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993B1 -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993B1
KR100970993B1 KR1020080030325A KR20080030325A KR100970993B1 KR 100970993 B1 KR100970993 B1 KR 100970993B1 KR 1020080030325 A KR1020080030325 A KR 1020080030325A KR 20080030325 A KR20080030325 A KR 20080030325A KR 100970993 B1 KR100970993 B1 KR 10097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stribution
optical axis
upward
project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987A (ko
Inventor
유스케 나카다
미치오 츠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8009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3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having two perpendicular cross sections having regular geometrical curves of a distinct n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에 의해, 좌우 단차가 있는 컷오프 라인을 갖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을, 제1 수평면(18a1), 제2 수평면(18a2) 및 중간 사면(18a3)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 수평면(18a1)과 중간 사면(18a3)의 경계를 구성하는 능선(L1)에 있어서의,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A)에, 코너 라운딩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중간 사면(18a3)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제1 및 제2 수평면(18a1, 18a2)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배광 패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끼어들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코너 라운딩의 부여에 의해 양 배광 패턴을 부드럽게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Figure R1020080030325
발광 소자,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 컷오프 라인, 배광 패턴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LAMP UNIT OF VEHICULAR HEADLAMP}
본원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전조등에서도, 발광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등기구 유닛이 채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와, 이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보다 후방 측이고 광축 근방에서 상향으로 배치된 발광 소자와, 이 발광 소자를 상방 측에서 덮도록 배치되며, 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광축 쪽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구비한, 소위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이 기재되어 있다.
이때,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는, 리플렉터와 투영 렌즈 사이에,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상향 반사면을 가지며 그 전단 가장자리가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미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미러 부재에 의해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켜, 그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의 반전 투영상으로서 의 컷오프 라인을 상단부에 갖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이러한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 그 미러 부재의 상향 반사면으로서, 광축보다 자차선 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광축을 포함하는 제1 수평면으로 구성되고, 광축보다 대향 차선 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광축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중간 사면 및 그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제1 수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으로 구성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659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4274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미러 부재를 구비한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을 채용하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에 대한 광속 이용률을 높이고, 상단부에 선명한 컷오프 라인을 갖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러 부재의 상향 반사면을, 제1 수평면, 중간 사면 및 제2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면, 로우빔용 배광 패턴의 컷오프 라인을,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에 대하여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이 높은 단으로 형성되고,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에서의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측의 단부가 비스듬한 컷오프 라인으로서 형성된, 좌우 단차가 있는 컷오프 라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미러 부재를 갖는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 그 미러 부재의 상향 반사면에서의 중간 사면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그 제1 및 제2 수평면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배광 패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끼어들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미러 부재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의 배광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에 의해, 좌우 단차가 있는 컷오프 라인을 갖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부재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그 미러 부재의 구성을 고안함으로써, 상기 목적 달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와, 이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보다 후방측이고 상기 광축 근방에서 상향으로 배치된 발광 소자와, 이 발광 소자를 상방 측에서 덮도록 배치되고, 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상기 광축 쪽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투영 렌즈 사이에,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상향 반사면을 포함하고, 이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가 상기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미러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 반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광축보다 자차선 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광축을 포함하는 제1 수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 반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광축보다 대향 차선 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광축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중간 사면 및 이 중간 사면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수평면 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수평면과 상기 중간 사면의 경계를 구성하는 능선에 있어서의, 상기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 소자」란, 대략 점 형상으로 면발광하는 발광칩을 포함하는 소자 형상의 광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 등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이 「발광 소자」는 광축 근방에서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연직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소정 길이 영역」은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면, 그 구체적인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너 라운딩」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그 값은 일정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서서히 변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은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나, 그 리플렉터와 투영 렌즈 사이에는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상향 반사면을 가지며 그 전단 가장자리가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미러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에 대한 광속 이용율을 높이고, 상단부에 선명한 컷오프 라인을 갖는 로우빔용 배 광 패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향 반사면에서의 자차선측의 영역은 광축을 포함하는 제1 수평면으로 구성되고, 상향 반사면에서의 대향 차선측의 영역은 광축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중간 사면 및 그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제1 수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제1 