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434B1 -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434B1
KR100968434B1 KR1020100002872A KR20100002872A KR100968434B1 KR 100968434 B1 KR100968434 B1 KR 100968434B1 KR 1020100002872 A KR1020100002872 A KR 1020100002872A KR 20100002872 A KR20100002872 A KR 20100002872A KR 100968434 B1 KR100968434 B1 KR 10096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digital
mobile phone
applic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주)채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채울 filed Critical (주)채울
Priority to KR102010000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8Encryption being effected by mechanical apparatus, e.g. rotating cams, switches, keytape punch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과 소리신호 처리부를 연결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랜덤매핑 테이블 전송요청을 받으면 랜덤매핑 테이블을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며, 소리신호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정보를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로 대체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제어부, 휴대폰 자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신호를 입력받아 소리신호 처리부에 전송하는 마이크,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소리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디지털신호와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디지털신호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디지털신호들를 비교하여 식별한 후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리신호 처리부, 디지털신호와 디지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모듈은, 온라인 금융서비스의 안전한 사용자 정보(계좌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 입력을 위한 대체수단으로 사용하거나 입력부를 탑재하기 곤란한 제품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Module and method with secure password input function using the button sound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보안토큰과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포함하는 보안장치 분야 및 소리인식(Sound Recognition) 분야에 속한 것으로 두 분야의 융합기술과 관련되어 있다.
현대 정보화 사회는 다양한 IT기술을 통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상이한 IT기술들을 접목시킴으로서 새로운 기술을 창조해내는 융합기술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보안장치와 음식인식 기술의 융합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이 반드시 요구되는 휴대용 보안장치(보안토큰, 스마트카드리더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금융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보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인터넷뱅킹이나 온라인 증권거래의 보안성을 강화시키는 방안으로 보안토큰(공인인증서를 탑재하고 자체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보안장치)의 사용을 시중은행과 증권사에 (5천만원 이상 거래 경우에)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가 마그네틱 방식에서 스마트카드 IC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를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 리더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리더기(도8 참조)가 출시되면서 그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안토큰과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보안기능(예: 거래전문에 대한 전자서명이나 암호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치 비밀번호 즉,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장치에 입력해야 한다. 상기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범용 키보드를 사용해서 PIN을 입력하게 된다. 이럴 경우, 키 로깅 프로그램(키보드로 입력되는 정보를 중간에서 모니터하는 해킹 프로그램)을 통해 PIN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장치를 별도로 탑재한 스마트카드 리더기도 출시되었다(도8 참조). 일반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장치의 입력은 손가락을 사용함으로 장치 크기가 충분히 커야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휴대성이 크게 떨어지고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48047(휴대폰을 키패드로 사용하는 전자식 도어록 및 그 방법)은 휴대폰 자판을 눌러서 발생하는 버튼음을 입력값으로 하여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도어록 및 입력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휴대폰 버튼음은 공기중에 전파되어 도청이나 녹음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특허는 휴대폰 이어폰 잭과 도어록의 연결잭을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도어록에 휴대폰 삽입이 가능한 삽입구를 구성하여 휴대폰을 삽입구에 삽입하여 버튼음을 입력하여 휴대폰 버튼음이 공기 중에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휴대폰의 이어폰 잭과 상기 도어록의 연결잭을 케이블로 연결하면 휴대폰 버튼음이 공기중으로 전파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있지만 케이블을 항상 휴대해야 하며 휴대폰과 도어록을 케이블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도어록에 휴대폰을 삽입하여 휴대폰 버튼음을 도어록의 마이크에 전달하는 방식은 휴대폰의 버튼음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이 화면에 버튼이 있는 경우 상기 삽입구에 휴대폰을 삽입한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보안토큰이나 휴대용 스마트카드 리더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폰 자판의 버튼음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동시에 도청이나 녹음을 통한 외부 노출과 온라인을 통한 비밀번호 해킹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소리신호 처리부를 연결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휴대폰 자판에 있는 10개의 숫자버튼으로 구성된 실제자판과 임의로(Random) 생성된 가상자판을 연결하는 사상(Mapping)함수를 표시한 랜덤매핑 테이블(Random Mapping Table) 전송요청을 받으면 랜덤매핑 테이블을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며, 소리신호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정보를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로 대체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제어부, 휴대폰 자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신호를 입력받아 소리신호 처리부에 전송하는 마이크,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소리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디지털신호와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디지털신호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디지털신호들을 비교하여 식별한 후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리신호 처리부, 디지털신호와 