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535B1 -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 Google Patents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535B1
KR100958535B1 KR1020090118799A KR20090118799A KR100958535B1 KR 100958535 B1 KR100958535 B1 KR 100958535B1 KR 1020090118799 A KR1020090118799 A KR 1020090118799A KR 20090118799 A KR20090118799 A KR 20090118799A KR 100958535 B1 KR100958535 B1 KR 10095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crete
cemented carbide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김도근
Original Assignee
(주) 지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오시스 filed Critical (주) 지오시스
Priority to KR102009011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04B28/065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8Clinker treatment
    • C04B7/52Grinding ; After-treatment of grou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4Harden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C04B2103/22Set reta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05Materials having an early high strength, e.g. allowing fast demoulding or formless ca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 인근의 레미콘 공장 또는 현장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에서 경화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레미콘 운반트럭으로 현장에 운송하여 타설함으로서 대량 시공에 적합하며, 콘크리트의 품질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교면 포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쇄기를 이용하여 기존 교면의 포장층을 절삭하여 제거하는 단계; 숏트 블라스터 또는 워트제트를 이용하여 절삭된 교면의 열화된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 절삭 후 교면에 남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건조포화상태로 만드는 단계;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표면을 롤러 스크리드 또는 브리지 페이버 등으로 평탄마무리 하는 단계; 미끄럼 방지를 위해 경사형 타이닝기로 표면을 타이닝하는 단계; 콘크리트의 균열방지와 품질개선을 위해 표층 보호제 또는 양생제를 분무하는 안정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폴리머, 개질,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포장

Description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RAPID HARDENING POLYMER MODIFIED CONCRETE COMPOSITION, REPAIRING METHOD FOR BRIDGE DECK OVERLAY CONCRETE PAV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폴리머 라텍스와 함께 배합되는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의 배합비를 작업되는 도로의 콘크리트 물성에 가장 적절한 강도, 내구성, 경제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최적화시키고, 최적화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에 적절한 혼화제를 혼합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시멘트 재료의 품질, 시공성, 현장에서의 용이한 적용성, 경제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량의 교면 포장공법은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이 주로 시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은 모 두 투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교량 바닥판의 철근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교면포장에 앞서, 방수층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시공상의 어려움과, 시공 후 방수층의 들뜸현상이 발생되고, 소성변형 등으로 인해 평균 5년마다 절삭하여 재포장하게 되므로 사회적, 경제적 부담이 되어왔다.
이와 같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포장의 경우에는 재시공시 방수층이 파손되어버려 방수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에 염화물 이온이 침투되어 철근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합성고무 라텍스, 아크릴 폴리머 등을 이용한 폴리머개질 콘크리트 교면포장 공법이 개발되어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313599호 “불투수성 교량표면 포장용 개질 콘크리트”가 있다. 이 기술은 콘크리트의 배합시 합성고무 라텍스(SBR)의 고형분이 콘크리트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어 폴리머 피막을 형성함으로서 콘크리트의 휨인성 및 부착강도를 향상시키며, 염소이온의 확산을 크게 막아 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경화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서, 양생기간이 2주 이상 필요하므로 기존 교량의 보수용 교면포장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를 개선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537953호 “라텍스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대한민국 특허 제873391호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포장 보수공법” 등이 있다. 