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38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389B1
KR100958389B1 KR1020070113282A KR20070113282A KR100958389B1 KR 100958389 B1 KR100958389 B1 KR 100958389B1 KR 1020070113282 A KR1020070113282 A KR 1020070113282A KR 20070113282 A KR20070113282 A KR 20070113282A KR 100958389 B1 KR100958389 B1 KR 10095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ne
inner member
vane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229A (ko
Inventor
이성주
김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389B1/ko
Priority to CN2008100983869A priority patent/CN101430115B/zh
Publication of KR20090047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어 공조된 후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함께 여닫고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된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내측 부재와, 상기 내측 부재와 결합된 외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되어,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의 이중 구조 및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베인의 강도가 높으므로, 베인의 동작시 베인의 일부가 휘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되고, 외측 부재의 미감에 따라 베인 및 공기조화기 전체가 고급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공기 흡입구, 공기 토출구, 본체, 베인, 내측 부재, 외측 부재, 공간, 밀착부, 이격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함께 개폐하는 베인이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데, 최근에는 미감이나 이물질의 침투 방지를 위해 부품수가 증대되더라도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 구의 각각에 그릴이 아닌 판상의 베인을 설치하는 추세이다.
또한,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흡입 베인을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흡입 베인모터를 설치하고, 공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토출 베인을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토출 베인모터를 설치할 경우, 공기조화기 자체가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각각에 베인을 설치하고, 흡입 베인모터 및 토출 베인모터를 각각 설치할 경우, 부품수가 많게 되어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5-0031568에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하나의 베인에 의해 함께 개폐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하나의 베인은 그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복수개의 수직부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수직부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 상단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하단에 하단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하부에 설치된 베인 모터가 연결된다.
상기 하나의 베인은 베인 모터의 구동시 상단 회전축과 하단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동작되어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함께 밀폐하거나 함께 개방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의 개방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을 안내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10-2005-0031568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베인의 상단과 하단과 복수개의 수직부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수직부가 좌,우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인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베인이 회전될 때, 베인의 수직부 강도가 약해서 수직부가 일부 휘거나 흔들리면서 동작될 수 있고, 베인의 성형시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개의 수직부를 함께 일체로 성형하므로 그 성형 장비의 크기가 크고 그 일체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베인이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밀폐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베인과 캐비닛의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어, 베인 주변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주지 못하고 디자인의 고급화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나의 베인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밀폐시 복수개의 수직부 중 외측에 위치하는 수직부가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데, 상기와 같은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수직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경우 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외관 특히 베인의 수직부 색상이나 디자인에 싫증을 느낄 경우 상기의 베인 전체를 교체/서비스 하여야 하는데, 베인 전체의 교체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공기조화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의 디자인 고급화를 위해 가전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를 수지물 이외의 고급스러운 재질로 하는 추세이나, 상기와 같이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함께 개폐하는 베인은 상단과 상단 회전축과, 하단과, 하단 회전축과, 좌,우 이격되는 복수개의 수직부를 갖는 복잡한 형상이므로 베인을 수지물 이외의 고급스러운 재질로 성형하기 어렵고, 디자인 고급화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베인이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복수개의 부재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베인의 동작시 베인이 흔들리거나 휘는 것이 최소화되면서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인의 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베인의 강도가 향상시킨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함께 여닫고 열림시 공기를 안내하는 내측 부재와, 상기 내측 부재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부재를 갖고, 상기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의 사이에 밀폐 공간이 마련된 베인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에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베인이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닫는 위치로 무빙되게 하거나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열면서 상기 캐비닛과 하부 패널 사이의 틈 및 상기 캐비닛과 상부 패널 사이의 틈을 가리는 위치로 무빙되게 하는 베인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부재는 상기 외측 부재와 이격된 중앙측 판체부와, 상기 중앙측 판체부 주변에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중 후방측 경사부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베인이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여는 위치로 무빙되었을 때 상기 캐비닛과 하부 패널 사이의 틈 및 상기 캐비닛과 상부 패널 사이의 틈 옆에 위치되는 후방측 판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부재는 상기 베인의 외곽을 형성하게 돌출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측 부재는 상단에 상기 외측부재의 상단이 걸리는 상단 걸이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외측부재의 하단이 걸리는 하단 걸이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외측 부재는 글래스이고,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글래스를 통해 보이는 장식부가 형성된다.
상기 베인 구동 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내측 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내측 부재에는 상기 링크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가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함께 개폐하는 베인이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가 내,외 겹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에 의해 베인이 전체적으로 두꺼우므로, 베인의 일부가 휘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고, 외측 부재의 미감에 따라 베인 및 공기조화기 전체 외관이 고급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이 일종의 단열층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단열재 없이 내측 부재에 안내되는 공기에 의한 외측 부재 외면의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되는 등의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되어 대략 그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에서 공조한 후 그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과, 상부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둘레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경사부(14)가 형성된다.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판부(24)와 우판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캐비닛(20)은 좌판부(24)와 우판부(26)가 후판부(22)와 직교하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판부(22)와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는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는 우측 하부 패널(4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판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좌측 하부 패널(30)에는 좌측 필터(32)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되고, 좌측 하부 패널(30)과 좌측 필터 케이스(34)의 사이 공간에는 좌측 하부 패널(30)과 좌측 필터(32)와 좌측 필터 케이스(3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승강되면서 좌측 필터(3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좌측 청소 유닛(36)이 승강 가능하게 배 치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판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에는 우측 필터(42)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되고, 우측 하부 패널(40)과 우측 필터 케이스(44)의 사이 공간에는 우측 하부 패널(40)과 우측 필터(42)와 우측 필터 케이스(4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승강되면서 우측 필터(4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우측 청소 유닛(46)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은 하부에 후술하는 베인 구동 기구(160)의 구동 링크(164)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38)(48)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나 홀부 혹은 단턱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부(8)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로 이루어진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좌측 경사부(55)에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의 경사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후술하는 좌측 베인(90)의 닫힘시 좌측 베인(90)에 돌출되게 구비된 좌측 풍향 조절부(92)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좌측 공간부(S1)를 갖도록 좌측 경사부(55)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전판부(52)와 우측판부(54)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경사부(57)가 형성되고, 우측 경사부(57)에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후술하는 우측 베인(100)의 닫힘시 우측 베인(100)에 돌출되게 구비된 우측 풍향 조절부(102)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우측 공간부(S2)를 갖도록 우측 경사부(57)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패널(50)은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의 상부에 후술하는 지지 기구(170)의 지지 링크(171)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59)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토출부(8)(10)의 상부 위치에 공기 토출구(56)(58)와 통하게 형성되거나, 공기 토출부(56)(58)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체(2)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에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전면 커버(60)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되, 전체적으로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의 일부(62)가 좌측 공간부(S1)의 전방을 차폐하고, 우측의 일부(64)가 우측 공간부(S2) 전방을 차폐한다.
