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763B1 -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 Google Patents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763B1
KR100954763B1 KR1020077008355A KR20077008355A KR100954763B1 KR 100954763 B1 KR100954763 B1 KR 100954763B1 KR 1020077008355 A KR1020077008355 A KR 1020077008355A KR 20077008355 A KR20077008355 A KR 20077008355A KR 100954763 B1 KR100954763 B1 KR 10095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3804A (en
Inventor
안티 피이포넨
아아르노 패르씨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700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763B1/en
Publication of KR2007005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 전에 터미널에 의해서 공통 공중 미디어의 이용가능성이 결정되는 통신 시스템에 의도되는 무선 터미널 내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메커니즘과 관련된다. 상기 터미널은 통신 피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선택적인 다른 매개변수들에 기반하여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며, 상기 수신기 성능은 감소된 전력 소비를 가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수신하도록 조절된다.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올 때에 표시를 발생시키며, 상기 터미널의 전송에 의해서 방해받는 장치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성능 레벨에서 공통 공중 미디어의 이용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 성능을 재조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terminal intended for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availability of common public media is determined by the terminal prior to transmission. The terminal selects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s a communication peer,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tional other parameters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djust receiver performance based on the receiver performance, wherein the receiver performance is adjusted to receive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duced power consumption. The terminal generates an indication when the terminal's transmission is approaching and readjusts receiver performance to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common public media at a performance level capable of detecting devices interrupted by the terminal's transmission.

전력 소비, 무선 통신 Power consump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scription

무선 통신 터미널들에서 전력 소비의 감소{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터미널들에서 전력 소비의 감소와 관계된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터미널들에서 수신기 성능 제어를 통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메커니즘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rough receiver performance control in wireless terminals.

모바일 컴퓨팅과 네트워킹을 향한 현재의 개발은 사용자들에게 자신들의 홈 네트워크 밖에 있을 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여러 접속 기술들의 진화를 가져왔다. 현재, 무선 인터넷 접속은 전형적으로 근거리 무선 시스템들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기반한다. Current developments towards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have led to the evolution of several access technologies that provide users with Internet access when they are outside their home network. Currently, wireless Internet connections are typically based on either or both of short range wireless systems or mobile networks.

근거리 무선 시스템들은 1백미터 또는 그보다 작은 전형적 범위를 가진다. 그것들은 종종 장거리 상에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서 인터넷으로 유선(wired) 시스템들과 결합한다. 근거리 무선 시스템들의 카테고리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PANs)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WLANs)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라디오 스펙트럼의 무허가 부분들에서, 보통 2.4 GHz 공업, 과학, 의료(ISM)에서 또는 5 GHz의 무허가 대역에서 동작하는 공통 특징을 가진다. Near field wireless systems have a typical range of one hundred meters or less. They often combine with wired systems over the Internet to provide communication over long distances. The category of short-range wireless systems includes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PAN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They have a common feature of operating in the unlicensed portions of the radio spectrum, usually in the 2.4 GHz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or unlicensed bands of 5 GHz.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약 10미터의 전형적 범위를 가지는 저비용, 저전력 무선 장치들을 사용한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기술의 가장 잘 알려진 예는 2.4 GHz ISM 대역을 사용하는 블루투스이다. 그것은 1Mbps의 최고 에어(air) 링크 속도와 개인적 사용을 위해 충분히 작은 전력 소비, PDAs 및 이동 전화들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무선 랜은 일반적으로 10Mbps에서 100Mbps의 더 큰 피크 속도로 동작하고 더 긴 범위를 가지며, 더 큰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e low cost, low power wireless devices having a typical range of about 10 meters. The best known example of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technology is Bluetooth using the 2.4 GHz ISM band. It provides a maximum air link speed of 1Mbps and power consumption small enough for personal use, portable electronics such as PDAs and mobile phones. WLANs generally operate at higher peak rates from 10 Mbps to 100 Mbps, have longer ranges, and require greater power consumption.

무선 랜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유선 네트워크로의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유선 네트워크의 확장이다. 무선 랜 기술의 예들은 5GHz의 무허가 대역에 대하여 설계되고 54Mbps 데이터율로 전달하기 위해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랙싱(OFDM)을 사용하는 IEEE 802.11 a와, 2.4 GHz ISM 대역에 대하여 설계되고 11 Mbps 데이터율로 전달하기 위해서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을 사용하는 802.11 b와 5GHz 무허가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HIPERLAN 표준을 포함한다.Wireless LAN systems are typically an extension of a wired network that provides mobile users with a wireless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Examples of WLAN technology are IEEE 802.11 a, which is designed for an unlicensed band of 5 GHz and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to deliver at 54 Mbps data rate, and 11 Mbps data rate, designed for the 2.4 GHz ISM band. It includes the HIPERLAN standard,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802.11b and 5GHz unlicensed bands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무선 랜 기술에서, 두 개의 기본 네트워크 토폴로지, 즉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와 기반구조 네트워크(infrastructure network)가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서 이용가능하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기반 스테이션의 서비스없이, 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터미널들은 동등계층통신 기반(peer-to-peer basis) 상에서 통신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 모바일 터미널들에 의해 형성된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보통 일시적인 목적들을 위해서 형성된다. 다음으로, 기반구조 네트워크는 유선 기반구조를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불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기반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인 네트워크에 있어서, 교통이 두 개의 터미널 사이에 있든지 또는 터미널과 유선 네트워크 사이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모든 교통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지나가며, 즉 모바일 터미널들은 공통계층통신 기반으로 통신하지 않는다. 모바일 터미널들에는 무선 랜 카드들이 제공되며, 이때 그것들은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또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설치할 수 있다. 기반구조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이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ng Set:BSS)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며, 반면에 애드혹 네트워크는 또한 독립 BSS(IBSS)라 불린다.In wireless LAN technology, two basic network topologies, ad-hoc network and infrastructure network, are available for network configuration. The ad hoc network is formed by two or more independent mobile terminals communicating on a peer-to-peer basis without the service of the base station, ie in the ad hoc network. Ad hoc networks are usually formed for temporary purposes. Next, the infrastructure network includes one or more wireless infrastructure stations called access points that form a wired infrastructure. In a typical network of this type, regardless of whether the traffic is between two terminals o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wired network, all traffic passes through the access point, ie mobile terminals do not communicate on a common layer communication basis. Do not. Mobile terminals are provided with wireless LAN cards, where they can connect to a wired network or set up an ad hoc network. In an infrastructure network, an access point and at least one terminal are described as forming a Basic Serving Set (BSS), while an ad hoc network is also called an independent BSS (IBSS).

지금까지, 무선 랜 기술은 전형적으로 AC 전력이며, 그러나 상당한 고 배터리 용량을 제공하는 베터리 모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랩탑 컴퓨터들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배터리들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WLAN 표준들은 터미널들이 그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능동 모드(active mode)로부터 들어갈 수 있는 특정한 전력 절약 모드를 정의한다. 상기 모드에서, WLAN 특정 전력 소비는 매우 낮으나, 터미널들은 정규 표시(beacon) 전송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깨어난다(즉, 능동 모드로 들어간다). 표시 전송들은 예를 들어, 터미널에 대하여 버퍼되어 들어오는 패킷들이 있는지를 표시한다. 만약 그렇다면, 터미널은 패킷들을 회수하고, 휴면 상태로 돌아가며, 그리고 다음 표시 전송을 수신하기 위해서 다시 깨어난다. Up to now, wireless LAN technology has typically been used in laptop computers, which are typically AC power, but can also be used in battery mode, which provides significant high battery capacity. To extend the life of batteries, WLAN standards define specific power saving modes that terminals can enter from active mode to reduce their power consumption. In this mode, WLAN specific power consumption is very low, but terminals wake up periodically (ie, enter active mode) to receive beacon transmission broadcasts. Indication transmissions indicate, for example, whether there are incoming packets buffered for the terminal. If so, the terminal retrieves the packets, goes back to sleep, and wakes up again to receive the next indication transmission.

