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445B1 - 카메라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445B1
KR100958445B1 KR1020080088656A KR20080088656A KR100958445B1 KR 100958445 B1 KR100958445 B1 KR 100958445B1 KR 1020080088656 A KR1020080088656 A KR 1020080088656A KR 20080088656 A KR20080088656 A KR 20080088656A KR 100958445 B1 KR100958445 B1 KR 10095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cam member
camera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944A (ko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8008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가 개시된다.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는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노출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 노출공에 대응하는 셔터홀을 구비하여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둘레면에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회전캠부재, 회전캠부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캠프로파일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판스프링부재, 회전캠부재 및 커버 프레임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회전캠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셔터홀을 차단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88656
베이스 프레임, 커버 프레임, 회전캠부재, 판스프링부재, 셔터부재

Description

카메라 커버장치{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각종 부가적인 기능 예를 들어,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한편,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특히, 카메라의 렌즈는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카메라 렌즈의 전방에는 보호창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보호창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사용중 또는 보관중 외부 접촉에 의해 보호창의 표면에 긁힘 등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 제점이 있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보호창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크래치 및 이물질에 의해 카메라의 선명한 화질을 보장하기 어렵고 카메라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 및 보호창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장치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편의성 및 신뢰성 측면에서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도하지 않은 비정상적인 개폐를 방지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는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노출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 노출공에 대응하는 셔터홀을 구비하여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둘레면에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회전캠부재, 회전캠부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캠프로파일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판스프링부재, 회전캠부재 및 커버 프레임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회전캠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셔터홀을 차단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한다.
캠프로파일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캠프로파일은 산부 및 셔터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산부와 높이차를 갖도록 산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골부를 포함하는 대략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 으며, 판스프링부재가 캠프로파일의 골부에 배치되면 회전링캠부재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회전캠부재는 커버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캠부재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캠부재 및 조작노브의 과도한 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및 이탈과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에는 조작노브의 일정 이상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부재는 캠프로파일에 탄성 접촉 가능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 또는 커버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판스프링부재가 프레임이 아닌 다른 구조물에 기초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판스프링부재는 커버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 연결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캠프로파일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대략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재의 개폐 방식 및 개폐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셔터부재는 회전캠부재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조작노브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캠부재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셔터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셔터부재가 회전캠부재 상에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조작노브의 회전 조작에 따라 셔터부재가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 전함과 동시에 회전캠부재 상에서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며 셔터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셔터부재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셔터부재는 셔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셔터홀을 개폐하는 제1셔터 및 제2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단 하나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3개 이상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셔터부재와 회전캠부재 간의 슬라이딩 구조, 및 조작노브의 회전 조작에 의한 셔터부재의 연동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캠부재에는 셔터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캠부재를 마주하는 셔터부재의 일면에는 셔터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셔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셔터돌기 및 셔터슬롯의 개수 및 배치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셔터부재의 슬라이딩 방향 및 각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작노브의 회전 조작에 의한 셔터부재의 연동구조의 일 예로서, 커버 프레임에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 프레임을 마주하는 셔터부재의 다른 일면에는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프레임의 전면에는 셔터홀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커버 프레임을 감싸도록 데코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에는 노출공을 덮도록 보호창이 제공될 수 있다. 보호창은 단순히 노출공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경우 에 따라서는 보호창 자체가 회전캠부재의 회전축 역할을 병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보호창은 노출공을 통과하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캠부재는 연장부에 외삽되어 연장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장치가 반자동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카메라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차단하는 커버장치의 차단 상태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커버장치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인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셔터부재가 회전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며 개폐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캠부재의 회전시 캠프로파일을 따라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판스프링부재에 의해 우수한 클릭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셔터부재의 개폐시 개폐조작감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200)는 카메라(300)가 구비된 통상의 개인휴대단말기(100)에 장착될 수 있다.
개인휴대단말기(100)로서는 최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로 전개 및 절첩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 및 폴더부를 포함하는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과 액정표시장치가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상기와 같은 바형 단말기의 입력버튼 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을 구비한 플립형 개인휴대단말기, 본체부에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100)의 구조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00)가 장착되어 있으며, 카메라(300)의 종류 및 장착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커버장치(200)는 개인휴대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300)를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바, 베이스 프레임(210), 커버 프레임(220), 회전캠부재(230), 판스프링부재(240), 셔터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중앙부에 노출공(212)이 구비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3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노출공(212)을 통해서는 카메라(3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스크류와 같은 통상의 체결부재를 통해 개인휴대단말기(100)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210)의 체결 방식 및 체결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 프레임(220)은 베이스 프레임(210)의 노출공(2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프레임(220)에는 노출공(212)에 대응되는 통과홀(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 프레임(22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회전캠부재(230)는 베이스 프레임(210)의 노출공(212)에 대응하는 셔터홀(232)을 구비하여 베이스 프레임(210)과 커버 프레임(2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회전캠부재(230)의 둘레면 일측에는 셔터홀(232)의 반경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는 캠프로파일(2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프로파일(234)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캠프로파일(234)은 산부(234b) 및 셔터홀(23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산부(234b)와 높이차를 갖도록 산부(234b)의 양측에 형성되는 골부(234a,234c)를 포함하는 대략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판스프링부재(240)가 캠프로파일(234)의 골부(234a,234c)에 배치되면 회전캠부재(23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캠부재(230)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광범위한 사용온도 범위에서도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갖는 윤활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캠부재(230)는 