전면 커버(60)는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를 통과한 공 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을 향해 유도되게 막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좌측 베인(90) 및 우측 베인(10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좌측 풍향 조절부(92)와 우측 풍향 조절부(102)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막는 일종의 차폐 부재의 역할을 한다.
한편, 본체(2)는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만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 뿐만 아니라 좌,우 하부 패널(30)(40)의 전방 및 좌,우 하부 패널(30)(40) 사이의 전방도 함께 덮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 커버(60)가 상부 패널(50)의 전방만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70)이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회동되게 연결된다.
전면 패널(7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의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좌,우 중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전면 패널(70)은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전면 패널(70)은 닫힘시를 기준으로 내,외 혹은 전,후 위치되는 복 수개의 부재(71)(72)가 상호 결합되는 복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미관을 형성하고 본체(2)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부재(71)와,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 부재(72)와, 외측 부재(71)을 내측 부재(72)와 결합시키는 홀더(73)를 포함한다.
외측 부재(71)는 투명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배면에 색상 및 장식미를 갖는 판체나 시트나 층구조의 장식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색상이나 문양 등을 갖고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내측 부재(72)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72a)이 형성되고, 개구홀(72a) 또는 개구홀(72a)의 후방 위치에는 외측 부재(71)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4)가 설치된다.
한편, 본체(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별도의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2)는 그 상면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면을 갖거나 그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토출구 유닛(80)은 본체(2)의 개구면이나 개구부를 통해 승강 구동된다.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되고,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
여기서, 승강 가이드(82)는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2)의 사이 공간 중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승강 가이드(82)에는 승강 가이드(82) 중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2)의 사이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리는 상부 장식부재(84)가 설치된다.
상부 장식부재(84)는 베이스(12)의 경사부(14)와 대향되는 부분이 베이스(12)의 경사부(14)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본체(2)에는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 중 적어도 하나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4)(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4)(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8)(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인(90)(100)은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베인(90)과,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베인(100)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베인(9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전방부 좌측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흡입부과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모두 덮는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좌측 베인(9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전방부 좌측면 패널로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옆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즉, 좌측 패널(90)은 좌측 공기 흡입구(31)의 하단과 좌측 공기 토출구(56)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의 전후 폭 및 좌측 공기 토출구(56)의 전후 폭 보다 전후 폭이 길게 형성되며, 좌측 공기 흡입구(31) 및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형성된 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측 패널(90)은 좌측 공기 토출부(8) 특히, 좌측 공간부(S1)와 대 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좌측 공간부(S1)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좌측 풍향 조절부(9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반면에, 우측 베인(10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전방부 우측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으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모두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덮는 위치에서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우측 베인(10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전방부 우측면 패널로서,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옆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우측 하부 패널(3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즉, 우측 베인(100)은 우측 공기 흡입구(41)의 하단과 우측 공기 토출부(58)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의 전후 폭 및 우측 공기 토출구(58)의 전후 폭 보다 전후 폭이 길게 형성되며, 우측 공기 흡입구(41) 및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된 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우측 베인(100)은 우측 공기 토출부(10) 특히 우측 공간부(S2)와 대 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우측 공간부(S2)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우측 풍향 조절부(10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경우 그 생산 및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고, 본체(2)에 설치되어 무빙될 때 일부가 흔들리거나 휘는 반면에,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되 복수개의 부재가 상호 결합된 조립체(120)(130)(140)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부재의 생산 및 운반 등이 용이하고, 본체(2)에 설치되어 무빙될 때 일부가 흔들리거나 휘는 것이 최소화되는 바, 이하,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 각각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120)(130)(140)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 각각은 외부에서 주로 보이는 부분인 외측 부재(120)를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장식부를 갖는 합성수지물와 같이 미감이 높은 부재로 구성하면,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합성수지물의 장식부 등에 의한 미감이 향상되고, 글래스나 목재나 합성수지물 등을 교체하면 새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참고 부호 300은 본체(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되 승강 가이드(82)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참고 부호 310은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이며, 도 3에 도시된 참고 부호 320은 본체(2)의 내측 하부 특히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청소 유닛(36)(46)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이물질 처리 장치이다.
여기서, 송풍기(3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312)와, 팬모터(312)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314)과, 송풍팬(314) 및 팬모터(312)를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316)과, 팬 하우징(316)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318)를 포함한다.