현재 WLAN 전력 관리는 터미널 장치들이 상대적으로 고 배터리 용량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유형 컴퓨터를 가정하여 설계되어 왔다. 랩탑 컴퓨터들보다도 더 작은 크기와 더 적은 배터리 용량을 가진 지능 전화기들과 같은 개인 통신 장치의 여러 다른 유형들의 일반화와 더불어, 그러나 새로운 특성들이 무선 시스템들 및 터미널들에 대하여 설계될 때 전력 소비는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다. 전력 소비가 더 많을 수 있는 최근의 애드혹 모드 응용들은 상기 문제를 악화시킨다. 이러한 응용들의 예들에는 소그룹들에서 경기하는 게임들 또는 다량의 파일들이 참가자들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는 비즈니스 회의들이 있을 수 있다. Current WLAN power management has been designed assuming laptop type computers in which terminal devices a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high battery capacity. With the generalization of several other types of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s such as intelligent phones with smaller size and less battery capacity than laptop computers, however, power consumption is important when new features are designed for wireless systems and terminals. It has been an issue. Recent ad hoc mode applications, which may be more power hungry, exacerbate the problem. Examples of such applications may be games playing in small groups or business meetings in which a large number of files may be shared by participants.

WLAN 터미널들의 전력 소비는 전력 절약 모드에서 터미널들이 소비하는 시간을 최대화하도록 노력함으로써 통상 줄어든다. 그러나, 이것은 능동 모드에서 전력 소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그것의 전체 시간에 대한 비율, 즉 능동 모드의 시간 퍼센트는 새로운 기능성들의 일반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The power consumption of WLAN terminals is typically reduced by trying to maximize the time they spend in power saving mode. However, this does not affect power consumption in active mode, and its ratio to the total time, ie the percentage of time in active mode, is increasing with the generalization of new functionalities.

본 발명은 차등의(uncoordinated) 미디어 접속 메커니즘에 제공되는 WLAN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즉 미디어가 자유로운지를 알기 위한 전송 전에 터미널들이 공통 공중 미디어를 감지해야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터미널의 전력 소비가 터미널의 능동 모드에서 감소될 수 있는 해결책을 달성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LAN provided in an uncoordinated media access mechanism, i.e., a system in which terminals must sense common public media before transmission to know if the media is free, so that the terminal's power consumption is the active mode of the terminal. To achieve a solution that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공통 채널이 채널이 자유로운가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전에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터미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invent a new mechanism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terminal oper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common channel is received before transmission to determine if the channel is free.

본 발명에 있어서, 터미널들은 그것이 통신할 장치(들)를 선택하고 두 개의 상이한 제어 모드에서, 즉 선택된 장치(들)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제어 모드와 터미널들의 전송 전에 공통 공중 미디어를 감지하기 위한 미디어 접속 제어 모드에서 그것의 수신기의 성능을 제어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s select the device (s) with which it is to communicate and in two different control modes, namely the reception control mode for receiving the selected device (s) and the media for sensing common public media before transmission of the terminals. Controls the performance of its receiver in access control mode.

성능 제어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성능 저하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수신기의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더 적당한 방법들은 동적 범위 및/또는 수신기의 민감도의 제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적 범위는 수신기가 유용한 출력을 생산하는 입력 전력 범위를 참조한다. 다음으로 민감도는 (약한)신호들을 감지하는 수신기의 성능을 일반적으로 참조하며, 즉 저하된 민감도는 장치들이 감지될 수 있는 영역을 감소시킨다. 동적 범위의 개념은 동적 범위의 로앤드(low end)가 민감도에 의해서 통제되기 때문에 민감도의 개념을 포함한다. 수신기의 성능은 수신 제어 모드에서 특히 저하될 수 있으며, 다음으로 저하는 수신기에서 전력 소비가 감소되도록 하기 위해서 실행될 수 있다.Performance control is performed in a manner that allows for performance degrada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More suitable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include controlling the dynamic range and / or sensitivity of the receiver. The dynamic range here refers to the input power range where the receiver produces useful outputs. Sensitivity then refers generally to the receiver's ability to sense (weak) signals, i.e. degraded sensitivity reduces the area in which devices can be detected. The concept of dynamic range includes the concept of sensitivity because the low end of the dynamic range is controlled by sensitivity.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can be particularly degraded in the receive control mode, and the next degradation can be implemented to allow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at the receiver.

그래서, 터미널은 각 시간에 통신할 장치(들)을 선택한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선택된 장치(들)은 전형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모든 가능한 통신 피어들의 서브셋을 형성한다. 터미널은 선택된 장치(들)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 품질 변수들을 측정하며, 각 신호 품질 변수들은 각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특성을 표시한다. 품질 변수는 전형적으로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다. 만약 선택된 장치(들)에 요구되는 전송이 없다면, 터미널의 수신기의 성능은 단지 장치(들)에 기반하여 획득된 신호 품질 변수(들)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그래서, 만약 전송이 요구되지 않으며, 터미널은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따라서 그것의 수신기의 동작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것은 터미널이 저하된 성능으로 수신되도록 하며, 즉 감소된 전력 소비로 수신되도록 하나, 그것은 또한 이 영역 밖의 장치들을 감춰진 노드들, 즉 감지될 수 없는 노드들로 되게 한다. 전송이 다가올 때 터미널은, 공통 미디어를 감지할 때에 다가오는 전송이 방해할 수 있는 모든 그러한 장치들의 교통을 감지할 수 있도록 그것의 수신기의 성능을 재조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미널은 감춰진 노드 문제를 악화시키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Thus, the terminal selects the device (s) to communicate at each time. In an ad hoc network, the selected device (s) typically form a subset of all possible communication peers in the same network. The terminal measures signal quality variables from at least one of the selected device (s), each signal quality variable indicating a characteristic of a signal received from each device. The quality variable typically indicate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f there is no transmission required for the selected device (s),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signal quality variable (s) obtained based only on the device (s). Thus, if no transmission is required, the terminal may limit the operating range of its receiver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s) received from the device (s). This allows the terminal to be received with degraded performance, i.e. received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but it also causes devices outside this area to be hidden nodes, i.e., undetectable nodes. When a transmission comes in, the terminal readjusts the performance of its receiver to detect the traffic of all those devices that the incoming transmission can interfere with when sensing the common media. In this way, you can see that the terminal has not exacerbated the hidden node problem.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터미널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피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들과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 품질 변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 신호 품질 변수들은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되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품질 변수들이 획득된다. 상기 방법은 측정 단계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는 단계와, 조절 단계는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부터 각 신호들의 수신을 확인하는 동안에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되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그리고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통신 장치들 전송을 감지할 수 있는 성능 레벨에서 공통 공중 미디어의 이용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 성능을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재조절 단계는 모니터링 단계가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고 있음을 표시할 때 수행된다.Thu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includes selecting at least one device as a communication pe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asuring a signal quality variable fro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each signal quality variable being selected Measured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each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in step, wherein at least one quality variable is obtained. The method includes adjusting receiver perform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 obtained in the measuring step, wherein the adjusting step is performed while acknowledging receipt of each signal from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in the selecting step. Monitoring the transmiss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ing to reduce consumption, and the availability of common public media at a performance level capable of detecting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nditioning receiver performance to determine that the recondition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monitoring step indicates that a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ing.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터미널들이 전송 전에 공통 미디어의 이용가능성을 결정하도록 요구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무선 터미널을 제공한다. 무선 터미널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피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들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 품질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측정 수단들을 포함하며, 각 신호 품질 변수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되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가 획득된다. 무선 터미널은 무선 통신 터미널이 감소된 전력 소비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부터 각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신기 성능을 재조절하기 위한 제1 성능 제어 수단들과, 무선 터미널의 전송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터미널들이 통신 장치들 전송을 감지하게 할 수 있는 성능 레벨로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을 더 포함하며,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은 모니터링 수단들이 무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는 것을 표시할 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termina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erminals are required to determine availability of common media prior to transmission. The wireless terminal comprises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s a communication peer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firs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 signal quality variable fro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each signal quality variable Are measured based on signals received from each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 is obtained. The wireless terminal comprises first performance control means for re-adjusting receiver perform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 such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respective signals from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receiver performance to a level of performance that allows the terminals to detect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comprises: It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indicates an upcoming.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터미널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된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컴퓨터로 사용가능한 미디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가 무선 통신 터미널의 통신 피어로서 선택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과 무선 통신 터미널이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로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된 신호 품질 변수에 기반하여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통신 터미널로 하여금 전송이 다가올 때 표시를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3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과 무선 통신 터미널로 하여금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통신 장치들 전송을 감지하도록 하는 레벨로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제4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부분을 더 포함하며, 제4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은 표시에 응답하여 동작한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usable media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implemented to control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is based on a portion of the first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for causing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to be selected as a communication pe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for adjusting receiver performance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quality variable. The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includes a third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for ca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an indication when a transmission is approaching and ca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ct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a fourth computer readable program portion for adjusting receiver performance to a level such that the fourth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operates in response to the indication.

