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114B1 - 콘크리트 보강섬유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강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114B1
KR100971114B1 KR1020090100169A KR20090100169A KR100971114B1 KR 100971114 B1 KR100971114 B1 KR 100971114B1 KR 1020090100169 A KR1020090100169 A KR 1020090100169A KR 20090100169 A KR20090100169 A KR 20090100169A KR 100971114 B1 KR100971114 B1 KR 10097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iber
air
multifilament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은 이
준 규 이
Original Assignee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filed Critical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to KR102009010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114B1/ko
Priority to JP2012517385A priority patent/JP5425304B2/ja
Priority to PCT/KR2010/004088 priority patent/WO2010151052A2/ko
Priority to EP10792334.4A priority patent/EP2447230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21D11/12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the articles being reinforcements for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08Fibrilles, e.g. fibrillated film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표면에 다수의 루프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와 배합시 양쪽 끝단이 자연적으로 풀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와의 접착성과 콘크리트내 분산성이 뛰어나 콘크리트의 강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와의 배합성이 우수하여 숏크리트 타설시 리바운드양이 크게 낮아 타설 성능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보강섬유, 공기교락, 멀티필라멘트, 루프, 접착성, 분산성, 타설성능.

Description

콘크리트 보강섬유 {Reinforce fiber of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와의 접착성과 분산성이 뛰어나 콘크리트의 강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와의 배합성이 우수해서 타설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보강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르타르, 콘크리트 및 숏크리트와 같은 시멘트재(이하 "콘크리트"라고 약칭한다)에 발생하는 초기 미세균열은 구조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투수성을 증가시켜 이의 내구성능을 저하시키며, 내구 성능 저하는 구조물의 파괴를 촉진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가 사용된 건축 구조물이나 터널 및 지하 공간 등에서 화재 발생시,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도록 일정한 내화 성능을 갖춘 콘크리트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는 균열 발생이 억제되어 내구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시 충분한 내화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 두가지 성능 확보를 위해 보강 섬유들이 첨가된 콘크리트가 개발되고 있다.
철근 찌꺼기와 같은 강섬유는 두께 0.5㎜, 길이 30㎜ 정도의 형태를 갖고, 종래 사용된 철근에 비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좋고 파괴 강도가 높고, 철근 및 메쉬의 설치가 어려운 터널 및 댐 공사 현장에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수분이 다량 존재하는 터널 등의 공사현장에 사용시 강섬유가 쉽게 부식되고, 고가이고, 비중이 높아 콘크리트 내에서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특히 숏크리트 타설시 강섬유가 튕겨져 나오는 양(리바운드 양)이 증가하고, 콘크리트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미국등록특허 5,749,961호 및 대만민국 공개특허 2003-47669호 등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보강재료로서 강섬유 등의 강재 보강재료 대신에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섬유는 강섬유에 비해 비중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하면서도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강섬유보다 더 보강시켜 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합성섬유는 콘크리트의 휨강도나 휨성능 등의 기본적인 구조성능을 향상시키지는 못하고 콘크리트의 균열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만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합성섬유가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합성섬유의 사용량을 증가해야 하나, 사용량이 증가하면 콘크리트내 분산이 어려워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와 부착성도 저하된다.