수평면과 중간 사면의 경계를 구성하는 능선에 있어서의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에는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미러 부재의 상향 반사면에서의 중간 사면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그 제1 및 제2 수평면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배광 패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끼어들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능선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길이 영역에는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수평면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과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미러 부재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에 의해 로우빔용 배광 패턴에서 배광 불균일을 발생시킬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능선에서의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의 위치에는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컷오프 라인의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프로젝터형의 등 기구 유닛에 의해, 좌우 단차가 있는 컷오프 라인을 갖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소정 길이 영역」의 범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이 소정 길이 영역을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으로부터 1 ㎜∼4 ㎜ 이격된 위치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되도록 설정하면, 차량 전방 노면의 비교적 근거리 영역(즉 배광 불균일이 눈에 띄는 영역)을 향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반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길이 영역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 수평면과 중간 사면의 경계를 구성하는 능선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의 형상을 치수 정밀도 우수하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을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중간 사면에서의 상기 소정 길이 영역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 부분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을,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의 정면에서 본 형상으로부터, 소정 길이 영역 부분의 전단 가장자리에서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단면 형상까지, 그 단면 형상이 서서히 변하는 곡면으로 구성되면,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소정 길이 영역 부분의 전단 가장자리에, 이 소정 길이 영역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폐하는 벽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광원 광속을 헛되게 하지 않아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2 수평면과 중간 사면의 경계를 구성하는 골선에 대해서도,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으로부터 1 ㎜∼4 ㎜ 이격된 위치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된 구성으로 하면, 중간 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 중 일부를, 제2 수평면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과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을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양 배광 패턴의 중첩 부분을 어둡게 하여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10)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선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 유닛(10)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Ax)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12)와, 이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보다 후방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14)와, 이 발광 소자(14)를 상방 측에서 덮도록 배치되고, 이 발광 소자(14)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광축(Ax) 쪽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6)와, 이 리플렉터(16)와 투영 렌즈(12) 사이에 배치되며, 이 리플렉터(16)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부재(18)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등기구 유닛(10)은 차량용 전조등의 일부로서 내장된 상태로 이용되게 되어 있고, 차량용 전조등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그 광축(Ax)이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하여 0.5˚∼0.6˚ 정도 하향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배치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등기구 유닛(10)은 좌측 배광의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 조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투영 렌즈(12)는 전방측 표면이 볼록면이고 후방측 표면이 평면인 평볼록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지고, 그 후측 초점면(즉 후측 초점(F)을 포함하는 초점면) 상에 형성되는 광원상을, 반전상으로서, 등기구 전방의 가상 연직 스크린 상에 투영하도록 되어 있다. 이 투영 렌즈(12)는 미러 부재(18)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이 미러 부재(18)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링형의 렌즈 홀더(18A)에 고정되어 있다.
발광 소자(14)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1 ㎜ 정도의 정방형의 발광면을 갖는 발광칩(14a)과, 이 발광칩(14a)을 지지하는 기판(14b)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발광칩(14a)은 그 발광면을 덮도록 형성된 박막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광 소자(14)는 그 발광칩(14a)이 광축(Ax) 상에서 연직 상향이 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미러 부재(18)로부터 후방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후방 연장부(18B)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리플렉터(16)의 반사면(16a)은 광축(Ax)과 동축의 장축을 가지며, 발광 소자(14)의 발광 중심을 제1 초점으로 하는 대략 타원면형의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이심률이 연직 단면으로부터 수평 단면을 향해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사면(16a)은 발광 소자(14)로부터의 광을 연직 단면 내에서는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의 약간 전방에 위치하는 점에 수속시키고, 수평 단면 내에서는 그 수속 위치를 후측 초점(F)으로부터 상당히 전방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리플렉터(16)는 그 반사면(16a)의 둘레 가장자리 하단부가 미러 부재(18)의 후방 연장부(18B)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미러 부재(18)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판형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면은 후측 초점(F)의 위치로부터 광축(Ax)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향 반사면(18a)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미러 부재(18)는, 그 상향 반사면(18a)에서, 리플렉터(16)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상향 반사면(18a)은 미러 부재(18)의 상면에 알루미늄 증착 등에 의한 경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는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전단 가장자리(18b)는 평면에서 봤을 때 후측 초점(F)으로부터 광축(Ax)의 양측을 향해 서서히 전방측으로 변위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향 반사면(18a)은, 광축(Ax)보다 자차선 측인 좌측(등기구 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 영역은 광축(Ax)을 포함하는 제1 수평면(18a1)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축(Ax)보다 대향 차선 측인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영역은 광축(Ax)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중간 사면(18a3)을 통해 좌측 영역보다 한단 낮은 제2 수평면(18a2)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우측 영역에 있어서의 후측 초점(F)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우측 단부 부분 및 후방 연장 부(18B)는 좌측 영역을 구성하는 제1 수평면(18a1)과 동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중간 사면(18a3)의 하향 경사 각도는 15˚로 설정되어 있고, 제2 수평면(18a2)은 제1 수평면(18a1)에 대하여 0.4 ㎜ 정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 상세도이다. 또한 도 5는 미러 부재(18)의 주요부를, 그 전방 좌측에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향 반사면(18a)에는, 그 제1 수평면(18a1)과 중간 사면(18a3)의 경계를 구성하는 능선(L1)에 있어서,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A)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다.