이 기술들은 긴급보수에 적합하도록,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하고, 개질용 폴리머로서 합성고무 라텍스 또는 아크릴 개질 에멀젼 등을 사용하여 물과 혼합 후 3~4시간 이후에 21MPa를 발현함으로서 빠른 교통개방이 가능하고, 콘크리트내의 공극사이에 폴리머 필림이 형성됨으로서 부착성, 휨인성, 내동결융해저항성, 투수저항성, 방수성 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재료의 제반 물리적인 특성은 우수하지만 모바일 믹서와 같은 특수한 전용 시공장비를 사용해야만 하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즉, 폴리머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작업가능 시간이 30분 정도로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 레미콘과 같이, 레미콘 공장에서 배합하여 운반할 수가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바로 배합하여 타설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한 모바일 믹서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모바일 믹서는 1시간당 7m3의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배합 할 수 있기 때문에, 단 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는 면적이 적을 수 밖에 없으며, 정확한 재료의 계량이 어려워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어렵고, 가장 큰 문제점은 배합에 필요한 원재료인 초속경시멘트, 세골재, 조골재, 폴리머, 물 등을 현장에 있는 모바일 믹서로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교면포장 공사를 하는데 있어 번거로움이 있어, 시공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교량의 긴급보수공사에 있어서 상당한 원가상승 요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매우 비싸, 해마다 공사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교면포장에서 요구되는 제반 품질성능을 만족시키면서, 상기 기술의 경제성, 현장의 사용성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개선한 고성능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포장 공법이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 제515116호로 등록된 바 있다. 이 기술은 혼합재로서 실리카흄을 사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며, 친수성PVA섬유를 사용하여 소성수축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교면 포장공법으로서 재료비가 저렴하고, 경제적이며, 별도의 전용장비 없이 레미콘 플랜트 또는 현장 배치플랜트를 활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재료의 배합 구성에 대한 문제점 등이 여러 해외 논문 등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서 미국에서 1980년대 이후 실리카흄을 배합한 고성능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면포장에서 균열발생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블레인이 200,000cm2/g의 초미립분인 실리카흄을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고점성으로 인한 마무리 불량, 바닥판과의 부착성 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공용중에 소성수축 균열과 고강성으로 인한 자기수축량 증가로 인한 균열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면포장 공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재료의 품질, 시공성, 현장에서의 용이한 적용성, 경제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재료 및 공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머개질 초소경 콘트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종래 교면포장 공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재료의 품질, 시공성, 현장에서의 용이한 적용성, 경제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은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25중량%, 세골재 35~50중량%, 조골재 25~35중량%, 물 3~7중량%, 합성고무 라텍스 또는 아크릴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개질용 폴리머 1~7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 함량이 50~80%를 함유하고 있는 CSA계 클링커(Clinker)를 분쇄한 분말 80~95 중량%와 무수석고와 반수석고를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5~20중량%가 혼합구성된다.
CSA계 클링커(Clinker)를 분쇄한 분말은 블레인 비표면적 3,000~8000cm2/g 이고, 분쇄한 석고분말은 반수석고 100중량%에 대해 무수석고 1~100중량%를 혼합분 쇄하여 블레인 비표면적이 3,000~8,000cm2/g 인 것으로 구성된다.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구연산, 타르타르산, 붕산, 글루콘산 및 이들 각각의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결지연제가 더 혼합되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는 0.1~1.5중량%로 구성되고, 소석회, 황산알루미늄, 알칼리 탄산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화촉진제가 더 혼합되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경화촉진제는 0.1~3.0중량%인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나프탈렌설폰산염계 축합물, 멜라닌계 축합물, 폴리카본산염계 축합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말형 감수제가 더 혼합되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분말형 감수제는 0.1~3.0중량%로 구성되고, 실리콘계, 알콜계, 유기극성 화합물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포제가 더 혼합되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소포제는 0.05~0.5중량%인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며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은 파쇄기를 이용하여 기존 교면의 포장층을 절삭하여 제거하는 단계; 숏트 블라스터 또는 워트제트를 이용하여 절삭된 교면의 열화된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 절삭 후 교면에 남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건조포화상태로 만드는 단계; 청구항 1 내지 9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표면을 롤러스크리드 또는 브리지 페이버 등으로 평탄마무리 하는 단계; 미끄럼 방지를 위해 경사형 타이닝기로 표면을 타이닝하는 단계; 콘크리트의 균열방지와 품질개선을 위해 표층 보호제 또는 양생제를 분무하는 안정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레미콘 공장에 설치된 강제식 트윈샤프트 믹서 또는 시공현장에 설치된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의 강제식 믹서에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를 운송하여 타설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포장 공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재료의 품질, 시공성, 현장에서의 용이한 적용성, 경제성 등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은,
