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539B1 - 최적 지령 작성 장치 - Google Patents

최적 지령 작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539B1
KR100970539B1 KR1020057005916A KR20057005916A KR100970539B1 KR 100970539 B1 KR100970539 B1 KR 100970539B1 KR 1020057005916 A KR1020057005916 A KR 1020057005916A KR 20057005916 A KR20057005916 A KR 20057005916A KR 100970539 B1 KR100970539 B1 KR 10097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order
value
derivativ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240A (ko
Inventor
준 하기하라
히로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949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481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05005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4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compensation, e.g. for backlash, overshoot, tool offset, tool wear, temperature, machine construction errors, load, inerti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G05B13/021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in which a variable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optimise the perform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 G05B13/04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in which a parameter or coefficien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optimise the perform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5/00Anti-hunting arrangements
    • G05B5/01Anti-hunting arrangement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222Modified command filte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232Notch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요소를 갖는 제어 대상을 진동없이 또한 지령에 대하여 지연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서보 제어부에 입력하는 지령을 가공하는 최적 지령을 작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령을 입력하여, 제어 대상이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령을 가공하고, 최적 지령값을 서보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있어서, 지령에 대하여 N차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또 해당 필터 처리가 실시된 지령의 1계 미분으로부터 N-1계 미분까지의 값을 산출하는 N차 필터 처리부(1)와, N차 필터 처리부(1)의 출력에 게인을 곱한 값을 가산하는 사칙 연산부(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최적 지령 작성 장치{OPTIMAL INSTRUCTION CREATION DEVICE}
본 발명은 공작기나 산업용 로보트 등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요소를 가지는 제어 대상을, 진동없이, 또, 지령에 대해 지연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서보 제어부에 입력하는 지령을 가공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령 추종 특성과 외란 응답 특성 양쪽 모두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각종의 2 자유도 제어가 제안되어 있지만, 지령 추종 특성과 외란 응답 특성을 독립적으로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공고 평7-217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종래의 피드백 제어계에 덧붙여, 피제어 대상을 모의(模擬)한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에 피드백계가 구성되고, 이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에 입력하는 모의 입력 신호와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모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피제어 대상에 대해서 2 자유도 제어계가 구성되게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에서, 참조 번호 31은 모의 피드백 제어 장치이며, 여기서, 피드 포워드(feed forward)부의 계산을 행한다. 32는 모의 보상 회로이며, 지령 xR과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태량 xM의 편차εM을 입력하여,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에 입력하는 모의 입력 신호 신호 vR을 계산한다. 33은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이며, 35의 피제어 대상을 모델화한 것이다. 34는 피드백계의 보상 회로이며, xM과 피제어 대상의 상태량 x의 편차 ε을 입력하여 제어 입력 신호 vε을 출력한다. vε과 vR을 가산하여, 최종적인 제어 입력 신호 v를 산출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서보 제어 방법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4개의 문제가 있었다.
