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780B1 -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780B1
KR100954780B1 KR1020090096173A KR20090096173A KR100954780B1 KR 100954780 B1 KR100954780 B1 KR 100954780B1 KR 1020090096173 A KR1020090096173 A KR 1020090096173A KR 20090096173 A KR20090096173 A KR 20090096173A KR 100954780 B1 KR100954780 B1 KR 10095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oupled
lift device
lift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진
임도형
김양수
김수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93Stretchers with wheels stretcher supports with wheels, e.g. used for stretchers withou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5/00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 B66F5/02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with mechanical lif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는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메임 프레임 및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고,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드 및 상기 베드를 승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베드가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베드부를 포함한다.
리프트, 승강부재, 착탈부, 이동바퀴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Movable Lift Devic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Bed Part}
본 발명은 노약자나 환자를 위한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안치되는 베드부를 메인 프레임에서 탈부착할 수 있어 수발의 다양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의 도움을 받아서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나 노약자 간병시, 환자나 노약자의 이동 또는 승강을 해야 하는 경우 환자나 노약자의 하중에 의해서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나 노약자의 이동 또는 승강을 돕는 다양한 이동용 리프트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용 리프트 장치는 단순히 환자를 승, 하강시키거나, 환자를 이동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이동용 리프트 장치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의 제약이 많았다. 그리고 이동 경로의 제한에 따라 이동형 리프트 장치를 구비하고도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의 수발에 따른 부상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환자가 안치되는 베드부를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서 분리된 베드부를 간편하게 이동을 시킬 수 있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환자의 체형 및 이동용 리프트 장치가 이동하는 경로의 환경에 따라서 베드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용 리프트 장치는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메임 프레임 및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고,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드 및 상기 베드를 승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베드가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베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바디, 길이방향으 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전방에 결합되고,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제1지지레그, 상기 바디의 좌, 우측 결합되고,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제2지지레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 우 방향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레그는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 후 방향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레그는 상기 바디에 수평면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을 안내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이동용 리프트 장치 또는 상기 베드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베드에 누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좌, 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동용 리프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환자가 안치되는 베드부가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드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수발의 다양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전체 이동용 리프트 장치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베이스 프레임의 크기 또는 배치를 환자의 체형 또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의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어, 환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정면도이고, 도3은 도1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에서 베드부가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실시예의 베드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실시의 착탈부 및 승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7은 본 실시예의 이동형 리프트 장치에서 구동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이하 '리프트 장치'라고 한다)는 베이스 프레임(10), 메인 프레임(20), 베드부(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에는 복수개의 이동바퀴(11)가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은 상부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20) 및 베드부(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자는 리프트 장치에 외력을 가하여 리프트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10)은 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12), 제1지지레그(15) 및 제2지지레그(18)을 포함한다.