전형적인 경우에 있어서, 터미널은 그것에 근접한 단지 하나 또는 많아야 몇 개의 통신 피어들을 구비하며, 수신기의 성능은 수신 기간 동안에 상당히 낮아진다. 다음으로 이것은 상당한 전력 절약으로 전환된다. 더욱이 수신기의 성능은, 동시 전송들(충돌들)을 야기할 수 있고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지된 감춰진 노드 문제를 악화시키기 않고 저하될 수 있다.In a typical case, a terminal has only one or at most several communication peers in close proximity to it,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is significantly lower during the reception period. This, in turn, translates into significant power savings. Moreover,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can be degraded without worsening the known hidden node problem, which can cause simultaneous transmissions (collisions) and can reduce throughput.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아래 첨부한 세부 설명 및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래에서는, 본 발명과 그것의 많은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로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되었으며, 여기서:In the following, the invention and its many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shown in FIGS. 1 to 8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며; 1 illustrates an exemplary commun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IEEE 802.11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MAC 엔티티(entity)를 도시하며;2 illustrates a MAC entity used in an IEEE 802.11 network;

도3은 본 발명의 제어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3 is a flow chart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제어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4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터미널 내에서 본 발명의 제어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 도;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도6은 수신 제어 모드에서 수신기의 성능을 제거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6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chanism for canceling the performance of a receiver in a receive control mode;

도7은 본 발명에 추가적인 실시예의 흐름도; 그리고7 is a flowchart of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8 shows one embodi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1은 전형적인 WLAN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WLAN 네트워크들(100)을 포함하며, 각각은 게이트웨이(101)(라우터)에 의해 서비스 공급자들(102)을 포함한 인터넷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각 WLAN 네트워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103)를 포함하며, 각각은 서비스 영역, 즉 셀 내에서 터미널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그리하여 터미널들과 유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브리지를 형성한다.1 illustrates a typical WLAN communication system. The system includes one or more WLAN networks 100, each connected by a gateway 101 (router) with anoth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ncluding service providers 102. Each WLAN network includes one or more access points 103, each of which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a terminal within a coverage area, ie a cell, thus forming a bridge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wired network.

상술한 바와 같이, 기반 구조 네트웨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은 기반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BSS)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술되었다. 그러면 BSS들의 연속은 확장된 서비스 셋(Extended Service Set:ESS)을 형성한다. 이러한 BSS들은 TCP/IP 패킷들이 전송되는 내부 이더넷 랜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트 또는 이들 둘의 조합으로 될 수 있는 분배 시스템(DS)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IEEE 802.11 랜의 기반 유형은 둘 또는 그 이상의 터미널들로 이루어진 독립형 BSS(IBSS)이다. IBSS의 터미널들은 애드혹(ad-hoc) 네트워크(110)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an access point and at least one terminal in an infrastructure network form a Basic Service Set (BSS). The series of BSSs then forms an Extended Service Set (ESS). These BSS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distribution system (DS), which can be a wired network, such as an internal Ethernet LAN, over which TCP / IP packets are transmitted, or a wireless network, or a combination of both. However, the base type of IEEE 802.11 LAN is a standalone BSS (IBSS) consisting of two or more terminals. The terminals of the IBSS form an ad-hoc network 110.

본 발명의 터미널들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ing) 에 대한 IEEE 802.11 표준들에 기반될 수 있는 전형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이다. 터미널들은 휴대용 컴퓨터들, PDA 장치, 지능 전화기 또는 다른 이와 같은 이동 터미널들(120)이 될 수 있다. 통상의 GSM 전화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 동작 터미널들은 두 개의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실제 가입자 장치 및 식별 모듈, 이때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가입자 장치는 식별 모듈이 그것에 삽입될 때 단지 터미널 기능을 하게 된다. 식별 모듈은 예들 들어, (보편적인)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U)SIM)), 사용자 식별 모듈(User Identity Module(UIM)) 또는 (사용자) 집적 회로 카드((User)Integrated Circuit Card((U)ICC))일 수 있다. 그러나, 터미널들은 식별 모듈들을 사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WLAN 터미널과 상당히 동등할 수 있다.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ypic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that may be based, for example, on IEEE 802.11 standard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ing. The terminals may be portable computers, PDA devices, intelligent telephones or other such mobile terminals 120. In the same way as a typical GSM telephone, user-operated terminals may consist of two parts: an actual subscriber device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n which the subscriber device only functions as a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inserted into it. do. The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for examp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 SIM,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User) integrated circuit card (User). Integrated Circuit Card ((U) ICC)). However, the terminals can be quite equivalent to traditional WLAN terminals that do not use identification modules.

시스템은 WLAN의 인증 서버(130)를 전형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는 보안 연결을 통하여 상술한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며, 이것은 작동자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구축된 전형적인 TCP/IP 연결이다. 도면에서 도시되었듯이, 기반 구조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이 표시 메시지(30)를 방송하며, 반면에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터미널들이 이러한 의무를 공유한다.The system may typicall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server 130 of the WLAN. The authentication server is connected to the gateway described above via a secure connection, which is a typical TCP / IP connection established over an operator network or the Internet. As shown in the figure, access points broadcast an indication message 30 in an infrastructure network, while terminals share this obligation in an ad hoc network.

본 발명은 WLAN 시스템의 구조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WLAN system, it is not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터미널들은 미디어가 유휴상태(idle)인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그것들이 전송할 수 있기 전에 미디어를 감지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IEEE 802.11 표준들은 동시 전송(즉,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CSMA/CA),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MAC)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환경과 관련된 공통 문제는 두 개의 노드가 제3의 노드와 통신할 수 있으나, 장거리, 방해물 등등에 기인하여 서로 통신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감춰진 노드 문제이다. 예를 들어, 터미널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제3의 터미널과 현재 통신하는 다른 터미널을 들을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력 소비는 감춰진 노드 문제를 악화시키지 않고 수신기 성능의 저하를 통하여 감소된다.In the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1, terminals must detect the media before they can transmit,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media is idle. For this purpose, IEEE 802.11 standards use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CSMA / CA), media access control (MAC) to avoid simultaneous transmission (i.e., collision). Include a protocol. A common problem associated with such an environment is a hidden node problem that occurs when two nodes can communicate with a third node but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ue to long distances, obstructions and the like. For example, a terminal may connect to the media because it may not be able to hear an access point or other terminal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a third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hrough deterioration of receiver performance without exacerbating hidden node problems.