(1) 모의 피드백 제어 장치 내에서, 피제어 대상의 모델의 계산과 모의 보상 회로 내에서의 연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연산량이 많아, 연산 시간이 걸리므로, 제어 샘플링 주기를 짧게 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제어 성능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2) 또, 모의 피드백 제어 장치에서는, 피드백 제어를 행하기 위해, 지령 xR에 대해서, xM은 반드시 늦어지게 된다. 게다가, 피드백 제어부에서도 xM에 대해서 x는 늦어지기 때문에, 원래의 지령 xR에 대해서, 피제어 대상의 동작 x는, 크게 늦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3) 또, 모의 피드백 제어 장치에서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를 사용하기 위해, 피제어 대상 모의 회로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입력하는 파라미터가 많아져, 많은 메모리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4) 또, 모의 피드백 제어 장치 내의 모의 보상 회로에서는, 피드백 제어를 행하기 위해, 게인의 결정이나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누구라도, 간단하게는 구축하여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4개의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의 발명의 최적 지령 작성 장치는, 지령을 입력하여, 제어 대상이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령을 가공하여, 최적 지령값을 서보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령에 대해서 N차(N은 2 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해당 필터 처리가 실시된 지령의 1계 미분으로부터 (N-1)계 미분까지의 값을 산출하는 N차 필터 처리부와, 해당 N차 필터 처리부의 출력에 게인을 곱한 값을 가산하는 사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N은, 상기 제어 대상을 라플라스(Laplace)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한 전달 함수 형식으로 정의되는 근사 모델의 전달 함수의 분모의 차수에서, 상기 지령의 차수를 감산한 값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 제 2의 발명의 최적 지령 작성 장치는, 지령을 입력하여, 제어 대상이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령을 가공하여, 최적 지령값을 서보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령에 대해서 N차(N은 2 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또, 해당 필터 처리가 실시된 지령의 1계 미분으로부터 (N-1)계 미분까지의 값을 산출하는 N차 필터 처리부와, 해당 N차 필터 처리부의 출력에 게인을 곱한 값을 가산하는 사칙 연산부와, 해당 사칙 연산부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변수에 대해, M차(M은 1 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하는 M차 필터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N은, 상기 제어 대상을 라플라스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한 전달 함수 형식으로 정의되는 근사 모델의 전달 함수의 분모의 차수에서, 상기 지령의 차수를 감산한 값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 3의 발명의 최적 지령 작성 장치는, 지령을 입력하여, 제어 대상이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령을 가공하여, 최적 지령값을 서보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령에 대해서 N차(N은 2 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또, 해당 필터 처리가 실시된 지령의 1계 미분으로부터 L계 미분(L은 1 이상의 정수)까지의 값을 산출하는 N차 필터 처리부와, 해당 N차 필터 처리부의 출력인, 상기 1계 미분으로부터 L계 미분의 값 각각에 게인을 곱한 후, 그들 모두를 서로 더하는 사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L은, 상기 제어 대상을 라플라스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한 전달 함수 형식으로 정의되는 근사 모델의 전달 함수의 분모의 차수이며, 상기 N은, 상기 L로부터 상기 지령의 차수를 감산한 값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또, 제 4의 발명의 최적 지령 작성 장치는, 상기 N차의 필터로서는, 순회형 필터 혹은 비순회형 필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 5의 발명의 최적 지령 작성 장치는, 상기 최적 지령값은, 위치 지령, 속도 지령, 가속도 지령, 토크(torque) 지령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의 구성의 사칙 연산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번호 1은 지령을 N차의 필터 처리하는 N차 필터 처리부, 2는 N차 필터 처리부의 출력인 각 변수에, 게인을 곱하여 서로 더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사칙 연산부이다. 사칙 연산부(2)의 출력이 최적 지령값이다. 4는 서보 제어부, 5는 제어 대상, 10은 최적 지령 작성 장치이다. 지금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최적 지령값으로서 위치 지령 Xref, 속도 지령 Vref, 토크 지령값 Tref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은 2 관성계로 한다. 2 관성계의 제어 대상의 모터 위치 Xm으로부터 부하 위치 XL까지의 전달 함수는 식 (1)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1
각 기호의 의미는, J1 : 모터 관성, J2 : 부하 관성, K2 : 스프링 정수, D2 : 점성 계수, S : 라플라스(laplace) 연산자이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D2의 값은 매우 작아, 무시할 수 있는 것이 많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는 D2 = 0으로서 설명하고, 제 2 실시예에서 D2까지 포함한 방법을 나타낸다.
D2 = 0으로 했을 때, 식 (1)은 식 (2)와 같이 고쳐 쓸 수 있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2
이 때, 부하 위치 XL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위치 Xref, 속도 Vref, 모터에 부여하는 토크 지령 Tref는 각각, 식 (3), 식 (4), 식 (5)와 같이 된다.
여기서, XL(a)는 변수 XL의 a계 미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3
따라서, 2 관성계의 제어 대상의 경우, 부하 위치 XL의 4계 미분까지의 값이 있으면, 후는 K2나 J2로 이루어지는 계수를 곱하여, 서로 더하는 것만으로, 최적인 모터의 동작을 실현하는 모터의 위치 Xref, 속도 Vref, 모터에 부여하는 토크 지령 Tref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N차 필터 처리부(1)의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N차 필터는, 부여된 지령을, 최적 지령값을 요구할 때에 필요한 회수(回數)의 미분이 실현 가능한 지령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차수 N은, 그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해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대상(5)이 2 관성계이기 때문에, 최적 지령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부여된 지령을, 4계 미분 가능한 지령으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령이 미분할 수 없는(예를 들면, 스텝 지령) 것이었을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기 위해서는, 필터 차수 N은 4차 이상 필요하지만, 지금은, 지령을 원활하게 하는 이유로, N을 5차로 했을 때의 예를 설명한다.