바디(12)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21), 제1지지레그(15) 및 제2지지레그(18)가 결합된다. 바디(12)는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고정부재(21)는 바디(12)의 중앙부분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지지레그(15)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디(12)의 전방에 결합되고, 제1지지레그(15)에는 이동바퀴(11)가 설치된다. 그리고 바디(12)의 좌, 우측에는 이동바퀴(11)가 설치되는 제2지지레그(18)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12)의 좌, 우측 끝단에 한 쌍의 제2지지레그(18)가 바디(12)에서 좌, 우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2개의 제1지지레그(15)가 바디(12)의 전방에 결합되고, 2개의 제1지지레그(15)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0)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드(31)에 환자가 누운 경우에도 베드(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2)는 좌, 우 방향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좌, 우측면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부(13)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부(14)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전체적인 바디(12)의 좌, 우 방향 길이가 가변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13) 및 이동부(14)에는 이동부(14)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동부(14)를 고정부(13)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3)에 슬롯(13a)이 형성되고, 이동부(14)에는 슬롯(13a)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14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14a)에는 이동부(14)가 이동한 다음 이동부(14)를 고정할 수 있도록 캡(14b)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4a)와 캡(14b) 중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레그(15)는 전, 후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레그(15)는 전면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부(16)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17)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부(17)가 삽입되는 정도에 제1지지레그(15)의 전체적인 길이가 가변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16)에 형성되는 슬롯(16a), 이동부(17)에 형성되는 돌기(17a) 및 돌기(17a)에 결합되는 캡(17b)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바디(12)의 슬롯(13a), 돌기(14a) 및 캡(14b)와 동일한 바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베드(31)에 누운 환자의 체중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의 좌, 우 및 전, 후 방향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어서, 베드(3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2지지레그(18) 바디(13)에 수평면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베드(31)에 누운 환자의 자세 또는 리프트 장치가 이동하는 장소의 환경 등에 따라 제2지지레그(18)를 적절한 위치로 회전을 시켜서 베드(3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제2지지레그(18)는 바디(12)의 양 끝단을 축으로 바디(12)의 후방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리프트 장치가 경사면을 올라가는 경우 리프트 장치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1) 및 고정부재(2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2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21)는 고정부(13)의 중앙부 상면에 결합되고, 원통형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부재(25)는 다양한 형상 및 구동방식에 의해서 상, 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부재(21)를 따라 상, 하 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승강부재(25)는 고정부재(21)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 고정부재(21)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1)를 따라 볼스크류 방식 등 다양한 구동방식에 의해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승강부재(25)에는 연결부재(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25)에는 승강부재(25)에 연결부재(30)를 결합하는 경우 연결부재(30)의 결합을 안내하고, 승강부재(25)에 연결부재(30)가 결합된 경우 연결부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25a,25b)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25a, 25b)는 후술하는 착탈부(31)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격되어 승강부재(25)의 둘레부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25a,25b)는 착탈부(31) 결합시 착탈부(31)에 승강부재(25)의 삽입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착탈부(31)가 승강부재(25)와 결합된 경우 착탈부(31)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여, 궁 극적으로 베드부(50)가 안정적으로 승강을 할 수 있게 한다.
베드부(50)는 승강부재(25)의 전방으로 결합이 되어 승강부재(25)의 이동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베드부(50)는 승강부재(25)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드부(50)를 승강부재(25)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 리프트 장치로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베드부(50)를 승강부재(25)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베드부(50)만으로도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베드부(50)는 베드(40)가 승강부재(25)에 직접 결합되어 승강부재(25)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베드(40)와 승강부재(2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연결하는 연결부재(3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베드부(50)는 복수개의 이동바퀴(44)가 설치되는 베드(40) 및 베드(40)를 승강부재(2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베드(40)가 상기 승강부재(25)의 이동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40)는 착탈부(31), 제1연결부(32) 및 제2연결부(33)를 포함한다.
착탈부(31)는 승강부재(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착탈부(31)의 후방에는 승강부재(25) 둘레가 삽입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이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착탈부(31)는 함몰 형성된 수용공간(S)의 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수용공간(S)에 삽입 및 수용되는 승강부재(25)의 후면을 둘러싸면서 있도록 착탈부(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1a)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수용공간(S)에는 승강부재(25)의 둘레의 일부가 삽입이 되고, 도어(31a)는 승강부재(25)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면서 승강부재(25)를 착탈부(31a)에 형성되는 공간(S)에 수용하면서 고정을 한다.
그리고 도어(31a)의 내측면은 승강부재(25)의 둘레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1a)는 승강부재(25)의 둘레부의 형상에 따라 결합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링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31)는 도어(31a)가 닫힌 경우 도어(31a)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핀(31b)이 착탈부(31) 및 도어(31a)를 관통하면서 착탈부(31)에 도어(31a)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승강부재의 지지부(25a,25b)에 고정핀(31b)이 삽입될 수 있는 홀(25c)이 형성되고, 고정핀(31b)이 지지부(25a,25b), 착탈부(31) 및 도어(31a)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경우 승강부재(30)와 착탈부(31)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승강부재(30)에는 사용자가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위해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8)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드(40)에 누운 환자가 리프트 장치의 이동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환자용 손잡이부(34)는 착탈부(31)의 좌, 우측면에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이 된다. 따라서 환자가 베드(40)에 진입시 손잡이부(34)를 상부로 회전시키고, 환자가 누운 다음에 환자가 베드(34)에 누운 상태에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34)를 다시 하부로 회전을 시킨다.