이물질 처리 장치(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청소 유닛(36)과 좌측 호스(322)로 연결되고, 우측 청소 유닛(46)과 우측 호스(324)로 연결된 이물질 분리기(326)와, 이물질 분리기(326)와 연결되어 이물질 분리기(326) 및 호스(322)(324)와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유닛(328)과, 이물질 분리기(326)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수거통(330)과,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과 흡입력 발생유닛(328)을 제어하는 청소 제어부(332)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베인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베인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은, 도 2 및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풍향 조절부(92)가 좌측 베인(90)의 내측면 즉, 우측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우측 풍향 조절부(102)가 우측 베인(100)의 내측면 즉, 좌측면에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베인과 하나의 풍향 조절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베인(90)(100)은 닫혔을 때를 기준으로 내,외 혹은 좌,우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재(110)(120)가 상호 결합되는 내,외 복수 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상,하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재(130)(140)가 상호 결합되는 상,하 복수 구조인 것도 가능하며,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내,외 위치되는 내,외 복수 구조이면서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와 적어도 하나가 상,하 위치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부재(130)(140)로 이루어진 상,하 복수 구조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내,외 혹은 좌,우 겹치게 배치되는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가 본체(2)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베인(90)(100)의 내측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내측 바디 내지 내측 패널이고, 외측 부재(120)가 본체(2)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베인(90)(100)의 외측 외관을 구성하는 일종의 외관 부재 내지 장식 부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가 하부 내측 부재(130)와, 하부 내측 부재(13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내측 부재(140)로 이루어져 상,하 이중 구조이고, 하부 내측 부재(130)와 상부 내측 부재(140)가 결합되어 내측 부재(1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 내측 부재(130)가 베인(90)(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로우어 바디 내지는 로우어 패널이고, 상부 내측 부재(140)가 베인(90)(100)의 상부를 구성하는 어퍼 바디 내지는 어퍼 패널이며, 외측 부재(12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그 상부가 상부 내측 부재(140)와 함께 베인(90)의 상부를 구성하면서 그 하부가 하부 내측 부재(130)와 함께 베인(90)의 하부를 구성하는 외관 부재 내지 장식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가 베인(90)(100)의 전,후,상,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측 부재(120)가 베인(90)(100)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 내측 부재(110)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132)(142)가 돌출 형성되고, 외측 부재(120)는 그 전부 혹은 일부가 테두리부(132)(142)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베인(90)(10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될 경우, 내측 부재(110) 중에서 본체(2)측을 향하는 면에 공기가 안내되어, 내측 부재(110)가 에어 가이드의 역할을 주로 하게 되고, 외측 부재(120)는 외부에서 주로 보이는 외관 부재의 역할을 주로 하게 된다.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모두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내부에 빈 공간(136)(146)을 갖도록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판체 형상이 아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모두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밀착될 경우, 베인(90)(100)의 전체 두께가 ??아져 슬림화가 가능하나, 내측 부재(110)에 찬 공기가 안내될 때 외측 부재(120)의 외면에 이슬이 맺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베인(90)(100)의 내부 특히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사이에 빈 공간(136)(146)이 형성될 경우, 즉,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판체 형상이 아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빈 공간(136)(146)이 일종의 단열층을 이루게 되어 찬 공기가 내측 부재(110)에 안내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외측 부재(120) 외면의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베인(90)(100)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오히려 그 구동시의 흔들림이나 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베인(90)(100)의 빈 공간(136)(146)은 베인(90)(100)의 외부와 통하는 개방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베인(90)(100) 즉, 내부 부재(110)와 외부 부재(120)에 둘러싸인 베인(90)(100)의 내부에 형성된 밀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개방된 공간일 경우 이물질 등의 침투될 수 있으므로, 밀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인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사이 공간(136)(146)에 별도의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70)과 같이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외측 부재(120)를 통해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가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베인(90)(1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부재(120)와 이격 된 중앙측 판체부(112)와, 중앙측 판체부(112)의 주변 특히 전,후,상,하측에 형성된 경사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인(90)(100)은 경사부(114) 중 후방측 경사부와 테두리부(132)(142) 중 후방측 테두리부의 사이에 본체(2)의 측면측의 틈인 상부 패널(50)과 캐비닛(20) 사이의 틈 및 하부 패널(30)(40)과 캐비닛(20) 사이의 틈을 가리는 차폐부인 후방측 판체부(116)가 형성된다.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의 중앙측 판체부(112) 및 경사부(114)와 후방측 판체부(116)가 외측 부재(120)와 이격되어 공간(136)(146)을 형성하고, 중앙측 판체부(112) 및 경사부(114)와 후방측 판체부(116) 이외의 부분이 외측 부재(120)와 밀착된다.
즉, 내측 부재(110)는 테두리부(132)(142)가 외측 부재(120)와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지고, 중앙측 판체부(112) 및 경사부(114)와 후방측 판체부(116)가 테두리부(132)(142)와 일체 형성되어 외측 부재(120)와 이격되는 이격부로 이루어진다.
즉, 베인(90)(100)은 상기와 같은 밀착 및 이격을 위해, 하부 내측 부재(130)의 전,후,하단 테두리부가 밀착부로 구성됨과 아울러 전,후,하단 테두리부 사이가 이격부로 구성되고, 상부 내측 부재(140)의 전,후,상단 테두리부가 밀착부로 구성됨과 아울러 전,후,상단 테두리부 사이가 이격부로 구성된다.
베인(90)(100)은 외측 부재(120)의 일부가 내측 부재(110)와 이격되므로, 외측 부재(120)의 일부가 공간(136)(146)을 향해 눌릴 수 있는 바, 내측 부재(110)에 는 외측 부재(120)가 공간(136)(146)으로 눌리지 않도록 외측 부재(12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38)(148)가 외측 부재(120)를 향해 돌출된다.
여기서, 리브(138)(148)는 외측 부재(120)와 접촉되어 외측 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또는 외측 부재(120)의 눌림을 방지하는 눌림 방지수단으로서, 테두리부(132)(142)와 함께 내측 부재(110)의 밀착부를 구성한다.
리브(138)(148)는 복수개가 좌우 방향 혹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측 판체부(112)와 경사부(114)와 후방측 판체부(116)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 부재(120)와 접촉되는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외측 부재(120)는 외곽 테두리부가 내측 부재(110)의 테두리부(132)(142)와 접촉되고, 일면이 리브(138)(148)에 접촉된다.
한편, 베인(90)(100)은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본딩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후크나 걸림턱 등의 걸림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걸림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내측 부재(110)의 테두리부(132)(142)에는 외측 부재(120)가 걸리는 걸이부(134)(144)를 갖게 형성된다.
이하,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내측 부재(130)는 상단에 테두리부(132)가 형성되지 않고, 선단과 하단과 후단에만 테두리부(132)가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132)에 걸이부(134)가 돌출 형성되며, 외측 부재(120)의 하부는 걸이부(13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 라이드 안내함과 아울러 걸이부(134)에 의해 구속되어 옆으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하부 내측 부재(130)의 걸이부(134)는 하부 내측 부재(130)의 선단측 테두리부(132)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선단 걸이부와, 하부 내측 부재(130)의 후단측 테두리부(1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단 걸이부와, 하부 내측 부재(130)의 하단측 테두리부(132)에서 상향 돌출된 하단 걸이부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모양으로 형성되고, 리브(138) 및 테두리부(132)와 함께 외측 부재(120)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구성한다.
