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615B1 -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615B1
KR100961615B1 KR1020080002939A KR20080002939A KR100961615B1 KR 100961615 B1 KR100961615 B1 KR 100961615B1 KR 1020080002939 A KR1020080002939 A KR 1020080002939A KR 20080002939 A KR20080002939 A KR 20080002939A KR 100961615 B1 KR100961615 B1 KR 10096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film
heat
shrinkable film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154A (ko
Inventor
박병식
이상하
이상훈
박양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6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용, 결속용, 외장용, 라벨용 등 포장재료로서 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열수축성 필름과 열수축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은 폴리유산 95.0 내지 99.9 중량%와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 0.1 내지 5.0중량%로 구성된 필름 조성물로 되고, 90℃의 온수 중에서 10초간의 열수축률이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3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은 폴리유산을 주원료로 하여 생분해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필름으로 수축 후 외관 균일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합성수지계열의 원료로 만든 열수축성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실용성이 있는 것일 뿐이 아니라, 식물자원에서 추출된 환경친화성 폴리유산을 원료로 사용하여 소비자가 사용 후 폐기시 생분해되는 것으로 산업적으로 유용하다.
폴리유산, 생분해성, 열수축성, 포장용, 투명성.

Description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Heat shrinkable film retaining biodegradability and prepa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피복용, 결속용, 외장용, 라벨용 등 포장재료로서 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열수축성 필름과 열수축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플라스틱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값싸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포장재로 전 세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성을 갖는 합성 플라스틱은 그 장점이자 단점인 분해가 잘 되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따라서 최근 각국에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 관심을 모으고 있다. 즉, 종래에는 합성 플라스틱 처리를 위해 매립, 소각 및 재생이라는 방법을 주로 활용해 왔으나, 이들 방법으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사용이 완료된 플라스틱이 스스로 분해가 가능하도록 만드 는 소위 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기술과 원료로부터 여러 종류의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이중 폴리유산 (이하, 'PLA'라 함)은 L-유산의 발효법 개발에 의해 대량 또한 값싸게 제조되고 있으며, 퇴비화 조건에서 분해속도가 빠르고, 곰팡이에 대한 저항성, 식품에 대한 내착취성 등 우수한 특징을 보유해 그 이용 분야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열수축성 필름의 경우 각종 용기, 플라스틱병, 유리병, 각종 봉상 성형품(파이프, 봉, 목재) 등의 피복용, 결속용 혹은 외장용으로서, 특히 이들의 캡부, 어깨부, 통부 등의 일부 또는 전면을 피복하고 표시, 보호, 결속, 상품 가치 향상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며 상자, 병, 판, 봉, 노트 등과 같은 집적 포장용 분야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고 수축성 및 수축 응력을 이용한 용도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열수축성 필름은 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의 소재로 구성된 열수축성 필름을 사용하여 제품의 이미지 향샹, 광고효과 증대, 제품 보호 효과 증가 등으로 많이 활용되었으나, 필름에 다양한 인쇄, 증착, 코팅, 합지를 하므로 물질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폐기를 소각에 의한 처리에만 의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 포장용 플라스틱과 동일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본특허공개 제2001-151906호, 제2001-011214호, 2003-119367호에서는 폴리유산과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수축 필름 및 시트를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개시된 발명들에서는 폴리에스 테르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에서 9wt%이상 또는 25wt%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폴리유산과 지방족폴리에스테르 간의 상용성을 감안할 때 폴리유산의 장점인 투명성을 유지시키는 어려운 조성비이거나, 폴리에스테르로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함과 동시에 방향족 함량을 기재하지 않아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생분해성이 명확하지 않으며, 이에 따른 필름 조성물의 투명성 또한 헤이즈(HAZE)가 7 내지 8% 수준으로 폴리유산의 투명성을 유지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수축성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투명성과 생분해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특히 양호한 저온 수축성을 지니고 수축 후 외관 균일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투명성 및 생분해성을 보유하면서 양호한 저온 수축성을 지니고 수축 후 외관 균일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은;