IEEE 802.11 표준은 무선 랜에 대하여 물리층 옵션들과 MAC층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도2는 IEEE 802.11 표준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MAC 프로토콜은 데이터 링크 층(DLL)인 OSI 층 모델의 제2 층의 하부 서브층 내에서 동작한다. MAC 관리층은 MAC층의 전반적인 관리에 대한 책임이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결합과 로밍 기능들을 지원하며, 그리고 전력 절약 기능들, 인증 및 암호화 메커니즘들과 터미널들의 동기화를 제어한다. MAC 관리층은 MAC층 관리 데이터베이스, 즉 MAC층의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더 유지한다. MAC층은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물리적 관리층과 협력한다. 본 발명의 성능 제어 메커니즘에서 이용될 수 있는 MAC층 속성의 예는 수신된 신호의 레벨을 표시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이다. 대안으로, 수신된 신호 세기는 물리층이 실행될 때 내부적으로 정해질(defined) 수 있으며, MAC 프로토콜들과 그 어떤 연결없이 본 발명의 제어 메커니즘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The IEEE 802.11 standard defines physical layer options and MAC layer protocols for wireless LANs. 2 illustrates a protocol structure of the IEEE 802.11 standard. As shown in the figure, the actual MAC protocol operates within the lower sublayer of the second layer of the OSI layer model, which is the data link layer (DLL). The MAC management layer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MAC layer. For example, it supports combining and roaming functions, and controls the synchronization of terminals with power saving functions,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mechanisms. The MAC management layer further maintains a MAC layer management database, that is,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 of the MAC layer. The MAC layer cooperates with the physical management layer to maintain the database. An example of a MAC layer attribute that may be used in the performance control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indicating the level of a received signal. Alternatively,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can be defined internally when the physical layer is executed and can be used for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connection with MAC protocols.

물리층은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서브층과 PMD (Physical Medium Dependent) 서브층의 두 개 서브층으로 나누어진다. PLCP 목적은 물리층과 MAC층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단순화시키기 위해서 PMD 상에서 최소 의존성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hysical layer is divided into two sublayers, a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PLCP) sublayer and a Physical Medium Dependent (PMD) sublayer. The purpose of the PLCP is to provide a minimum dependency on the PMD to simplify the interface between the physical and MAC layers.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의 성능은 그것의 민감도 또는 동적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터미널에 다소 상이한 측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것들은 개별적으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performance of a receiver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its sensitivity or dynamic range. Since these methods require somewhat different measurements at the terminals, they are described individually below.

도3은 무선 통신 터미널에서 성능 제어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실시예에서, 성능 제어는 수신기의 민감도를 제어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터미널들이 공통 공중(air) 미디어에 대하여 경쟁하는 WLAN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때, 우선 터미널은 통신이 필요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을 선택하고, 장치들의 각각과 통신 링크를 구축함으로써 스스로 전용 통신 그룹을 형성한다(단계30). 기반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지 이웃한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되며, 반면에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터미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터미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은 수반된 시스템에 의존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은 동일한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을 자율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장치들의 목록을 사용자들에 나타내며, 그리하여 사용자는 통신하기 적절한 장치(들)을 선택할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본 발명의 방법이 자율적으로 시작되는 그것의 근접에 있는 장치들의 예비 저장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performance control mechanism a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embodiment, performance control may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When terminals operate in a network, such as a WLAN network, that competes for common air media, the terminal first selects one or more devices that need to communicate, and establishes a communication link with each of the devices to establish a dedicated communication group by itself. (Step 30). In an infrastructure network only neighboring access points are selected, whereas in an ad hoc network a terminal may select one or more other terminals. The selection can be carried out in a number of ways depending on the system involved. For example, the terminal autonomously detects devices in the same network and presents a list of detected devices to the user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appropriate device (s)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also allow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gin autonomously. It may include a preliminary storage list of devices in proximity of it.

그러면 터미널은 선택된 장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즉 각 링크(단계31)에 대 하여 최소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정한다. 이것은 수신된 데이터율과 같은 사용된 링크 매개변수들에 의존하여 수행된다. 만약 사용된 링크 매개변수들을 알 수 없다면, 최소 신호 대 잡음 비율은 최악의 경우, 즉 신호 대 잡음 비율 요구가 가능한 가장 큰 경우를 가정하여 정해진다. 더욱이, 성능 또는 여유치(safety margin)가 링크 상에서 신뢰할 만한 전송을 보증하기 위해서 각 최소값에 대하여 정해진다. The terminal then establishes a minimum signal to noise ratio for each of the selected devices, ie for each link (step 31). This is done depending on the link parameters used, such as the data rate received. If the link parameters used are unknown, then the minimum signal-to-noise ratio is assumed assuming the worst case, i.e. the largest possible signal-to-noise ratio requirement. Moreover, a performance or safety margin is set for each minimum value to ensure reliable transmission on the link.

그러면 터미널은 수신 제어 모드 또는 미디어 접속 제어 모드로 들어갔는지를 결정한다. 결정은 터미널이 곧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에 기반하여 결정된다(단계32). The terminal then determines whether it has entered the receive control mode or the media access control mode. The decision is made based on whether the terminal needs to transmit soon (step 32).

만약 터미널이 전송하지 않고 수신 모드로 남아 있을 수 있다면, 수신된 신호의 세기는 수신된 각 링크에 대하여 측정된다. 측정된 신호 세기는 링크로부터 터미널의 수신기로의 신호 입력의 평균 레벨을 나타낸다(단계33)If the terminal can remain in receive mode without transmitt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measured for each received link.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represents the average level of signal input from the link to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step 33).

최소 신호 대 잡은 비율, 관련된 성능 한계 및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터미널은 개별적으로 각 링크에 대하여 허용가능한 총 간섭 최대량을 추정한다. 허용가능한 총 간섭 최대량에 대한 측정된 신호 세기의 비율은 성능 한계에 의한 최소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초과하는 신호 대 잡음 비율에 대응한다. 여기서 총 간섭은 수신기에서 유발된 간섭(receiver-originated interference)을 말하며, 이는 수신기에서 발생한 잡음과 기타 원치 않는 성분을 포함한다.Based on the minimum signal to noise ratio, the associated performance limits, and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the terminal individually estimates the maximum allowable total interference for each link. The ratio of measured signal strength to the maximum allowable total interference corresponds to a signal to noise ratio that exceeds the minimum signal to noise ratio by the performance limit. Total interference here refers to receiver-originated interference, which includes noise and other unwanted components generated by the receiver.

추정에 기반하여, 수신기의 민감도는 터미널에서 요구되는 수신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저하될 수 있다(단계35). 즉, 수신기의 민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수신기의 전력 소비는 소망된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고려하여 작은 값으로 줄어든다. 만약 선택된 장치들이 동시에 수신된다면, 민감도 값은 극(tightest) 민감도 요구를 가진 링크, 즉 허용가능한 총 간섭의 최대량이 가장 작은 링크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만약 터미널이 전용 시간대에 각 선택된 장치를 수신할 수 있다면, 시간대에 대한 민감도 값은 링크에 의해서 결정되며, 그리고 민감도는 수신된 링크가 변화할 때 새로운 링크 특성 값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작은 네트워크에 의존한다.Based on the estimate,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can be lowered to reduce the receiving power required at the terminal (step 35). That is, by lowering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ceiver is reduced to a small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signal-to-noise ratio. If the selected devices are received simultaneously, the sensitivity value is determined by the link with the tightest sensitivity requirement, i.e. the link with the smallest maximum amount of total interference allowed. However, if the terminal can receive each selected device in the dedicated time zone, then the sensitivity value for the time zone is determined by the link, and the sensitivity changes to the new link characteristic value when the received link changes. In this respect, the operation depends on the network.

국부 지역 네트워크들은 짧은 시간 기간에서는 상당히 안정적이기 때문에, 통신이 요구되는 장치(들)로부터 측정된 수신된 신호 세기 값(들)에 기반하여 수신기의 민감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둘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장치들이 존재한다면, 간섭 레벨 요구는 각 장치(링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정해진다. 그러나, 수신 기간 동안에 사용된 민감도 레벨들의 수는 얼마나 많은 수의 그리고 선택된 장치들의 어느 것이 동시에 수신되어야 하는지에 의존한다. Since local area networks are quite stable in short time periods, it is possible to degrade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s) measured from the device (s) for which communication is required. If there are two or more such devices, the interference level requirement is set individually for each device (link). However, the number of sensitivity levels used during the reception period depends on how many and which of the selected devices should be received at the same time.