첫째, 최적화된 폴리머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응결지연제와 경화촉진제의 적절한 양의 혼합에 의해 수화반응을 조절함으로서, 콘크리트의 운반 및 타설작업을 위한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의 운반 및 타설작업을 위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전국에 산재해 있는 레미콘 공장 또는 현장 배치플랜트에서 대량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생산이 가능하므 로 이로 인해 기존의 콘크리트 생산방식에 비해 생산비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교면포장 시공현장에서는 콘크리트 제조에 필요한 초속경시멘트, 조골재, 세골재, 폴리머 및 물과 같은 원재료의 준비가 필요하지 않아, 현장을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펌프카에 의한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을 타설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교면포장 공사의 시간단축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기존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교면포장공법에 비해 낮은 시공비용으로 공사가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교면포장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술되는 하기의 내용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은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23중량%, 세골재 35~50중량%, 조골재 25~35중량%, 물 3~7중량%, 개질용 폴리머 1~7중량%를 포함한다.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의 양이 23중량%를 초가하면, 초기 수화발열에 의한 온도응력발생이 크기 때문에 균열발생의 염려 가 있으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의 양이 15중량% 미만이면 초기에 교통을 개방하기 위한 강도발현을 얻기 어렵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 함량이 50~80%를 함유하고 있는 CSA계 클링커(Clinker)를 분쇄한 분말 80~95 중량%와 무수석고와 반수석고를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5~20중량%를 혼합하여 초속경 시멘트의 기존적인 조성물을 형성하며, CSA계 클링커 분말과, 석고 혼합물로 이루어진 폴리머 개질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 0.1~1.5중량% ; 경화촉진제 0.1~3.0중량% ; 고성능 감수제 0.1~3.0중량% 및 소포제 0.05~0.5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CSA계 클링커 분말은 블레인 (Blaine) 비표면적이 3,000~8,000cm2/g인 것으로 구성되며, 분쇄한 석고 분말은 반수석고 100중량%에 대해 무수석고를 1~100중량% 혼합분쇄하여 블레인 비표면적이 3,000~8,000cm2/g인 것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물과 반응하여 에트링자이트 (Ettringite, 3CaO.Al2O3 .3CaO4 .32H2O)라는 수화물을 생성시켜 수시간내에 높은 강도를 발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화반응은 물과 접촉된 후 바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로부터 용출되는 Ca2 +이온 및 Al3 +이온이 반응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 수화물이 생성되고 이후에 석고에서 용출된 SO3 -와 반응하여 빠른 속도로 침상결정의 3차원적 망목구조를 형성하는 고황산염의 에트링자이트를 생성시키며 급속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수화반응은 일반적으로 물과 접촉한 이후부터 바로 나타나기 때문에 응 결지연제를 사용하여 응결시간을 조절하고 있다.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반응
3CaO.3Al2O3 .CaSO4+6CaOH2+8CaSO4=>3(3CaO.Al2O3 .3CaO4 .32H2O)
기존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Ca(OH)2의 생성량이 많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서 물과 반응하는 즉시 급격한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반응이 나타나고 이를 응결지연제로서 조절하고 있지만 콘크리트의 운반에 필요한 2시간 정도의 작업시간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현장에서 모바일 믹사와 같은 전용장비로 혼합하여 바로 타설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반응에 착안한 것으로, CSA계 클링커 분말과 무수석고와 반수석고를 혼합분쇄한 분말만을 사용함으로서, 초기에 Ca(OH)2의 생성량을 적게 함으로서, 적은 응결지연제의 양만으로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이후 급격한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반응에 의해 초기강도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초속경 시멘트의 수화반응 과정에서 필요한 SO4 2 - 이온의 원활한 용출을 위해 물에 대한 용해속도가 빠른 반수석고를 사용함으로서 급속한 응결의 방지 및 빠른 강도발현을 도모하고 무수석고를 사용함으로서 안정적인 강도증진을 꾀하였다. 본 발명의 경우, 반수석고 100중량%에 대해 무수석고를 1~100중 량% 혼합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CSA계 클링커 분말과, 석고 혼합물로 이루어진 폴리머 개질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온도 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작업시간을 얻기 위하여 응결지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초속경 시멘트가 물과 접촉하게 되면 각 성분들은 물에 용해하여 포화나 과포화상태에 도달한 뒤 수화생성물을 생성, 석출하는 수화반응을 거치는데 이때 수용액상의 Ca2 + 이온의 농도기 최고에 도달하게 된다.
