및 전류센싱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 red light emitting diode,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and a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WM driver, transistor, and current sensing resistor for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과 밝기의 정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degrees of color and brightness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상기 전극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된 좌측 전극지지부와 우측 전극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장치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극지지부에 분산되어 형성할 수 있다. The electrode support part may include a left electrode support part and a right electrode support part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art,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formed to be dispersed in the left and right electrode support par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는,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형광등 소켓에 연결된 전원선에 중첩되어 전달되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 조절 신호, 밝기 조절 신호, 및 온/오프 제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유선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 조절 신호, 밝기 조절 신호, 및 온/오프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수신부;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electrode support, the color control signal of the at least one light-emitting diode is transmitted to overlap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luorescent lamp socket, A wired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a brightness control signal and an on / off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And a wireless receiver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a color control signal, a brightness control signal, and an on / off control signal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transmit the wireless signal to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전원장치부는 회로 보호용 퓨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fuse for protecting the circuit.

또한, 상기 몸체부는 그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 형태의 방열 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fin of the concave-convex shap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방열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hole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상기 몸체부는 그 단면이 반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또한, 상기 빛투과부는 그 단면이 반원형, 타원형, 역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have a cross-section in the form of any one of a semi-circular, elliptical, inverted triangle or square shape.

또한, 상기 몸체부 및 빛투과부 중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탄소화합물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rbon compound that emits far infrared rays by the heat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빛투과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빛투과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빛을 직진, 확산 또는 집중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art detachably install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may be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straightening, diffusing or concentrating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

또한, 상기 전극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으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는 브리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bridge circuit for receiving rectified AC power from the at least two electrodes.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에 의하면, LED 전구를 기존 형광등 소켓에 그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기조절, 색상조절, 원격제 어, 작업의 용이성증대, 원가 절감 및 외관의 미려함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D replacement lamp for th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bulb can be used as it is to replace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as well as brightness control, color control, remote control, increased ease of operation, cost reduction and beauty of appearance You can get it.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의 보다 구체적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effect of the LED bulb for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첫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기존 형광등 소켓에 전극을 맞춰 꽂으면 점등되므로 기존 형광등 소켓의 안정기를 제거하거나, 회로를 변경할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First,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the need to remove the ballast or change the circuit of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because it is turned on by fitting the electrode to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둘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를 형광등의 대체품이 아니라 신규한 전등설비로 설치할 경우에는 LED 전구에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을 인가만 하면 되므로 기존 형광등과 같이 안정기 및 스타터와 같은 부품이 필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원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Second, when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novel light fixture instead of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component such as a ballast and a starter like an existing fluorescent lamp since only AC power or DC power is applied to the LED bulb. .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resource saving.

셋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전원장치부, 유선/무선통신부 및 제어부가 몸체부 또는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모두 장착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Third,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variety of functions because the power supply unit,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all mounted inside the body or electrode support.

넷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전원장치부, 유선/무선통신부 및 제어부를 좌측 또는 우측 전극지지부에 모두 내장시킬 수 있으므로 몸체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Four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edded in both the power supply unit,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to the left or right electrode suppor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내부에 전원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일반 형광등 회로, 전자 스타터가 내장된 형광등 회로,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회로에 별도의 수정이나 변경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Fif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power supp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both a conventional fluorescent circuit, a fluorescent circuit with an electronic starter, a fluorescent circuit of an inverter method without any additional modification or change.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제어부에 적색, 녹색, 청색의 LED를 구 동할 수 있는 LED 구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필요시 각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백색광을 발생시키거나, 적색, 녹색, 청색 LED를 각각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무선통신부나 유선통신부를 통한 제어 명령에 의해 밝기 조절, 색상 조절, 온/오프 제어 등의 다양한 동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xthly,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D driver for driving red, green, and blue LEDs in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white light or controls red, green, and blue LEDs, respectively,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control effects such as brightness control, color control, on / off control can be obtained by the control command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wire communication unit.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방열을 위한 방열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몸체부의 외측에 요철 형태의 방열 핀을 형성하여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효과적인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Seven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heat dissipation fin of the concave-convex shape on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area for heat dissipation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air to obtain an effective heat dissipation effect.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별도의 확장장치를 몸체부에 장착하여 LED의 빛을 특정 영역으로 쉽게 조사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Eigh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effect of easily irradiating the light of the LED to a specific area by mounting a separate expansion device in the body portion.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몸체부의 전부 또는 몸체부의 일부 영역에 탄소화합물을 같이 사용함에 의하여 LED 점등시 발생하는 열로 탄소화합물을 가열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의 방출 효과를 얻어 피로회복, 항균효과, 공기정화 등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Nin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arbon compound in the entire body portion or a part of the body portion together by heating the carbon compound by the heat generated when the LED lights to obtain the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fatigue recovery, antibacterial effect Additional effects such as air purification can be obtained.

열째,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빛투과부의 단면이 반원형, 반타원형, 사각형, 역삼각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Tenth, since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semi-circular, semi-elliptic, square, inverted triangle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이하, LED 전구)는 빛투과부, 몸체부, 및 전극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LED bul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part, a body part, and an electrode support part.

상기 빛투과부는 LED에서 방사되는 빛을 분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빛투과부는 몸체부와 결합되는 구조이며 단면의 형태는 반원형, 사각형 또는 역삼각형 등 여러 가지 형태가 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tting part serves to disper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and is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glass or plastic material.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a variety of forms, such as semi-circular, square or inverted triangle.

상기 몸체부는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기판과, 열전도성 기판에 배치된 LED를 포함하며, LED는 제어부와 연결된다.The body portion includes a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disposed below the body portion and an LED disposed on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and the LE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상기 몸체부는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탄소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or a carbon compound emitting far infrared rays.

상기 몸체부는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열 구멍을 몸체부의 일측면에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form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at can effectively emit heat generated from the LED.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방열 요철은 경우에 따라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요철이 많을수록 공기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방열의 효과가 증대되게 된다.Heat dissipation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may be adjusted in some cases. More unevenness increases the contact area of air,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heat dissipation.

상기 몸체부의 단면은 사각형, 반원형 또는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quadrangular, semicircular or rhombus.

상기 전극지지부는 몸체부의 좌우로 각각 구성되며 전극을 고정하는 전극고정용기판, 전원장치부, 제어부, 유선통신부 등을 좌측 또는 우측 전극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비하거나 양측으로 회로를 분산하여 구비하고, 몸체부와 전극지지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합 홈을 포함한다. The electrode support part is configur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fixing substrate, a power supply unit, a control unit, a wired communication unit, etc. to fix the electrode inside any one of the left or right electrode support unit or by distributing the circuit to both sides. And it comprises a coupling groove for facilitating the fastening of the body portion and the electrode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전구는 LED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 원격유선제어를 위한 유선통신부, 제어부와 유선통신부 및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부, 및 적외선 신호나 전파무선 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수신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LED, a wired communication unit for remote wired control,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LED, and receiving the infrared signal or radio wave radio signal It includes a wireless receiver for.

상기 제어부는 무선신호나 적외선신호, 또는 유선통신부로부터 온/오프 명령, 밝기 조절 명령, 색상 변경 명령 등을 받아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고 내부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에 사용자가 설정한 LED의 색상 변경치와 밝기 변경치를 저장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일측에 구비된 시리얼통신 단자를 통하여 유선통신부와 송수신을 한다.The controller receives an on / off command, a brightness control command, a color change command, etc. from a wireless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or a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performs each operation by a built-in microprocessor, and the user sets the internal flash memory. It stores the color change value and brightness change value of one LED and transmits and receives with wired communication unit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at one side of microprocessor.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적색, 녹색, 청색의 LED를 구동하는 각각의 PWM 드라이버에 구동신호의 크기를 증감시킴으로써 적색, 녹색, 청색의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색상의 연출도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백색 LED만을 모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can change the brightness of red, green, and blue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signal to each PWM driver that drives the red, green, and blue LEDs, and can produce various colors by the combination thereof. Don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ll of the white LED.