이 소정 길이 영역(A)는, 그 전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후측 초점(F)으로부터 1 ㎜∼4 ㎜(예컨대 2 ㎜)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그 후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중간 사면(18a3)의 후단 가장자리와 동일 위치(구체적으로는 후측 초점(F)으로부터 15 ㎜∼25 ㎜(예컨대 20 ㎜)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코너 라운딩은 소정 길이 영역(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 이 코너 라운딩은 중간 사면(18a3)의 소정 길이 영역 부분(즉 소정 길이 영역(A)에 위치하는 부분)(18a3B)이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원통형 곡면이 되는 값(구체적으로는 반경 80 ㎜∼100 ㎜ 정도(예컨대 반경 90 ㎜))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코너 라운딩의 부여에 의해 중간 사면(18a3)의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은 상향 반사면(18a)에 있어서의 제2 수평면(18a2)과 중간 사면(18a3)의 경계를 구성하는 골선(L2)의 근방 영역만이, 광축(Ax)으로부터 하향 경사 각도 15˚로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평면으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원통형 곡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원통형 곡면은 광축(Ax)보다도 제1 수평면(18a1)측에 위치하는 영역까지 들어가도록 연장 형성되고, 그 좌측 단부 가장자리에서 제1 수평면(18a1)과 부드럽게 접속된다. 또한 도 5에서는 원통형 곡면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을 메시로 나타내었다.
한편, 능선(L1)에 있어서의 소정 길이 영역(A)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지 않고, 이 때문에 중간 사면(18a3)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즉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18a3A)은 광축(Ax)으로부터 하향 경사 각도 15˚로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평면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16)의 반사면(16a)에서 반사된 발광 소자(14)로부터의 광은 전방을 향해 광축(Ax) 쪽으로 반사되어, 투영 렌즈(12)의 하부 영역으로 입사되지만, 그 일부는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에 입사되고, 이 상향 반사면(18a)에서 반사된 후, 투영 렌즈(12)의 상부 영역으로 입사된다. 그리고 투영 렌즈(12)의 하부 영역 및 상부 영역으로 입사된 광은 모두 하향 광으로서 투영 렌즈(12)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된다.
이 때 상향 반사면(18a)의 중간 사면(18a3)으로 입사된 리플렉터(16)로부터의 반사광은, 중간 사면(18a3)이 광축(Ax)으로부터 우측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간 사면(18a3)에서 우측 방향을 향해서 반사된다.
이 중간 사면(18a3)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8a3A)으로부터의 반사광의 우측 방향 편향각은, 이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8a3A)이 하향 경사 각도 15˚인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16)로부터의 반사광의 입사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한편 이 중간 사면(18a3)의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으로부터의 반사광의 우측 방향 편향각은, 이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의 대부분이 원통형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16)로부터의 반사광의 입사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이 된다. 즉 입사 위치가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의 좌측 단부 가장자리에 가까운 경우에는 이 입사 위치로부터의 반사광의 우측 방향 편향각은 작고, 그 좌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서 서서히 우측 방향 편향각이 커진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 유닛(10)으로부터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전방 25 m의 위치에 배치된 가상 연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을 투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은 좌측 배광의 로우빔용 배광 패턴으로서, 그 상단 가장자리에 좌우 단차가 있는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을 갖고 있다.