커버 프레임(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2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작노브(238)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캠부재(23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캠부재(230) 및 조작노브(238)의 과도한 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및 이탈 과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220)에는 조작노브(238)의 일정 이상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턱(2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캠부재(230)에 일체로 연결된 조작노브(238)가 일정 이상 회전하게 되면 커버 프레임(220)에 형성된 구속턱(226)에 조작노브(238)가 구속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회전캠부재(230)의 과도한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부재(240)는 회전캠부재(230)의 둘레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캠프로파일(234)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부재(240)는 캠프로파일(234)에 탄성 접촉 가능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10) 또는 커버 프레임(220)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판스프링부재가 프레임이 아닌 다른 구조물에 기초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판스프링부재(240)가 커버 프레임(220)에 고정되는 고정부(242), 상기 고정부(242)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246), 상기 연결부(246)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캠프로파일(234)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244)를 포함하여 대략 "V"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판스프링부재(240)의 접촉부(244)는 고정부(242)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부(244)는 캠프로파일(234)을 따라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220)에는 판스프링부재(240)의 고정부(242)가 수용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부재(250)는 회전캠부재(230) 및 커버 프레임(220) 사이에 이동 가 능하게 제공되며,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동되어 병진회전운동하며 셔터홀(2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셔터부재(250)는 상기 회전캠부재(230) 및 커버 프레임(220) 사이에서 회전캠부재(230) 및 커버 프레임(220)에 각각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캠부재(23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캠부재(230)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셔터홀(232)을 차단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셔터부재(250)의 개폐 방식 및 개폐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셔터부재(250)는 회전캠부재(23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캠부재(230)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캠부재(2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셔터홀(23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셔터부재가 회전캠부재 상에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조작노브의 회전 조작에 따라 셔터부재가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캠부재 상에서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며 셔터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셔터부재(250)가 회전캠부재(2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캠부재(230)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캠부재(2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셔터홀(232)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셔터부재(25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셔터부재(250)는 셔터홀(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셔터홀(232)을 개폐하는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는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캠부재(230)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각각 회전캠부재(2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며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으며,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됨에 따라 셔터홀(232)이 개폐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단 하나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3개 이상의 셔터에 의해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셔터부재(250)와 회전캠부재(230) 간의 슬라이딩 구조, 및 상기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의한 셔터부재(250)의 연동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캠부재(230)에는 셔터홀(232)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구간 셔터슬롯(23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캠부재(230)를 마주하는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의 각 일면에는 각 셔터슬롯(23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셔터돌기(25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는 해당되는 각 셔터돌기(258)가 셔터슬롯(23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되며 셔터홀(232)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울러 셔터돌기(258) 및 셔터슬롯(236)의 개수 및 배치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셔터부재(250)의 슬라이딩 방향 및 각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의한 셔터부재(250)의 연동구조의 일 예로서, 커버 프레임(220)에는 소정 구간 가이드슬롯(22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 프레임(220)을 마주하는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의 다른 각 일면에는 각 가이드슬롯(2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돌기(25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캠부재(230)가 회전하게 되면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가 회전캠부재(230)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각 가이드돌기(256)가 해당되는 가이드슬롯(224)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조작노브(238)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 연동되며 회전캠부재(230)에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220)의 전면에는 셔터홀(232)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커버 프레임(220)을 감싸도록 데코하우징(26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셔터홀(232)이 노출될 수 있도록 데코하우징(260)에는 셔터홀(232)에 대응되는 관통홀(2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공되는 데코하우징(260)은 카메라 커버장치의 실질적인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데코하우징(26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면에는 노출공(212)을 덮도록 투명한 보호창(27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창(270)이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면에 결합되며 커버장치와 함께 모듈화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창이 커버장치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창은 단순히 노출공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창 자체가 전술한 회전캠부재(230)의 회전축 역할을 병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창(270)은 노출공(212)을 통과하며 베이스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캠부재(230)는 연장부(272)에 외삽되어 연장부(27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캠부재(230)가 보호창(270)의 연장부(27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통상의 회전축 수단에 의해 회전캠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회전캠부재의 회전 지지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최초 카메라 커버장치(200)는 도 6과 같이, 카메라(도 1의 300 참조)를 차단하는 상태로 제공된다. 즉, 카메라(30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캠부재(230)의 셔터홀(232)은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캠부재(230)는 판스프링부재(240)가 캠프로파일(234)의 골부(234a)에 배치됨에 따라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300)를 사용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조작노브(23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게 되면, 조작노브(238)와 일체로 연결된 회전캠부재(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부재(230)가 회전함에 따라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는 회전캠부재(2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의 각 가이드돌기(256)가 커버 프레임(220)의 가이드슬롯(2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의 각 셔터돌기(258)가 회전캠부재(230)의 셔터슬롯(23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캠부재(230)가 회전함에 따라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가 연동되어 병진회전운동하며 결과적으로 셔터홀(23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부재(230)의 초기 회전시에는 판스프링부재(240)의 접촉부(244)가 캠프로파일(234)을 따라 골부(234a)에서 산부(234b) 측으로 이동하며 압축된다.
그 후, 판스프링부재(240)의 접촉부(244)가 캠프로파일(234)의 임계점(산부)을 지나 인접한 다른 골부(234c) 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탄성력을 축적하는 상태로 압축되어 있던 판스프링부재(240)가 복원되고, 이 탄성력에 의해 회전캠부재(230)가 회전될 수 있다. 또, 회전캠부재(230)가 판스프링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의 각 가이드돌기(256) 및 셔터돌기(258)는 대응되는 가이드슬롯(224) 및 셔터슬롯(236)의 다른 단부까지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의 개방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카메라(300)를 사용한 후에는 개방시와 반대 방향으로 조작노브(238)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카메라(300)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카메라(300)를 차단하는 경우 역시 개방시와 마찬가지로 회전캠부재(230)의 캠프로파일(234)과 판스프링부재(240) 간의 탄성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캠부재(230)의 회전 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전캠부재(230)와 연계된 제1셔터(252) 및 제2셔터(254)의 닫힘 동작 역시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캠부재의 회전 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되며 제1셔터 및 제2셔터의 개폐 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카메라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카메라를 차단하는 상태에서 회전캠부재는 판스프링부재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회전캠부재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개인휴대단말기 200 : 커버장치
210 : 베이스 프레임 220 : 커버 프레임
230 : 회전캠부재 240 : 판스프링부재
250 : 셔터부재 260 : 데코하우징
270 : 보호창