상부 내측 부재(140)는 하단에 테두리부(142)가 형성되지 않고, 선단과 상단과 후단에만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142)에 걸이부(144)가 돌출 형성되며, 외측 부재(120)의 상부는 걸이부(14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함과 아울러 걸이부(144)에 구속되어 옆으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상부 내측 부재(140)의 걸이부(144)는 상부 내측 부재(140)의 테두리부(142) 선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선단 걸이부와, 상부 내측 부재(140)의 테두리부(142) 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단 걸이부와, 상부 내측 부재(140)의 테두리부(142) 상단에서 하향 돌출된 상단 걸이부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모양으로 형성되고, 리브(148) 및 테두리부(142)와 함께 외측 부재(120)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구성한다.
즉, 외측 부재(120)는 하부 내측 부재(13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 부재(13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하향 슬라이딩 삽입되어, 그 하부가 하부 내측 부재(130)의 리브(138)와 테두리부(132)와 걸이부(134)에 전,후,좌,우,하측으로 걸려 구속되고, 상부 내측 부재(14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내측 부재(140)의 하단 개구부를 통해 상향 슬라이딩 삽입되어, 그 상부가 상부 내측 부재(140)의 리브(148)와 테두리부(142)와 걸이부(144)에 전,후,좌,우,상측으로 걸려 구속되며, 상기와 같은 하부 및 상부의 구속에 의해 하부 내측 부재(130) 및 상부 내측 부재(140)와 일체화되게 조립된다.
한편, 외측 부재(12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글래스나 목재나 금속재나 장식부를 갖는 합성수지와 같이 미감이 높은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그 전체적인 미감 특히, 베인(90)(100)이 닫혔을 때의 미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바, 이하, 글래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베인(90)(100)은 외측 부재(120)와 내측 부재(110)의 사이에 장식미를 갖는 인쇄지나 인쇄층이나 코팅층 등의 장식부(122)가 형성된다.
장식부(122)는 인쇄지 등의 시트 재질로 이루어져 글래스와 내측 부재(110) 중 하나에 접착재 등에 의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인쇄층이나 코팅층으로 글래스와 내측 부재(110) 중 하나에 직접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외측 부재(120)가 글래스와 장식부(122)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한편, 풍향 조절부(102)는 베인(90)(100) 중에서 공기 토출부(8)(10)를 향하는 면인 내측 부재(110)에 돌출되게 구비된 토출 유로 가이드(103)와, 토출 유로 가이드(103)에 좌,우 회전되게 배치된 토출 베인(104)과, 토출 베인(104)을 회전시키는 토출 베인모터(105)를 포함한다.
풍향 조절부(102)는 공기 토출부(8)(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바, 하부 내측 부재(130)와 상부 내측 부재(140) 중 상부 내측 부재(140)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토출 유로 가이드(103)는 베인(90)(100)의 대략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곡면을 갖는 곡면 가이드(106)와, 곡면 가이드(106)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 가이드(107)를 포함한다.
곡면 가이드(106)는 공기 토출부(8)(10)를 통과한 공기가 부드럽게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후단이 공기 토출부(8)(10)와의 거리가 가깝고 선단으로 갈수록 공기 토출부(8)(10)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 가이드(107)는 공기 토출부(8)(10)를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퍼지지 않고 전방으로 직진되게 안내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수평 가이드(107)는 토출 베인(104)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단 회전축(10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107a)가 형성된다.
또한, 베인(90)(100)은 곡면 가이드(106)의 하부에 토출 베인모터(105)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109)가 형성된다.
여기서, 모터 수용부(109)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부로 이루어지고, 토출 베인모터(105)는 모터 수용부(109)에 삽입되어 모터 수용부(109)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토출 베인모터(105)가 별도의 모터 마운터(108)에 장착되고, 모터 마운터(108)가 모터 수용부(109)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별도의 모터 마운터(108)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토출 베인모터(105)는 회전축(105a)이 모터 마운터(108)에 형성된 축 관통 홀(108a)을 관통하여 토출 베인(104)의 하단 회전축(104b)에 연결되고, 모터 마운터(108)에 형성된 체결 보스(108b)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05b)로 체결된다.
그리고, 모터 마운터(108)는 모터 수용부(109)의 상측 위치에서 모터 수용부(109)의 내부로 삽입되어 모터 수용부(109)에 끼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은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인 하부 내측 부재(130)와 상부 내측 부재(14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50)을 더 포함한다.
결합 수단(150)은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하부 내측 부재(130)의 일면에 돌출된 제 1 결합부(152)와,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 중 다른 하나, 예를 들면 상부 내측 부재(14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 1 결합부(152)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54)를 포함한다.
결합 수단(150)은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 중 어느 하나(154)에는 다른 하나(152)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속되는 삽입 공간부(156)가 형성된다.
결합 수단(150)은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 각각이 적어도 2개의 판체부를 포함하여, 제 1 결합부(152)가 제 2 결합부(154)에 형합되는 것에 의해 상호 지지되어 구속되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결합부(152)가 제 2 결합부(154)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결합 수단(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결합부(152)는 적어도 전판부와 후판부와 측판부를 갖는 입체적 형상이고, 제 2 결합부(154)는 삽입 공간부(156)가 제 1 결합부(152)의 전판부와 후판부와 측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 다 크게 개구되며, 제 2 결합부(154)는 제 1 결합부(152)가 밀착되는 전판부와 후판부와 측판부를 갖는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결합부(154)는 제 1 결합부(152)의 상단이 상측 방향으로 걸리는 상판부(155)를 갖는다.