따라서, 최근까지는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구조성능은 개선하지 못하지만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콘크리트의 보강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섬유자체의 인장강도는 양호하나 자체의 소수성으로 인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이 떨어져 섬유자체의 인장강도를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해서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크게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콘크리트와의 부착성과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종래기술로서, 미국특허 제5,981,630호에서는 개선하기 위해서 섬유 측면에 굴곡이 부여된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공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086109호에서는 길이와 직경이 서로 상이한 이종의 섬유들을 콘크리트 보강섬유로 혼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2-137942호에서는 이형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섬유 측면에 굴곡이 형성되거나 단면이 이형인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 미미하게 향상되는 한계가 있었고,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섬유가 혼용된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콘크리트와의 분산성은 어느정도 개선되나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은 거의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와의 접착성과 분산성이 동시에 뛰어나 종래 콘크리트 보강섬유보다 더 많은 양의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콘크리트내에 혼합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의 인성과 연성 등의 물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와의 배합성이 우수하여 숏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로부터 콘크리트 보강섬유가 튕겨져 나오는 양(이하 "리바운드 양" 이라고 한다)이 크게 낮아 타설 성능이 개선되고, 타설 공정이 간소화 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멀티필라멘트사를 공기교락장치 내에서 고압의 공기로 교락시킨 공기교락사를 단섬유화 시킨 원사(이하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라 약칭한다)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표면에 다수의 루프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와 배합시 양쪽 끝단이 자연적으로 풀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와의 접착성과 콘크리트내 분산성이 뛰어나 콘크리트의 강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 와의 배합성이 우수하여 숏크리트 타설시 리바운드양이 크게 낮아 타설 성능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는 심사(Core Yarn)인 멀티필라멘트와 초사(Effect Yarn)인 멀티필라멘트가 서로 공기교락되어 있거나, 심사와 초사 구별없이 1종의 멀티필라멘트만이 공기교락되어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멀티필라멘트를 도 1과 같은 공기교락장치 내에 공급하면서 고압의 공기로 공기교락하는 공정(이하 "에스텍스처링" 이라 한다)을 거쳐 필라멘트들을 서로 교락시켜 제조되며, 이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면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가 제조된다.
도 1은 에어텍스처링 공정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중 노즐내에서 멀티필라멘트가 공기교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라이오셀 섬유, 레이온 섬유, 폴리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섬유,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섬유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의 심사와 초사가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되거나,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사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착 성능이 우수한 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심사에는 강도가 우수한 필라멘트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성과 강도보완을 동시에 만족할수 있다.
본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단사 또는 수가닥의 심사를 가질수 있으며, 심사를 중심으로 다른 수가닥의 필라멘트가 서로 교락을 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교락으로 인하여 표면에 수많은 루프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루프가 콘크리트와의 마찰특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루프 사이 사이로 콘크리트가 접착을 하게되어 콘크리트 양생후에는 이러한 루프가 고리역할을 하게되어 접착성능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에어텍스쳐링 사가공법을 이용한 보강재의 제조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필라멘트의 적용이 가능하다. 접착력이 떨어지기는 하나 가격이 저렴하며, 비중이 낮고 녹는점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접착력은 우수하나 가격이 비싸서 대중화되지 못하는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를 서로 교락을 시켜서 가격적 단가를 낮출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폴리아미드, 폴리아라미드와 같은 필라멘트와의 복합 에어텍스쳐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에어텍스쳐링 방법을 사용한 콘크리트 보강섬유는 접착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소재도 표면에 수많은 표면 돌기 즉 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마찰 특성을 개선할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경우 친수성기가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와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것을 이러한 에어텍스쳐링 방법 으로 개선될수 있다.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의 표면에 크기가 0.01~2㎜인 루프들이 상기 단섬유 길이 1m당 100~1,000,000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 및 분산성에 보다 유리하다.
또한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직경은 0.02mm ~ 10mm까지 가능하다. 0.02mm 미만의 경우에는 모노필라멘트와 큰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에어텍스쳐링 가공 또한 다수의 필라멘트를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힘들다. 또한 강도도 직조의 교락점에 의해서 강도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직경이 1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어텍스쳐링 가공이 어렵다. 현재의 에어텍스쳐링 가공수준으로는 10mm 이상을 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길이는 10mm에서 200mm까지 가능하다. 200mm를 초과하는 경우, 콘크리트 혼합과정에서 섬유끼리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길이가 10mm 미만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장점으로 나타내는 끝단 풀림에 의한 걸쇠 역할을 하는 구간이 짧아지거나 직조된 것이 모두 풀릴수 있기 때문에 좋지 못하다.