응결지연제는 Ca2 + 이온의 농도가 최고시기에 도달하는 시간을 억제하고 농도가 낮아지도록 불용성의 금속착염을 생성시켜 수화를 지연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응결지연제로는 구연산, 타르타르산, 붕산, 글루콘산을 단독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반응은 기온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는데, 외기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초속경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매우 빨라져, 응결지연제의 사용량 많아지게 되며, 반대로 외기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수화반응이 매우 느려지게 되므로 응결지연제의 사용량이 매우 적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응결지연제의 사용량은 CSA계 클링커 분말과, 석고 혼합물로 이루어진 초속경 시멘트 기본 조성물에 대하여 0.1~1.5중량%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결을 지연시킨 이후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반응을 촉진시켜 초기강도 발현을 높이기 위해 경화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촉진제로서는 소석회, 황산알루미늄 및 리튬카보네이트와 같은 알카리 탄산염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CSA계 클링커 분말과, 석고 혼합물로 이루어진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100중량%에 대하여 0.1~3.0중량%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작업성 향상과, 물/시멘트비 저감을 통한 수밀성 향상을 위해 고성능 분말형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성능 분말형 감수제로서는 나프탈렌설폰산염계, 멜라민계 및 폴리카본산염계의 축합물중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CSA계 클링커 분말과, 석고 혼합물로 이루어진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는 개질용 폴리머의 사용에 따라,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혼합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공기포의 생성을 억제하고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유지를 위한 공기량 4%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포제로서는 실리콘계, 알콜계, 유기극성 화합물계 중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CSA계 클링커 분말과, 석고 혼합물로 이루어진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5~0.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생산은 상기와 같은 초속경시멘트 조성물에 적정량의 물, 세골재, 조골재 및 개질용 폴리머를 레미콘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강제식 트윈샤프트 믹서 또는 현장에 설치된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의 강제식 믹서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하는 개질용 폴리머로서 는 합성고무 라텍스(SBR;Styrene-Butadiene Rubber) 또는 아크릴 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머 디스퍼젼(폴리머 45~60중량% 수용액)을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7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용 폴리머는 콘크리트 바닥면과 상기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간의 부착특성을 높여주고, 포장되는 초속경 콘크리트의 탄성력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상부 포장층이나 하부 바닥층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변형을 완충시켜줄 수 있으며, 방수효과로 인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의 향상도 부수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합성고무 라텍스(SBR)는 일반적인 시멘트 혼화용의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 Rubber로서 비중 1.04, pH 9.5 정도로서, 초속경 시멘트와 혼합시 공기포의 발생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질용 폴리머로서 아크릴 폴리머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초속경 콘크리트의 제조시 점성을 낮추고 유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크릴수지, 부틸아크릴레이트, 라텍스 등이 적절히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 후 마무리 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적절한 작업가능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골재는 세골재와 조골재로 구분되며, 입경이 5mm 이하인 것은 세골재라고 하고 입경이 5mm보다 큰 것을 조골재라고 하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세골재는 35~50중량%, 조골재는 25~3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은 다음과 같다.
파쇄기를 이용하여 기존 교면의 포장층을 절삭하여 제거하는 단계; 숏트 블라스터 또는 워트제트를 이용하여 절삭된 교면의 열화된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 절삭 후 교면에 남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건조포화상태로 만드는 단계; 청구항 1 내지 9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표면을 롤러스크리드 또는 브리지 페이버 등으로 평탄마무리 하는 단계; 미끄럼 방지를 위해 경사형 타이닝기로 표면을 타이닝하는 단계; 콘크리트의 균열방지와 품질개선을 위해 표층 보호제 또는 양생제를 분무하는 안정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레미콘 공장에 설치된 강제식 트윈샤프트 믹서 또는 공사현장에 설치된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의 강제식 믹서에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를 운송하여 타설하게 된다.
상세하게, 기존 교면의 포장층을 먼저 파쇄기를 이용하여 절삭하여 제거하고, 이어서 포장층이 파쇄된 후의 교면표층을 숏트 블라스터를 이용하여 요철부 및 방수층을 제거하여 교면표층을 표면처리한다. 다음에 숏트 블라스터 또는 워터제트를 이용하여 기존 교면 포장층 콘크리트의 열화부위를 제거하고 흡입기를 이용하여 남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표면을 표면건조포화상태로 만들어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분이 바닥 콘 크리트에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레미콘 공장 또는 시공현장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에서 현장까지의 운반시간 및 시공시간을 고려하여 응결지연제로서 경화시간을 조절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를 생산하고 레미콘 트럭으로 시공현장까지 운송하여, 콘크리트 펌프카 등으로 타설작업을 진행한다.