디지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제어부를 통해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신호를 소리신호 처리부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1 또는 상기 디지털신호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디지털신호들을 비교하여 식별한 후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2를 전송하면, 소리신호 처리부가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마이크를 통해 소리신호가 들어오기를 기다리고, 사용자가 휴대폰의 자판 버튼을 눌러 소리신호가 발생하여 마이크를 통해 소리신호 처리부에 입력되면, 소리신호 처리부는 입력된 소리신호를 명령1 또는 명령2에 따라 처리하고 그 결과인 응답메시지를 제어부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기본단계,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등록이 시작되었음과 휴대폰 자판의 숫자 '1'이 표시된 버튼을 누를 것을 알림과 동시에 제어부에 명령1를 전송하면서 상기 기본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기본단계의 마지막에 애플리케이션은 명령1 수행 결과에 따라 응답처리 과정을 수행하는데, 명령1 수행이 실패했으면 숫자 '1' 등록을 반복하고, 성공했으면 숫자 '2' 등록을 시작하며, 이 후 숫자 '3' ~ '9','*',숫자 '0','#'에 대해 상기 명령1에 대한 처리를 하는 기본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휴대폰 자판의 숫자나 문자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입력하려는 휴대폰 자판의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라고 알리면서 제어부에 랜덤매핑 테이블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를 받아서 생성된 가상 자판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제어부에 명령2를 전송하며, 사용자는 상기 가상 자판을 보고 휴대폰 자판에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면, 소리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소리신호 처리부에 전달되고, 소리신호 처리부는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소리신호를 처리하고 디지털정보가 포함된 응답메시지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로 대체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입력모듈은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자판을 구현하지 않고도 휴대폰의 자판을 활용해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입력모듈을 적용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입력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가능해 진다. 도8는 본 발명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기존의 스마트카드 리더기, 키패드, 키패드 일체형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키패드를 탑재해야하는 경우 휴대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모듈을 활용함으로써 버튼음 인식 휴대용 스마트카드 리더기라는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랜덤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매번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휴대폰 버튼음이 변경되기 때문에 공기중으로 전파되는 휴대폰 버튼음에 대한 도청이나 녹음의 위험에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력모듈을 포함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본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등록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력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은 랜덤매핑 테이블과 가상 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소리신호, 디지털신호, 디지털정보 간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력모듈을 적용한 보안토큰 및 스마트카드 리더기 구현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8는 본 발명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으로, 기존의 스마트카드 리더기, 키패드, 키패드 일체형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 이전에 몇 가지 기술용어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자 한다.
소리신호는 인간의 귀로 감지될 수 있는 진동수를 갖는 신호로 시간에 따라 크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 소리신호가 표본화와 양자화 과정을 거쳐서 변환된 값이다.
디지털정보는 디지털신호에 특정 문자나 숫자를 맵핑하여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도6은 소리신호, 디지털신호, 디지털정보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데스크탑,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카드 IC, 범용 제어칩과 같은 직접회로(Integrated Circuit), 그리고 PDA, 네비게이션, PMP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카드 IC를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입력모듈은 보안토큰이나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입력부로 활용될 수 있다(도8 참조).
애플리케이션과 입력모듈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는 USB, 직렬통신, 병렬통신, RF통신, 네트워크통신 등 물리적 연결방식 전반을 일컫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복합적(예: USB + UART)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력모듈을 포함한 블록도이다. 블록도는 크게 휴대폰(100)과 입력모듈(200), 그리고 애플리케이션(300)으로 구분된다. 또한, 입력모듈(200)은 마이크(210), 소리신호 처리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로 구성된다.
입력모듈(200)의 동작방식에 있어서, 휴대폰 자판을 눌러 아날로그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면, 소리신호가 마이크(210)에 입력되고 소리신호 처리부(220)는 소리신호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40)를 통해 최종적으로 애플리케이션(300)에 전달한다.
마이크(210)는 휴대폰 자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신호를 입력받아 소리신호 처리부(220)에 전송한다.
소리신호 처리부(220)의 신호 처리방식은 상세하게, 입력된 소리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저장부(230)에 저장하는 경우와 상기 디지털신호와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디지털신호들을 비교하여 식별한 후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제어부(240)에 전송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제어부(240)는 애플리케이션(300)과 상기 소리신호 처리부(220)를 연결하고, 애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랜덤매핑 테이블 전송요청을 받으면 랜덤매핑 테이블을 애플리케이션(300)에 전송하며, 소리신호 처리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정보를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로 대체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300)에 전송한다.
저장부(230)는 상기 소리신호 처리부(220)에서 전달받은 디지털신호와 디지털정보를 저장한다.
도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입력방법은 크게 기본단계(S100), 이를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수행되는 등록단계(S300), 그리고 입력단계(S600)의 3가지로 구분된다.
기본단계(S100)는 애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제어부(240)로 전송되는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최소 단위이다.
도2는 기본단계(S100)에 관한 것으로, 애플리케이션(300)이 입력모듈(200)의 제어부(240)에 명령을 전송함으로 기본단계(S100)가 시작됨을 보여준다.