폴리유산 95.0 내지 99.9 중량%와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 0.1 내지 5.0중량%로 구성된 필름 조성물로 되고, 90℃의 온수 중에서 10초간의 열수축률이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3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유산은 락트산(lactic acid)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유산의 경우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수평균분자량은 10,000 이상으로, 이들 폴리유산은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유산내충격개선제는 방향족-지 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 이들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산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알킬렌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숙신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이나 상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분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알콜인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1,4-옥탄디올, 1,5-옥탄디올, 1,6-옥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식 (1)
Figure 112008002096953-pat00001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상기의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성분에서 방향족 성분이 10 내지 50몰%로 조절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0몰%가 가장 좋다. 이는 방향족이 10몰% 이하일 경우 필름의 유연성 강화 측면에서 별다른 개선효과가 없으며, 50몰% 이상일 경우 분해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숙신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이나 다음 일반식(1)로 표현되는 분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알콜인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1,4-옥탄디올, 1,5-옥탄디올, 1,6-옥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는 블럭 공중합체(block copolymer)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성 필름은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타 첨가물로는 2차 가공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가소제로 에테르 에스테르계 가소제나 옥시산 에스테르계, 글리콜계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린(글리세롤),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methoxypolyethylene glycol), 트리-n-부틸 시트레이트(tri-n-butyl citrate) 등이 있다. 이들 혼합물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핵제로는 탈크(Talc)를 포함한 이산화티탄,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핵제에 사용된 무기입자는 유기 윤활제와 병행하여 사용되는데 유기 윤활제로는 지방 족 탄화수소계 윤활제나 지방족 아미드계 윤활제 등이 사용된다.
또한, 필름으로 성형 시 용융장력의 저하시킬 목적으로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수지에 첨가될 수 있는 가교제로는 유기 과산화물 화합물, 금속 착제,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이외에 용도에 따라 자외선 방지제, 항균/항취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산화방지제, 안료 등의 물질을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의 함량은 0.1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5.0중량% 이상에서는 필름의 투명성 측면에서 급격히 투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좋기로는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름으로 제조하는 공정에서 필름의 유연성이 부족할 경우 필름 제조시 연속된 파단에 의하여 제조에 어려움이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의 열수축율은 필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으로 30% 이상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필름의 열수축율이 30% 이하인 경우에는 다양한 용도로는 적용이 어려워 제품의 실용성이 떨어진다. 상기의 폴리유산,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 및 기타첨가물 등은 공급기(FEEDER)를 통하여 일정한 혼합비율로 이축스크루압출기(TWIN SCREW EXTRUDER)에 투입하고 고진공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용융 압출하며, 이를 냉각 및 고화시켜 쉬트를 제조하여 필름의 길이 방향 또는 필름의 폭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신시키거나, 또는 적절한 연신비로 양 방향 연신을 시켜서 생분해성이 있는 열수축성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은 폴리유산을 주원료로 하여 생분해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필름으로 수축 후 외관 균일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합성수지계열의 원료로 만든 열수축성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실용성이 있는 것일 뿐이 아니라, 식물자원에서 추출된 환경친화성 PLA를 원료로 사용하여 소비자가 사용 후 폐기시 생분해되는 것으로 산업적으로 유용하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FILM의 특성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열수축률
시편을 길이 방향으로 100mm, 폭 방향으로 100mm가 되게 정사각형 모양으로 절단하여 샘플링하고, 이 샘플을 90℃의 온수 중 10초간 열처리하여 수축률을 측정하였고, 이를 n수 20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열수축률로 정의하였다. 필름의 길이방향은 MD, 폭방향은 TD로 표시하였다.