이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은 등기구 정면 방향의 소점인 H-V를 통과하는 연직선인 V-V선을 경계로 하여 좌우 단차가 있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V-V선 보다 우측은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CL1)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 장되도록 하여 형성되며, V-V선 보다 좌측은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CL2)으로서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CL1)보다 단이 높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CL2)에서의 V-V선 쪽의 단부는 비스듬한 컷오프 라인(CL3)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비스듬한 컷오프 라인(CL3)은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CL1)과 V-V선의 교점으로부터 좌측 상방으로 비스듬한 15˚의 경사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에 있어서, 하단 컷오프 라인(CL1)과 V-V선의 교점인 엘보점(E)은 H-V의 0.5˚∼0.6˚ 정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광축(Ax)이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하여 0.5˚∼0.6˚ 정도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에서는, 엘보점(E)을 둘러싸도록 고광도 영역인 핫존(HZ)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은, 리플렉터(16)로 반사된 발광 소자(14)로부터의 광에 의해서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면 상에 형성된 발광 소자(14)의 상(像)을, 투영 렌즈(12)에 의해 상기 가상 연직 스크린 상에 반전 투영상으로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고, 그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은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의 반전 투영상으로서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때, 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은, 리플렉터(16)의 반사면(16a)에서 반사된 발광 소자(14)로부터의 광 중, 투영 렌즈(12)의 하부 영역으로 직접 입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과,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에서 반사된 후 투영 렌즈(12)의 상부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과의 합 성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도 7은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광 패턴 중,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에서 반사되어, 투영 렌즈(12)의 상부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3개의 배광 패턴(P1, P2, P3)을 추출하여 도시하고, 도 6과 같은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배광 패턴(P1)은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에서의 제1 수평면(18a1)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고, 배광 패턴(P2)은 그 제2 수평면(18a2)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며, 배광 패턴(P3)은 그 중간 사면(18a3)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다. 단 이들 3개의 배광 패턴(P1, P2, P3)은,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에서의 능선(L1)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다.
또한, 도 7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3개의 배광 패턴(P1′, P2′, P3′)은, 임시로 미러 부재(18)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경우에, 각각 제1 수평면(18a1), 제2 수평면(18a2), 중간 사면(18a3)에서 반사되지 않고 투영 렌즈(12)의 하부 영역으로 직접 입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다. 이들 3개의 배광 패턴(P1′, P2′, P3′)은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의 상방 측에 형성된다.
배광 패턴(P1)은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CL1)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광 패턴(P1′)을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CL1)에 대하여 상하로 반전시킨 배광 패턴이 되고, 배광 패턴(P2)은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CL2)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광 패턴(P2′)을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CL2)에 대하여 상하로 반전시킨 배광 패턴이 되 며, 배광 패턴(P3)은 비스듬한 컷오프 라인(CL3)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광 패턴(P3′)을 비스듬한 컷오프 라인(CL3)에 대하여 상하로 반전시킨 배광 패턴이 된다.
이때, 배광 패턴(P3)은 비스듬한 컷오프 라인(CL3)이 좌측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15˚의 경사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배광 패턴(P1, P2)에 대하여, 우측의 배광 패턴(P1)으로부터는 이격되는 한편, 좌측의 배광 패턴(P2)과는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배광 패턴(P1)과 배광 패턴(P3) 사이의 간극이 암부로서 형성되어 버린다. 또한 이 암부는 배광 패턴(P2)과 배광 패턴(P3)이 중첩된 밝은 부분의 우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전방 노면은 그 차량 정면 방향에 있어서의 근거리 영역에, 배광 불균일이 생겨 버리는 것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 유닛(10)에 있어서는, 그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에서의 능선(L1)의 소정 길이 영역(A)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사면(18a3)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3)과, 제1 수평면(18a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이, 그 상단부를 제외하고 순조롭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차량 전방 노면의 차량 정면 방향에서의 근거리 영역의 배광 불균일이 대폭 완화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10)은 발광 소자(14)를 광원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10)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그 리플렉터(16)와 투영 렌즈(12) 사이에는 리플렉터(16)로부터의 반 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상향 반사면(18a)을 가지며, 이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가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미러 부재(1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14)로부터의 광에 대한 광속 이용율을 높이고, 상단부에 선명한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을 갖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상향 반사면(18a)에서의 자차선 측의 영역은 광축(Ax)을 포함하는 