또한, 결합 수단(150)은 제 1 결합부(152)의 상단이 하부 내측 부재(130)의 상단 보다 높게 돌출되어 제 1 결합부(152)를 제 2 결합부(154) 내측에 삽입시켰을 때 제 1 결합부(152) 중에서 하부 내측 패널(130)의 상단 보다 높게 돌출된 부분이 상부 내측 패널(140)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호 지지되게 되고, 제 2 결합부(154)의 하단이 상부 내측 부재(140)의 하단 보다 낮게 돌출되어 제 1 결합부(152)를 제 2 결합부(154) 내측에 삽입시켰을 때 제 2 결합부(154) 중에서 상부 내측 패널(140)의 하단 보다 낮게 돌출된 부분이 하부 내측 부재(130)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호 지지되며, 내측 하부 부재(130)과 외측 하부 부재(140)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결합 수단(150)은 상기와 같은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의 결합 뿐만 아니라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58)로 체결되는 바, 제 1 결합부(152)에 체결부재(158)가 관통되는 제 1 체결공(153)이 형성되고, 제 2 결합부(154)에는 상기 제 1 체결공(153)을 관통한 체결부재(158)가 결합되는 제 2 체결공(1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체결공(155)은 제 2 결합부(154)에 형성된 상판부(15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판체부에서 돌출된 보스(157)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는 하부 내측 부재(130)의 하단과 상부 내 측 부재(140)의 상단과 대향되게 제 1 결합부(152)가 제 2 결합부(154)의 내부로 삽입된 후 체결부재(158)가 제 1 결합부(152)를 관통하게 제 2 결합부(154)에 결합되고, 상기와 같은 결합시, 복수개의 내측 부재(130)(140)는 제 1 결합부(152)와 제 2 결합부(154)가 상,하,좌,우,전,후 의 전방향으로 구속되는 것에 의해 상호 지지되면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모터 마운터(108)와 모터 수용부(109)와 체결수단(150)이 베인(90)(100) 중에서 토출 공기가 토출 안내되는 부분과 흡입 공기가 흡입 안내되는 부분을 구획하는 일종의 구획부임과 동시에 베인(90)(100)의 상부로 안내되는 공기가 베인(90)(100)의 하부로 이동되어 공기 흡입부(4)(6)로 곧바로 재흡입되는 것을 막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 혹은 공기 차단부로서, 베인(90)(100) 중에서 공기 흡입구(31)(41) 옆과 공기 토출구(56)(58)의 옆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전후방향 폭 및 좌우방향 두께와 상하방향 높이를 갖고 전체적으로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한편, 베인(90)(100)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와 중앙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베인 구동 기구(160)가 연결되고 베인 구동 기구(160)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부분에 베인(90)(100)을 무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170)와, 베인(90)(100)을 무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기구(180)가 설치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로 구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상부와 중앙부 중 어느 한 부분이 지지 기구(17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부와 중앙부 중 다른 한 부분 이 안내 기구(180)에 의해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고, 중앙부로 구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이 지지 기구(17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부와 하부 중 다른 한 부분이 안내 기구(180)에 의해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부로 구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중앙부와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이 지지 기구(17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중앙부와 하부 중 다른 한 부분이 안내 기구(180)에 의해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베인(90)(100)은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베인 구동 기구(160)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 중 다른 하나에 지지 기구(170)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인(90)(100)의 길이가 긴 경우, 중앙부를 지지 혹은 안내하지 않으면, 중앙부 및 구동력이 전달되는 부분(예를 들면, 하부)의 맞은 편(예를 들면, 상부)이 조금 쳐지거나 흔들거리면서 무빙될 수 있으므로, 중앙부에도 지지 기구(170)가 연결되거나 안내 기구(1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인(90)(100)은 베인 구동 기구(160)가 베인(90)(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지지 기구(170)와 안내 기구(180) 중 어느 하나가 베인(90)(100)의 상부와 중앙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지지 기구(170)와 안내 기구(180) 중 다른 하나가 베인(90)(100)의 상부와 중앙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경우 보다 안정감 있게 동작될 수 있고, 이하, 베인(90)(100)의 하부에 베인 구동 기구(160)가 연결되고, 베인(90)(100)의 상부에 지지 기구(170)가 연결되며, 베인(90)(100)의 중앙부에 안내 기구(18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베인(90)(100)은 하부에 베인 구동 기구(160)가 연결되는 하부 연결 부(210)가 형성되고, 상부에 지지 기구(170)가 연결되는 상부 연결부(220)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안내 기구(180)가 장착되는 중앙 설치부(230)가 형성된다.
하부 연결부(210)는, 베인 구동 기구(160) 중에서 후술하는 링크(164)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로서, 링크(164)가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베인(90)(100)이 링크(164)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베인(90)(100) 중에서 본체(2)를 향하는 면 즉, 하부 내측 부재(130)에 형성되고, 베인(90)(100)과 링크(164)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11)로 체결되도록 체결부재(211)가 체결되는 체결보스(212)를 포함한다.
상부 연결부(220)는, 지지 기구(170) 중에서 후술하는 링크(171)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로서, 베인(90)(100)의 회전시 링크(171)를 당기거나 밀면서 링크(171)와 함께 링크(17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베인(90)(100) 중에서 본체(2)를 향하는 면 즉, 상부 내측 부재(140) 특히, 수평 가이드(107)에 형성되고, 베인(90)(100)과 링크(171)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21)로 체결되도록 체결부재(221)가 체결되는 체결보스를 포함한다.
중앙 설치부(230)는, 안내 기구(180)가 설치되도록 베인(90)(100) 중에서 본체(2)를 향하는 면 즉, 하부 내측 부재(130)와 상부 내측 부재(140) 중 하나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하 상부 내측 부재(140) 특히, 제 2 결합부(154)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베인(90)(100)은 그 회전 중심이 본체(2)의 내측에 위치되게 베인 구동 기구(160)와, 지지 기구(170)와, 안내 기구(180)에 의해 구동,지지,안내되는 바, 베인 구동 기구(160)와, 지지 기구(170)와, 안내 기구(180)는 베인(90)(100)의 대략 옆 위치에서 베인(90)(100)을 구동,지지,안내하도록 설치된다.