이러한 에어텍스쳐링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멀티 필라멘트 단섬유의 단사섬도(모노섬도)는 0.5 ~ 10데니어이고, 멀티필라멘트 단섬유의 총섬도는 100 ~ 5,000데니어인 것이 좋다. 그러나 모노 섬도가 낮은 것이 유리하다. 너무 굵은 모노섬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에어텍스쳐링에 의한 교락이 느슨하며, 콘크리트내에서 혼합시에 쉽게 풀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형상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텍스쳐링후 단섬유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수 있다. 표면에 형성된 루프들이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며 앵커 역할을 단섬유 전체적으로 할수 있고, 마찰 특성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콘크리트 물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커팅면에 의해서 원사가 풀린 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은 콘크리트와 배합시에 자연스럽게 풀림이 발생하여 양생중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을 높이고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필라멘트 사이로 콘크리트와 혼합하게 되고 각각의 섬유와의 접촉 표면적이 증가하여 콘크리트의 물성을 높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콘크리트 보강섬유 일측 끝단을 확대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3의 콘크리트 보강섬유 표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또한 여러가닥의 원사가 서로 교락되어있어 실제 플라스틱 사출물보다 스티프니스(Stiffness)가 낮고, 일반 섬유보다는 높아서, 콘크리트 배합 및 핸들링이 용이하며, 숏크리트와 같이 강한 압력사용하는 경우, 강섬유는 관성에 있어 벽에서 튀어나오는 경우가 빈번하나 본 발명품은 리바운드 되는 양이 매우 적다.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가 심사 및 초사로 구성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심사에서 섬유보강 성능을 더욱 높일수 있으며, 폴리아라미드, 고강력 폴리에틸렌, 탄소섬유 등 고강력원사와 같은 강도가 높은 원사를 심사로 사용하게 되면 더욱 효과를 높일수 있다. 또한 초사는 콘크리트와 접촉을 주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친수력이 높은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아미 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친수성이 높을수록 수소결합에 의한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을 높일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이중구조는 강도의 보강에도 훨씬 유리하다. 1차 초사에 의한 강도 보강효과, 콘크리트와의 접착성 증대 뿐만 아니라 2차 심사에 의한 지지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심초사의 역할이 결국 콘크리트의 붕괴시에 발생할수 있는 지지력을 2차에 걸쳐서 보강하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단섬유화 함으로써 기존 강재 보강재에 비해 중량이 적어 함량의 증가가 용이하다. 우선 굵기 대비 철 보강재 보다 중량이 낮고, 또한 사용량이 많아 콘크리트내에 분산도가 높다. 철 보강재 보다는 강도가 약하나 접착력과 보강재의 분산도, 분산되어있는 보강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철 보강재가 콘크리트 강력에 영향을 주는 것보다 최종 섬유 보강재가 투입된 콘크리트의 강력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다수의 멀티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섬유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콘크리트 배합시의 배합성등이 우수하며, 숏크리트 타설시에 강철 보강재의 경우,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나, 특수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타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숏크리트건으로 타설시에 강한 압력으로 타설을 하기 때문에 강철 보강재는 다시 튕겨져 나오는 양이 타설량의 10%이상을 차지하나, 본 섬유보강재는 강철 보다 비중이 낮고, 모듈러스가 낮기 때문에 리바운드양이 절대적으로 낮고, 처리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만으로 그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과 같은 공기교락장치에 420데니어의 폴리아미드 6 멀티필라멘트를 심사와 초사 모두에 각각 공급하여 에어텍스쳐링(공기교락)하여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고, 심사와 초사가 서로 교락되어 직경이 0.5㎜인 공기교락사를 제조한 후 이를 30㎜의 길이로 절단하여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도 1과 같은 공기교락장치에 840데니어의 폴리아미드 6 멀티필라멘트를 심사와 초사 모두에 각각 공급하여 에어텍스쳐링(공기교락)하여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고, 심사와 초사가 서로 교락되어 직경이 1.0㎜인 공기교락사를 제조한 후 이를 30㎜의 길이로 절단하여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도 1과 같은 공기교락장치에 1,000데니어의 파라계 폴리아미드(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심사로 공급함과 동시에 1,000데니어의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를 초사로 공급하여 에어텍스쳐링(공기교락)하여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고, 심사와 초사가 서로 교락되어 직경이 1.2㎜인 공기교락사를 제조한 후 이를 30㎜의 길이로 절단하여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도 1과 같은 공기교락장치에 1,000데니어의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를 심사로 공급함과 동시에 1,000데니어의 폴리비닐알코올 멀티필라멘트를 초사로 공급하여 에어텍스쳐링(공기교락)하여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고, 심사와 초사가 서로 교락되어 직경이 1.2㎜인 공기교락사를 제조한 후 이를 30㎜의 길이로 절단하여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출하는 방식으로 길이가 30㎜이고, 단면형태가 장축이 1㎜이고 단축이 0.75㎜인 타원형이고,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출하는 방식으로 길이가 32㎜이고, 단면형태가 장축이 1.5㎜이고 단축이 0.7㎜인 타원형이고,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3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사출하는 방식으로 길이가 32.5㎜이고, 단면형태가 장축이 0.75㎜이고 단축이 0.5㎜인 타원형이고, 표면에 요철이 형성안된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실시예 1 내지 비교실시예 3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해본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만능 재료시험기(Instron)을 이용하여, 시료장의 길이를 5mm, 헤드 스피드(Head speed)를 300m/min으로 시료를 잡아 당겼을 때 나타나는 강신도의 결과와 마찰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형태로 시료를 준비하였다.