다음에 상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이 포설된 포장표면을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되도록 롤러 스크리드 또는 브리지 페이버를 이용하여 마무리 한다. 롤러 스크리드는 기존 브리지 페이버에 비해 장비가 경량이며, 인력으로도 다루기 쉽기 때문에 장비의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후 미끄럼방지를 위해 표면에 물기가 사라지고 경화가 되기 전에 경사형 타이닝기로 일정한 간격으로 표면을 타이닝하고 피막 양생제를 살포하여 수분의 증발건조를 방지한다. 최종적으로 비닐시트나 습윤양생포를 덮어 소정시간동안 양생한 후 교통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실시예 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 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를 블레인 비표면적 6,000cm2/g 이 되도록 분쇄한 분말 85 중량%와 반수석고와 무수석고를 2:1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15중량%를 혼합한 초속경 시멘트의 기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4중량%, 경화촉진제로서 리튬카보네이트 1.0중량%, 나프탈렌설폰산염계 분말형 고성능 감수제 1.0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를 블레인 비표면적 6,000cm2/g 이 되도록 분쇄한 분말 90 중량%와 반수석고와 무수석고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10중량%를 혼합한 초속경 시멘트의 기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4중량%, 경화촉진제로서 리튬카보네이트 1.0중량%, 나프탈렌설폰산염계 분말형 고성능 감수제 1.0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세골재 42.3중량%,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를 블레인 비표면적 6,000cm2/g 이 되도록 분쇄한 분말 93 중량%와 반수석고와 무수석고를 4:3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7중량%를 혼합한 초속경 시멘트의 기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4중량%, 경화촉진제로서 리튬카보네이트 1.0중량%, 나프탈렌설폰산염계 분말형 고성능 감수제 1.0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를 블레인 비표면적 6,000cm2/g 이 되도록 분쇄한 분말 90 중량%와 반수석고와 무수석고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10중 량%를 혼합한 초속경 시멘트의 기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5중량%, 경화촉진제로서 리튬카보네이트 1.0중량%, 나프탈렌설폰산염계 분말형 고성능 감수제 1.0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를 블레인 비표면적 6,000cm2/g 이 되도록 분쇄한 분말 90 중량%와 반수석고와 무수석고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10중량%를 혼합한 초속경 시멘트의 기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6중량%, 경화촉진제로서 리튬카보네이트 1.0중량%, 나프탈렌설폰산염계 분말형 고성능 감수제 1.0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 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아크릴폴리머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를 블레인 비표면적 6,000cm2/g 이 되도록 분쇄한 분말 90 중량%와 반수석고와 무수석고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10중량%를 혼합한 초속경 시멘트의 기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4중량%, 경화촉진제로서 리튬카보네이트 1.0중량%, 나프탈렌설폰산염계 분말형 고성능 감수제 1.0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다음은 상기의 실시예들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들을 제시한다.
비교예 1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기존 초속경 LMC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사용하고 있는 아윈계 초속경 시멘트 100중량%에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5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기존 초속경 LMC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사용하고 있는 아윈계 초속경 시멘트 100중량%에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1.0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8중량%, 조립율 2.64의 세골재 42.3중량%, 최대골재 크기 19mm의 조골재 34.4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투입하여 30초간 건비빔한 후 물 2.6중량%와 합성고무 라텍스 4.9중량%를 더 혼합하여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는 초속경 콘크리트에 사용하고 있는 일반 아윈계 초속경 시멘트 100중량%에 응결지연제로서 타르타르산 0.4중량% 실리콘계 소포제를 0.1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특성과 기존 초속경 LMC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사용하고 있는 아윈계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응결지연제의 사용량을 달리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 제시 한 것이며, 비교예 3은 일반 아윈계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와 비교하기 위해 제시한 것이다.