5차의 필터를 전달 함수의 형태로 표현하면 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XR은 필터 처리 전의 변수, XL은 XR을 필터 처리한 후의 변수를 나타내며, XL이, 제어 대상의 부하 위치가 되도록 최적 지령값을 작성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4
식 (6) 중, K0∼K4까지는 임의의 값으로 결정해도 되지만, 예를 들면, 필터의 주파수 λ를 이용하여, 식 (7)의 항등식을 푸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5
식 (6)을 상태 방정식의 형태로 표현하면 식 (8)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6
식 (8)을 샘플링 주기 Ts 마다의 차분 방정식(k번째의 변수로부터 k+1번째의 변수를 구하는 식)으로 고쳐 쓰면 식 (9)와 같이 된다.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단순하게 오일러(Euler) 1차 근사를 이용하여 차분 방정식을 도출하였지만, 계산 정밀도를 향상시킬 목적 등으로, 다른 이산화(discrete)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그 경우, 행렬의 각 요소의 값은 식 (9)의 것과는 다른 값이 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7
여기서, XL(1)(k+1), XL(2)(k+1), XL(3)(k+1), XL(4)(k+1)은, XL(k+1)의 각각 1계 미분으로부터 4계 미분까지의 값이다. 이와 같이 식 (9)을 실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XL(k+1)의 1계 미분으로부터 4계 미분까지의 값도 구해진다.
따라서, 5차 필터 처리 내부에서는, 입력된 지령 XR(k)를 사용하여, 식 (9)의 계산을 순서대로 실시하는 것만으로 좋다.
다만, 연산하는 계산기의 계산 정밀도에 문제가 있어, 위치 편차 등이 발생하는 경우는, 필터 처리 후의 변수 XL(k)의 1계 미분값으로부터 N계 미분값까지의 계산 방법으로서, 미분의 근사를 N회 반복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미분을, 차분을 이용하여 근사한 경우는 식 (10)과 같이 된다. 여기에서는, 식 (9)와 구별하기 위해, 1계 미분값로부터 N계 미분값까지를, 각각 XL2(1)(k), XL2(2)(k), ···, XL2(N)(k)라고 하는 기호로 나타낸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08
이와 같이 계산하면, 계산 오차가 있었던 경우도, 위치 편차의 문제는 해소된다.
다음에, 사칙 연산부(2)에서의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구해진 XL(k+1), XL(1)(k+1), XL(2)(k+1), XL(3)(k+1), XL(4)(k+1)를 이용하여, 식 (3)∼식 (5)에 의해, 최적 지령값 Xref, Vref, Tref를 구하면 된다.
이상이 제 1 실시예의 설명이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의 방법을 설명한다.
D2 = 0이 아닌 경우, 식 (3)∼식 (5)는 식 (11) ∼ 식 (13)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0023778349-pct00023
식 (11)∼식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 }안은 제 1 실시예의 식 과 같게 단순한 사칙 연산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5차 필터가 처리를 실시한 후에, 사칙 연산을 행하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D2 = 0이 아닌 경우는, { }내에서 계산된 결과에, 청구항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다시 M차의 필터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 (11)∼식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1차의 필터로서는, 식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2와 K2로 이루어지는 1차의 필터의 형태가 된다. (P: 필터 처리 전의 값, Q: 필터 처리 후의 값)
Figure 112005017924978-pct00010
여기에서도 식 (14)를 오일러 1차 근사하여 차분 방정식의 형태로 기술하면 식 (15)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11
이와 같이 D2 = O이 아닌 경우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5차의 필터 처리를 실시한 후, 식 (11)∼식 (13)의 계산을 실행하면, Xref, Vref, Tref를 계산할 수 있다.
이상이 제 2 실시예의 설명이다.
