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633B1 -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633B1
KR100953633B1 KR1020030010924A KR20030010924A KR100953633B1 KR 100953633 B1 KR100953633 B1 KR 100953633B1 KR 1020030010924 A KR1020030010924 A KR 1020030010924A KR 20030010924 A KR20030010924 A KR 20030010924A KR 100953633 B1 KR100953633 B1 KR 10095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efect management
optical disc
defect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434A (ko
Inventor
김성대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633B1/ko
Priority to US10/781,828 priority patent/US7499383B2/en
Publication of KR2004007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434A/ko
Priority to US12/371,562 priority patent/US79447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11B20/1889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11B2220/237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having exactly two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에 존재하는 디펙트 영역의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 및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와 같은 디펙트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디펙트 관리영역(DMA)에 기록 관리하되,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을 데이터 영역 내의 특정 기록구간에 할당하고,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 및 디펙트 리스트 정보와 같은 디펙트 관리정보의 갱신에 따라,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의 기록크기를 확장 사용함으로써,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관리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당 및 확장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 디펙트 관리영역, 디펙트 관리정보,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 디펙트 리스트 정보, 유저 데이터 영역, 논리적 섹터 번호

Description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high density optical disc write once}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관리영역이 확장 사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관리영역이 확장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관리영역이 확장 사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관리영역이 확장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록 관리되는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디스크 11 : 광픽업
12 : VDR 시스템 13 : 엔코더
본 발명은,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 Blu-ray Disc Write Once)와 같은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디스크, 예를 들어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가 개발 출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상기 BD-RE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0)에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광픽업(11); 상기 광픽업(11)으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재생신호 처리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에 적합한 기록신호로 변조 및 신호 처리하는 VDR(Video Disc Recorder) 시스템(12);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엔코딩하여, 상기 VDR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엔코더(13) 등이 포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D-RE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LIA: Lead-In Are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 영역(LOA: Lead-Out Area)이 구분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및 후단에는, 이너 스페어 영역(ISA: Inner Spare Area)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 Outer Spare Area)이 구분 할당되고, 그 사이에는 논리적 섹터 번호(LSN: Logical Sector Number)가 부여되는 유저 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이 구분 할당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인 영역(LIA) 내에는, 디펙트 관리영역(DMA: Defect Management Area) 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DMA 영역에는, 디펙트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디스크 정의 구조(DDS: Disc Definition Structure) 정보와, 디펙트 리스트(DFL: Defect List) 정보가 기록 관리되고, 상기 DDS 정보에는,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가 포함 기록된다.
한편,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VDR 시스템(12)에서는, 외부 입력 데이터를 기록에 적합한 기록신호로 엔코딩 및 변조한 후, 소정의 기록크기를 갖는 에러정정 블록(ECC Block) 단위에 대응되는 클러스터(Cluster) 단위로 기록하게 되는 데,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기록하던 도중, 상기 데이터 영역에 디펙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그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클러스터 단위의 데이터를,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일련의 대체(Replacement)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를 기록 관리하게 되는 데, 상기 디펙트 리스트 정보는, 소정 기록크기, 예를 들어 4 클러스터의 고정 기록크기를 가지며, 상기 디펙트 영역에 대한 기록위치 정보와,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의 기록위치 정보가 연계 기록되는 다수의 디펙트 엔트리들(Defect_Entry #1∼#n)이 포함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 BD-RE의 데이터 영역에 디펙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클러스터 단위의 데이터를,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한 후, 상기 디펙트 리스트 정보를 생성 기록하게 되며, 또한 재생동작 수행시, 상기 디펙트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으로써, 데이터 기록 오류를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BD-RE의 개발과 더불어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 같은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규격화 작업이 관련업체들간에 논의되고 있는 데, 상기 BD-WO에 최적한 디펙트 영역 관리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그 해결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 같은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은,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된 유저 데이터 영역 이후에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 내에, 디펙트 관리정보를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디펙트 관리정보의 갱신에 따라,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의 기록크기를 확장하고,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논리적 