제1연결부(32)는 착탈부(31)와 베드(4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의 제1연결부(32)는 착탈부(31)에서 하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파트(32a) 및 수직파트(32a)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파트(32b)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드(40)는 착탈부(31)에서 하부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베드(40)가 하부로 이동하여 바닥면에 안착되고, 착탈부(31)가 승강부재(25)에서 분리된 경우 착탈부(31)에 설치된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부(34)는 바닥면에서 수직파트(32a)의 높이만큼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베드부(50)가 승강부재(25)에서 분리된 경우 사용자는 편리하게 손잡이부(34)를 잡고 베드부(50)만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평파트(32b)의 좌, 우측에는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가 전, 후 방향 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환자가 다양한 자세로 베드(40)에 누울 수 있게 된다.
제2연결부재(33)는 수직파트(32a)의 좌, 우측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베드(40)의 고정링크(45)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돌기(33a)가 제2연결부재(33)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돌기(33a)는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의 각도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고, 사용자는 고정링크(45)를 각 돌기(33a)에 고정시켜서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는 수평파트(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링크(45)가 제2연결부재(33)에 형성된 돌기((33a)에 고정되면서 연결부재(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베드(40)는 상기 수평부재(32b)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재(32b)의 좌, 우측에 전, 후 방향 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드(40)의 좌, 우측에는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손잡이부(4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에는 이동바퀴(44)가 설치되고, 베드부(50)가 승강부재(25)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베드부(50)만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바퀴(44)는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베드(40)가 바닥까지 하강시 이동바퀴(44)가 펴지면서 바닥과 접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베드(40)가 상승한 경우에는 이동바퀴(44)는 내측으로 접이면서 고정이 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드(40)를 이동바퀴(44)가 접히지 않는 경우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의 후방에는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가 회전한 상태에서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링크(4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다음 고정링크(45)를 제2연결부재(33)의 해당 돌기(33a)에 고정을 하여 제1베드(41) 및 제2베드(4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의 착탈과정 및 구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는 메인 프레임(20)에서 베드부(50)가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베드부(50)가 메인 프레임(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리프트 장치를 이동할 수도 있고, 베드부(5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베드부(50)만을 이동을 할 수도 있다.
베드부(50)가 메인 프레임(20)에 결합 시 사용자는 고정핀(31b)을 분리를 하고, 도어(31a)를 개방한다. 그리고 베드부(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승강부재(25)는 착탈부(31)의 수용공간(S)으로 삽입된다. 이 때 착탈부(31)의 상면 및 하면은 승강부재(25)에 형성된 지지부(25a,25b)에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승강부재(25)의 후방 둘레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도어(31a)를 회전시키면서 전체적으로 승강부재(25)는 수용공간(S)에 완전히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핀(31b)을 지지부(25a, 25b)에 형성된 핀홀(25c) 및 도어에 형성된 도어(31a) 및 착탈부(31)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면서 착탈부(31)를 승강부재(25)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드부(50)가 승강부재(25)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면, 사용자는 승강부재(25)를 승강시키면서 베드부(50)를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베드(40)에 눕게 되는 환자의 몸무게나 이동하는 경로의 환경에 따라 바디(12) 및 제1지지레그(15)의 길이 및 제2지지레그(18)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가 베드(40)에 눕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38)는 상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환자가 베드(40)에 눕게 되고, 환자가 누운 다음 손잡이부(38)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회전을 시키고, 환자는 손잡이부(38)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측면도;