상술한 방식에 있어서, 터미널은 선택된 장치들에 의해서 적용되는(covered) 영역에 대응하여 그것의 수신기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며, 지역 밖의 장치들은 감춰진 노드들로 될 수 있다. 그러나, 터미널은 지금까지는 단지 수신만 했기 때문에, 이것은 시스템의 동작에 해가 되지 않는다.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limits the operating range of its receiver corresponding to the area covered by the selected devices, and the devices outside the area may be hidden nodes. However, since the terminal has only received so far, this does not harm the operation of the system.

터미널의 전송이 임박했을 때, 전송 요구의 표시가 생성되고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터미널은 모든 이러한 장치들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미디어 접속 제어 모드로 들어가는데, 이것은 다가올 전송에 의해서 방해받을 수 있다(단계32/예(yes)쪽). 예를 들어 표시는, 송신기가 전송될 패킷 또는 프레임을 조립하기 시작할 때 전송 버퍼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미디어 접속 제어 모드에서, 수신기 민감도는 다가올 전송 페이즈(phase)에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노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즉 터미널이 모든 그러한 노드를 "노출"시키도록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 민감도는 감춰진 노드들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대값으로(단계36)으로 조절된다. 그러면 채널 점유가 감지되며, 그리고 시스템에서 사용된 미디어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서 미디어가 접속된다(단계37). IEEE 802.11 네트워크들에 있어서, 예들 들어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SMA/CA) 미디어 접속 프로토콜은 공통 채널을 공유하도록 사용된다.When the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is imminent, an indication of the transmission request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terminal enters a media access control mode to cause all such devices to be "exposed", which can be interrupted by upcoming transmissions (step 32 / yes). For example, an indic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transmit buffers when the transmitter begins to assemble a packet or frame to be transmitted. In the media access control mode, receiver sensitivity is adjusted to detect all nodes where a collision may occur in the upcoming transmission phase, ie the terminal "exposures" all such nodes. In one embodiment, receiver sensitivity is adjusted to a maximum (step 36) to minimize the risk of hidden nodes. Channel occupancy is then detected, and media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media access protocol used in the system (step 37). In IEEE 802.11 networks, for example,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CSMA / CA) media access protocol is used to share a common channel.

전송 전력은 링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전송이 성공적으로 완결될 때, 프로세스는 수신 모드로 수신기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회귀한다(단계33 내지 35).The transmit pow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ink. When the transmission is successfully completed, the process regresses to adjust the receiver sensitivity to the receive mode (steps 33 to 3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의 민감도는 단계(36)에서 최대값으로 조절되지 않으나, 링크에 의존하는 더 작은 값으로 조절된다. 링크 매개변수들에 의존하여, 우선 터미널들은 링크에 대한 충분한 전송 전력값을 정한다. 전파 경로 손실 모델(propagation path loss model)은 다가올 전송이 다른 장치들을 방해할 수 있는 영역을 추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수신기의 민감도는 지역 내의, 즉 다가올 전송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셀 내의 모든(전송) 노드들을 감지하기에 충분한 레벨로 조절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is not adjusted to the maximum value in step 36, but to a smaller value depending on the link. Depending on the link parameters, the terminals first determine a sufficient transmit power value for the link. A propagation path loss model can be used to estimate the areas where upcoming transmissions may interfere with other devices.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can then be adjusted to a level sufficient to detect all nodes in the area, i.e., cells in which upcoming transmissions may cause interference.

상술한 민감도 제어는 여러 매우 작은 셀들이 형성되도록 허용하며, 이것은 서로 간에 간섭하지 않으며,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여러 랩탑/해드셋 쌍들은 서로 방해없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The sensitivity control described above allows several very small cells to be formed, which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access point. For example, several laptop / headset pairs can operate simultaneously without disturbing each other.

통신 장치들의 그룹은 터미널의 동작 동안에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이 선택된 장치들의 어느 하나가 휴면 모드로 들어가거나 또는 들어갔다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링크가 수신기의 민감도를 결정하는 하나라면, 민감도는 선택된 잔여 장치들의 요구에 따라 변화된다. 더욱이, 새로운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결합될 수 있고 터미널은 그것의 통신 그룹으로 그것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The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upd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receive an indication that either of the selected devices has entered or entered sleep mode. If the link is one that determines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the sensitivity is varied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selected residual devices. Moreover, new devices can be joined to the network and the terminal can select one or more of them as its communication group.

상술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의 전력 소비는 수신기의 동적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도4는 수신기의 동적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4의 실시예는 도3의 그것에 대응하나, 상술한 두 개의 제어 모드들에서 터미널은 수신기의 동적 범위를 제어한다. 수신 제어 모드에서, 터미널은 상술한 단계(33)와 같이 각각의 링크에 수신되는 수신된 신호 세기(단계43)를 측정한다. 그러면, 터미널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외부 간섭총량을 표시하는 간섭 전력총량(the amount of interfering power)을 측정한다(단계44). 실시예에서, 외부 방해물들로부터의 간섭이 고려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ransceiver can also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4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dynamic range of a receiver. 4 corresponds to that of FIG. 3, but in the two control mode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ontrols the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In the receive control mode, the terminal measur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step 43) received on each link as in step 33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then measures the amount of interfering power indicative of the total amount of external interference received by the receiver (step 44). In an embodiment, interference from external obstructions is considered.

측정된 간섭 전력은 총 차단 전력, 즉 수신기의 능동 부분들로 들어가는 총 전력, 상호 변조 전력, 또는 인접 채널 전력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41)에서 정해진 최소 신호 대 간섭 비율, 관련된 성능 한계, 측정된 신호 세기, 그리고 측정된 전력값(들)에 기반하여, 터미널은 성능 및 전력 소비(단계45a)에 대하여 최적 동작 지점을 정하고 동작 지점을 최적값으로 설정한다.(단계45b). 여기서 동작 지점은 일반적으로 소망된 동적 범위 및 전력 소비를 산출하는 내부 송수신기 셋팅들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설명할 것과 같이, 예를 들어, 셋팅은 공급 전압 셋팅들 및/또는 바이어스 전류 셋팅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d interference power may indicate the total cutoff power, that is, the total power going into the active parts of the receiver, the intermodulation power, or the adjacent channel power. Based on the minimum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determined in step 41, the associated performance limit,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and the measured power value (s), the terminal determines the optimal operating point for performance and power consumption (step 45a). The operating point is set to an optimum value (step 45b). Operation point here generally refers to internal transceiver settings that yield the desired dynamic range and power consumption. As will b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setting can include supply voltage settings and / or bias current settings.

미디어 접속 제어 모드가 접속될 때, 터미널은 수신기의 동적 범위를 최대값(단계46)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다가올 전송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영역 내에서 모든(전송) 노드들을 감지하기 위해 충분히 더 작은 값으로 조절한다. 민감도 제어의 경우에 있어서, 다가올 전송에 대하여 결정된 전송은 상기 더 작은 값을 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media access control mode is connected, the terminal adjusts the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to a maximum value (step 46) or a value small enough to detect all (transmitting) nodes in the area where upcoming transmissions may cause interference. Adjust with In the case of sensitivity control, the transmission determined for the upcoming transmission can be used when setting the smaller value.