섹터 번호를, 상기 디펙트 관리정보 내에 갱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은,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된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 디펙트 관리영역을 할당하여, 디펙트 관리정보를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논리적 섹터 번호를, 상기 디펙트 관리정보 내에 갱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는,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된 유저 데이터 영역 이후에, 디펙트 관리영역이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펙트 관리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디펙트 관리정보에,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가 포함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는,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된 제1 및 제2 레이어의 유저 데이터 영역 이후에, 제1 디펙트 관리영역과 제2 디펙트 관리영역이 각각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디펙트 관리영역과 제2 디펙트 관리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펙트 관리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디펙트 관리정보에, 상기 제1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와 제2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가 포함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은,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BD-WO에는, 리드인 영역(LI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LOA) 영역이 구분 할당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물리적 섹터 번호(PSN)와 논리적 섹터 번호(LSN)가 동시에 부여되는 유저 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과, 물리적 섹터 번호(PSN)만이 부여되는 비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 유저 데이터 영역에는, 디펙트 영역의 데이터를 대체 기록하기 위한 이너 스페어 영역(ISA)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이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 사이에는,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와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를 기록 관리하기 위한 디펙트 관리영역(DMA)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 기록크기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에 기록 관리되는 디펙트 관리정보, 예를 들어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와 디펙트 리스트 정보는, 디펙트 영역의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에 따라 갱신 기록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임시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TDDS: Temporal DDS)와 임시 디펙트 리스트 정보(TDFL: Temporal DFL), 그리고 임시 디펙트 관리영역(TDMA: Temporal DMA)으로 각각 정의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DMA 영역의 기록크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TDDS 정보와 TDFL 정보의 갱신 기록에 따라, 확장 사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상기 TDMA 영역의 기록크기는, M 개의 에러정정 블록(ECC Block) 단위 또는 N 개의 섹터(Sector) 단위와 같은 소정 기록크기 단위로 확장되며, 또한 사전에 설정된 최대 기록크기(Max TDMA Size)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제1 TDDS 정보와 제1 TDFL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1 TDSS 정보에는,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가 포함 기록되고, 또한 초기에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제2 TDDS 정보와 제2 TDFL 정보를 새로이 갱신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2 TDSS 정보에는,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가 동일하게 포함 기록된다.
한편, 상기 초기에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새로운 제3 TDDS 정보와 제3 TDFL 정보를 더 이상 기록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TDMA 영역의 기록크기를 소정 기록크기 단위로 확장 할당한 후, 상기 제3 TDDS 정보와 제3 TDFL 정보를 기록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3 TDDS 정보에는, TDMA 영역의 확장으로 인해 새롭게 가변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 (new))가 포함 기록된다.
따라서,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광디스크 장치의 VDR 시스템(12)에서는, 디펙트 영역의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대체 기록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그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억세스 및 관리하기 위한 TDDS 정보와 TDFL 정보를, 초기에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기록 관리하고, 이후 상기 TDMA 영역의 기록크기를 확장하여, 새로운 TDDS 정보와 TDFL 정보를 기록 관리함으로써, TDMA 영역의 기록크기를 필요한 만큼만 효율적으로 확장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 영역의 기록크기는, N 개의 클러스터로 할당되거나, 또는 영(Zero)으로 미 할당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영(Zero)으로 미 할당되거나, 또는 N 개의 클러스터로 할당될 수 있는 아우터 스페어 영역의 이전 기록위치에, TDMA 영역을 별도로 할당하지 않고, 대신 TDDS 정보와 TDFL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 소정 기록크기의 TDMA 영역을, 상기 아우터 스페어 영역의 이전 기록위치에 새롭게 할당하여, 기록 관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TDDS 정보에는, 상기 TDMA 영역의 할당으로 인해 새롭게 가변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가 포함 기록되며, 이후, 새로운 TDDS 정보와 TDMA 정보를 갱신 기록하게 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새로운 제3 TDDS 정보와 제3 TDFL 정보를 더 이상 기록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그 TDMA 영역의 기록크기를 소정 기록크기 단위로 확장 할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TDDS 정보와 제3 TDFL 정보를 확장된 TDMA 영역에 기록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3 TDDS 정보에는, TDMA 영역의 확장으로 인해 새롭게 가 변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가 포함 기록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Layer 0)와 제2 레이어(Layer 1)를 갖는 BD-WO Dual Layer의 경우, 제1 레이어에는, 리드인 영역(LIA)과 제1 이너 스페어 영역(ISA0)과 유저 데이터 영역, 그리고 제1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0)이 디스크 외주 방향으로 순차 할당되며, 제2 레이어에는, 리드아웃 영역(LOA)과 제2 이너 스페어 영역(ISA1)과 유저 데이터 영역, 그리고 제2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1)이 디스크 외주 방향으로 순차 할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부여된 논리적 섹터 번호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의 내주에서 외주, 그리고 제2 레이어의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게 되는 데, 상기 제2 이너 스페어 영역과 유저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TDDS 정보와 TDFL 정보를 기록 관리하기 위한 TDMA 