상기 유선통신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시리얼 통신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명령을 아날로그로 변조시켜 전원공급선에 실어 송출하는 기능과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외부 장치를 통해 밝기 조절 명령, 색상 조절 명령, 온/오프 명령 등을 아날로그로 변조시켜 전원선에 실려서 유입되면 이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복조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시리얼 통신의 수신 단자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방식이라고 한다.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modulates the transmission command output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icroprocessor 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rightness control command, a color control command, It modulates the on / off command into analog and enters the power line to receive this signal, demodulates it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serial communication of the microprocessor. Generally called power line commun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a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 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element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7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of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of FIG. 7.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bulb for replacing a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7.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10)(이하, LED 전구)는 전극(1)과 전극지지부(2), 몸체부(16) 및 빛투과부(3)를 포함한다. 7 to 9,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1, an electrode support part 2, a body part 16, and It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몸체부(16)는 빛투과부(3)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LED 전구(10)가 종래 기술에 의한 형광등(100, 도 1a 참조)과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적어도 한 개의 엘이디(LED)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몸체부(16)의 하면에는 열전도성 기판(14)이 설치된다. 열전도성 기판(14)에는 적어도 한 개의 LED(13)가 설치되며, 적어도 한 개의 LED(13)는 제어부(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ody portion 16, together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the LED bulb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similar to the fluorescent lamp 100 (see Fig. 1a) according to the prior art, at least one LED (LED) As a support, a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 At least one LED 13 is installed on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4, and the at least one LED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7.

몸체부(16)는 적어도 한 개의 LED(13)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을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몸체부(16)의 상면과 하면의 한쪽 또는 양 표면에 방열 요철(凹凸), 즉 방열 핀(fin)을 형성할 수 있다(도 16,17 참조). 또는 방열을 위해 몸체부(16)에 복수 개의 방열 구멍(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 구멍은 몸체부(16)의 하면과 빛투과부(3)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몸체부(16)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6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to dissipate heat generated by the at least one LED 13. In addition, heat dissipation irregularities, that is,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part 16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see FIGS. 16 and 17).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body 16 for heat dissipation.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16 so that air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또한, 몸체부(16)는 적어도 한 개의 LED(13)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탄소화합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몸체부(16)의 전체 또는 일부를 원적외선 방출 가능한 탄소화합물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6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a carbon compound capable of emitting far infrared rays by heat generation of at least one LED (13). That is, the whole or part of the body part 16 can be formed from the carbon compound material which can emit far-infrared rays.

전극지지부(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전구(10)가 기존의 형광등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형광등 소켓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종래의 형광등 소켓에 대응되는 개수의 전극(1)을 지지한다. The electrode support 2 is to allow the LED bulb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upled to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socke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socket, the number of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socket Support (1).

도 7과 같이 종래의 막대형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LED 전구(10)는 전극지지부(2)가 좌측 전극지지부(2-1)와 우측 전극지지부(2-2)를 포함한다. 막대형 형광등을 대체하는 LED 전구(10)의 전극지지부(2)가 도 9a에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LED bulb 10 formed to replace a conventional bar fluorescent lamp includes an electrode support 2 having a left electrode support 2-1 and a right electrode support 2-2. The electrode support 2 of the LED bulb 10 replacing the rod fluorescent lamp is shown in FIG. 9A.

좌측 전극지지부(2-1)의 내부에는 도 8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를 구성하는 회로부품들을 좌측 전극지지부(2-1)와 우측 전극지지부(2-2)에 임의적으로 분산하여 설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A, a power supply unit 5, a wired communication unit 6, and a control unit 7 may be installed in the left electrode support unit 2-1. Although not illustrated, circuit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unit 5,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6, and the controller 7 may be arbitrarily provided to the left electrode support 2-1 and the right electrode support 2-2. Can be distributed and installed.

도 9a를 참조하면, 전극지지부(2)는 바닥이 있는 원형 그릇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의 전극(1)이 납땜 등으로 고정된 전극고정용기판(21)이 내부에 설치된다. 전극고정용기판(21)은 전극지지부(2)의 안쪽에 전극(1)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삽입한 후, 별도의 고정볼트(17)를 사용하여 안쪽에서 고정시킨다. 아울러 전극지지부(2)는 몸체부(16)와 빛투과부(3)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홈(24)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the electrode support part 2 is formed in a circular bowl shape with a bottom, and an electrode fixing substrate 21 having two electrodes 1 fixed by soldering or the like is installed therein. The electrode fixing substrate 21 is inserted into the electrode support 2 so that the electrode 1 protrudes outward, and then fixed from the inside using a separate fixing bolt 17. In addition, the electrode support 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24 to fasten the body portion 16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좌측 전극지지부(2-1)의 내부에는 전극고정용기판(21)의 상측으로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가 모두 장착되어 있다. 전원장치부(5)의 일측에는 도 11과 같이 D1~D8로 구성된 제1 및 제2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전극연결부(30)가 내장되어 있다. 좌측 전극지지부(2-1)의 제1 및 제2전극 P1,P2은 전극 연결부(30)의 제1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D1~D4로 연결되고, 우측 전극지지부(2-2)의 제3 및 제4전극 P3,P4는 전극 연결부(30)의 제2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D5-D8로 전선(11)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다.The power supply unit 5,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6, and the control unit 7 are all mounted above the electrode fixing substrate 21 inside the left electrode support unit 2-1. On one side of the power supply unit 5 is built in the electrode connecting portion 3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bridge circuit composed of D1 ~ D8 as shown in FI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of the left electrode support part 2-1 are connected to diodes D1 to D4 constituting the first bridge circuit of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30,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of the right electrode support part 2-2 are connected.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are connected to the diodes D5-D8 constituting the second bridge circuit of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30 through the wires 11, respectively.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전극 P1,P2에 다이오드 D1~D4가 연결되어 제1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제3 및 제4전극 P3,P4에 다이오드 D5~D9가 연결되어 제2브리지 회로를 구성한다. 이 전극연결부(30)의 제1 및 제2브리지 회로의 + 출력과 - 출력은 각각 병렬로 결선되어 회로 보호용 퓨즈(9)를 통해 전원장치부(5)에 공급된다. 전원장치부(5)는 LED(13)를 구동하는 제어부(7)에 직류를 인가하고, 이 직류 전원은 직류 레귤레이터(도 12의 32)를 통해 LED(13)의 공통단자(COM)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도 12의 33)에도 전원을 공급한다. Referring to FIG. 11, diodes D1 to D4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to form a first bridge circuit, and diodes D5 to D9 are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to a second bridge. Configure the circuit. The + and −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circuits of the electrode connection unit 30 are connected in parallel, respectively, and ar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5 through the circuit protection fuse 9. The power supply unit 5 applies a direct current to the control unit 7 for driving the LED 13, and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operates at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LED 13 through a direct current regulator (32 in FIG. 12). Power is supplied to the microprocessor (33 in FIG. 12).