상기 명령은 마이크(210)로부터 입력된 소리신호를 소리신호 처리부(220)가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하 명령1)과 상기 디지털신호와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디지털신호들을 비교하여 식별한 후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제어부(24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하 명령2)으로 구분된다.
기본단계(S100)는 보다 상세하게, 애플리케이션(300)이 제어부(240)를 통해 명령을 전송하면(S110), 소리신호 처리부(220)가 입력 대기 상태(S120)로 전환되면서 마이크(210)를 통해 소리신호가 들어오기를 기다리고, 사용자가 휴대폰(100)의 자판 버튼을 눌러 소리신호가 발생하여 마이크(210)를 통해 소리신호 처리부(220)에 입력되면(S130), 소리신호 처리부(220)는 입력된 소리신호를 명령에 따라 처리하고(S140) 그 결과인 응답메시지를 제어부(240)에 전송하면(S150), 최종적으로 애플리케이션(300)의 응답처리 과정으로 기본단계(S100)가 완료된다.
상기 응답메시지는 명령에 의해 결정되는데, 명령1에 대응한 응답메시지는 명령 수행의 성패 여부이고 명령2에 대응한 응답메시지는 명령 수행의 성패 여부와 성공 시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이다. 상기 응답처리 과정은 기본단계(S100)가 응용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3은 휴대폰 자판 버튼(1~9,*,0,#)에서 발생하는 소리신호의 등록단계(S30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애플리케이션(300)은 (Display장치나 스피커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등록단계(S300)가 시작되었음과 휴대폰 자판의 숫자 '1'이 표시된 버튼을 누를 것을 알림(S310)과 동시에 제어부(240)에 명령1를 전송하면서(S320) 기본단계(S100)를 수행하고, 기본단계(S100)의 마지막에 애플리케이션(300)은 명령 수행 결과에 따라 응답처리 과정을 수행하는데(S330), 명령 수행이 실패했으면 숫자 '1' 등록을 반복하고(S310), 성공했으면 숫자 '2' 등록을 시작하며(S340), 이 후 숫자 '3' ~ '9','*',숫자 '0','#'에 대해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등록단계(S300)를 완료한다.
상기 등록단계에서 휴대폰 자판에 표시된 각 디지털정보와 특정 디지털신호가 쌍으로 등록된다.
도4는 휴대폰 자판의 버튼을 사용해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60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애플리케이션(300)은 사용자에게 입력단계(S600)가 시작되었음과 휴대폰 자판의 버튼을 누를 것을 알림(S610)과 동시에 제어부(240)에 랜덤매핑 테이블 전송을 요청하고(S620), 제어부(240)로부터 전송된 랜덤매핑 테이블을 받아(S630) 생성된 가상 자판(도5 참조)을 (Diplay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제어부(240)를 통해 명령2을 전송하면(S640), 소리신호 처리부(220)가 입력 대기 상태(S650)로 전환되면서 마이크(210)를 통해 소리신호가 들어오기를 기다리고, 사용자가 휴대폰(100)의 자판 버튼을 눌러 소리신호가 발생하여 마이크(210)를 통해 소리신호 처리부(220)에 입력되면(S660), 소리신호 처리부(220)는 입력된 소리신호를 명령에 따라 처리하고(S670) 그 결과인 응답메시지를 제어부(240)에 전송하면(S680),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랜덤매핑 테이블을 적용하여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정보를 랜덤매핑 테이블에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로 대체하고 이를 적용한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고(S690) 이를 애플리케이션(300)에 전송하며(S700), 최종적으로 애플리케이션(300)의 응답처리 과정으로 입력단계가 완료된다(S710).
도5은 랜덤매핑 테이블과 가상 자판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자판에 있는 10개 숫자버튼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기 위한 사상함수로서 표시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5에 도식된 랜덤매핑 테이블을 적용할 경우, 실제 휴대폰 자판의 숫자 '1'을 누르면 입력모듈은 숫자 '3'가 눌러진 것으로 인식한다.