Claims (15)

  1.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노출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노출공에 대응하는 셔터홀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둘레면에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회전캠부재;
    상기 회전캠부재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캠프로파일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판스프링부재; 및
    상기 회전캠부재 및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회전캠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홀을 차단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일정 이상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홀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상기 커버 프레임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데코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셔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셔터홀을 개폐하는 제1셔터 및 제2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회전캠부재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회전캠부재의 회전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캠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셔터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부재에는 셔터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부재를 마주하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셔터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셔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을 마주하는 상기 셔터부재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프로파일은 산부 및 상기 산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캠프로파일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호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창은 상기 노출공을 통과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캠부재는 상기 연장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1.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공을 구비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노출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노출공에 대응하는 셔터홀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산부 및 상기 산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골부를 포함하는 V 형상의 캠프로파일이 둘레면에 형성된 회전캠부재;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캠프로파일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캠프로파일과 상호 작용하는 판스프링부재; 및
    상기 회전캠부재 및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회전캠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캠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홀을 차단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로 상기 회전캠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캠부재에는 셔터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부재를 마주하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셔터슬롯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셔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을 마주하는 상기 셔터부재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홀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상기 커버 프레임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데코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셔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셔터홀을 개폐하는 제1셔터 및 제2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상기 조작노브의 일정 이상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호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
KR1020080088656A 2008-09-09 2008-09-09 카메라 커버장치 KR100958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656A KR100958445B1 (ko) 2008-09-09 2008-09-09 카메라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656A KR100958445B1 (ko) 2008-09-09 2008-09-09 카메라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944A KR20100029944A (ko) 2010-03-18
KR100958445B1 true KR100958445B1 (ko) 2010-05-18

Family

ID=4217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656A KR100958445B1 (ko) 2008-09-09 2008-09-09 카메라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9527B (zh) * 2018-12-20 2024-02-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摄像头及摄像头遮挡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41A (ko) * 2004-01-16 200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60035340A (ko) *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0790156B1 (ko)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816367B1 (ko) * 2007-12-31 2008-03-24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41A (ko) * 2004-01-16 200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60035340A (ko) *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0790156B1 (ko)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816367B1 (ko) * 2007-12-31 2008-03-24 (주)쉘-라인 카메라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944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900B2 (ja)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JP4169204B2 (ja) 携帯端末装置
US8279333B2 (en)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02638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958445B1 (ko) 카메라 커버장치
KR100816367B1 (ko) 카메라 커버장치
US7991440B2 (en) Rotar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369178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20090312074A1 (en)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751942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100999105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996404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63209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의 접사렌즈 회전 장치
KR101599878B1 (ko) 회전형 렌즈 캡을 갖춘 카메라
KR100602723B1 (ko) 카메라 커버의 작동에 따라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06046B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립체
KR200451104Y1 (ko) 거치 기능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TWI407880B (zh) 便攜式電子裝置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38539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973523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1081002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50060547A (ko) 내장형 촬영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50888B1 (ko)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