마이크로 프로세서(33)는 무선수신부(8)와 유선통신부(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수신부(8)는 전파 또는 적외선 방식의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3)로 전송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3)는 내부에 프로그램 된 내용에 따라 적어도 한 개의 LED(13)를 각각 제어하여, LED 전구(10)의 온/오프, 색상 변경, 밝기 변경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유선통신부(6)는 결합 콘덴서(28)를 통해 전극 연결부(30)의 출력 전원과 연결되며, LED 전구(10)와 별도로 설치된 외 부장치(미도시)와 제어부(7) 사이의 밝기 조절, 색상 조절, 온/오프 등의 명령 신호와 응답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조시킨 후 인가된 전원라인에 중첩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The microprocessor 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receiver 8 and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6. The wireless receiver 8 receives a command signal of a radio wave or an infrared type and transmits the command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33. The microprocessor 33 controls at least one LED 13 according to the contents programmed therein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on / off, color change, and brightness change of the LED bulb 10. 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6 is connected to the output power of the electrode connection unit 30 through the coupling capacitor 28, the brightness between the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7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LED bulb 10. It modulates command signal and response signal such as control, color control, on / off into analog, and transmits and receives it by superimposing on the applied power lin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구의 제어부(7)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12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7 of the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3)의 내부에는 메모리(38)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LED(13)에 대한 임의적인 밝기와 색상 설정치를 기억시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저장된 값을 읽어내어 원하는 밝기나 색상으로 LED(13)를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메모리(38)로는 플레시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수신부(8)에서 전파 신호나 적외선 신호로 받은 명령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3)의 인터럽트 단자와 같은 포트에 인가하여 명령을 쉽게 판독할 수 있게 구성하고, OUT1, OUT2, OUT3의 3개의 출력을 구비하여 각각의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드라이버(34)(이하, PWM 드라이버)에 개별적인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각각의 PWM 드라이버(34)의 출력은 구동 FET(Field Effect Transistior,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TR(Transistor,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35)(Q1,Q2,Q3)를 통해 해당 LED(13)를 구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2, a memory 38 is built into the microprocessor 33 so that the user may store arbitrary brightness and color settings for each LED 13 so that the user may read the stored values as needed. It is formed to drive the LED 13 to the desired brightness or color. A flash memory may be used as the memory 38. The command signal received by the radio receiver 8 as a radio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is applied to the same port as the interrupt terminal of the microprocessor 33 so that the command can be easily read, and the three outputs of OUT1, OUT2, and OUT3 are configure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ly a separate drive signal to each Pulse Width Modulation driver 3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WM driver). The output of each PWM driver 34 drives the corresponding LED 13 through devices 35 (Q1, Q2, Q3) such as drive FETs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TRs (Transistors, Transistors). Done.

예들 들어 T1 출력단에 백색 LED를 연결하는 경우 백색광만이 얻어지고 T1에 적색 LED, T2에 녹색 LED, T3에 청색 LED를 각각 연결하는 경우 적색, 녹색, 청색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칼라의 빛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you connect a white 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1, only white light is obtained, and if you connect a red LED to T1, a green LED to T2, and a blue LED to T3, you can produce various colors of light by the combination of red, green, and blue. The effect can be obtained.

밝기 조절 동작은, 예들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3)에서 PWM 드라이버(34) 에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 펄스의 듀티비가 최고일 때 LED(13)에 흐르는 전류가 최대가 되어 가장 밝게 된다. 역으로 이 듀티비를 감소시키면 LED(13)에 흐르는 전류가 줄어 들어 어둡게 된다.The brightness adjustment operation is the brightest, for example, when the duty ratio of the digital signal pulses applied to the PWM driver 34 in the microprocessor 33 is the highest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ED 13 becomes the maximum. Conversely, reducing this duty ratio decreas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ED 13, making it dark.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적외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 펄스의 듀티비의 증가 또는 감소 명령을 마이크로 프로세서(33)가 판독하여 PWM 드라이버(34)에 인가하는 디지털 신호의 듀티비를 변화시키고 이것은 결국 PWM 드라이버(34)의 출력을 변화시킨다. PWM 드라이버(34)의 출력이 변화되면, LED(13)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되여, LED(13)의 밝기가 변화되는 것이다. 이것은 LED(13)로 적색, 녹색, 및 청색 LED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 형태로 동작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33 reads an increase or decrease command of the duty ratio of a digital signal puls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infrared, or wired communication, and changes the duty ratio of the digital signal applied to the PWM driver 34. This in turn changes the output of the PWM driver 34. When the output of the PWM driver 34 chang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ED 13 changes,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LED 13 changes. This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using the red, green, and blue LEDs as the LEDs 13.

구동 FET(35)의 전극에는 코일(37) 및 저항(36)이 연결되어 있다. 저항(36)(R1, R2, R3)은 PWM 드라이버(34)의 안정적인 구동동작을 위한 전류센싱용 저항으로서, 이것은 해당 LED(13)에 전류가 많이 흐르면 이 저항 양단의 전압이 상승하고, 이것이 PWM 드라이버(34)에 전달되면 PWM 드라이버(34)는 역으로 출력신호의 크기를 낮추어서 해당 LED(13)의 구동전류량을 줄여준다.The coil 37 and the resistor 36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s of the driving FET 35. Resistor 36 (R1, R2, R3) is a current sensing resistor for stable driving operation of PWM driver 34. When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in the corresponding LED 13, the voltage across this resistance increases. When delivered to the PWM driver 34, the PWM driver 34 conversely lower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of the corresponding LED 13.

만약 저항(36) 양단의 전압이 낮은 경우는 PWM 드라이버(34)에 전달되는 전압이 줄어들게 되고, 전압이 낮아지면 PWM 드라이버(34)는 역으로 출력신호의 크기를 증가시켜 해당 LED(13)의 구동전류량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항시 일정량의 전류가 해당 LED(13)에 흐르게 된다. If the voltage across the resistor 36 is low, the voltage delivered to the PWM driver 34 decreases, and when the voltage decreases, the PWM driver 34 conversely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so a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LED 13. Increase the drive current. As a result, a constant amount of current flows through the corresponding LEDs 13 at all times.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33)에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이 신호의 크기에 준한 PWM 드라이버(34)의 출력의 크기가 결정되어 해당 LED(13)를 구동하며, 이 구동 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전류센싱 저항(36)을 통해 검출전압을 감지하여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일정량의 전류가 LED(13)에 흐르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a drive signal is applied from the microprocessor 33, the output of the PWM driver 34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s determined to drive the corresponding LED 13, and the current is maintained so that the drive value is kept constant. The sensing resistor 36 senses the detection voltage to operate a certain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continuous feedback to the LED (13).

도 1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단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16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구(10)를 설치한 경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FIG. 13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the LED bulb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luorescent lamp socket 160 of the conventional single output inverter type.

도 13을 참조하면, 공급 전원은 라인필터(140)를 통하여 잡음이 제거되고 정류기(141)에서 직류로 변환된 후 발진부(142)에 공급된다.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발진부(142)는 수십 KHZ의 주파수를 발진하여 이를 인버터 구동부(143)에서 FET 소자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소자 등의 TR와 같은 소자로 구동하여 수십 KHZ의 교류 전압이 LED 전구(10)의 제1전극 P1에 인가되어 도 11의 다이오드 D1을 통해 전원장치부(5)의 일측에 공급된다. 제2전극 P2는 형광등 소켓(160)의 콘덴서(CAP)의 일측에 연결되고 콘덴서(CAP)의 다른 일측은 제4전극 P4에 연결된 후 도 11의 다이오드 D5를 통해 회로가 형성되면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 전원이 전극연결부(30)와 전원장치부(5)에 의해 정류되어 직류로 되므로, LED 전구(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supply power is supplied to the oscillator 142 after the noise is removed through the line filter 140, converted to direct current by the rectifier 141. When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he oscillator 142 oscillates a frequency of several tens of KHZ, and the inverter driver 143 drives it with a device such as a TR such as an FET device or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device, and the like. An AC voltage of KHZ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1 of the LED bulb 10 and supplied to one side of the power supply unit 5 through the diode D1 of FIG. The second electrode P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pacitor CAP of the fluorescent lamp socket 160, and the other side of the capacitor CAP is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P4, so that power is supplied while a circuit is formed through the diode D5 of FIG. 11. do. Since this power source is rectified by the electrode connection unit 30 and the power supply unit 5 to be a direct current, the LED bulb 10 can operate normally.

도1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양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17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구(10)를 설치한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도 13의 형광등 소켓(160)과 기본적인 인버터의 동작은 같으나 인버터의 출력이 각각 제1 내지 제4전극 P1,P2,P3,P4에 인가되어 제1 및 제2전극 P1,P2에 인가되는 전원은 도 11의 다이오드 D1~D4가 정류하고 제3 및 제4전극 P3,P4에 인가되는 전원은 도 11의 다이오드 D5~D8이 1차 정류하고, 이 전원을 전원장치부(5)가 다시 정류하 여 직류를 만들게 되므로, LED 전구(10)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 Fig. 14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the LED bulb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luorescent lamp socket 170 of the positive output inverter ty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fluorescent lamp socket 160 of FIG. 13 but the basic inverter, the output of the inverter is a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s P1, P2, P3, P4, respectively,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P2 The diodes D1 to D4 of FIG. 11 rectify and the power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is primarily rectified by the diodes D5 to D8 of FIG. 11, and the power supply unit 5 rectifies the power. By making a direct current, the LED bulb 10 can operate normally.