영역이 사전에 소정 기록크기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에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제1 TDDS 정보와 제1 TDFL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1 TDSS 정보에는,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가 포함 기록되고, 또한 초기에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제2 TDDS 정보와 제2 TDFL 정보를 새로이 갱신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2 TDSS 정보에는,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가 동일하게 포함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초기에 할당된 TDMA 영역 내에, 새로운 제3 TDDS 정보와 제3 TDFL 정보를 더 이상 기록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TDMA 영역의 기록크기를 소 정 기록크기 단위로 확장 할당한 후, 상기 제3 TDDS 정보와 제3 TDFL 정보를 기록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3 TDDS 정보에는, TDMA 영역의 확장으로 인해 새롭게 가변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 (new))가 포함 기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레이어의 유저 데이터 영역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 사이에 제1 레이어의 TDMA0 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제2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ISA1)과 유저 데이터 영역 사이에 제2 레이어의 TDMA1 영역을 각각 할당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TDMA0 영역의 기록크기를 확장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시점에 생성된 TDDS 정보에는, 상기 TDMA0 영역의 확장으로 인해 새롭게 가변된 제1 레이어의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 0)가 포함 기록된다.
또한, 상기 TDMA1 영역의 기록크기를 확장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그 시점에 생성된 TDDS 정보에는, 상기 TDMA1 영역의 확장으로 인해 새롭게 가변된 제2 레이어의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 1)가 포함 기록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 사용되는 TDMA 영역의 기록크기는, 사전에 설정된 최대 기록크기로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최대 기록크기로 TDMA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더 이상 TDDS 정보와 TDFL 정보를 기록할 수 없는 경우, 그 직전에 갱신 기록된 TDDS 정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TDMA 사이즈(Size) 정보와 TDMA 풀 플래그(TDMA Full Flag)가 포함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TDMA 확장에 의해 가변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가 포함 기록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TDMA 영역이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로 구분 할당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 0 of User Data Area)와, 제2 레이어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Last LSN 1 of User Data Area)가, 각각 포함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 장치에서는, 상기 TDDS 정보에 포함 기록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TDMA 영역의 확장으로 인해 새롭게 가변된 유저 데이터 영역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TDMA 사이즈 정보와 TDMA 풀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TDMA 영역을 확장 사용하거나, 또는 디펙트 관리 동작을 자동으로 중지시키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은,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 같은 고밀도 광 디스크에 존재하는 디펙트 영역의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 및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와 같은 디펙트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디펙트 관리영역(DMA)에 기록 관리하되,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을 데이터 영역 내의 특정 기록구간에 할당하고,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 및 디펙트 리스트 정보와 같은 디펙트 관리정보의 갱신에 따라,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의 기록크기를 확장 사용함으로써,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관리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당 및 확장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6)

  1. 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된 데이터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데이터영역은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되는 유저 데이터 영역과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비 유저 데이터 영역을 구비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a) 상기 비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 디펙트 관리영역을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b)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에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 및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와, 상기 광디스크 내 디펙트 영역에 대한 디펙트 리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을, 상기 디펙트 리스트의 갱신에 따라 확장하고,
    상기 디펙트 관리 영역의 확장에 따라 변경된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를 포함하는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를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에 갱신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싱글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을 상기 비 유저 데이터 영역 중 아우터 스페어 영역 이전의 기록위치, 또는 상기 광디스크의 리드아웃 영역 이전의 기록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을 상기 광디스크의 제2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 이후의 기록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을 상기 광디스크의 제2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 이후의 기록위치와, 제1 레이어의 아우터 존 이전의 기록위치에 각각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을 사전에 설정된 소정 기록크기 단위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7.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을 사전에 설정된 최대 기록크기 이내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8. 제 1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는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이 풀(Full)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9. 