베인 구동 기구(160)와, 지지 기구(170)에 대해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안내 기구(180)는 베인(90)(100) 특히 중앙 설치부(2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181)로 이루어지고, 본체(2) 특히 상부 패널(50)에는 홀더(181)를 안내하는 홀더 가이드(184)가 형성된다. 홀더 가이드(184)는 베인(90)(100)의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시 홀더(181)의 단부인 하단이 안내되도록 곡선 형상의 레일로 이루어지고, 베인(90)(100)이 과도하게 열리게 회전될 경우 홀더(181)의 단부가 걸려서, 베인(90)(100)의 과회전을 제한하도록 일단이 막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베인 구동 기구(16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90)(100)에 연결된 링크(164)와, 링크(164)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링크 회전수단은 본체(2)에 설치된 모터(161)와; 모터(161)에 연결되어 모터(161)의 구동력을 링크(164)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기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동력 전달기구는 모터(161)에 연결된 구동 기어(162)와, 구동 기어(162)와 치합되고 링크(164)에 형성된 종동 기어(163)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인 구동 기구(160)는 링크(164)가 동력 전달기구를 통해 모터(161)와 연동되지 않고, 모터(161)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링 크(164)가 모터(161)나 베인(90)(100) 중 하나와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와 조립되어야 하므로 모터(161)와 링크(164)와 베인(90)(100)의 전체적인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모터(161)와 링크(164) 중 하나의 파손이나 오조립시 모터(161)와 링크(164)의 결합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그 서비스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링크(164)와 모터(161)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동력 전달기구에 의해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터(161)는 베이스(12)에 설치되는 바, 베이스(12)에는 모터(161)가 삽입되는 삽입부(13)가 형성된다.
모터(161)는 회전축(161a)이 베이스(12) 상면에 돌출되고, 몸체가 베이스(12)의 삽입부(13)에 매립식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는 바, 삽입부(13)는 모터(161)의 몸체와 같은 형상이고 크기가 조금 크게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부(13)의 주변 일측에는 모터(161)의 몸체에 연결된 리드 와이어(161b)가 위치되는 와이어 홈부(13a)가 형성된다.
구동 기어(162)는 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회전 중심이 연결된다.
링크(164)는 베인(90)(100) 특히 하부 연결부(210)에 연결되는 베인 연결부(166)와,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종동 기어(163)가 형성되며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연결부(167)와, 베인 연결부(166)와 회전 연결부(167) 사이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부(168)를 포함한다.
베인 연결부(166)에는 하부 연결부(210)의 체결보스(212)와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부재(211)가 관통되는 체결공(166a)이 형성된다.
회전 연결부(167)는 본체(2)의 하부인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링크(164) 및 베인(90)(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즉, 베인 구동 기구(160)는 베인(90)(100)의 하부 대략 옆 위치에서 베인(90)(100)의 하부를 밀고 당기는 것에 의해 베인(90)(100)을 무빙시키는 것으서, 모터(161)의 구동시 링크(164)가 베인(90)(100)의 하부 옆에서 그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베인(90)(100)의 하부를 밀거나 당긴다.
한편,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a)은 지지부(16)에 직접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회전축(164a)에는 보스(164b)가 씌워지며,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2)에는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보호하는 하우징(165)이 설치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보호하는 일종의 기어 커버로서, 저면이 개방되고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의 일부에 링크(164)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165b)가 개구 형성된다.
하우징(165)은 링크(164)의 절곡부(168)가 링크 관통부(165b)와 접촉되면서 관통되는 경우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하는 링크 가이드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65)은 베이스(12)에 체결부재(166)로 체결되는 바, 하우징(165)에는 체결부재(166)가 관통되는 체결부(165a)가 형성되고, 베이스(12)에는 하우징(165)의 체결부(165a)를 관통한 체결부재(166)가 체결되는 체결공(15)이 형성된다.
아울러, 하우징(165)은 링크(16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링크(164)의 임의 탈거를 막는 일종의 링크 홀더로 기능할 수 있는 바,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5c)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c)은 지지부(165c)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d)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회전축(164c)에는 보스(164d)가 씌워지며,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d)가 지지되는 지지부(165c)가 형성된다.
지지부(165c)는 하우징(165)에 형성될 경우, 본체(2) 특히 베이스(12)의 좌,우측에 공용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65)에 좌,우 복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베인 구동 기구(160)는 본체(2) 특히 베이스(12)의 상면를 따라 구르도록 링크(164)에 설치된 롤러(16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169)는 링크(164)와 본체(2) 특히 베이스(12)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수단으로서, 베인(90)(100)의 하중이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에 집중되지 않고 본체(2) 특히 베이스(12)로 분산되게 하면서 링크(164)가 본체(2) 특히 베이스(12)와 큰 마찰 없이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것으로서, 링크(164)의 저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169)는 양단이 상향 절곡되어 링크(164)에 끼움 방식 등으로 고정된 축부(169a)와, 축부(169a)의 중앙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휠부(169b)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지지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지지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지지 기구(17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90)(100)에 연결된 링크(171)와, 본체(2)에 설치되어 링크(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링크(171)를 안내하는 링크 가이드(172)를 포함한다.
지지 기구(170)는 베인(90)(100)의 상부 대략 옆 위치에서 베인(90)(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베인(90)(100)의 무빙을 돕는 것으로서, 베인 모터(161)의 구동에 의한 베인(90)(100)의 무빙시 링크(171)가 베인(90)(100)의 상부 옆 위치에서 링크 가이드(172)에 지지 및 안내되면서 회전되어 베인(90)(100)의 동작을 돕는다.
링크(171)는 베인(90)(100) 특히 상부 연결부(220)에 체결되는 베인 연결 부(173)와, 링크 가이드(1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연결부(174)와, 베인 연결부(173)와 회전 연결부(174) 사이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175)를 포함한다.
즉, 링크(171)는 베인 연결부(173)가 베인(90)(100)의 내면인 상부 내측 패널(140)에 연결됨과 아울러 회전 연결부(174)가 링크 가이드(1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절곡부(175)가 공기 토출부(8)(10) 주변에 별도로 형성된 링크 관통부나 공기 토출부(8)(1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베인 연결부(173)에는 베인(90)(100)의 상부 연결부(220)인 체결보스와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부재(221)가 관통되는 체결공(173a)이 형성된다.
베인 연결부(173)는 전체적으로 저면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공(173a)은 상판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베인 연결부(173)는 베인(90)(100)의 수평 가이드(107) 상면 위에 베인(90)(100)의 상부 연결부(220)인 체결보스를 감싸듯이 올려짐과 아울러 상부 내측 베인(140)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한편, 베인(90)(100)의 상부 연결부(220)는 체결보스가 복수개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체결보스에는 그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226)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보강 리브(226)의 단부는 링크(171)의 링크 연결부(173)의 연결시 링크 연결부(173)의 내벽에 밀착되어 그 결합 강도를 높인다.