도 15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 소켓(15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구(50)를 설치한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when the LED bulb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ipolar fluorescent lamp socket 150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5를 참조하면, 교류 전원은 안정기(L1)의 일측에 인가되고 안정기(L1)의 반대측은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50)의 제1전극(P1)에 인가되고, 제2전극(P2)에 교류 전원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 교류 전원은 도 11의 제1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D1~D4에 공급되어 직류로 정류됨으로써, LED 전구(50)의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진다. LED 전구(50)에 설치된 다이오드 D5~D8은 이 경우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Referring to FIG. 15, AC power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ballast L1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ballast L1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1 of the LED bulb 50 for replacing the fluorescent lamp, and the second electrode P2. At one end of the AC power supply is connected. The AC power is supplied to the diodes D1 to D4 constituting the first bridge circuit of FIG. 11 and rectified by direct current, whereby the normal operation of the LED bulb 50 is performed. Diodes D5 to D8 provided in the LED bulb 50 do not need to be used in this case.

빛투과부(3)는 LED(13)에서 방출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플라스틱 및 유리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며, LED(13)를 보호하고, LED(13)에서 방출된 빛을 효과적으로 방사하거나, 모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빛투과부(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빛투과부(3)는 LED(13)의 발열을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탄소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빛의 방사각의 확대를 원할 경우에는 반원형의 빛투과부(3-1)를 사용하고, 빛을 그대로 방사할 경우에는 평면형의 빛투과부(3-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사 빛을 모아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삼각형 형태의 빛투과부(3-4)를 사용하여 조광홀(25)을 통해 원하는 영역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빛투과부(3)를 형성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glass so as to pass light emitted from the LED 13, protects the LED 13, and effectively preven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3. Either radiate or collect and use. In addition, since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 decorative effec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ssion unit 3 may be formed to include a carbon compound capable of emitting far infrared rays by us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LED (13). When the radiation angle of the light is to be enlarged, a semi-circular light transmitting part 3-1 may be used, and when the light is emitted as it is, a flat light transmitting part 3-2 may be used. In addition, when the radiation light is to be collected and used, light may be irradiated to a desired area through the dimming hole 25 using the light transmitting part 3-4 having an inverted triangle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9B. In addition to this, the light transmitting unit 3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o suit the user's use.

몸체부(16)는 단면을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대략 둥근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몸체부(16)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구(10)에 다양한 형태의 빛투과부(3)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둥근 형상의 몸체부(16)는 각각 반원형, 사각형, 역삼각형 단면의 형상을 갖는 빛투과부(3-1,3-2,3-3)와 결합되어 있다. Body portion 16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ular, rectangular cross section. FIG. 16 shows a case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3 of various forms is coupled to the LED bulb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body 16 formed in a substantially round cross section. In FIG. 16, the round body 16 is coupled to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3-1, 3-2, and 3-3 having a semicircular, rectangular, and inverted triangular cross section.

도 17은 대략 사각형 단면의 몸체부(16)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구(10)에 다양한 형태의 빛투과부(3)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몸체부(16)에 결합된 빛투과부(3)의 단면은 대략 반원형(3-1), 사각형(3-2) 및 역삼각형(3-3)으로 형성된다. 몸체부(16)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요철 형태의 방열 핀(fin) 또는 방열 날개(18)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16)의 외주에는 빛투과부(3)가 결합되는 결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FIG. 17 shows an example in which various types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 are applied to an LED bulb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ody portion 16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6 is formed in approximately a semicircle 3-1, a square 3-2 and an inverted triangle 3-3. Heat dissipation fin (fin) or heat dissipation wing 18 of the concave-convex shap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 the coupling portion 19 to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16 Is formed.

도 18a 및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구(10')에 빛투과부를 확장하기 위해 별도의 확장부(22)를 사용하여 결합시킨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확장부(22)가 설치되고, 빛투과부(3)가 분리된 도 18a의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8A and 19A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n LED bulb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using a separate extension part 22 to exp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FIG. 2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10 'of FIG. 18A in which the expansion unit 22 is install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3 is separated.

도 18a를 참조하면, 확장부(22)는 LED(13)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특정 영역으로 모으거나 확대할 수 있다. 확장부(22)의 상측은 몸체부(16)와 결합되고, 확장부(22)의 하측은 빛투과부(3)가 결합되는 고정홀더(23)을 구비한다. 빛투과부(3)는 플라스틱 및 유리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구성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22)에 결합되는 빛투과부(3)는 빛의 방사각의 확대를 원할 경우에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의 빛투과부(3)를 사용하고, 빛을 그대로 방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평면형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 빛을 모아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는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삼각형 형태의 빛투과부(3-4)를 사용하여 조광홀(25)을 통해 원하는 영역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빛투과부(3)를 적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8A, the expansion unit 22 may collect or enlarg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3 to a specific region. An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22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6, and a low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22 includes a fixing holder 23 to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3 is couple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glas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coupled to the extension 22 uses a semicircular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as shown in FIG. 18B when the radiation angle of the light is to be enlarged, and when the light is to be radiated as it is. Planar shapes can be used. When the radiation light is to be collected and used, light may be irradiated to a desired area through the dimming hole 25 using the light transmitting part 3-4 having an inverted triangle shape as shown in FIGS. 19A and 19B. .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light transmitting parts 3 may be applied to the user's use.

도 2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D형 또는 PL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b는 도 21a의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의 정면도, 도 21c는 도 21a의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의 좌측면도, 도 21d는 도 21a의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를 세로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a는 도 21a의 LED 전구를 선 A-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2b는 도 21b의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를 선 B-B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종래 기술에 의한 D형 또는 PL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21a is a plan view showing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replace a D-type or PL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1b is a front view of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of Figure 21a, Figure 21C is a left side view of the fluorescent light bulb replacement LED bulb of FIG. 21A, and FIG. 21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uorescent light bulb replacement LED bulb of FIG. 21A. FIG. 2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D bulb of FIG. 21A taken along line A-A, and FIG. 2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D replacement bulb of FIG. 21B taken from line B-B.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bulb for replacing a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replacing a D-type or PL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1a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D형 또는 PL형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50)는 4개의 전극(1), 전극지지부(2), 몸체부(16), 및 빛투과부(3)를 포함한다. 21A to 23, a conventional D-type or PL-typ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electrodes 1, an electrode support part 2, and a body part 16. ),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4개의 전극(1)과 전극지지부(2)는 종래의 D형 또는 PL형 형광등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our electrodes 1 and the electrode support 2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so as to be coupled to a conventional D-type or PL-type fluorescent lamp socket.

전극지지부(2)의 내부에는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장치부(5)에는 4개의 전극(1)과 연결된 전극연결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전파나 적외선에 의한 무선 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8)도 전극지지부(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 무선수신부(8)의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side the electrode support 2, a power supply unit 5, a wired communication unit 6, and a control unit 7 are provided. The power supply unit 5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electrode connector 30 connected to the four electrodes 1. In addition, a radio receiver 8 capable of receiving radio communication by radio waves or infrared rays may also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2. Sinc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5,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6, the control unit 7, and the wireless receiver 8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몸체부(16)에는 빛투과부(3)와 함께 LED 전구(50)가 종래 기술에 의한 D형 또는 PL형 형광등의 외형과 유사한 외형을 갖도록 한다. 몸체부(16)의 내부 표면에는 열전도성 기판(14)이 설치된다. 열전도성 기판(14)에는 적어도 한 개의 LED(13)가 설치되며, 적어도 한 개의 LED(13)는 제어부(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LED(13)가 몸체부(16)에 2열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LED(1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는 LED(13)의 온/오프, 색상,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body portion 16, together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the LED bulb 50 has an appearance similar to that of the D-type or PL-typ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4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 At least one LED 13 is installed on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4, and the at least one LED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Ds 13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body portion 16,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LEDs 13 may be arranged in various numbers and shapes as necessary. Therefore, the controller 7 may control on / off, color, and brightness of the LED 13.