도5는 터미널 내에서 성능 제어 실행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측정 블럭(50)은 신호 세기의 측정을 취급하며, RSSI와 같이 측정된 값을 선택된 링크들에 대하여 허용되는 최대 잡음/간섭을 계산하는 네트워크 제어 논리 블럭(51)에 공급한다. 또한 네트워크 제어 논리는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율과 같은 제어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다른 네트워크 매개변수들을 수신할 수 있다. 계산된 데이터는 전력 소비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감도 또는 수신기의 동적 범위를 변화시키는 내부 제어 측정을 정하는 수신기 전력 제어 논리 블럭(52)에 공급된다. 그러면 수신기 전력 제어 논리 블럭은 소망된 민감도 또는 소망된 전력 소비와 연관된 동적 범위를 획득하기 위해서 수신기 신호 경로(54) 내의 성분들을 제어한다. 또한 수신기 전력 제어 논리 블럭은 전력 소비 성분들을 포함하는 송수신기의 합성기(53)를 제어할 수 있다. 다가오는 전송(approaching transmission)의 표시가, 예를 들면 미디어 접속 제어 모드를 추측하기 위해서 수신기 전력 제어 논리를 제어 하는 네트워크 제어 논리 블럭에 주어질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제어 가능한 블럭들(56)로 나누어질 수 있다. 블럭들의 각각은 도6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performance control execution within a terminal. The measurement block 50 handles the measurement of the signal strength and supplies the measured value, such as RSSI, to the network control logic block 51 which calculates the maximum noise / interference allowed for the selected links. The network control logic may also receive other network parameters required by the control process, such as the data rate used within the network. The calculated data is fed to a receiver power control logic block 52 which determines internal control measurements that change the sensitivity or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to achieve reduced power consumption. The receiver power control logic block then controls the components in the receiver signal path 54 to obtain the dynamic range associated with the desired sensitivity or the desired power consumption. The receiver power control logic block can also control the synthesizer 53 of the transceiver including power consumption components. An indication of the coming transmission may be given to a network control logic block that controls the receiver power control logic, for example to infer the media connection control mode. The receiver can also be divided into controllable blocks 56. Each of the blocks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as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FIG.

수신기 전력 제어 논리 블럭은 사용되는 내부 제어 메커니즘에 민감도 또는 동적 범위에 요구된 변화를 맵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사표(55)(look-up table)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신호 세기값이 조사표 내의 내부 제어 메커니즘에 직접적으로 맵핑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측정된 신호 세기값은 도면에서 대시(dashed)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는 것과 같은 수신기 전력 제어 논리에 직접적으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내부 제어 메커니즘은 상술한 동작 지점들을 표시한다.The receiver power control logic block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look-up tables that map the required change in sensitivity or dynamic range to the internal control mechanism use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values to map directly to internal control mechanisms in the lookup table. Therefore,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value can also be provided directly to the receiver power control logic as indicated by dashed arrows in the figure. Thus, the internal control mechanism indicates the operating points described above.

민감도 또는 수신기의 동적 범위는 수신기의 구조에 의존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수신기 신호 경로 내의 상이한 블럭들은 민감도의 소망된 레벨 또는 소망된 전력 소비와 연관된 동적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어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저잡음 프런트엔드 증폭기(low-noise front-end amplifier:LNA)의 이득(gain) 및/또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의 해상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로 레벨 전력 절약 메커니즘들(Circuit-level power save mechanisms)은 미국 특허 출원 US2003/0124999 A1 및 US2003/0078007 A1에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수신기 전력 소비는 많은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소비는 여러 바이어스 전류들 또는 수신기 내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 단계들을 우회함으로써, 더 작고/큰 전력 소비를 가진 신호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및/또는 고전력 소비를 가진 구성요소들을 억제함으로써(shutting down)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바이어스 전류들의 제어 및 상이한 신호 경로들의 선택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기술들이다. 제어를 위하여 요구된 측정들은 아날로그 도메인 전력 검파기들(analog domain power detectors) 또는 디지털 측정 구조물들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그것들은 수신기 블럭들의 전력 소비를 조종하는 제어 논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The sensitivity or the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receiver. Different blocks in the receiver signal path can be controlled to achieve a dynamic level associated with a desired level of sensitivity or a desired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the gain of a low-noise front-end amplifier (LNA) and / or the resolution of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can be controlled. Circuit-level power save mechanis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s US2003 / 0124999 A1 and US2003 / 0078007 A1. In general, receiver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many ways. For example, power consumption may vary by various bias currents or supply voltages in the receiver, by bypassing one or more receiver stages, by selecting signal paths with smaller / higher power consumption, and / or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It can be controlled by shutting down the excitation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control of bias currents and the selection of different signal paths are effective technique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measurements required for control can be either analog domain power detectors or digital measurement structures. They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control logic to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ceiver blocks.

도6은 수신 제어 모드에서 수신기의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수신된 패킷들에 기반하여 측정된 변수(들)은 일단 수신기 연쇄(receiver chain)(단계60)의 이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다른 수신기 성능 요구들이 터미널의 안테나 포트 또는 RF 입력(단계61)에 참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변수(들)은 민감도 또는 동적 범위가 제어되는지에 의존한다. 양 실시예에서, 수신된 신호 세기는 측정되며, 그리고 간섭 전력은 동적 범위 제어의 경우에 추가적으로 측정된다. 수신기는 여러 제어가능한 블럭들로 나누어지며, 그리고 단계(62)에서 이득 및 수신기의 요구들은 상이한 수신기 블럭들 사이에서 분할된다. 그러면, 각 수신기 블럭은 그것의 요구들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단계63). 내부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사표들로부터 다시 회수될 수 있다. 각 제어가능한 블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잡음 증폭기, 다운 변환 믹서(down-conversion mixers), 기저 또는 IF 증폭기,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들, 국부 발진기 버퍼들, 또는 전압 제어 발진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의 합성기는 또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어될 수 있다. 6 shows 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a receiver in a receive control mode. In an embodiment, the variable (s) measured based on the received packets are once used to determine the gain of the receiver chain (step 60), and other receiver performance requirements may be applied to the antenna port or RF input of the terminal. See step 61). As mentioned above, the measured variable (s) depends on whether the sensitivity or dynamic range is controlled. In both embodiment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measured, and the interference power is additionally measured in the case of dynamic range control. The receiver is divided into several controllable blocks, and in step 62 the gain and the receiver's requirements are divided between different receiver blocks. Then, each receiver block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its requirements (step 63). Internal control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from one or more survey tables, for example. Each controllable block may include one or more low noise amplifiers, down-conversion mixers, base or IF amplifiers, analog to digital converters, local oscillator buffers, 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As mentioned above, the synthesizer of the transceiver may also be controll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그러면 터미널은 세트 성능 레벨이 충분한지를, 즉 패킷들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점검한다(단계64). 만약 이러한 경우라면, 터미널은 다음 패킷들을 위해 대기하고(단계66) 단계들을 반복하는데, 즉 변수들을 측정하고 그들의 요구에 따라 상이한 수신기 블럭들을 제어한다. 만약 성능이 불충분하면, 터미널은 성능 한계를 증가시키고(단계65), 단계들을 반복하기 전에 다음 패킷을 위해 대기한다. The terminal then checks if the set performance level is sufficient, i.e., packets have been received correctly (step 64). If this is the case, the terminal waits for the next packets (step 66) and repeats the steps, i.e. measures the variables and controls different receiver blocks according to their needs. If performance is insufficient, the terminal increases the performance limit (step 65) and waits for the next packet before repeating the steps.