베인 연결부(173)는 체결공(173a)이 상부 연결부(220)인 체결보스와 대응되게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부 연결부(220)의 체결보스 및 베인 연 결부(173)의 체결공(173a)은 복수개가 일렬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삼각 구조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삼각 구조 위치될 경우 일렬로 위치될 경우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삼각 구조로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 가이드(172)는 내부에 링크(171)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는 공간(172a)이 마련되고, 둘레부의 일부에 링크(171)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172b)가 개구 형성된다.
여기서, 링크 가이드(172)는 베인(90)(100)의 밀폐 모드시 링크(171)의 절곡부(175)가 모두 삽입되어 수용됨과 아울러 링크(171)의 절곡부(175) 전체를 지지하고, 베인(90)(100)의 회전 동작의 도중에 링크(171)의 절곡부(175)를 안내하며, 베인(90)(100)의 개방 모드시 링크(171)의 절곡부(175)가 관통되게 돌출됨과 아울러 링크(171)의 절곡부(175) 일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공간(172a)은 회전 연결부(174) 및 절곡부(175) 보다 크게 형성되고, 링크 관통부(172b)는 둘레부 중 대략 전방부의 좌,우 중 일측에서부터 전방까지 개구된다.
링크 가이드(172)는 상면이 개방된 하부 가이드(176)와, 하부 가이드(176)와 대향되게 하면이 개방되고 하부 가이드(176)와의 사이에 공간(172a)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177)를 포함한다.
링크(171)와 링크 가이드(172) 중 하나에는 회전축(174a)(174b)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74a)(174b)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76a)(177a)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74a)(174b)은 지지부(176a)(177a)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 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76b)(177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링크(171)와 링크 가이드(172) 중 하나에는 회전축(174a)(174b)이 형성되고, 회전축(174a)(174b)에는 보스(176b)(177b)가 씌워지며, 링크(171)와 링크 가이드(172)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76b)(177b)가 지지되는 지지부(176a)(177a)가 형성된다.
한편, 링크 가이드(172)는 하부 가이드(176)와 상부 가이드(177)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78)에 의해 체결되는 바, 하부 가이드(176)의 둘레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부 체결부(176c)가 돌출되고, 상부 가이드(176)의 둘레부에는 하부 체결부(176c)와 대응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체결부(177c)가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재(178)는 하부 체결부(176c)와 상부 체결부(177c)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체결된다.
링크 가이드(172)는 본체(2)의 내부에 체결부재(179a)(179b)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바, 상부 패널(5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보스(미도시)에 체결부재(179a)(179b)로 체결되는 체결부(176d)(177d)가 둘레부에 돌출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참조 부호 222는 베인(90)(100) 특히 수평 가이드(107)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인(90)(100)의 상부 연결부(220) 및 링크(171)의 베인 연결부(173)의 전방을 가림과 아울러 링크(171)의 베인 연결부(173)와 접촉되는 연결부 차폐부이고, 도 12에 도시된 참조 부호 224는 베인(90)(100)의 연결부 차폐부(222)의 상측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부 차폐부(222)의 상부와 본체(2)의 상부 사이의 공간 전방을 가리는 공간 차폐부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등의 운전시 좌,우측 베인(90)(100)은 베인 구동 기구(160)에 의해 본체(2)의 옆으로 열리면서 무빙되고, 본체(2)는 송풍기의 팬모터(76)가 구동되어 송풍팬(77)을 회전시킨다.
좌,우측 베인(90)(100)은 좌,우 공기 흡입부(4)(6) 및 좌,우 공기 토출부(8)(10)를 개방하면서 그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좌,우측 베인(90)(100)은 내부에 공간(136)(146)이 형성되어 공간이 없는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두꺼운 형상이고, 전체적인 강도가 높으므로, 그 회전시 일부의 휨이나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한편, 송풍팬(77)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 특히 좌,우측 베인(90)(100)의 하부 주변의 공기는 좌,우 베인(90)(1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 공기 흡입부(4)(6)로 흡입되고, 이후 본체(2)의 내부에서 열교환기(75)에서 열교환되며, 좌,우 공기 토출부(8)(10)를 통해 본체(2)의 전방 좌,우 양측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는 베인(90)(100)의 상부에 안내되면서 베인(90)(100)의 배치 방향으로 토출 안내되는데, 이때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사이의 공간(136)(146)은 단열층의 역할을 하고, 외측 부재(120) 표면에는 찬 공기가 내측 부재(110)에 안내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이슬이 맺히지 않게 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등의 운전이 정지되면, 좌,우측 베인(90)(100)은 베인 구동 기구(160)에 의해 본체(2)에 밀착되면서 닫히면서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동시에 함께 덮는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베인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베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90)(100)의 외측 부재(120′)가 내측 부재(110′) 보다 전체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외측 부재(120′)가 실질적으로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덮으며,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외측 부재(120′)는 외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일부분이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측 부재(120′)의 높이 및 폭이 내측 부재(110′)의 전체 높이 및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외측 부재(120′)는 전체적으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테두리 부분이 내측 부재(11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내측 부재(110′)는 외측 부재(120′)에 접착재 등의 접착 수단(124)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성형 된 후 먼저 성형된 부재가 다른 부재의 일면측에 인서트 되게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내측 부재(110′)는 중앙측 판체부(112)의 주변에 경사부(114)가 형성되고, 경사부(114)의 주변에 외측 부재(120′)와 밀착되는 외곽측 판체부(116′)가 형성된다.
내측 부재(110′)는 외곽측 판체부(116′)가 외측 부재(120′)와 접착 수단(124) 등으로 결합된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베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60)로 결합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공(26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체결공(26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64)가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재(260)는 체결공(262)을 관통하여 체결보스(264)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체결부재(260) 및 체결공(262)이 외부에서 잘 안 보이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내측 부재(110)에 체결공(262, 즉 내측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측 부재(120)에 체결공(즉, 외측 체결공)을 갖는 체결 보스(264)가 내측 부재(110)를 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베인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베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재(110)와 외측 부재(120)가 별도의 홀더(250)에 의해 결합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홀더(250)는 내측 부재(110)와 테두리와 외측 부재(120)의 테두리를 좌,우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베인(90)(100) 테두리 외곽을 형성한다.