빛투과부(3)는 LED(13)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플라스틱 및 유리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며, LED(13)를 보호하고, LED(13)에서 방출된 빛을 제어하고, 실내 장식적인 효과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1a의 LED 전구(50)에 결합될 수 있는 빛투과부(3)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원형 단면, 사각형 단면, 역삼각형 단면의 빛투과부(3-5,3-6,3-7)를 나타낸다.The light transmission part 3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glass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3, protects the LED 13, and control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3. And, i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the indoor decorative effect. FIG. 24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3 that can be coupled to the LED bulb 50 of FIG. 21A,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3-5 and 3 of a circular cross section, a square cross section, and an inverted triangle cross section, respectively. 6,3-7).

도 25a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5b는 도 25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5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replacing a bipolar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5B is a front view of the LED replacement bulb of FIG. 25A.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of FIG. 25A.

도 25a, 도 25b,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60)는, 2개의 전극(1), 전극지지부(2), 몸체(16), 빛투과부(3)를 포함한다.25A, 25B, and 26, a dipole typ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6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electrodes 1, an electrode support 2, It includes a body 16,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2개의 전극(1)과 전극지지부(2)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극지지부(2)에는 종래의 2극형 형광등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체결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4)는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극(1)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2개의 전극(1)은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지지부(2)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극(1)을 전극지지부(2)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된 직선 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The two electrodes 1 and the electrode support 2 are formed to be coupled to a bipolar fluorescent lamp so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fore, the electrode support part 2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fastening part 4 as that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bipolar fluorescent lamp. The fastening part 4 is provided between two electrodes 1 as shown in FIG. 25A. In addition, the two electrodes 1 may be arranged o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electrode support 2 as shown in FIG. 27A.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27B, the two electrodes 1 may b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electrode support part 2.

전극지지부(2)의 내부에는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장치부(5)에는 2개의 전극(1)과 연결된 전극연결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전파나 적외선에 의한 무선 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8)도 전극지지부(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를 형성하는 기판에는 방열을 위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공기 구멍(39)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외의 전원장치부(5), 유선통신부(6), 제어부(7), 무선수신부(8)의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side the electrode support 2, a power supply unit 5, a wired communication unit 6, and a control unit 7 are provided. The power supply unit 5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electrode connector 30 connected to the two electrodes 1. In addition, a radio receiver 8 capable of receiving radio communication by radio waves or infrared rays may also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2. A plurality of air holes 39 may be formed in the substrate forming the power supply unit 5,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6, and the control unit 7 as shown in FIG. 26 for heat dissipation. Sinc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5,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6, the control unit 7, and the wireless receiving unit 8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몸체부(16)는 전극지지부(2)의 일측, 즉 2개의 전극(1)이 형성된 측면과 반 대측면에 설치된다. 몸체부(16)의 일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LED(13)가 장착된 열전도성 기판(14)이 설치된다. 도 28은 열전도성 기판(14)에 설치된 복수 개의 LED(13)의 배치를 나타낸다. 또한, 몸체부(16)의 외주면에는 도 25a, 도 25b,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을 위해 복수 개의 환기구(2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의 공기가 몸체부(16)에 형성된 방열 핀(18)에 직접 접촉할 수 있으므로 LED(13)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LED(13)는 원형으로 배치되고, 몸체부(16)와 열전도성기판(14)의 중심에는 전선통로(15)가 형성된다. LED(13)와 제어부(7)를 연결하는 전선(11)이 전선통로(15)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도 28이 몸체부(16)에 설치되는 LED(13)의 배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LED(1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support 2,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two electrodes 1 are formed.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4 on which at least one LED 13 is mounted. 28 shows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LEDs 13 provided on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4.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6 for heat dissipation as shown in FIGS. 25A, 25B, and 26. Then, the outside air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fin 18 formed in the body portion 16 can effectively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LED (13). Referring to FIG. 28, a plurality of LEDs 13 are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and wire passages 15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6 and the thermal conductive substrate 14. An electric wire 11 connecting the LED 13 and the control unit 7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electric wire passage 15. 28 does not limit the arrangement of the LEDs 13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6. The LEDs 13 may be arranged in various numbers and shapes as needed.

2개의 전극(1)은 전원장치부(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몸체부(16)의 일측에는 빛투과부(3)가 결합 된다. 도 29는 도 25a의 LED 전구(50)의 몸체부(16)에 결합될 수 있는 빛투과부(3)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각각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빛투과부(3-8), 몸체부(16)와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빛투과부(3-9), 사각뿔형의 빛투과부(3-10)를 도시하고 있다.The two electrodes 1 allow power to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5,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16. FIG. 29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that can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6 of the LED bulb 50 of FIG. 25A. FIG. 29 show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3-8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3-9 having a semicircular surface facing the surface joined with the body portion 16,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having a triangular pyramid shape. 10).

도 30은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0의 LED 전구(60')는 사각형의 전극지지부(2)와 몸체부(16) 및 사각뿔형의 빛투과부(3)를 갖는다. 전극지지부(2)의 내부에는 전극지지부(2)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전원장치부(5), 유선 통신부(6), 제어부(7)가 중첩되어 설치된다. 몸체부(16)의 외부에는 복수 개의 방열 핀(18)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지지부(2)와 몸체부(16)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외에는 상술한 원형의 단면을 갖는 2극형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60)와 동일/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bipolar fluorescent lamp LED bulb replacement. The LED bulb 60 ′ of FIG. 30 has a rectangular electrode support 2, a body 16, and a square pyramid-shaped light penetrating portion 3.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2, a power supply unit 5, a wired communication unit 6, and a controller 7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electrode support 2 are overlapped.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8 are formed outside the body portion 16. Except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electrode support portion 2 and the body portion 16 is formed in a quadrangl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bipolar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60 having the circular cross section described above.

도3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원형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70)의 정면도, 도 31b는 도 31a의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70)의 평면도이다. Figure 31a is a front view of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replace a circular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1b is a plan view of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70 of Figure 31a to be.

도 31a 및 도 3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원형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70)는 4개의 전극(1), 전극지지부(2), 몸체(16), 빛투과부(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1A and 31B, a circular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electrodes 1, an electrode support part 2, a body 16,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3.

몸체(16)와 빛투과부(3)는 종래의 원형 형광등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링형상의 몸체(16)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LED(13)가 설치된다. 빛투과부(3)는 몸체(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빛투과부(3)에 대응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LED(13)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킨다. 빛투과부(3)는 LED(13)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6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 are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conventional circular fluorescent lamp, and a plurality of LEDs 13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shaped body 16. The light transmission part 3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ssion part 3 so as to be coupled to the body 16, and trans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3. The light transmitting part 3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plastic or glass so as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ED 13.

4개의 전극(1)과 전극지지부(2)는 종래의 원형 형광등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몸체(16)에 설치된 LED(13)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한다. 4개의 전극(1)과 이를 지지하는 전극지지부(2)의 구조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our electrodes 1 and the electrode support 2 are formed to be coupled to a conventional circular fluorescent lamp socket, and supply and control power to the LED 13 installed in the body 16.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our electrodes 1 and the electrode support 2 supporting them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존의 형광등 소켓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류전원이 나 교류전원이 직접 인가되는 별도의 LED 전구 전용 소켓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ing a separate LED bulb dedicated socket that is directly applied to DC power or AC power. It can also be installed.

도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LED 전구(10)에 직류전원(80) 또는 교류전원(90)을 직접 인가하는 경우의 결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ing method in the case of directly applying a DC power supply 80 or an AC power supply 90 to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2의 “가”를 참고하면, 직류전원(80)의 +극이 제3 및 제4전극 P3,P4에 연결되고, 직류전원(80)의 -극이 제1 및 제2전극 P1,P2에 연결되어 있다. + 전원이 제3 및 제4전극 P3,P4에 동시에 인가되면 도 11의 회로에서 전극연결부(30)의 다이오드 D5,D7이 도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 전원은 제1 및 제2전극 P1,P2에 동시에 인가되어 도 11의 회로에서 전극연결부(30)의 다이오드 D2,D4가 도통하여 회로가 형성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 진다. Referring to “A” in FIG. 32, the + pole of the DC power supply 80 i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and the − pole of the DC power supply 80 i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Is connected to. +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simultaneously, the power is supplied by the diodes D5 and D7 of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30 in the circuit of FIG. 11,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2. Simultaneously applied to P2, the diodes D2 and D4 of the electrode connecting portion 30 are conductive in the circuit of FIG. 11 to form a circuit, thereby performing normal operation.