제1 수평면(18a1)으로 구성되고, 상향 반사면(18a)에서의 대향 차선측의 영역은 광축(Ax)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중간 사면(18a3) 및 그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제1 수평면(18a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18a2)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제1 수평면(18a1)과 중간 사면(18a3)의 경계를 구성하는 능선(L1)에서의,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A)에는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미러 부재(18)의 상향 반사면(18a)에서의 중간 사면(18a3)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3)은 그 제1 및 제2 수평면(18a1, 18a2)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배광 패턴(P1, P2)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끼어들도록 형성되지만, 능선(L1)의 소정 길이 영역(A)에는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고, 이 코너 라운딩은 중간 사면(18a3)의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이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원통형 곡면이 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사면(18a3)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3)의 대부분을, 제1 수평면(18a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과 순조롭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미러 부재(18)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 P2, P3)에 의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에 배광 불균일을 발생시켜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능선(L1)에서의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의 위치에는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의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발광 소자(14)를 광원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10)에 의해, 좌우 단차가 있는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을 갖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정 길이 영역(A)의 전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으로부터 1 ㎜∼4 ㎜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그 후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후측 초점(F)으로부터 15 ㎜∼25 ㎜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전방 노면의 비교적 근거리 영역(즉 배광 불균일이 눈에 띄는 영역)을 향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반사면(18a)에 있어서의 소정 길이 영역(A)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능선(L1)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의 형상을 치수 정밀도 우수하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상향 반사면(18a)의 전단 가장자리(18b)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을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후에,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능선(L1)의 소정 길이 영역(A)에 부여되는 코너 라운딩이 중간 사면(18a3)의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의 대략 전체 폭이 원통형 곡면이 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 코너 라운딩을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 있어서도 중간 사면(18a3)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3) 중 대부분을, 제1 수평면(18a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과 순조롭게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사면(18a3)의 하향 경사 각도가 15˚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 외의 경사 각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능선(L1)의 소정 길이 영역(A)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14)의 발광칩(14a)이 1 ㎜ 정도의 정방형의 발광면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 이외의 형상이나 크기의 발광면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복수의 발광칩(14a)이 인접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향 반사면(18a)이 후측 초점(F)의 위치로부터 광축(Ax)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 상향 반사면(18a)을 차량 전후 방향에 관해서 약간(예컨대 1.5˚정도) 전방 아래쪽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미 러 부재(18)를 성형할 때에 금형을 제거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상향 반사면(18a)에서 반사된 리플렉터(16)로부터의 반사광을 보다 많이 투영 렌즈(12)에 입사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 유닛(10)의 미러 부재(18)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미러 부재(118)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 5와 같은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미러 부재(118)는 상기 실시형태의 미러 부재(18)와 같이, 그 상향 반사면(118a)이 제1 수평면(118a1), 제2 수평면(118a2) 및 중간 사면(118a3)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중간 사면(118a3)에서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18a3A)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상기 실시형태의 미러 부재(18)에 있어서는, 그 상향 반사면(18a)의 중간 사면(18a3)에서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8a3A)이 하향 경사 각도 15˚인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반하여, 본 변형예의 미러 부재(118)에 있어서는, 그 상향 반사면(118a)의 중간 사면(118a3)에서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18a3A)이, 상향 반사면(118a)의 전단 가장자리(118b)의 정면에서 본 형상으로부터, 소정 길이 영역 부분(118a3B)의 전단 가장자리에서의 광축(Ax)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단면 형상까지, 그 단면 형상이 서서히 변하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이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18a3A)은 광축(Ax)보다 제1 수평면(18a1)측에 위치하는 영역까지 들어가도록 하여 부채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좌측 단부 가장자리에 서 제1 수평면(18a1)과 순조롭게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서서히 변하는 곡면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18a3A)도 메시로 나타내었다.