콘크리트와의 마찰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162kg의 물, 330kg의 시멘트, 868kg의 모래를 배합하여, 몰타르를 만들고 아래 크기의 콘크리트틀에 절반 위치까지 붓고나서 콘크리트 보강섬유를 가운데 위치하도록 한후 다시 몰타르를 부어 콘크리트 틀에 가득 차도록 한다. 이러한 샘플을 시료당 10개씩 준비한다.
양생을 3일간 시키고 굳어진 콘크리트 펠렛 시료를 정가운데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시료가 나타나도록 절단한후 시료의 양쪽 끝을 만능 재료시험기에 10mm씩 물려 헤드 스피드(Head speed)를 100m/min로 인장시험을 진행하였다. 콘크리트에서 시료가 빠져 나오거나 시료가 끊어지는 강력을 측정하였다.
슬립여부는 시료의 인장시험시에 콘크리트속의 시료가 절단되기전 미끌어져서 끊어지면 ×로, 시료의 절단까지 유지되면 ○로 구분하였다.
루프길이 및 루프개수는 인터네셔널화이버저널(1993년 12월 발간) 5~10쪽 기 재내용과 같이 일본 도레이사에서 제작한 프래이 카운터 (FARY COUNTER)모델 DT-104를 이용하여 60m/분의 속도로 1분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미터가 장착된 원사가이드를 이용하여 공기교락사를 일정한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상기 주행방향에 직각으로 광을 통과시켜 스크린판에 설정치 이상의 루프그림자가 나타나면, 핀홀뒤에 부착된 광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전기신호로 증폭되어 카운터에의해 자동으로 카운터되어 루프개수를 측정한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2
비교
실시예 3
단면적
(cm^2)
0.00089 0.0018 0.0021 0.0022 0.006 0.005 0.003
절단강력
(kgf)
4.5 18.3 28.6 30.2 18.8 17.4 13.9
절단신도
(%)
25.3 22.7 15.2 12.6 17.5 17.5 9.2
슬립여부 × × ×
절단강력
(kgf)
4.2 18.1 27.9 28.3 4.6 3.8 9.8
도 1은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기교락(Air-texturing) 공정의 개략도.
도 2는 도 1중 공기노즐내에서 멀티필라멘트가 공기교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사진.
도 4는 도 3의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일측 끝단을 확대 촬영한 사진.
도 5는 도 3의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표면을 확대 촬영한 사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 심사(Core Yarn) B : 초사(Effect Yarn)
1,2 : 공급 롤 3 : 공기노즐
4 : 워터(Water) 노즐 5 : 구동롤
6 : 건조장치 7 : 권취장치.

Claims (9)

  1.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는 심사인 멀티필라멘트와 초사인 멀티필라멘트가 서로 공기교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는 공기교락된 1종의 멀티필라멘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는 직경이 0.02~10㎜이고, 길이가 1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라이오셀 섬유, 레이온 섬유, 폴리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섬유,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섬유 및 이들의 혼합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는 단사섬도가 0.5~10데니어인 모노필라멘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보강섬유의 총섬도가 100~5,0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공기교락된 멀티필라멘트 단섬유의 양쪽 끝단에는 공기교락이 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섬유.