실험예 1
실시예 1~6의 폴리머개질 초속경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KSF 2402에 규정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및 KSF 2436에 규정한 관입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 응결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폴리머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시간에 따른 슬럼프의 변화 및 응결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구 분 슬럼프(cm) 응결시간 (시간:분)
최초 20분 40분 60분 120분 180분 240분 초결 종결
실시예1 22 21 20 18 15 X X 2:15 2:20
실시예2 22 22 21 20 18 X X 2:50 2:54
실시예3 22 22 21 21 18 8 X 3:20 3:25
실시예4 22 22 21 20 18 12 X 3:37 3:42
실시예5 22 22 21 21 19 14 120 4:30 4:35
실시예6 22 21 20 19 16 X X 2:31 2:35
비교예1 21 15 5 X X X X 0:51 0:55
비교예2 21 18 12 5 X X X 1:18 1:24
비교예3 20 16 7 X X X X 0:57 1:06
X : 측정불능
위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이 비교예 1~3에 비하여 슬럼프의 유지시간이 길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응결지연제의 사용량을 증가시긴 실시예 4,5의 경우에는 물과 혼합한 후 3~4시간까지 충분히 슬럼프의 유지가 가능하여 레미콘 공장 또는 시공현장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에서 제조한 후 레미콘 트럭 등으로 운송하여 타설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3은 실시예에 비해 슬럼프 유지시간이 매우 짧음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에서와 같이 응결지연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더라도 1시간 이상의 슬럼프 유지는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6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KSF 2405에 규정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압축강도(N/mm2)
3시간 1일 7일 28일
실시예1 24.0 33.6 37.1 41.8
실시예2 22.6 32.8 36.4 40.5
실시예3 21.9 31.5 35.6 42.3
실시예4 21.0 31.5 35.8 39.4
실시예5 19.1 30.6 36.1 40.7
실시예6 21.9 33.5 37.4 41.8
비교예1 17.5 28.4 35.6 39.4
비교예2 10.6 24.5 33.1 36.8
비교예3 13.1 26.1 34.2 38.6
- 3시간, 1일, 7일, 28일 : 응결시간의 종결 이후 진행된 시간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5는 [표 1]에 나타낸 슬럼프를 유지한 후 응결이 시작되면서 급속히 강도를 발현하게 되는데, 종결시간 3시간 이후에서의 압축강도는 장시간 슬럼프를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비교 예 1~3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8일에서의 장기강도 또한 높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다.
실험예 3
실시예 1~6의 폴리머개질 초속경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KSF 2408에 규정한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휨강도(N/mm2)
3시간 1일 7일 28일
실시예1 5.0 7.1 8.6 10.2
실시예2 4.7 6.9 8.4 9.9
실시예3 4.5 6.7 8.2 10.3
실시예4 4.6 6.7 8.3 9.9
실시예5 3.9 6.1 8.4 9.8
실시예6 4.6 7.2 8.7 10.4
비교예1 3.9 6.2 8.1 9.4
비교예2 2.3 5.3 7.5 8.2
비교예3 2.9 5.7 7.6 8.7
- 3시간, 1일, 7일, 28일 : 응결시간의 종결이후 진행된 시간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5는 [표 1]에 나타낸 슬럼프를 유지한 후 응결이 시작되면서 급속히 강도를 발현하게 되는데, 종결시간 이후 3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어 외부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되어 콘크리트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지연제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실시예 5를 제외하고 모두 교통개방에 필요한 휨강도 4.5N/mm2 이상을 발현하고 있으며, 28일에서의 장기강도 또한 비교예 1~3보다 높게 나타나 내구성이 우수하다.
실험예 4
실시예 1~6의 폴리머개질 초속경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염소이온 투과저항성을 KSF 2711에 규정한 전기전도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coulombs) 324 381 406 415 436 318 545 817 724
염소이온에 대한 침투저항성은 일반적으로 그 값이 4,000coulombs 이상이면 염소이온의 투과정도가 매우 높아 침투저항성은 불량한 수준이고, 2,000~4,000coulombs 범위이면 보통 수준, 1,000~2,000coulombs 범위면 양호한 수준, 1,000coulombs 이하이면 염소이온이 투과되지 않는 수준으로 평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은 염분에 의한 침투저항성이 300~400coulombs 수준으로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실시예 1~6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동결융해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해 KSF 2456에 규정한 급속 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성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동결융해는 콘크리트에 흡수된 수분이 결빙되었다가 높는 것을 말하며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동결되면서 발생되는 얼음의 팽창압에 의해 콘크리트 조직이 이완되고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표 5]는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구성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내구성지수 93 92 92 91 90 93 88 81 78
[표 5]에서와 같이 실시예 1~6이 비교예 1~3에 비하여 내구성지수가 높게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은 교면포장 공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재료의 품질, 시공성, 현장에서의 용이한 적용성, 경제성 등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포장 공법을 제시한다.