이와는 반대로 도 32의 “나”를 참고하면, 직류전원(80)의 +극이 제1 및 제2전극 P1,P2에 연결되고, 직류전원(80)의 -극이 제3 및 제4전극 P3,P4에 연결되어 있다. + 전원을 제1 및 제2전극 P1,P2로 인가하면 도 11의 회로에서 다이오드 D1,D3이 도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 전원은 제3 및 제4전극 P3,P4에 동시에 인가되어 도 11의 회로에서 다이오드 D6,D8이 도통하여 회로가 형성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 진다.On the contrary, referring to “B” of FIG. 32, the + pole of the DC power supply 8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and the − pole of the DC power supply 80 is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Is connected to P4. +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the diodes D1 and D3 are conducted in the circuit of FIG. 11 to supply power.-The power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In the circuit of, diodes D6 and D8 conduct to form a circuit, and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도 32의 “다”는 교류전원(90)을 제1 및 제2전극 P1,P2와 제3 및 제4전극 P3,P4에 인가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도 11의 회로에서 공급전원이 + 위상인 경우는, 제1 및 제2전극 P1,P2에 연결된 다이오드 D1,D3와 제3 및 제4전극 P3,P4에 연결된 다이오드 D6,D8이 도통하여 회로가 형성되면서 정상 동작이 이루어 지고, - 위상인 경우는 제1 및 제2전극 P1,P2의 다이오드 D2,D4와 제3 및 제4전극 P3,P4의 다이오드 D5,D7이 도통하여 회로가 형성되면서 정상 동작이 이루어 진다.3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AC power source 90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and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In this case, when the power supply in the circuit of FIG. 11 is in the + phase, the diodes D1 and D3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and the diodes D6 and D8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are turned on. As the circuit is formed,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and in the -phase, the circuit is formed by conducting the diodes D2 and D4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and the diodes D5 and D7 of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P3 and P4. Normal operation is achieved.

또한 도32의 “라”는 교류전원(90)을 한쪽의 전극, 즉 제1 및 제2전극 P1,P2에만 인가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 및 제2전극 P1,P2 간에 교류전원(90)이 인가되면 + 위상인 경우 도 11의 다이오드 D1,D4가 도통되고, - 위상인 경우 다이오드 D2,D3이 도통되어 전원이 공급되면서 정상 동작이 이루어 진다.32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AC power source 90 is applied to only one electrod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In this case, when the AC power supply 90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1 and P2, the diodes D1 and D4 of FIG. 11 are conducting in the + phase, and the diodes D2 and D3 are conducting in the + phase and are supplied with power. Normal operation is achieved.

도 33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여러 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10)를 제어하는 경우의 결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ing method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s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통상적인 전력선 통신 송,수신장치(91)에 의하여 개별적인 고유번호(#1,#2,#3,#4)와 제어명령이 공급되는 전원에 중첩되어 변조된 신호로 복수 개의 LED 전구(10)에 동시에 인가된다. 전력선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각 LED 전구(10)의 제어부가 동시에 판독하여, 신호에 자신의 고유번호와 동일한 고유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신의 고유번호가 있으면 자신의 고유번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해독하여 그에 대한 응답과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여러개의 LED 전구(10)를 설치하여 놓고, LED 전구(10)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LED 전구(10)에 대해 온/오프, 밝기제어,색상제어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LED 전구(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LED에 대해서도 각각에 대해 온/오프제어, 밝기제어, 색상제어 등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ED bulbs 10 as signals modulated by superimposing individual unique numbers (# 1, # 2, # 3, # 4) and control commands supplied by a conven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mitter and receiver 91; Is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of each LED bulb 10 reads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line at the same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has the same unique number as its own unique number, and if its own unique number is included in the unique number of the command Decode and perform response and control ac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LED bulbs 10 in this way, not only can control the LED bulb 10 as a whole, but also on / off, brightness control, color control, etc. for the individual LED bulb 10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on / off control, brightness control, color control, etc. can be per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E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D bulbs 1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첫째, 종래 개술에 의한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으나 이를 LED 전구로 대체하여 사용하면 LED의 특성상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형광등은 제조를 함에 있어 가스주입설비와 진공장치 등의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지만 LED 전구는 이러한 설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First, in the case of a general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ife is short, but if it is used by replacing it with an LED bulb, it is possible to use for a long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D. In addition, fluorescent lamps require large-scale facilities such as gas injection facilities and vacuum devices in manufacturing, but LED bulbs do not require such facilities, so they are easy to manufacture.

둘째,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 형광등 내부를 방전시키기 위하여 승압을 위한 안정기와 스타터가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LED를 사용함에 의해 안정기, 스타터와 같은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자원 절약 효과가 있다.Secondly, in the case of a general fluorescent lamp, a ballast and a starter for boosting are required to discharge the inside of the fluorescent lamp.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such as a ballast and a starter is not required by using the LED, thereby saving resources.

셋째, 일반적인 형광등은 내부에 수은과 같은 중금속 물질이 내포되어 있어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LED의 특성상 이런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Third, general fluorescent lamps contain a heavy metal material such as mercury therein, and thus have a problem of discharging environmental pollutants.

넷째, 일반적인 형광등 소켓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거나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1:1로 형광등을 LED 전구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발생한다.Fourth, the fluorescent lamp can be replaced with an LED bulb as 1: 1 without adding or changing a separate device to a general fluorescent lamp socket, which is convenient to use.

다섯째, 일반적인 형광등에서는 전구의 단면 형태가 원형으로 정해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빛투과부를 착탈 방식으로 함과 동시에 반원형, 사각형, 역삼각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이 가능함에 의해 넓은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확장부를 사용시 빛의 조사영역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어 응용 범위가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Fif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ulb in the general fluorescent lamp is determined to be circula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by being able to use a variety of forms, such as semi-circular, square, inverted triangle at the same time as the light transmission and detachment method. Do.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pplication area is expanded by obtaining a variety of light irradiation area when using the extension.

여섯째,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 과전류 보호용 퓨즈를 내장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퓨즈를 내장시켜 발열로 인한 화재, 소손, 감전, 누전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Sixth, in the case of a general fluorescent lamp, an overcurrent protection fuse has not been buil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se can be built to reduce the risk of fire, damage, electric shock, and leakage due to heat generation.

일곱째,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 통상적인 경우 밝기가 거의 정해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품 생산 시 사용 LED의 개수를 조절함에 의해 다양한 밝기의 제품 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발생한다.Seventh, in the case of a general fluorescent lamp, the brightness is almost determined in a typical cas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vantage of providing a product of various brightness can be easily provid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LED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여덟째,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 밝기를 조절하는 경우 복잡한 제어장치를 별도로 구비, 설치하여야만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기존 형광등 소켓에서 형광전구만을 빼고 대체용 LED 전구로 교체 후 원격 리모콘같은 무선통신이나 전력선 통신과 같은 유선통신방식의 수단을 사용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므로 설치경비의 절감과 사용 편리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Eighth, in the case of a general fluorescent lamp, a complicated control device had to be separately installed and installed in order to adjust the brightnes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imply removing the fluorescent lamp from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 socket and replacing it with a replacement LED bulb, such as a wireless remote control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using the means of wired communication method, so it is possible to reduce installation cost and ease of use.