도4는 본 실시예에서 베드부가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본 실시예의 베드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본 실시의 착탈부 및 승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실시예의 이동형 리프트 장치에서 구동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메인 프레임 11: 이동바퀴
12: 바디 15: 제1지지레그
18: 제2지지레그 20: 메인 프레임
21: 고정부재 25: 승강부재
25a, 25b: 지지부 30: 연결부재
31: 착탈부 31a: 도어
31b: 고정핀 32: 제1연결부
33: 제2연결부 34,38: 손잡이부
40: 베드 41: 제1베드
42: 제2베드 44: 이동바퀴

Claims (9)

  1.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고,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는 베드 및 상기 베드가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베드를 상기 승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승강부재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면서 상기 승강부재를 고정하는 도어가 설치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바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전방에 결합되고,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제1지지레그; 및
    상기 바디의 좌, 우측 결합되고,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제2지지레그;
    를 포함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 우 방향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레그는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 후 방향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레그는 상기 바디에 수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을 안내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이동용 리프트 장치 또는 상기 베드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베드에 누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좌, 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9. 삭제
KR1020090096173A 2009-10-09 2009-10-09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10095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73A KR100954780B1 (ko) 2009-10-09 2009-10-09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73A KR100954780B1 (ko) 2009-10-09 2009-10-09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780B1 true KR100954780B1 (ko) 2010-04-28

Family

ID=4222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173A KR100954780B1 (ko) 2009-10-09 2009-10-09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7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86B1 (ko) 2010-08-09 2010-12-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1291545B1 (ko) * 2011-06-29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2063145B1 (ko) * 2018-07-24 2020-02-11 서상우 욕창 방지 장치
KR20220019875A (ko) 2020-08-10 2022-02-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7166A (ja) * 1988-12-21 1990-06-27 Kubota Ltd 介護装置
JPH03106918A (ja) * 1989-09-19 1991-05-07 Nitto Denko Corp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2007289448A (ja) * 2006-04-26 2007-11-08 Iura Co Ltd 入浴用ストレッチャ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7166A (ja) * 1988-12-21 1990-06-27 Kubota Ltd 介護装置
JPH03106918A (ja) * 1989-09-19 1991-05-07 Nitto Denko Corp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2007289448A (ja) * 2006-04-26 2007-11-08 Iura Co Ltd 入浴用ストレッチャ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86B1 (ko) 2010-08-09 2010-12-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1291545B1 (ko) * 2011-06-29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2063145B1 (ko) * 2018-07-24 2020-02-11 서상우 욕창 방지 장치
KR20220019875A (ko) 2020-08-10 2022-02-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4839B2 (ja) 可動式手すりを具えたベッド
WO2012070260A1 (ja) 移動型点滴スタンド
KR100954780B1 (ko)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US20120066831A1 (en) Patient transfer apparatus
JP2015104461A (ja) 合体ベッド
JP2008279232A (ja) 移乗装置
TWI819199B (zh) 移動要照護者的方法
JP2020508704A (ja) 老弱者用歩行補助器
CZ20131074A3 (cs) Lůžko
WO2017199349A1 (ja) 介助装置
KR101171521B1 (ko) 환자 이송용 멀티리프트
CN104739083B (zh) 床侧部构造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20210106219A (ko) 거동불편자를 위한 다용도침대
KR101396029B1 (ko) 침대용 사이드레일 승강장치
KR101816629B1 (ko) 환자용 기구
KR100750665B1 (ko) 기능성 휠체어
JP5164158B2 (ja) 保育器
JP6434303B2 (ja) 入浴装置
KR101420942B1 (ko) 환자 이송용 들것
CN213608150U (zh) 妇科卧床清洗台
CN215915509U (zh) 妇科检查升降调节台
CN215459906U (zh) 台式助行架
JP5470153B2 (ja) 医療台における支脚器支持構造
JPH08676A (ja) 医療用ベッドのステップつき安全さ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