Claims (11)

  1.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25중량%, 세골재 35~50중량%, 조골재 25~35중량%, 물 3~7중량%, 개질용 폴리머 1~7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pho Aluminate) 함량이 50~80%를 함유하고 있는 CSA계 클링커(Clinker)를 분쇄한 분말 80~95 중량%와 무수석고와 반수석고를 혼합하여 분쇄한 석고분말 5~20중량%가 혼합구성되며,
    상기 CSA계 클링커(Clinker)를 분쇄한 분말은 블레인 비표면적 3,000~8000cm2/g 이고, 상기 분쇄한 석고분말은 반수석고 100중량%에 대해 무수석고 1~100중량%를 혼합분쇄하여 블레인 비표면적이 3,000~8,000cm2/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구연산, 타르타르산, 붕산, 글루콘산 및 이들 각각의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결지연제가 더 혼합되되,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응결지연제는 0.1~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소석회, 황산알루미늄, 알칼리 탄산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화촉진제가 더 혼합되되,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경화촉진제는 0.1~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나프탈렌설폰산염계 축합물, 멜라닌계 축합물, 폴리카본산염계 축합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말형 감수제가 더 혼합되되,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분말형 감수제는 0.1~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실리콘계, 알콜계, 유기극성 화합물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포제가 더 혼합되되, 상기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소포제는 0.05~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질용 폴리머는 합성고무 라텍스 또는 아크릴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45~60중량%의 수용액인 폴리머 디스퍼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10. 파쇄기를 이용하여 기존 교면의 포장층을 절삭하여 제거하는 단계;
    숏트 블라스터 또는 워트제트를 이용하여 절삭된 교면의 열화된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
    절삭 후 교면에 남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건조포화상태로 만드는 단계;
    청구항 1 및 청구항 5 내지 9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의 표면을 롤러 스크리드 또는 브리지 페이버로 평탄마무리 하는 단계;
    미끄럼 방지를 위해 경사형 타이닝기로 표면을 타이닝하는 단계;
    콘크리트의 균열방지와 품질개선을 위해 표층 보호제 또는 양생제를 분무하는 안정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1 및 청구항 5 내지 9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생산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레미콘 공장에 설치된 강제식 트윈샤프트 믹서 또는 시공현장에 설치된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의 강제식 믹서에서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를 운송하여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20090118799A 2009-12-03 2009-12-03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0958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99A KR100958535B1 (ko) 2009-12-03 2009-12-03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99A KR100958535B1 (ko) 2009-12-03 2009-12-03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535B1 true KR100958535B1 (ko) 2010-05-18

Family

ID=4228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799A KR100958535B1 (ko) 2009-12-03 2009-12-03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53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82B1 (ko) * 2011-01-18 2011-07-01 (주)아이에스오코리아 개질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초속경 방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로포장재 조성물
KR101051097B1 (ko) 2011-04-05 2011-07-21 (주)삼우아이엠씨 슬래그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68593B1 (ko) * 2011-01-25 2011-09-30 주식회사 세진로드 개질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초속경 방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KR101099074B1 (ko) * 2011-07-04 2011-12-27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양생시간 조절이 가능한 저발열 특수시멘트를 활용한 라텍스혼합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139506B1 (ko) 2011-11-23 2012-05-02 이풍희 반제품 레미콘화로 2단계 혼합하는 초속경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363860B1 (ko) * 2013-05-24 2014-02-18 (유)하남종합건설 친환경 순환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는 초조강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363857B1 (ko) * 2013-05-24 2014-02-18 (유)하남종합건설 조강형 혼합 시멘트 결합재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조강형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20160001238A (ko) 2014-06-27 2016-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속경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버스전용차선을 형성하는 2층 콘크리트 포장장치 및 방법
KR101712819B1 (ko) * 2016-04-28 2017-03-07 유한회사 금영토건 초속경 시멘트 폴리머 개질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10207233B2 (en) 2013-12-10 2019-02-19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rapid-hardening concrete by intermixing and dissipating air in normal concrete and adding early-strength admixture thereto,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940768B1 (ko) * 2018-02-23 2019-04-10 (주)한국대상안전 콘크리트 보수용 무기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방법
KR20200054593A (ko) * 2018-11-12 2020-05-20 대상이앤씨(주) 초조강 콘크리트의 현장재배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48355B1 (ko) * 2020-09-17 2021-05-06 유세균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04B1 (ko) * 2002-03-19 2004-05-17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콘크리트 바닥판 교면포장용 라텍스혼합개질 콘크리트시공방법(lmc공법)