(2) 수축 후 외관상태
제조된 수축 필름을 1.5L 용량의 페트병 용기의 어깨부 라벨로 사용가능토록 제작한후 용기에 씌운 다음 150℃의 공기오븐에서 30초간 수축시킨 후 외관상태를 10회 반복하여 결점수의 평균값을 파악하였으며, 결점이 1개 이하일 경우 양호(0), 5개 이하일 경우(△), 5개를 초과할 경우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또한,외관상태 결점은 라벨별로 수축반, 주름, 상하부 끝부분 말림, 인쇄모양 찌그러짐에 대한 갯수를 파악하였다.
(3) 투명성 (HAZE : ASTM D 1003)
ASTM D 1003 분석 조건으로 헤이즈(HAZE)를 구하였다.
(4) 기계적강도 (인장강도 ; ASTM D 882)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온도 20 ±2℃ , 상대습도 65 ±2%인 상태에서 인장속도 500mm/분으로 측정을 하였고, 필름의 길이방향을 MD, 폭방향을 TD로 표시하였다.
(5) 유연성 (신도 ; ASTM D 882)
상기 인장강도와 같은 조건에서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신율을 구하였고, 필름의 길이방향을 MD, 폭방향을 TD로 표시하였다.
(6) 분해도 (KS M 3100-1)
입자 크기가 20㎛ 이하인 TLC 등급의 셀룰로오스를 표준시료로 하여 동일조건에서 시험물질을 퇴비화하여 45일간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누적량(아래 계산식 이용)으로부터 시험물질의 생분해도를 계산하여 표준시료의 분해도를 100으로 할 때 이에 대비된 시험물질의 생분해도를 %로 산출하여 80% 이상은 1, 80~50%는 2, 50% 이하는 3으로 표현하였다.
Dt = [ {(CO2)T - (CO2)B} / ThCO2 ] ×100
(CO2)T : 시험 물질이 담긴 용기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누적량
(CO2)B : 퇴비 물질이 담긴 용기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누적량
ThCO2 : 이론적 이산화탄소 발생량 계산
ThCO2 = MTOT ×CTOT ×(44/12)
MTOT : 분석 시작 단계에서 첨가된 시험물질 중 총 건조 고형분의 량(g)
CTOT : 시험물질의 총 건조 고형분에 포함된 유기탄소의 비율(g/g)
44,12 : 이산화탄소의 분자량과 탄소의 원자량
실시예 1
폴리유산(PLA)과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방향족 함량이 30몰%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를 각각 PLA가 99wt%, PBAT가 1wt% 되도록 원료공급장치(FEEDER)에 넣고 고진공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용융압출 할 수 있는 이축스크류압출기(TWIN SCREW EXTRUDER)에 원료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용융 후 T-DIE를 통해 토출시키며, 토출된 시트는 캐스팅 롤에서 냉각 및 고형화하고 이 시트를 110℃에서 예열하고, 100℃에서 횡 방향으로 3배로 연신하고, 100℃에서 열고정하여 50㎛의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을 제 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필름에 대해 열수축률, 수축후 외관상태, 투명성, 기계적강도, 유연성, 분해도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PBAT대신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를 1wt%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열수축률, 수축후 외관상태, 투명성, 기계적강도, 유연성, 분해도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PBAT대신에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PBS-PLA COPOLYMER)를 1wt%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열수축률, 수축후 외관상태, 투명성, 기계적강도, 유연성, 분해도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폴리유산(PLA)을 97wt%,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PBAT대신에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PBS-PLA COPOLYMER)를 3wt% 사용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열수축률, 수축후 외관상태, 투명성, 기계적강도, 유연성, 분해도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폴리유산(PLA)을 95wt%,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PBAT대신에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PBS-PLA COPOLYMER)를 5wt%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열수축률, 수축후 외관상태, 투명성, 기계적강도, 유연성, 분해도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없이 폴리유산(PLA)를 100wt%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열수축률, 수축후 외관상태, 투명성, 기계적강도, 유연성, 분해도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유산(PLA)을 90wt%,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PBAT대신에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PBS-PLA COPOLYMER)를 10wt% 사 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의 열수축률, 수축후 외관상태, 투명성, 기계적강도, 유연성, 분해도를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조성
(wt%)
PLA 99 99 99 97 95 100 90
PBAT 1 - - - - - -
PBS - 1 - - - - -
PBS-PLA
Copolymer
- - 1 3 5 - 10
열수축율
(%)
MD 1.9 2.0 2.1 1.8 1.6 4.8 1.3
TD 49.2 47.0 47.9 50.0 53.8 25.0 57.5
수축후 외관상태
HAZE (%) 1.7 1.3 0.9 2.2 4.8 0.6 23.3
인장강도
(㎏/㎠)
MD 5.0 5.2 5.1 6.9 8.8 5.2 4.9
TD 31.9 31.3 31.2 29.4 28.7 32.1 28.5
신도
(%)
MD 4.6 4.0 4.1 5.2 5.9 3.9 6.3
TD 88.3 86.0 86.9 92.0 99.8 40.5 113.0
분해도 (%) 93 94 94 92 90 94 87

Claims (6)