도7은 오차율(error rate)이 선택된 장치(들)로부터 측정된 신호 품질 변수(signal quality variable)로서 이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최소 비트 또는 프레임 오차율은 선택된 장치들(즉, 각각의 링크)의 각각에 대하여 정해진다(단계71). 수신 제어 모드에서, 터미널은 동시에 수신되는 이러한 선택된 장치들에 대한 비트 또는 프레임 오차율을 계산한다. 만약 계산된 오차율이 대응하는 최소값들 보다 크다면, 수신기 민감도와 같은 수신기의 성능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저하될 수 있다(단계76). 성능은 장치에 기반하여 저하될 수 있으며, 그것의 오차율은 각 최소값에 가장 근접하게 된다. 만약 그 어떤 오차율 값들이 대응하는 최소값보다 작다면, 수신기의 성능은 개선된다(단계75). 미디어 접속 제어 모드는 도3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FIG.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which the error rate is used as a signal quality variable measured from the selected device (s). In an embodiment, the minimum bit or frame error rate is determined for each of the selected devices (ie, each link) (step 71). In the receive control mode, the terminal calculates the bit or frame error rate for these selected devices that are received simultaneously. If the calculated error rate is greater than the corresponding minimum values, the receiver's performance, such as receiver sensitivity, may be degrad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step 76). Performance may be degraded based on the device and its error rate closest to each minimum value. If any error rate values are smaller than the corresponding minimum value,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is improved (step 75). The media access control mode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터미널의 기초 요소들을 도시한다. 모바일 터미널(8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82)를 제공하는 송수신기(81), 제어 유닛(83), 사용자가 터미널을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들(84), 그리고 상술한 식별 모듈들의 하나와 같은 하 나 또는 그 이상의 스마트 카드들(86)을 포함할 수 있는 저장 수단들(85)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모듈은 전통적인 WLAN 터미널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어 유닛은 본 발명의 상술한 제어 기능들, 즉 도5에서 도시한 제어 논리 블럭들을 포함하고 도면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저장 수단들은, 측정된 신호 세기 또는 오차율 값들, 그리고 측정된 신호 품질 변수들에 따라서 성능 및 전력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제어 동작들을 표시하는 조사표(들)와 같은 성능 제어를 위해서 요구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MAC MIB 또는 유사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송수신기로부터 신호 품질 변수들을 획득하고, 그것들을 메모리에 저장한다.8 illustrates the basic element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80 includes a transceiver 81 providing at least one antenna 82, a control unit 83, user interface means 84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the user can operate the terminal, and Storage means 85, which may comprise one or more smart cards 86, such as one of the identification modules described above.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WLAN terminal.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control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trol logic blocks shown in FIG. 5 and controls the transceiver shown by the arrows in the figure. The storage means stores control information required for performance control, such as lookup table (s) indicating internal control operations for controlling performance and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measured signal strength or error rate values and measured signal quality variables. Includes a MAC MIB or similar database that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obtains signal quality variables from the transceiver and stores them in memory.

제어 유닛의 데이터 프로세싱 환경은 보통의 PC의 그것과 공통점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만약 존재하는 무선 터미널이 수신기 민감도 제어를 위해서 적절한 인터페이스들에 제공된다면, 본 발명의 제어 메커니즘은 존재하는 터미널에,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카드 내에 개별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메커니즘, 즉 제어 유닛으로 하여금 상술한 방식으로 수신기의 성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터미널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개별적 플러그-인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전달된다.The data processing environment of the control unit may be in common with that of an ordinary PC, and if an existing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at the appropriate interfaces for receiver sensitivity control,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at the existing terminal, eg. For example, it can be introduced individually into a multimedia card. The control mechanism, ie the program code which allows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is delivered as a separate plug-in software module which can be downloaded to the terminal via the network.

또한 민감도와 수신기의 동적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강한 외부 방해물들이 없을 때 민감도가 제어되고, 이러한 방해물들이 터미널의 주변에 존재할 때 제어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controlling the sensitivity and the dynamic range of the receiver can be combined such that the sensitivity is controlled when there are no strong external obstacles, and when such obstacles are present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상술되었지만, 본 발 명이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서 수정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디어 접속 제어 메커니즘이 IEEE 802.11 분배 조정 기능(D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DCF)에 유사한 기능을 포함하는 그 어떤 네트워크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만약 중앙 집중 제어가 계속하여 사용되지 않는다면, 중앙 집중 미디어 접속 제어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초광대역 무선(Ultra Wide-Band:UWB)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상이한 물리적 전송 기술들이 이러한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의 성능은 수신기 전력 소비가 감소되도록 실행되는 성능 저하를 허용하는 그 어떤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not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y networks where the media access control mechanism includes functionality similar to the IEEE 802.11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in a system with centralized media access control if centralized control is not used continuously. Moreover, different physical transmission technologies such as Ultra Wide-Band (UWB) or Bluetooth may be used in these networks.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can also be controlled in any manner that allows for the degradation in performance that is implemented to reduce receiver power consumption.

Claims (44)