다음에, 제 3 실시예를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1과 1개소만 차이가 있고, N차 필터 처리된 변수의, 1계 미분으로부터 N-1계 미분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L이라고 하는 변수를 정의하여, 1계 미분으로부터 L계 미분까지 구하고, 이것을, 사칙 연산부(2)에 입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변수 L의 값은, 제어 대상을 근사하는 모델의 차수에 상당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2 관성계의 제어 대상에 대해서, 최적 지령을 작성하는 경우는, 전술한 대로, 지령의 4계 미분값까지가 구해지면 된다. 이것은, 2 관성계의 제어 대상의 차수가 4차인 것과 등가이다. 즉, 이 경우, L의 값은 4라는 것이 된다.
또, 제 1과 제 2 실시예에서는, N-1=4이기 때문에, 필터의 차수 N은 5 이상 필요한 것이 되지만, 예를 들면, 부여되는 지령이, 미리 고차 미분 가능한 지령이었던 경우, 반드시 N은 5 이상일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미리 부여된 지령이, 2계 미분 가능한 지령이었던 경우는, 필터 차수 N은 2차 이상이면 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N=2, L=4로 실현 가능하다.
다음에, 2의 사칙 연산 처리부의 처리에 대해, 도 5를 기초로 설명한다.
입력된, 지령을 N차 필터 처리한 신호와, 그 1계 미분으로부터 L계 미분까지의 값을, XL(0)(k+1), XL(1)(k+1), XL(2)(k+1), ···, XL(L)(k+1)로 했을 때, 식 (16)∼식 (18)과 같이 최적 지령값을 구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12
여기서, 게인 Gx0∼GxL, Gv0∼GvL, Gt0∼GtL은, 각각, 제어 대상에 따라서, 설정하는 값이며, 완전하게, 제어 대상을 알고 있는 경우는, 식 (3), 식 (4), 식 (5)와 같이, 구체적인 변수를 설정하고, 해당하지 않는 변수는 0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의 경우는, 식 (19)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5017924978-pct00013
그러나, 실제로는, 제어 대상의 구성을, 완벽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고, 예를 들면, 마찰이나, 전달 기구에서 발생하는 손실(loss)분 등은, 통상 미리 파악할 수 없다.
그러한 경우는, 실제로 기계를 동작시킴으로써, 게인 Gx0∼GxL, Gv0∼GvL, Gt0∼GtL에 해당하는 값을, 동정(同定)하면 된다. 동정 방법은, 정밀도와 계산량으로부터 결정하면 되고,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GA(Genetic Algorithm : 유전적 알고리즘)에 의한 방법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이, 제 3 실시예의 설명이다.
지금까지는, N차 필터로서 식 (6)과 같은 순회형 필터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N차 필터로서 식 (20)과 같은 비순회형 필터를 구성해도 된다. (Wi: i번째의 가중치 계수)
Figure 112005017924978-pct00014
이 경우도, 변수 XL(k)의 1계 미분값로부터 N계 미분값은 자동적으로 구해지지 않기 때문에, 필터 처리 후에, 상술한, 식 (10)의 미분 처리를 행하면 된다.
또, N차의 필터 처리를 행하는 방법으로서 N보다 저차(低次)의 필터 처리를 수회 반복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5차의 경우는, 예를 들면, 2차의 필터 처리를 2회, 1차의 필터 처리를 1회 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계산된, 모터의 위치 Xref, 속도 Vref, 모터에 부여하는 토크 지령 Tref를, 최적 지령값으로서, 종래부터 있는 피드백 제어부에 출력함으로써, 원하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3개의 실시예에서는, 제어 대상을 2 관성계로 하였기 때문에, L=4, N=5 혹은 N=2, M=1이었지만, 당연히, 다른 모든 제어 대상에 본 장치는 적용할 수 있다. 그 때는 변수 L, N, M이 다른 값이 되는 일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대상이, 기대(機臺)의 위에 설치되어 있고, 그 기대가 스프링 요소로 지면과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기계였던 경우의 식 (3)∼식 (5)에 상당하는 식을, 기대의 위에 설치되는 기계가 강체인 경우와 2 관성계인 경우에 대해, 각각, 식 (21)∼식 (23), 식 (24)∼식 (26)에 나타낸다.