  1. 폴리유산 95.0 내지 99.9 중량%와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0.1 내지 5.0중량%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유산 99.0 내지 99.9 중량%와 폴리유산내충격 개선제로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0.1 내지 1.0중량%로 구성된 필름 조성물로 되고, 90℃의 온수 중에서 10초간의 열수축률이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수평균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것으로 이들 폴리유산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성분으로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의 디올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다음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일반식 (1)
    Figure 112010001852360-pat00002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의 디올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다음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일반식 (1)
    Figure 112010001852360-pat00003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임.
  6. 삭제
KR1020080002939A 2008-01-10 2008-01-10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6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39A KR100961615B1 (ko) 2008-01-10 2008-01-10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39A KR100961615B1 (ko) 2008-01-10 2008-01-10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154A KR20090077154A (ko) 2009-07-15
KR100961615B1 true KR100961615B1 (ko) 2010-06-04

Family

ID=4133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939A KR100961615B1 (ko) 2008-01-10 2008-01-10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19B1 (ko) * 2009-09-29 2012-03-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내열성과 투명성을 갖는 폴리유산계 다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6367934B2 (ja) * 2013-06-17 2018-08-01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を含む熱収縮フィルム
CN115109397B (zh) * 2022-06-24 2023-07-18 常州博疆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全生物降解热收缩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906A (ja) 1999-11-26 2001-06-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乳酸系収縮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2003119367A (ja) 2001-10-10 2003-04-23 C I Kasei Co Ltd ポリ乳酸系熱収縮性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906A (ja) 1999-11-26 2001-06-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乳酸系収縮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2003119367A (ja) 2001-10-10 2003-04-23 C I Kasei Co Ltd ポリ乳酸系熱収縮性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154A (ko)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3885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US6599994B2 (en) Polyester blends and heat shrinkable films made therefrom
WO2004106417A1 (ja) 生分解性樹脂系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603168B (zh) 一种聚乳酸基薄膜及其制备方法
JP3862557B2 (ja) 透明な耐衝撃性ポリ乳酸系延伸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1615B1 (ko)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9776B1 (ko) 열수축성 필름용 생분해성 시트
KR20080096961A (ko) 라벨용 생분해성 mdo 열수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7427A (ko) 생분해성 열수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5329557A (ja) 多層フィルム
JP3182077B2 (ja) 生分解性フィルム
KR100428687B1 (ko) 인열강도가 보강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1327890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1742B1 (ko) 신율과 이형성이 향상된 투명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5476B1 (ko) 컷팅성 및 기계적강도가 향상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공중합체 의 제조방법
KR10108239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503991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977362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방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978B1 (ko) 생분해성이 있는 열수축 필름
KR100657936B1 (ko) 나노입자를 함유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670616B1 (ko)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KR102662486B1 (ko)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KR100551741B1 (ko) 개구성과 신율이 우수한 투명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70066367A (ko) 포장재용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430503B2 (ja) 生分解性二軸延伸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