아홉째,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색상을 얻기 위해 형광등 내부에 특정 가스를 주입하여 생산하거나 형광등 외부에 별도의 필림을 붙여서 구현하였으나 다양한 색상 연출이 곤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의 한 LED 전구에서는 적,녹,청색의 칼라 LED를 장착하여 적,녹,청의 색상 조합에 의한 다양한 색상 연출이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Ninth, the general fluorescent lamp is produced by injecting a specific gas into the fluorescent lamp to obtain an arbitrary color desired by the user, or implemented by attaching a separate film to the outside of the fluorescent lamp, but it was difficult to produce various colors. However,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red, green, blue color LED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a variety of colors by the color combination of red, green, blue.

열째, 본 발명에 의한 LED 전구는 내부에 전력선 통신방식과 같은 유선통신방식의 수단을 설치함에 의해 전원선을 통한 일괄 또는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개별적인 제어라 함은 각 LED 전구마다 일련의 고유번호를 부여 한 후 이 고유번호에 따른 여러 명령을 송수신하여 색상 변경, 밝기 조절, 온/오프 제어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일괄 제어라 함은 복수 개의 LED 전구로 구성된 조명장치를 특정 번호 a에서 특정번호 b 까지의 LED 전구를 동시에 온/오프 제어, 밝기 제어, 색상 변경 등의 제어를 하는 것을 말한다.Ten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llectively or individually controlled through the power line by providing a wired communication mean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therein. Individual control refers to assigning a series of unique numbers to each LED bulb and sending and receiving several commands according to this unique number to change colors, adjust brightness, and control on / off. Batch control refers to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 bulbs on / off control, brightness control, color change, etc. of LED bulbs of a specific number a to a specific number b at the same time.

열한번째, 본 발명에 의한 LED 전구는 전원장치부, 유선통신부, 제어부 등이 모두 몸체부에 일체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외관이 수려해지는 장점이 있다.Eleven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power supply unit,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like are all integrated into the body part,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열두번째, 본 발명에 의한 LED 전구는 전극지지부의 내부의 플래쉬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어 LED 전구를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밝기로 조절한 후 이를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이후에 필요하면 다시 읽어내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welf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flash memory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so that the user adjusts the LED bulb to the color or brightness desired by the user and then stores it in the memory, if necessary to read and use again later It is possible.

열세번째, 본 발명에 의한 LED 전구는 일반적인 D형 또는 PL형 형광등과 2극형 일반 형광등의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발생한다. Thirteen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in the same form in the case of a general D-type or PL-type fluorescent lamp and a bipolar general fluorescent lamp.

열네번째, 본 발명에 의한 LED 전구는 전자식 스타터를 적용한 형광등 회로와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회로에도 별도의 교체 또는 수정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Fourteenth,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fluorescent lamp circuit to which the electronic starter is applied and the fluorescent lamp circuit of the inverter type without any additional replacement or modification.

열다섯번째, 본 발명은 실시 예로 몸체부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 재질을 원적외선이 나오는 탄소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몸체 하측에 장착된 LED의 발열로 인해 몸체부가 뜨거워지면 이 탄소화합물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효과를 얻게 되고 열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eenth, the present invention emits far-infrared rays which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from the carbon compound when the body part becomes hot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LED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by using a carbon compound emitting far infrared rays as an example of the material used for all or part of the body p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btained and to reduce the waste of thermal energ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막대형 형광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형광전구의 측면도; Figure 1a is a front view showing a rod-shaped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b is a side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ure 1a;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D형 또는 PL형 형광전구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형광전구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형광전구의 좌측면도, 도 2d는 도 2a의 형광전구의 우측면도; FIG. 2A is a plan view of a D-type or PL-type fluorescent bulb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B is a front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2A, FIG. 2C is a left side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2A, and FIG. 2D is a fluorescent bulb of FIG. 2A. Right side view of;

도 3a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전구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형광전구의 정면도, 도 3c 및 도 3d는 도 3a의 형광전구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3A is a plan view of a bipolar fluorescent bulb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B is a front view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3A, and FIGS. 3C and 3D are left and right side views of the fluorescent bulb of FIG. 3A;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 소켓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4 shows a circuit of a bipolar fluorescent lamp so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단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ircuit of a fluorescent lamp socket of a single output inverter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circuit of a fluorescent lamp socket of a two-output inverter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정면도; 7 is a front view showing a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light bulb re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7;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좌측 및 우측 전극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b는 도 7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우측 전극지지부의 좌측면도;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left and right electrode support portions of a fluorescent light bulb replacement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left side view of a right electrode support portion of a fluorescent light bulb replacement LED bulb of FIG. 7;

도 10은 도 7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diode bulb for replacing a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7;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회로도;11 is a circuit diagram of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 light emitting diode bulb for replacing a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단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13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luorescent lamp socket of a single output inverter ty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양출력 인버터 방식의 형광등 소켓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14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luorescent lamp socket of a positive output inverter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5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 소켓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FIG. 15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ipolar fluorescent lamp so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도 16은 둥근 단면의 몸체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빛투과부를 나타낸 단면도;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light transmitting parts installed in the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ody of a round cross-section;

도 17은 사각형 단면의 몸체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빛투과부를 나타낸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light transmission units installed in the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ody section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도 18a는 확장부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의 빛투과부를 나타낸 사시도;FIG. 18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xtension; FIG. 18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FIG. 18A;

도 19a는 확장부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의 빛투과부를 나타낸 사시도; FIG. 19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xtension; FIG. 19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FIG. 19A;

도 20은 확장부가 설치되고, 빛투과부가 분리된 도 18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정면도; 2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of Figure 18a with the extension installe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separated;

도 2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D형 또는 PL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b는 도 21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정면도, 도 21c는 도 21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좌측면도, 도 21d는 도 21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세로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FIG. 21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replacing a D-type or PL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1B is a front view of the LED replacement bulb of FIG. 21A. FIG. 21C is a left side view of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of FIG. 21A, and FIG. 21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of FIG.

도 22a는 도 21a의 발광다이오드를 선 A-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2b는 도 22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선 B-B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FIG. 2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emitting diode of FIG. 21A taken along line A-A, and FIG. 2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light bulb of FIG. 22A taken along line B-B;

도 23은 종래 기술에 의한 D형 또는 PL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replacing a D-type or PL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도 24는 도 21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에 결합될 수 있는 빛투과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24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light transmitting unit that may be coupled to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of FIG. 21A;

도 25a는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5b는 도 25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정면도; FIG. 25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replacing a bipolar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5B is a front view of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ED bulb of FIG. 25A;

도 26은 도 25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단면도;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of FIG. 25A; FIG.

도 27a 및 도 27b는 도 25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전극지지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 27A and 27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ctrode support of the fluorescent light-emitting diode bulb of Fig. 25A;

도 28은 도 25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발광다이오드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FIG. 28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light emitting diodes of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of FIG. 25A; FIG.

도 29는 도 25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에 결합될 수 있는 빛투과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FIG. 29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light transmission unit that may be coupled to the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of FIG. 25A; FIG.

도 30은 종래 기술에 의한 2극형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replace a bipolar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원형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정면도, 도 31b는 도 31a의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의 평면도;31A is a front view of a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replace a circular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31B is a plan view of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bulb of FIG. 31A;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에 직류전원 및 교류전원을 직접 인가하는 경우의 결선방법을 나타낸 도면; 및32 is a view showing a wiring method when DC power and AC power are directly applied to a fluorescent light bulb for replacing a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3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여러 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를 제어하는 경우의 결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ing method in the cas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bulb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전극 2: 전극지지부1: electrode 2: electrode support

3: 빛투과부 4: 체결부3: light transmitting part 4: fastening part

5: 전원장치부 6: 유선통신부5: power supply unit 6: wired communication unit

7: 제어부 8: 무선수신부7: control unit 8: wireless receiving unit

9: 퓨즈 10,50,60,70: LED 전구9: fuse 10,50,60,70: LED bulb

11: 전선 D1~D8: 다이오드11: wire D1-D8: diode

13: LED 14: 열전도성 기판13: LED 14: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5: 전선통로 16: 몸체부 15: Wire passage 16: Body