KR100670924B1 (ko) 2006-04-05 2007-01-19 (주)두영티앤에스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0873391B1 (ko) 2008-08-08 2008-12-11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0880932B1 (ko) * 2008-07-22 2009-02-04 최이현 폴리머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04B1 (ko) * 2002-03-19 2004-05-17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콘크리트 바닥판 교면포장용 라텍스혼합개질 콘크리트시공방법(lmc공법)
KR100670924B1 (ko) 2006-04-05 2007-01-19 (주)두영티앤에스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0880932B1 (ko) * 2008-07-22 2009-02-04 최이현 폴리머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73391B1 (ko) 2008-08-08 2008-12-11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82B1 (ko) * 2011-01-18 2011-07-01 (주)아이에스오코리아 개질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초속경 방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로포장재 조성물
KR101068593B1 (ko) * 2011-01-25 2011-09-30 주식회사 세진로드 개질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한 초속경 방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KR101051097B1 (ko) 2011-04-05 2011-07-21 (주)삼우아이엠씨 슬래그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WO2012138088A2 (ko) * 2011-04-05 2012-10-11 (주)삼우아이엠씨 슬래그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
WO2012138088A3 (ko) * 2011-04-05 2012-12-06 (주)삼우아이엠씨 슬래그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
KR101099074B1 (ko) * 2011-07-04 2011-12-27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양생시간 조절이 가능한 저발열 특수시멘트를 활용한 라텍스혼합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139506B1 (ko) 2011-11-23 2012-05-02 이풍희 반제품 레미콘화로 2단계 혼합하는 초속경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363857B1 (ko) * 2013-05-24 2014-02-18 (유)하남종합건설 조강형 혼합 시멘트 결합재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조강형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1363860B1 (ko) * 2013-05-24 2014-02-18 (유)하남종합건설 친환경 순환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는 초조강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US10207233B2 (en) 2013-12-10 2019-02-19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rapid-hardening concrete by intermixing and dissipating air in normal concrete and adding early-strength admixture thereto,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60001238A (ko) 2014-06-27 2016-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속경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버스전용차선을 형성하는 2층 콘크리트 포장장치 및 방법
KR101712819B1 (ko) * 2016-04-28 2017-03-07 유한회사 금영토건 초속경 시멘트 폴리머 개질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40768B1 (ko) * 2018-02-23 2019-04-10 (주)한국대상안전 콘크리트 보수용 무기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방법
KR20200054593A (ko) * 2018-11-12 2020-05-20 대상이앤씨(주) 초조강 콘크리트의 현장재배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96954B1 (ko) 2018-11-12 2020-12-31 대상이앤씨(주) 초조강 콘크리트의 현장재배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48355B1 (ko) * 2020-09-17 2021-05-06 유세균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535B1 (ko) 폴리머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0807761B1 (ko) 알파형반수석고를 이용한 시멘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355111B1 (ko)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1923552B1 (ko) 도로 포장용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422206B1 (ko) 고성능 유동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 공법
CN104016611B (zh) 一种耐久型混凝土防水剂
KR101363857B1 (ko) 조강형 혼합 시멘트 결합재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조강형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1675490B1 (ko) 시멘트 혼합물용 이온 고정화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이온 고정화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그 모르타르 조성물을 활용한 고내구성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CA2987007C (en) Concrete composition with reduced drying time once hardened
KR102065541B1 (ko) 표층강화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 공법
KR101280284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자기 평탄성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0403979B1 (ko)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74371B1 (ko) 내염성 시멘트를 사용한 반강성 도로포장용 시멘트 밀크와 이를 가진 주입 시공한 고내구성 반강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1489653B1 (ko) 속경성 폴리머 개질 방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로 보수공법
CN105884299A (zh) 一种超自愈合尺度开裂混凝土高渗透结晶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72576B1 (ko) 폴리머 혼화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도로포장의 단면 보수보강 방법
CN103755213A (zh) 一种多功能高效混凝土防水剂的制备方法
CN113402248B (zh) 以海砂为骨料的复合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39938A (ko)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투수성 도로포장공법
KR101380171B1 (ko) 내염성 시멘트를 포함하는 반강성 도로포장용 고내구성 시멘트와 이를 가진 주입 시공한 고내구성 반강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1138669B1 (ko)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1804454B1 (ko) Vae 개질 시멘트 조성물
JP5530836B2 (ja) 海水配合モルタル
KR102228953B1 (ko) 작업성이 우수한 고내구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공법
JP2005097957A (ja) 凍結抑制機能を有する舗装用一粉型セメント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舗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