본 변형예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중간 사면(118a3)의 소정 길이 영역 부분(18a3B)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뿐만 아니라, 그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18a3A)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에 대해서도, 이것을 제1 수평면(118a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과 순조롭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소정 길이 영역 부분(118a3B)의 전단 가장자리에 이 소정 길이 영역 부분(118a3B)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차폐하는 벽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광원 광속을 헛되게 하지 않아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중간 사면(118a3)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18a3A)이, 그 좌측 단부 가장자리에서 제1 수평면(18a1)과 순조롭게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그 좌측 단부 가장자리에서 제1 수평면(18a1)과 순조롭게 접속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중간 사면(118a3)의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118a3A)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제1 수평면(118a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만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미러 부재(218)의 주요부를 도시 하는 도 5와 같은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미러 부재(218)는 상기 실시형태의 미러 부재(18)와 같이, 그 상향 반사면(218a)이 제1 수평면(218a1), 제2 수평면(218a2) 및 중간 사면(218a3)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제2 수평면(218a2)과 중간 사면(218a3)의 경계를 구성하는 골선(L2)에 있어서의, 후측 초점(F)으로부터 1 ㎜∼4 ㎜ 이격된 위치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본 변형예에서는 소정 길이 영역(A)과 동일한 범위 내의 영역)에도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이 상향 반사면(218a)의 골선(L2)에 부여되는 코너 라운딩은 소정 길이 영역(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이 코너 라운딩은 그 라운딩이 끝나는 위치가 능선(L1)에 부여되는 코너 라운딩의 라운딩이 끝나는 위치와 일치하는 값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중간 사면(218a3)의 소정 길이 영역 부분(218a3B)은 전체적으로 단면 S자형의 파형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파형 곡면은 제2 수평면(218a2)의 영역까지 들어가도록 연장 형성되고, 그 우측 단부 가장자리에서 제2 수평면(218a2)과 순조롭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파형 곡면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소정 길이 영역 부분(218a3B)을 메시로 나타내었다.
본 변형예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향 반사면(218a)의 중간 사면(218a3)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3)의 대부분을, 제1 수평면(118a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과 순조롭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제2 수평면(218a2)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2)과도 순 조롭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골선(L2)에 있어서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는 영역은 후측 초점(F)으로부터 1 ㎜∼4 ㎜ 이격된 위치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소정 길이 영역 부분(218a3B)의 전단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골선(L2)의 근방 영역에,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218a3A)에 대하여 상승하는 벽면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상향 반사면(218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218b)에 인접하는 부분은 상향 반사면(218a)으로서의 기능이 확보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상향 반사면(218a)의 전단 가장자리(218b)에 의해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CL1, CL2, CL3)을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양 배광 패턴(P2, P3)의 중첩 부분을 어둡게 하여, 배광 불균일의 발생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제원으로서 나타낸 수치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들을 적절하게 다른 값으로 설정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 상세도.
도 5는 상기 등기구 유닛의 미러 부재의 주요부를, 그 전방 좌측 비스듬하게 위쪽으로부터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등기구 유닛으로부터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전방 25 m의 위치에 배치된 가상 연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원 발명의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광 패턴 중, 미러 부재의 상향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투영 렌즈의 상부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3개의 배광 패턴을 추출하여 도시하는 도 6과 같은 도면.
도 8은 본원 발명의 미러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5와 같은 도면.
도 9는 본원 발명의 미러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5와 같은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등기구 유닛 12: 투영 렌즈
14: 발광 소자 14a: 발광칩
14b: 기판 16: 리플렉터
16a: 반사면 18, 118, 218: 미러 부재
18A: 렌즈 홀더 18B: 후방 연장부
18a, 118a, 218a: 상향 반사면
18a1, 118a1, 218a1: 제1 수평면
18a2, 118a2, 218a2: 제2 수평면
18a3, 118a3, 218a3: 중간 사면
18a3A, 118a3A, 218a3A: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
18a3B, 118a3B, 218a3B: 소정 길이 영역 부분
18b, 118b, 218b: 전단 가장자리
A: 소정 길이 영역
Ax: 광축
CL1: 대향 차선측 컷오프 라인
CL2: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
CL3: 비스듬한 컷오프 라인
E: 엘보점
F: 후측 초점
HZ: 핫존
L1: 능선
L2: 골선
P1, P1′, P2, P2′, P3, P3′: 배광 패턴
PL: 로우빔용 배광 패턴

Claims (4)

  1.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와, 이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보다 후방측이고 상기 광축 근방에서 상향으로 배치된 발광 소자와, 이 발광 소자를 상방 측에서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상기 광축 쪽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투영 렌즈 사이에,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를 상방 측으로 반사시키는 상향 반사면을 포함하며 이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가 상기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미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향 반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광축보다 자차선 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광축을 포함하는 제1 수평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향 반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광축보다 대향 차선 