17: 고정볼트 18: 방열 핀 17: Fixing bolt 18: Heat dissipation fin

19: 체결용 걸림턱 20: 환기구 19: fastening jaw 20: ventilation hole

21: 전극고정용기판 22: 확장부21: electrode fixing substrate 22: expansion portion

23: 고정홀더 24: 체결홈23: fixed holder 24: fastening groove

25: 조광 홀 28: 결합콘덴서25: dimming hole 28: coupling capacitor

29: 전자부품 32: 직류레귤레이터 29: Electronic component 32: DC regulator

33: 마이크로프로세서 34: PWM 드라이버33: Microprocessor 34: PWM Driver

35: 구동 FET 36: 전류센싱저항35: drive FET 36: current sensing resistor

37: 코일 38: 플래쉬 메모리37: coil 38: flash memory

39: 공기기구 80; 직류전원39: air mechanism 80; DC power

90; 교류전원 91; 송수신장치90; AC power supply 91; Transceiver

140: 라인필터 141: 정류기140: line filter 141: rectifier

142: 발진부 143: 인버터 구동부142: oscillation unit 143: inverter drive unit

Claims (14)

형광등 소켓에 대응되는 적어도 2개의 전극을 구비한 전극지지부;An electrode support having at least two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fluorescent lamp sockets; 상기 전극지지부와 연결되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몸체부;A body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support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installed therein;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상측으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키는 빛투과부;A light transmission part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above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부;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for apply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장치부에 +, -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연결부;An electrode connector installed in the electrode support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s to a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상기 전원장치부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install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electrode support unit and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되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 방열 핀; 및 A heat dissipation fin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external air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방열구멍;을 포함하며,And a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in the body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to the outsi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과 밝기의 설정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The controll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setting value of th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A microprocess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PWM 신호를 출력하는 PWM 드라이버; A PWM driv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microprocessor and outputting a PWM signal; 상기 PW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하는 트랜지스터; 및A transis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PWM signal and turn on / of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상기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싱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 And a current sensing resistor for measuring a current to maintain a constant current of the transisto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comprises a red light emitting diode,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and a blu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각각에 대해 상기 PWM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및 전류센싱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PWM driver, a transistor, and a current sensing resistor for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LED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된 좌측 전극지지부와 우측 전극지지부를 포함하며,The electrode support part includes a left electrode support part and a right electrode support part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art, 상기 전원장치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극지지부에 분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 The power supply unit is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bulb for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lectrod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형광등 소켓에 연결된 전원선에 중첩되어 전달되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 조절 신호, 밝기 조절 신호, 및 온/오프 제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유선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 조절 신호, 밝기 조절 신호, 및 온/오프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수신부;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Is install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and senses the color control signal,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and the on / off control signal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which is transmitted to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luorescent lamp socket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a wireless receiver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a color control signal, a brightness control signal, and an on / off control signal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transmit the wireless signal to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Diode bulb.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상기 전원장치부, 유선통신부, 및 제어부가 적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The light emitting diode bulb for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unit,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electrode suppo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부는 그 단면이 반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 The body portion of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a semi-circular or squar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빛투과부는 그 단면이 반원형, 타원형, 역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of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any one of a semi-circular, elliptical, inverted triangle or square shap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부 및 빛투과부 중 적어도 한 개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탄소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carbon compound emitting far-infrared radiation by heat generation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부와 상기 빛투과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며,It further includes an expansion portion detachably install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상기 빛투과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빛을 직진, 확산 또는 집중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a fluorescent light emitting diode light bulb for the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form that can direct, diffuse or concentr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빛투과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The at least one light transmitting portion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bulb,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2극형 형광등 소켓에 대응되는 2개의 전극과 체결부를 구비하며, 일 측면이 막힌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지지부;An electrode support having two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two-pole fluorescent lamp socket and a fastening part, the electrode supporting part having a hollow shape with one side closed; 상기 2개의 전극이 설치된 상기 전극지지부의 측면과 반대 측면으로 상기 전극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극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몸체부;A body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support part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electrode support part on which the two electrodes are installed and formed in a cross section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support part; 상기 전극지지부에 연결된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반대 측면으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at a side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electrode support portion;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상측으로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빛을 투과시키는 빛투과부;A light transmission unit installed to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above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configured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부;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for apply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2개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장치부에 +, -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연결부; 및An electrode connection part installed inside the electrode support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electrodes to a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상기 전원장치부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는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되도록 요철 형태의 방열 핀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과 밝기의 설정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Heat dissipation fins of the concave-convex shape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and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color and brightness settings of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LED Bulbs.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전극지지부와 연결되는 상기 측면에는 요철 형태의 방열 핀이 더 설치되며, 상기 전극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전극지지부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환기구가 형성되며,A heat dissipation fin having an uneven shap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electrode support part of the body part,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support part to allow outside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de support part.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적어도 한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동 대체용 발광다이오드 전구.The body portion is a fluorescent copper replacement light emitting diode light bulb,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passage through which a wire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KR1020090023512A 2009-03-19 2009-03-19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KR100972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12A KR100972040B1 (en) 2009-03-19 2009-03-19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PCT/KR2010/001711 WO2010107275A2 (en) 2009-03-19 2010-03-19 Light-emitting diode lamp as a replacement for a fluorescent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12A KR100972040B1 (en) 2009-03-19 2009-03-19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040B1 true KR100972040B1 (en) 2010-07-22

Family

ID=4264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512A KR100972040B1 (en) 2009-03-19 2009-03-19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2040B1 (en)
WO (1) WO2010107275A2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236B1 (en) * 2013-11-01 2015-09-24 한국토지주택공사 Smart led based lighting device
KR101857534B1 (en) * 2010-12-23 2018-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1546A (en) * 2019-09-06 2022-04-12 昕诺飞控股有限公司 LED filament lam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67A (en) * 2001-05-15 2001-07-25 양승순 The Method of illuminating form for the LED light source
KR20030073747A (en) * 2002-03-13 2003-09-19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Colored light variable type many purposes lighting apparatus
KR100866586B1 (en) * 2008-07-29 2008-11-03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using l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300444B2 (en) * 2003-12-11 2009-06-11 Signify North America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lighting devices
JP4645295B2 (en) * 2005-05-13 2011-03-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LED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apparatus
KR100844538B1 (en) * 2008-02-12 2008-07-08 에스엠크리에이션 주식회사 Led lamp using the fluorescent socket with the balla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67A (en) * 2001-05-15 2001-07-25 양승순 The Method of illuminating form for the LED light source
KR20030073747A (en) * 2002-03-13 2003-09-19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Colored light variable type many purposes lighting apparatus
KR100866586B1 (en) * 2008-07-29 2008-11-03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using le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34B1 (en) * 2010-12-23 2018-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KR101555236B1 (en) * 2013-11-01 2015-09-24 한국토지주택공사 Smart led based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7275A3 (en) 2010-12-23
WO2010107275A2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0131B2 (en) Solid state light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US9271354B2 (en) Lighting source and lighting apparatus
KR100759054B1 (en) Led light
US20150042239A1 (en) Tunable led lamp for producing biologically-adjusted light
EP2954565A1 (en) Solid stat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ing adjustable scotopic / photopic ratio
JP5219436B2 (en) Dimmable LED lamp for bulb-type lighting
KR100972040B1 (en) Led lamp for substituting fluorescent lamp
WO2010140498A1 (en) Illuminating device
JP2011108597A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100915892B1 (en) Led lamp
KR100918496B1 (en) Led lamp
CN217441586U (en) Power-adjustable lighting device
US20190072239A1 (en) Full-cover led bulb with large-angle illumination
JP6074704B2 (en) lighting equipment
CN109587869A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thereof
CN111867192B (en) Low standby power intelligent bulb based on linear power supply
CN204153522U (en) A kind of high lumen LED illumination lamp
JP6649998B2 (en) Lighting equipment
JP2011159391A (en) Straight tube fluorescent lamp type led light and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6764534B (en) A kind of LED energy-saving lamp
CN101855493B (en) A high-power led lamp
CN214037899U (en) Light-adjustable, color-temperature-adjustable and expandable intelligent control LED light source
KR101039995B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US20190072238A1 (en) Led bulb with large-angle illumination
CN2924272Y (en) Light-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