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된 데이터영역을 구비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영역은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되는 유저 데이터 영역과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되지 않는 비 유저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비 유저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 영역에는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와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와, 상기 광디스크 내 디펙트 영역에 대한 디펙트 리스트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디펙트 리스트의 갱신에 따라 확장되고,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에는, 상기 디펙트 관리 영역의 확장에 따라 변경된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를 포함하는 디펙트 관리정보가 갱신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싱글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비 유저 데이터 영역 중 아우터 스페어 영역 이전의 기록위치, 또는 상기 광디스크의 리드아웃 영역 이전의 기록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광디스크의 제2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 이후의 기록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광디스크의 제2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 이후의 기록위치와, 제1 레이어의 아우터 존 이전의 기록위치에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4. 제 9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사전에 설정된 소정 기록크기 단위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5. 제 9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사전에 설정된 최대 기록크기 이내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6. 제 9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는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이 풀(Full)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7. 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된 데이터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데이터영역은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되는 유저 데이터 영역과 논리적 섹터 번호가 부여되지 않는 비 유저 데이터 영역을 구비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픽업을 포함하되, 상기 픽업은, 상기 비 유저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 내에,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 및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와, 상기 광디스크 내 디펙트 영역에 대한 디펙트 리스트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디펙트 관리정보의 갱신에 따라 확장되고, 상기 픽업은 상기 디펙트 관리 영역의 확장에 따라 변경된 상기 유저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 논리적 섹터 번호를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에 갱신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싱글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비 유저 데이터 영역 중 아우터 스페어 영역 이전의 기록위치, 또는 상기 광디스크의 리드아웃 영역 이전의 기록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광디스크의 제2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 이후의 기록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1 회 기록 가능한 듀얼 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이고,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상기 광디스크의 제2 레이어의 이너 스페어 영역 이후의 기록위치와, 제1 레이어의 아우터 존 이전의 기록위치에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22. 제 17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사전에 설정된 소정 기록크기 단위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23. 제 17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펙트 관리영역은 사전에 설정된 최대 기록크기 이내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24. 제 17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는 상기 할당된 디펙트 관리영역이 풀(Full)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25. 삭제
  26. 삭제
KR1020030010924A 2003-02-21 2003-02-21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10095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24A KR100953633B1 (ko) 2003-02-21 2003-02-21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US10/781,828 US7499383B2 (en) 2003-02-21 2004-02-20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for managing spare area thereof
US12/371,562 US7944783B2 (en) 2003-02-21 2009-02-13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for managing spare area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24A KR100953633B1 (ko) 2003-02-21 2003-02-21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34A KR20040075434A (ko) 2004-08-30
KR100953633B1 true KR100953633B1 (ko) 2010-04-20

Family

ID=3736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924A KR100953633B1 (ko) 2003-02-21 2003-02-21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25Y1 (ko) 2015-05-12 2017-03-07 길재수 절첩다리용 회전 브래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3948A (ja) * 1999-02-01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KR20020087483A (ko) * 2000-04-05 2002-11-2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3948A (ja) * 1999-02-01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KR20020087483A (ko) * 2000-04-05 2002-11-2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34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9286B2 (ja) 1回だけ記録可能な光記録媒体とこの光記録媒体における欠陥領域の管理方法及び装置
KR100991787B1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장치
JP4838586B2 (ja) 1回だけ記録可能な光記録媒体及びその光記録媒体における欠陥管理情報の管理方法
JP4713158B2 (ja) 追記型光記録媒体と光記録媒体の管理方法及び装置
JP4837067B2 (ja) 記録媒体の少なくとも一つのデータ領域を管理する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KR20040028469A (ko)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20050053695A (ko) 광 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상에서 결함 영역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115715A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에 관리 정보를기록재생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64685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80065506A (ko)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그 정보 저장 매체
KR100953633B1 (ko) 1 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US7330945B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ive areas of recording medium
JPWO2009044662A1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