KR1020090100169A 2009-06-23 2009-10-21 콘크리트 보강섬유 KR10097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69A KR100971114B1 (ko) 2009-10-21 2009-10-21 콘크리트 보강섬유
JP2012517385A JP5425304B2 (ja) 2009-06-23 2010-06-23 補強繊維及びこれを含むショットクリート組成物
PCT/KR2010/004088 WO2010151052A2 (ko) 2009-06-23 2010-06-23 보강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숏크리트 조성물
EP10792334.4A EP2447230A4 (en) 2009-06-23 2010-06-23 REINFORCING FIBER AND SYRINGE COMPOSITION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69A KR100971114B1 (ko) 2009-10-21 2009-10-21 콘크리트 보강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114B1 true KR100971114B1 (ko) 2010-07-20

Family

ID=4264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169A KR100971114B1 (ko) 2009-06-23 2009-10-21 콘크리트 보강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1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88B1 (ko) * 2010-11-19 2013-01-1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다공성 투수 콘크리트
KR101309135B1 (ko) * 2010-12-30 2013-09-1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바닥슬래브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KR101370308B1 (ko) * 2011-12-13 2014-03-0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매스콘크리트 조성물
KR20160109861A (ko) * 2015-03-13 2016-09-21 서상욱 콘크리트 섬유보강재 및 이 콘크리트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1950849B1 (ko) 2018-01-18 2019-05-20 김익 콘크리트보강용 섬유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섬유복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536A (ko) * 1992-07-03 1994-03-21 모리따 가쯔라 광학 활성 페놀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43339B1 (ko) * 2000-05-15 2002-07-15 권능 트위스트형 보강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144298A (ja) * 2007-12-18 2009-07-02 Asahi Kasei Fibers Corp ホース用補強繊維コード並びに該コードで補強されたホ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536A (ko) * 1992-07-03 1994-03-21 모리따 가쯔라 광학 활성 페놀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43339B1 (ko) * 2000-05-15 2002-07-15 권능 트위스트형 보강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144298A (ja) * 2007-12-18 2009-07-02 Asahi Kasei Fibers Corp ホース用補強繊維コード並びに該コードで補強されたホース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88B1 (ko) * 2010-11-19 2013-01-1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다공성 투수 콘크리트
KR101309135B1 (ko) * 2010-12-30 2013-09-1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바닥슬래브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KR101370308B1 (ko) * 2011-12-13 2014-03-0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매스콘크리트 조성물
KR20160109861A (ko) * 2015-03-13 2016-09-21 서상욱 콘크리트 섬유보강재 및 이 콘크리트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1675156B1 (ko) * 2015-03-13 2016-11-10 서상욱 콘크리트 섬유보강재 및 이 콘크리트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1950849B1 (ko) 2018-01-18 2019-05-20 김익 콘크리트보강용 섬유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섬유복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114B1 (ko) 콘크리트 보강섬유
US8647741B2 (en) Polypropylene fib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utilization of the same
JP6470315B2 (ja) セメント補強用繊維材料
EP2641882B1 (en) Inorganic matrix-fabric reinforcement system for support structures
KR100985938B1 (ko) 폴리에틸렌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13423B1 (ko) 띠형 섬유보강재
KR101963081B1 (ko) 파라-아라미드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JP2018002535A (ja) コンクリート補強用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08534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からなる補修・補強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補修・補強材を使用したセメント系構造体
JP2007291590A (ja) メッシュ織物、その製造方法及びメッシュ織物強化構造物
KR101950849B1 (ko) 콘크리트보강용 섬유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섬유복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RU2684271C1 (ru) Арматура композитная
US2022021299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 composite for reinforcing concrete, and concrete comprising fiber composite manufactured thereby
JP2020176035A (ja) セメント補強材
KR102475007B1 (ko) 이종의 섬유가 고루 혼합된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용 복합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JP2009228160A (ja) 補修補強用からみ織物および複合材料
KR101665672B1 (ko) 부분 수지함침 브레이드 코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
JP2007169836A (ja) ブロックマット用シート
JP3838719B2 (ja) 土構造物補強排水材
KR102496080B1 (ko)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용 복합섬유보강재
WO2013002245A1 (ja) コンクリート補強用連結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26379B1 (ko) 텍스타일 보강재와 스프레이 방식의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보수보강 공법
JP3918030B2 (ja) トンネル内壁施工方法
KR20100138376A (ko) 아라미드 보강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0308B1 (ko) 매스콘크리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