J3: 기대 질량의 관성 환산값, K3: 기대 스프링 정수
·기대 위의 기계가 강체로 근사되는 경우
(여기에서는, Jl: 강체 관성)
Figure 112005017924978-pct00015
·기대 위의 기계가 2 관성계로 근사되는 경우
(여기에서는, Jl: 모터 관성, J2: 부하 관성, K2: 2 관성계 스프링 정수)
Figure 112005017924978-pct00016
이와 같이, 제어 대상이 어떠한 구성이어도, 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이면, 제어 대상이 변경된 경우도, 같은 차수이면, 사칙 연산부에서 곱하는 게인의 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최적 지령값으로서 계산한 것은, 위치 지령 Xref, 속도 지령 Vref, 토크 지령값 Tref였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최적 지령값은, 위치 지령, 속도 지령, 가속도 지령, 토크 지령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여된 지령을, 복잡한 계산없이, 간단하게 제어 대상이 진동하지 않는 지령으로 가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제어 대상의 모델도 가지지 않고, 그 모델을 피드백 제어하는 보상기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연산량이 적고, 결과적으로 연산 시간이 짧아져, 제어 샘플링 주기가 짧아짐으로써, 제어 성능이 상승한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지령에 대한 지연도, N차의 필터에 의한 지연뿐이기 때문에, 종래의 것 과 비교하여 지령 추종 성능도 향상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설정하는 파라미터가 N차 필터의 주파수 λ뿐이기 때문에, 누구라도 간단하게 본 장치를 구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제어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기계를 실제로 동작시켜, 각 미분값에 곱하는 게인의 값을 동정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대상이 변경된 경우도, 같은 차수이면, 사칙 연산부에서 곱하는 게인의 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작기나 산업용 로보트 등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요소를 가지는 제어 대상을, 진동 없이, 또한, 지령에 대해 지연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서보 제어부에 입력하는 지령을 가공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유용하다.

Claims (6)

  1. 지령을 입력하여, 제어 대상이,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령을 가공하여, 최적 지령값을 서보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령에 대해 N차(N은 2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이 필터 처리가 실시된 지령의 1계 미분으로부터 (N-1)계 미분까지의 값을 산출하는 N차 필터 처리부와, 상기 N차 필터 처리부의 출력에 게인을 곱한 값을 가산하는 사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N은, 상기 제어 대상을 라플라스(Laplace)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한 전달 함수 형식으로 정의되는 근사 모델의 전달 함수의 분모의 차수에서, 상기 지령의 차수를 감산한 값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
  2. 지령을 입력하여, 제어 대상이,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령을 가공하여, 최적 지령값을 서보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령에 대해 N차(N은 2 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이 필터 처리가 실시된 지령의 1계 미분으로부터 (N-1)계 미분까지의 값을 산출하는 N차 필터 처리부와, 상기 N차 필터 처리부의 출력에 게인을 곱한 값을 가산하는 사칙 연산부와, 상기 사칙 연산부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변수에 대하여, M차(M은 1 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하는 M차 필터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N은, 상기 제어 대상을 라플라스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한 전달 함수 형식으로 정의되는 근사 모델의 전달 함수의 분모의 차수에서, 상기 지령의 차수를 감산한 값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
  3. 지령을 입력하여, 제어 대상이,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령을 가공하여, 최적 지령값을 서보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령에 대해 N차(N은 2 이상의 정수)의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이 필터 처리가 실시된 지령의 1계 미분으로부터 L계 미분(L은 1 이상의 정수)까지의 값을 산출하는 N차 필터 처리부와, 상기 N차 필터 처리부의 출력인, 상기 1계 미분으로부터 L계 미분의 값 각각에 게인을 곱한 후, 이들 모두를 서로 더하는 사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L은, 상기 제어 대상을 라플라스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한 전달 함수 형식으로 정의되는 근사 모델의 전달 함수의 분모의 차수이며,
    상기 N은, 상기 L로부터 상기 지령의 차수를 감산한 값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차의 필터로서는, 순회형 필터 또는 비순회형 필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지령값은, 위치 지령, 속도 지령, 가속도 지령, 토크 지령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지령 작성 장치.