참고로 제어부(240)는 랜덤매핑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갱신해야 하는데, 갱신주기는 입력모듈의 응용환경(보안의 중요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한 숫자와 문자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안토큰, 스마트카드리더기와 같은 휴대용 보안장치 같이 휴대성과 보안성이 중요한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휴대폰
200 : 입력모듈 210 : 마이크
220 : 소리신호 처리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300 : 애플리케이션

Claims (2)

  1.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과 소리신호 처리부를 연결하고,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휴대폰 자판에 있는 10개의 숫자버튼으로 구성된 실제자판과 임의로(Random) 생성된 가상자판을 연결하는 사상(Mapping)함수를 표시한 랜덤매핑 테이블(Random Mapping Table) 전송요청을 받으면 랜덤매핑 테이블을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며, 소리신호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정보를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로 대체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제어부;
    휴대폰 자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신호를 입력받아 소리신호 처리부에 전송하는 마이크;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소리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디지털신호와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디지털신호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디지털신호들를 비교하여 식별한 후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리신호 처리부;
    디지털신호와 디지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2.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제어부를 통해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신호를 소리신호 처리부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1 또는 상기 디지털신호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디지털신호들을 비교하여 식별한 후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2를 전송하면, 소리신호 처리부가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마이크를 통해 소리신호가 들어오기를 기다리고, 사용자가 휴대폰의 자판 버튼을 눌러 소리신호가 발생하여 마이크를 통해 소리신호 처리부에 입력되면, 소리신호 처리부는 입력된 소리신호를 명령1 또는 명령2에 따라 처리하고 그 결과인 응답메시지를 제어부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기본단계;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등록이 시작되었음과 휴대폰 자판의 숫자 '1'이 표시된 버튼을 누를 것을 알림과 동시에 제어부에 명령1를 전송하면서 상기 기본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기본단계의 마지막에 애플리케이션은 명령1 수행 결과에 따라 응답처리 과정을 수행하는데, 명령1 수행이 실패했으면 숫자 '1' 등록을 반복하고, 성공했으면 숫자 '2' 등록을 시작하며, 이 후 숫자 '3' ~ '9','*',숫자 '0','#'에 대해 상기 명령1에 대한 처리를 하는 기본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휴대폰 자판의 숫자나 문자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입력하려는 휴대폰 자판의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라고 알리면서 제어부에 랜덤매핑 테이블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를 받아서 생성된 가상 자판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제어부에 명령2를 전송하며, 사용자는 상기 가상 자판을 보고 휴대폰 자판에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면, 소리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소리신호 처리부에 전달되고, 소리신호 처리부는 명령2에 따라 상기 소리신호를 처리하고 디지털정보가 포함된 응답메시지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랜덤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되는 디지털정보로 대체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입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KR1020100002872A 2010-01-12 2010-01-12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KR10096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72A KR100968434B1 (ko) 2010-01-12 2010-01-12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72A KR100968434B1 (ko) 2010-01-12 2010-01-12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434B1 true KR100968434B1 (ko) 2010-07-07

Family

ID=4264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872A KR100968434B1 (ko) 2010-01-12 2010-01-12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9321A (zh) * 2020-12-18 2021-03-12 南京家洁馨商贸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识别的保护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59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패드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키 데이터 입력 방법
JP2003097115A (ja) 2001-09-20 2003-04-03 Saburo Oshima 電動錠開閉システム
KR20050119954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KR100648047B1 (ko) 2005-03-03 2006-11-23 주식회사 아이레보 휴대폰을 키패드로 사용하는 전자식 도어록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59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패드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키 데이터 입력 방법
JP2003097115A (ja) 2001-09-20 2003-04-03 Saburo Oshima 電動錠開閉システム
KR20050119954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KR100648047B1 (ko) 2005-03-03 2006-11-23 주식회사 아이레보 휴대폰을 키패드로 사용하는 전자식 도어록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9321A (zh) * 2020-12-18 2021-03-12 南京家洁馨商贸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识别的保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4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 time mutable credit card information and for providing timestamp functionality
US9524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TWI591507B (zh) 佈建及驗證一電子裝置上之認證
US108670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in entry on mobile devices
US20160132878A1 (en) Payment Card Including User Interface for Use with Payment Card Acceptance Terminal
US201402018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ssword of user terminal
TW201513592A (zh) 使用一電子裝置之低功率模式之近場通信管理
WO2010053594A1 (en) Secure key input by rearrangement of keypad layout
CN111512618B (zh) 发送和接收包括表情符号的消息的电子设备以其控制方法
KR101561499B1 (ko) 엔에프씨 인증카드를 이용한 인증방법
CN107437997B (zh) 一种射频通信装置及方法
KR100968434B1 (ko)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기능을 가진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EP36970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US20220166769A1 (en) Electronic device for verifying a user's identity
CN105405010B (zh) 交易装置、使用其的交易***与交易方法
US202203009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ayment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06302116A (ja) 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端末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19073B2 (en) Keyboard device
KR20110029033A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정보를 이용한 공인 인증서 발급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210691450U (zh) 认证终端装置
KR20110080761A (ko) 휴대폰 버튼음을 이용한 숫자와 문자 입력모듈 및 입력방법
CN116342274A (zh) 数字货币兑换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902439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TWM651608U (zh) 利用電子裝置進行無卡提款之系統
TW202109407A (zh) 點數管理及憑證開立方法與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