무선 통신 터미널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피어(peer)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s a communication pe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 품질 변수를 측정하는 단계(각 신호 품질 변수들은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의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들이 획득됨);Measuring a signal quality variable fro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wherein each signal quality variable is measured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each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Wherein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 is obtained); 상기 측정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는 단계(상기 조절 단계는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부터 각각의 신호들의 수신을 보장하는 동안에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수행됨);Adjusting receiver perform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 obtained in the measuring step, wherein the adjusting step ensures reception of respective signals from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selected in the selecting step.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process);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Monitoring whether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ing; And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통신 장치들의 전송을 감지할 수 있는 성능 레벨에서 공통 공중 미디어(common air medium)의 이용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의 성능을 재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조절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단계가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는 것을 표시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Reconditioning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to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a common air medium at a performance level capable of detecting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aid reconditioning step is performed when said monitoring step indicates that a transmission of sai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 및 재조절 단계는 수신기 민감도를 조절하 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gulating and the step of regulating includes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신호 품질 변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리고 여기서 각 측정된 신호 품질 변수들은 상기 대응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step includes measuring the signal quality variable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each measured signal quality variable is based on a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Displaying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장치 특정 신호 대 잡음 비율(device specific signal-to-noise-ratio)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 장치 특정 신호 대 잡음 비율은 고려된 상기 통신 장치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신호 대 잡음 비율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device specific signal-to-noise-ratio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each device-specific signal-to-noise ratio Indicating a signal to noise ratio value required f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conside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허용된 수신기 잡음의 최대량을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통신 장치에 대해 허용된 상기 수신기 잡음의 최대량은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장치에 대하여 결정된 최소 신호 대 잡음 비율 및 상기 측정 단계에서 상기 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maximum amount of receiver noise allowed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maximum amount of receiver noise allowed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by the device in the determining step. And based on the minimum signal-to-noise ratio determined for the device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ed for the device in the measuring ste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복수의 통신 장치들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lecting step includes selec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들 중 하나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별 단계는 상기 수신기 잡음의 최대량을 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정해진 수신기 잡음의 최대량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comprises at a maximum amount of receiver noise determined for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in determining a maximum amount of the receiver noise.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on the basis 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는 단지 상기 선별된 통신 장치에 기반하여 수신기 민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adjusting comprises adjusting receiver sensitivity based solely on the selected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step of adjusting is performed to receive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Method for reduc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들 중 하나에 기반하여 수신기 민감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adjusting includes simultaneously adjusting receiver sensitivity bas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절 단계는 수신기 민감도를 최대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aid reconditioning comprises maximizing receiver sensiti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을 위해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transmit power for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절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에 기반하여 수신기 민감도를 결정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reconditioning includes a substep of determining receiver sensitivity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t pow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민감도를 사용하여 공통 공중 미디어의 이용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vailability of common public media using the sensitivity determined in the sub-determining step; And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And performing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터미널에서 수신된 간섭 전력(interfering power)을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 전력은 외부 방해물들에 의해서 발생된 간섭 레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n interfering power received 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interfering power is indicative of the level of interference generated by external disturbances. How to make 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 및 상기 재조절 단계는 상기 수신기의 동적 범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aid step of regulating and said step of regulating include adjusting the dynamic range of said receiv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전력을 정하는 단계는 총 동일 채널 전력(total co-channel power)을 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determining the interference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 total co-channel pow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전력을 정하는 단계는 상호 변조 전력을 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determining the interference power comprises determining intermodulation pow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전력을 정하는 단계는 인접 채널 전력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determining the interference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djacent channel pow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에 대한 장치 특정 신호 대 간섭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 장치 특정 신호 대 간섭 비율은 고려된 상기 통신 장치를 수신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신호 대 간섭 비율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device specific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each device specific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is required to receive the considered communication device. Displaying a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valu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는 상기 간섭 전력을 정하는 단계에서 정해진 간섭 전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중 하나의 상기 장치 특정 신호 대 간섭 비율에 기반하여 동적 범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시키기 위한 방법.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tep of adjusting comprises adjusting a dynamic range based on the interference power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terference power and the device specific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f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통신 피어로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ng step includes selecting an access point as the communication pe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통신 피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선 통신 터미널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selecting step includes selecting at least on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s said communication pe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의 각각에 대한 최소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계산하고 소정의 여유치를 상기 최소 신호 대 잡음 비율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장치 특정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calculating the minimum signal to noise ratio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dding a predetermined margin to the minimum signal to noise ratio, respectively. Determining the device specific signal-to-noise ratio for the power consump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의 각각에 대한 최소 신호 대 간섭 비율을 계산하고 소정의 여유치를 상기 최소 신호 대 간섭 비율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장치 특정 신호 대 간섭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0. The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calculating a minimum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dding a predetermined margin to the minimum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respectively. Determining the device specific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for the power consump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는 바이어스 전류의 감소, 공급 전압의 감소, 및 선택된 수신기 스테이지의 우회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justing step comprises at least one oper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a decrease in bias current, a decrease in supply voltage, and a bypass of the selected receiver stag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는 여러 수신기 블럭들을 제어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며, 각 블럭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djusting comprises substeps of controlling several receiver blocks, each block being controlled individually.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브 단계는 조사표(look-up table)로부터 각 블럭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said controlling substep includes recovering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block from a look-up tabl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브 단계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어 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said controlling substep includes calculating control information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신호 품질 변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리고 여기서 각 신호 품질 변수는 상기 대응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오차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step comprises measuring the signal quality variable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each signal quality variable indicates an error rat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피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들;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s a communication pe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 품질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측정 수단들(각 신호 품질 변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의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되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들이 획득됨);Firs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 signal quality variable fro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each signal quality variable being measured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each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s are obtained); 무선 통신 터미널로 하여금 감소된 전력 소비를 가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부터 각각의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성능 제어 수단들;First performance control to adjust receiver perform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 to caus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respective signals from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duced power consumption; Means;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수단들; 및Monitoring means for monitoring whether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ing; And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상기 터미널이 통신 장치들의 전송을 감지할 수 있는 성능 레벨로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은 상기 모니터링 수단들이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는 것을 표시할 때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무선 통신 터미널.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for adjusting receiver performance to a performance level at which the terminal can detect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service area of the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being monitored. Means for being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indication of a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ing.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은 수신기 민감도를 제 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are configured to control receiver sensitivity.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들은 신호 세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2.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1, wherein the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s indicate signal strength.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각각에 대한 장치 특정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 수단들을 더 포함하며, 각 장치 특정 신호 대 잡음 비율은 고려된 상기 통신 장치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신호 대 잡음 비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3. The apparatus of claim 32, further comprising computing means for calculating a device specific signal to noise ratio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each device specific signal to noise ratio is to be considered for receiving the considered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required signal to noise ratio.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능 제어 수단들은, 상기 장치에 대하여 결정된 상기 장치 특정 신호 대 잡음 비율과 상기 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각각에 대하여 허용된 수신기 잡음의 최대량을 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4. The apparatus of claim 33, wherein the first performance control means are allowed for each of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device specific signal to noise ratio determined for the device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ed for the device. And configure a maximum amount of receiver noise.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능 제어 수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들 중 하나를 선별하고 상기 장치에 대하여 허용된 수신기 잡음 최대량에 기반하여 수신기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2. The apparatus of claim 31, wherein the first performance control means are further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to adjust the receiver sensitivity based on the maximum amount of receiver noise allowed for th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은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오면 수신기 민감도를 최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2.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1, wherein the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are configured to maximize receiver sensitivity when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pproaching.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은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을 위해 정해진 전송 전력에 기반하여 수신기 민감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2.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1, wherein the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are configured to determine receiver sensitivity based on transmit power determined for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능 제어 수단들은 획득한 내부 제어 측정들을 표시하는 조사표(look-up tabl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0, wherein the first performance control means provides a look-up table indicative of acquired internal control measurements.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은 획득한 내부 제어 측정들을 표시하는 조사표(look-up tabl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0, wherein the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provides a look-up table indicative of acquired internal control measurements.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터미널에서 수신된 간섭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측정 수단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간섭 전력은 외부 방해물들에 의해서 발생된 간섭 레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0, further comprising second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interference power received 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terference power indicating an interference level generated by external disturbances.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성능 제어 수단들은 상기 수신기 동적 범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4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4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control means are configured to control the receiver dynamic range.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능 제어 수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중 하나를 선별하고, 상기 간섭 전력 및 상기 선별된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 변수에 기반하여 상기 동적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42. The apparatus of claim 41, wherein the first performance control means are further for selecting one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adjusting the dynamic range based on the interference power and a signal quality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품질 변수는 상기 대응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측정된 신호의 오차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3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0, wherein the at least one signal quality variable indicates an error rate of a signal measured from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무선 통신 터미널에 대한 통신 피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A first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for ca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to be selected as the communication peer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정된 신호 품질 변수에 기반한 수신기 성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2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A second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for ca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adjust receiver performance based on signal quality parameters measured based on signal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이 다가올 때에 표시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3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 및A third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for ca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an indication when a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ing; And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의 전송 서비스 영역 내에서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이 통신 장치들을 전송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레벨로, 상기 무선 통신 터미널로 하여금 수신기 성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4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 부분은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터미널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된 컴퓨터 판독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컴퓨터로 이용가능한 매체.A fourth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for ca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adjust receiver performance to a level at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transmitting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the transmission service are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aid fourth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portion is operative in response to said indication, wherein said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is embodied for controlling sai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77008355A 2004-10-15 2004-10-15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954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355A KR100954763B1 (en) 2004-10-15 2004-10-15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355A KR100954763B1 (en) 2004-10-15 2004-10-15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804A KR20070053804A (en) 2007-05-25
KR100954763B1 true KR100954763B1 (en) 2010-04-28

Family

ID=3827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355A KR100954763B1 (en) 2004-10-15 2004-10-15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7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542A (en) 1997-10-20 2000-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oad communication network
US6498926B1 (en) 1997-12-09 2002-12-24 Qualcomm Incorporated Programmable linear receiver having a variable IIP3 point
US20030144020A1 (en) 2002-01-31 2003-07-31 Raghu Challa Intermediate wake mode to track sleep clock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40128574A1 (en) 2002-12-31 2004-07-01 Franco Ricci Reducing integrated circuit power consump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542A (en) 1997-10-20 2000-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oad communication network
US6498926B1 (en) 1997-12-09 2002-12-24 Qualcomm Incorporated Programmable linear receiver having a variable IIP3 point
US20030144020A1 (en) 2002-01-31 2003-07-31 Raghu Challa Intermediate wake mode to track sleep clock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40128574A1 (en) 2002-12-31 2004-07-01 Franco Ricci Reducing integrated circuit power consum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804A (en)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6064B2 (en)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KR1015272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multi-band access point to associate with a multi-band mobile station
US708903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UWB and cellular capability
JP5405609B2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to-peer device control
EP22093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quick Bluetooth low energy (BLE) protocol signal presence detection for coexistence
TWI423603B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techniques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coexistent wireless networks device
US7554998B2 (en) Interference-based routing in a wireless mesh network
US9060340B2 (en) Re-configur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anaging method thereof
EP1672468B1 (en) Power management for ultra wide band (uwb) devices
US7415262B2 (en) Wireless access point power control
EP2480031B1 (en) Reducing WLAN power consumption on a mobile device utilizing a cellular radio interface
Wang et al. A power-saving multi-radio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1600810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clear channel assessment levels to increas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put
US93011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branch synchronization node determination in a peer-to-peer network
JP468717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263038A1 (en) Transmission power in adaptive cca and tpc based reuse
Glaropoulos et al. Cognitive WSN transmission control for energy efficiency under WLAN coexistence
JP2005278052A (en) Control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954763B1 (en)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JP2008060699A (en) Wireless lan device
Krunz et al. Channel access and traffic control for dynamic-spectrum networks with single-transmit, dual-receive radios
Haartsen et al. Spectrum management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considering cognitive radio systems
US202302842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reuse for a communication system
Kowalik et al. An evaluation of a conservative transmit power control mechanism on an indoor 802.11 wireless mesh testbed
KR20210036634A (en) Method for channel utilization based client steering in multi-ap wireless la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