  6. 삭제
KR1020057005916A 2002-10-08 2003-06-05 최적 지령 작성 장치 KR100970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4902A JP3834815B2 (ja) 2001-12-10 2002-10-08 最適指令作成装置
JPJP-P-2002-00294902 2002-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240A KR20050059240A (ko) 2005-06-17
KR100970539B1 true KR100970539B1 (ko) 2010-07-16

Family

ID=3208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916A KR100970539B1 (ko) 2002-10-08 2003-06-05 최적 지령 작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15217A1 (ko)
EP (1) EP1550924A4 (ko)
KR (1) KR100970539B1 (ko)
CN (1) CN100347619C (ko)
WO (1) WO2004034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168A1 (ja) * 2009-03-24 2010-09-30 株式会社安川電機 モータ制御装置
EP2996003B1 (en) 2014-09-11 2021-06-30 Robert Bosch GmbH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n object
US10371285B2 (en) * 2015-10-27 2019-08-06 Dresser, Llc Predicting maintenance requirements for a valv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803A (ja) * 1993-02-16 199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調整サーボ制御装置
JPH0793010A (ja) * 1993-09-22 1995-04-07 Toyoda Mach Works Ltd ロボット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24B2 (ja) * 1986-03-19 1995-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制御装置
JPH05143106A (ja) * 1991-11-19 1993-06-11 Nikon Corp ステージ制御装置
JPH10149210A (ja) * 1996-11-20 1998-06-02 Yaskawa Electric Corp 位置決め制御系の指令作成方法
US6215270B1 (en) * 1996-12-04 2001-04-10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Synchronous control device
DE10023690A1 (de) * 2000-05-16 2001-11-22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Gerät mit einem Regelkre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803A (ja) * 1993-02-16 199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調整サーボ制御装置
JPH0793010A (ja) * 1993-09-22 1995-04-07 Toyoda Mach Works Ltd ロボット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4163A1 (ja) 2004-04-22
US20060015217A1 (en) 2006-01-19
CN1688947A (zh) 2005-10-26
KR20050059240A (ko) 2005-06-17
CN100347619C (zh) 2007-11-07
EP1550924A4 (en) 2010-04-07
EP1550924A1 (en)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amed et al. Command shaping techniques for vibration control of a flexible robot manipulator
Daly et al. Time-delayed output feedback bilateral teleoperation with force estimation for $ n $-Dof nonlinear manipulators
Kim et al. A design of bilateral teleoperation systems using composite adaptive controller
EP0540168B1 (en) Simulator using a neural network
da Silva et al. Design of mechatronic systems with configuration-dependent dynamics: simulation and optimization
KR100970539B1 (ko) 최적 지령 작성 장치
WO2009110368A1 (ja) 移動体のフィードフォワード制御方法
Moberg et al. A benchmark problem for robust feedback control of a flexible manipulator
Aksman et al. Force estimation based compliance control of harmonically driven manipulators
Christiansen et al. Optimal control of a voice-coil-motor with coulombic friction
JP3834815B2 (ja) 最適指令作成装置
CN112805653B (zh) 定位控制装置以及定位方法
WO1993020489A1 (en) Prediction control apparatus
Adnan et al. Adaptive feedforward Zero Phase Error Tracking Control for minimum phase and non-minimum phase systems-XY table real-time application
Bhatia et al. Application of model predictive controller for 2-DOF robot manipulator
Dang et al. Accurate motion regeneration technique with robust control approach
CN110187637A (zh) 在控制方向和期望轨迹不确定下的机器人***控制方法
JP2003274684A (ja) サーボ制御装置
Waheed et al. A TV-MPC Methodology for Uncertain Under-Actuated Systems: A Rotary Inverted Pendulum Case Study
JP2881873B2 (ja) デジタル適応制御装置
Rauh et al. Experimental validation of a sensitivity-basec learning-type controller for a linear time-varying model of a flexible high-speed rack feeder
CN111052003B (zh) 控制装置
Wang et al. A new simulation scheme for self-tuning adaptive control of robot manipulators
Ismail et al. Adaptive feedforward zero phase error tracking control with model reference for high precision XY table
Chiou et al. Investigation of a Discrete Model for Servo Feed Drive System in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