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광축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중간 사면 및 이 중간 사면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수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수평면과 상기 중간 사면의 경계를 구성하는 능선에 있어서의, 상기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 영역은 상기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으로부터 1 ㎜∼4 ㎜ 이격된 위치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길이 영역에 위치하는 소정 길이 영역 부분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 가장자리 근방 부분이, 상기 상향 반사면의 전단 가장자리의 정면에서 본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 길이 영역 부분의 전단 가장자리에서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단면 형상까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단면 형상이 서서히 변하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면과 상기 중간 사면의 경계를 구성하는 골선에 있어서의, 상기 투영 렌즈의 후측 초점으로부터 1 ㎜∼4 ㎜ 이격된 위치보다 후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코너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KR1020080030325A 2007-04-05 2008-04-01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KR100970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99065 2007-04-05
JP2007099065A JP2008258001A (ja) 2007-04-05 2007-04-05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87A KR20080090987A (ko) 2008-10-09
KR100970993B1 true KR100970993B1 (ko) 2010-07-20

Family

ID=3949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325A KR100970993B1 (ko) 2007-04-05 2008-04-01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26857B2 (ko)
EP (1) EP1978297A1 (ko)
JP (1) JP2008258001A (ko)
KR (1) KR100970993B1 (ko)
CN (1) CN101280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4578B1 (fr) * 2009-04-21 2013-08-02 Valeo Vision Sas Module et dispositif d'eclairage pour vehicule avec fonction route amelioree
JP5442463B2 (ja) * 2010-01-12 2014-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ヘッドランプ
JP5620714B2 (ja) * 2010-05-17 2014-11-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ロービーム用灯具ユニット
JP5729358B2 (ja) * 2011-09-22 2015-06-03 株式会社リコー 光ビームスキャナ及びレーザレーダユニット
DE102012013730A1 (de) * 2012-07-11 2014-01-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einwerf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6184150B2 (ja) * 2013-04-05 2017-08-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107719228B (zh) * 2013-05-29 2021-06-29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发光配件
JP2018120802A (ja) * 2017-01-26 2018-08-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CN108916797B (zh) * 2017-03-31 2021-03-23 诚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车灯装置及其遮板结构
ES2732764B2 (es) * 2018-05-24 2020-11-26 Seat Sa Módulo de iluminación para un vehícul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4747A (en) 1988-06-28 1990-04-03 Koito Seisakusho Co, Ltd. Vehicular headlamp
KR20040073330A (ko) * 2003-02-13 2004-08-19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전조등
US20070019430A1 (en) 2005-07-21 2007-01-25 Valeo Vision Optical module for a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723B2 (ja) * 2002-04-08 2006-07-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FR2861831B1 (fr) * 2003-10-31 2006-01-20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JP2005166590A (ja) 2003-12-05 2005-06-2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424148B2 (ja) 2004-10-13 2010-03-03 市光工業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型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JP2006260781A (ja) * 2005-03-15 2006-09-2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579094B2 (ja) * 2005-08-23 2010-11-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663548B2 (ja) * 2006-02-24 2011-04-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FR2899668B1 (fr) 2006-04-06 2009-11-20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pour projecteur lumineux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jecteur comportant un tel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4747A (en) 1988-06-28 1990-04-03 Koito Seisakusho Co, Ltd. Vehicular headlamp
KR20040073330A (ko) * 2003-02-13 2004-08-19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전조등
US20070019430A1 (en) 2005-07-21 2007-01-25 Valeo Vision Optical module for a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0900B (zh) 2010-09-29
JP2008258001A (ja) 2008-10-23
KR20080090987A (ko) 2008-10-09
US7726857B2 (en) 2010-06-01
CN101280900A (zh) 2008-10-08
US20080247185A1 (en) 2008-10-09
EP1978297A1 (en)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993B1 (ko)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CN109642715B (zh) 车辆用灯具
US8038334B2 (en) Vehicular headlamp unit
KR100934682B1 (ko)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EP2037167B1 (en) Lamp unit for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JP4754518B2 (ja)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4413839B2 (ja)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KR101371565B1 (ko) 차량용 조명 등기구
JP4782064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100934425B1 (ko) 차량용 전조등의 등기구 유닛
US8651717B2 (en) Vehicular illumination lamp
EP2796773A2 (en) Vehicular headlamp
JP5848920B2 (ja) 車両用前照灯
JP5457925B2 (ja) 車両用灯具
JP2008060021A (ja) 車両用前照灯
JP6579733B2 (ja) 車両用灯具
JP5686240B2 (ja) 車両用灯具
JP6538515B2 (ja) 車両用灯具
JP7269025B2 (ja) 車両用灯具
JP2010086888A (ja) 車両用照明灯具
JP5319199B2 (ja) 車両用前照灯
CN110462283B (zh) 车辆用灯具
JP6184150B2 (ja) 車両用灯具
JP5618312B2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