즉, 홀더(250)는 내측 부재(110)의 테두리가 좌우 방향으로 걸리는 내측 판부와, 내측 부재(110)와 테두리와 외측 부재(120)의 테두리를 덮는 덮개부와, 외측 부재(120)의 테두리가 좌우 방향으로 걸리는 외측 판부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홀더(250)는 베인(90)(100)의 전,후,좌,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긴‘ㅁ’형상을 갖는다.
한편, 내측 부재(110)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같이, 중앙측 판체부(112)의 주변에 경사부(114)가 형성되고, 경사부(114)의 주변에 외측 부재(120′)와 밀착되는 외곽측 판체부(116′)가 형성된다.
내측 부재(110)는 외곽측 판체부(116′)가 외측 부재(120)의 테두리와 밀착되고, 홀더(250)는 외곽측 판체부(116′)의 전부 혹은 일부를 덮는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5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5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재(110″)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측 부재(110″)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같이, 중앙측 판체부(112)의 주변에 경사부(114)가 형성되고, 경사부(114)의 주변에 외측 부재(120′)와 밀착되는 외곽측 판체부(116′)가 형성된다.
내측 부재(1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패널로서, 내측 부재(110″)가 외측 부재(120) 또는 장식부(122)에 접착재 등의 접착 수단(124)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성형 된 후 먼저 성형된 부재가 다른 부재의 일면측에 인서트 되게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같은 홀더(250)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외측 부재(120)가 내측 부재(110) 특히 하부 내측 부재(130)와 상부 내측 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사출 성형시 외측 부재(120)의 일부가 사출 성형되는 내측 부재(130)에 인서트되게 사출 성형되어 일체화된 후 외측 부재(120)가 일체화된 내측 부재(130)와 다른 내측 부재(140)를 결합수단(150)으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베인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베인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베인 구동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지지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지지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베인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베인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베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베인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베인 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5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5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베이스 4: 좌측 공기 흡입부
6: 우측 공기 흡입부 8: 좌측 공기 토출부
10: 우측 공기 토출부 12: 베이스
14: 경사부 20: 캐비닛
30: 좌측 하부 패널 40: 우측 하부 패널
50: 상부 패널 60: 전면 커버
70: 전면 패널 71: 외측 부재
72: 내측 부재 90: 좌측 베인
92: 좌측 풍향 조절부 100: 우측 베인
102: 우측 풍향 조절부 103: 토출 유로 가이드
104: 토출 베인 105: 토출 베인모터
106: 곡면 가이드 107: 수평 가이드
110: 내측 부재 120: 우측 부재
122: 장식부 124: 접착수단
130: 하부 내측 부재 132: 테두리부
134: 걸이부 136: 공간
138: 리브 140: 상부 내측 부재
142: 테두리부 144: 걸이부
146: 공간 148: 리브
150: 결합 수단 152: 제 1 결합부
153: 제 1 체결공 154: 제 2 결합부
155: 제 2 체결공 156: 삽입 공간부
158: 체결부재 160: 베인 구동 기구
170: 지지 기구 180: 안내기구
250: 홀더

Claims (13)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함께 여닫고 열림시 공기를 안내하는 내측 부재와, 상기 내측 부재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부재를 갖고, 상기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의 사이에 밀폐 공간이 마련된 베인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에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베인이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닫는 위치로 무빙되게 하거나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열면서 상기 캐비닛과 하부 패널 사이의 틈 및 상기 캐비닛과 상부 패널 사이의 틈을 가리는 위치로 무빙되게 하는 베인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는 상기 외측 부재와 이격된 중앙측 판체부와,
    상기 중앙측 판체부 주변에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중 후방측 경사부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베인이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여는 위치로 무빙되었을 때 상기 캐비닛과 하부 패널 사이의 틈 및 상기 캐비닛과 상부 패널 사이의 틈 옆에 위치되는 후방측 판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는 상기 베인의 외곽을 형성하게 돌출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는 상단에 상기 외측부재의 상단이 걸리는 상단 걸이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외측부재의 하단이 걸리는 하단 걸이부가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재는 글래스이고,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글래스를 통해 보이는 장식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구동 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내측 부재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에는 상기 링크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가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070113282A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KR10095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82A KR100958389B1 (ko)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CN2008100983869A CN101430115B (zh) 2007-11-07 2008-05-30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82A KR100958389B1 (ko)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229A KR20090047229A (ko) 2009-05-12
KR100958389B1 true KR100958389B1 (ko) 2010-05-18

Family

ID=4064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282A KR100958389B1 (ko) 2007-11-07 2007-11-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8389B1 (ko)
CN (1) CN1014301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2064A (zh) * 2016-07-20 2016-10-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门板无间隙关闭的驱动结构及出风装置及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536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50031568A (ko)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1B1 (ko) 2004-12-30 200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8808B1 (ko) 2000-02-18 2007-12-3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포지티브 전자선 또는 엑스선 레지스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06293Y (zh) * 2003-03-13 2004-03-10 刘继生 多功能风口装置
CN2811830Y (zh) * 2005-05-12 2006-08-30 黄东方 空调器的导风叶片
CN2811808Y (zh) * 2005-07-15 2006-08-3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柜式空调器室内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536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100788808B1 (ko) 2000-02-18 2007-12-3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포지티브 전자선 또는 엑스선 레지스트 조성물
KR20050031568A (ko)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58951B1 (ko) 2004-12-30 200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2064A (zh) * 2016-07-20 2016-10-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门板无间隙关闭的驱动结构及出风装置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0115A (zh) 2009-05-13
CN101430115B (zh) 2010-06-02
KR20090047229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002B1 (ko) 공기조화기
EP218455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EP181640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403005B1 (ko) 공기조화기
KR100902927B1 (ko) 공기조화기
KR100958389B1 (ko) 공기조화기
KR101402156B1 (ko) 공기조화기
KR100907716B1 (ko) 공기조화기
KR100880688B1 (ko) 공기조화기
KR100879602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38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29A (ko) 공기조화기
KR101517969B1 (ko) 공기조화기
KR100881124B1 (ko) 공기조화기
KR100908886B1 (ko) 공기조화기
KR101275574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51468A (ko) 공기조화기
KR101450564B1 (ko) 공기조화기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39A (ko) 공기조화기
KR20040084281A (ko) 공기조화기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090076405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