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234B1 -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234B1
KR100953234B1 KR1020087004247A KR20087004247A KR100953234B1 KR 100953234 B1 KR100953234 B1 KR 100953234B1 KR 1020087004247 A KR1020087004247 A KR 1020087004247A KR 20087004247 A KR20087004247 A KR 20087004247A KR 100953234 B1 KR100953234 B1 KR 10095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eating
heating chamber
steam
heat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504A (ko
Inventor
신야 우에다
기요시 야마구찌
가즈유끼 마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46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90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27612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4582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4Air-treatment devices for ovens, e.g. regulating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가열 조리기(1)는, 가열실(20)의 측면에, 가열 유체를 분출하는 분출구(22)와, 걸림부(3a)를 갖는다. 트레이(4)는, 외부 테두리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순서대로, 테두리부(4a), 측벽부(4b), 평탄면부(4c), 내벽부(4d) 및 저부(4e)를 갖는다.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하여 트레이(4)가 걸림부(3a)에 걸렸을 때, 측벽부(4b)의 관통 구멍(4f)이 분출구(22)에 대향한다. 분출구(22)로부터의 가열 유체의 일부는 관통 구멍(4f)을 통해서 트레이(4)의 이면측으로 공급되고, 그 가열 유체의 나머지는 트레이(4)의 표면측으로 공급된다. 이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트레이(4)가 걸림부(3a)에 걸렸을 때, 측벽부(4b)와 내벽부(4d) 사이의 홈부(4i)의 개구가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한다.
가열실, 가열 유체, 분출구, 걸림부, 트레이

Description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HEATING COOKER AND TRAY THEREFOR}
본 발명은, 가열 유체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의 가열실 내에 배치되고, 피가열물을 지지하는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가열물의 가열을 행하는 가열 조리기로서는, 가열실의 천장에 설치된 상 히터와, 가열실의 저판의 이면측에 설치된 하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실의 저판 상에 설치된 턴테이블 상에 식품을 배치하고, 이 식품을 상·하 히터로 가열 조리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2-306030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열 조리기는, 하 히터가 식품에 대하여 턴테이블과 저판으로 가로막혀 있으므로, 하 히터로부터의 열이 식품에 전해지기 어려워, 식품의 가열이 상측과 하측 사이에서 불균일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로서는, 종래, 증기로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에 대해서, 가열실의 대향하는 2개의 측벽에, 증기의 분출구를 상측과 하측의 2개소에 각각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02051호 공보 참조). 이 가열 조리기에서는, 가열실의 저판 상에 설치된 턴테이블 상에 키 높이 그릴 망을 배치하고, 이 그릴 망 상에 식품을 배치함으로써, 이 식품을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측의 분출구와 하측의 분출구 사이에 배치한다. 이 상측의 분출구와 하측의 분출구로부터의 증기를, 상기 식품의 상측과 하측으로 보냄으로써, 이 식품을 상측과 하측 사이에서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그릴 망 상에 피가열물을 배치함으로써, 피가열물이 고기일 경우, 가열에 수반하여 배어 나오는 육즙이나 기름을 턴테이블 상에 적하시켜, 상기 고기가 육즙이나 기름에 잠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열 조리기는, 예를 들어 쿠키나 피자 등과 같은 즙이 배어 나오지 않는 피가열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도, 상하 양측으로부터 치우침 없이 가열을 행하기 위해 그릴 망이 필요하게 된다. 즉, 턴테이블 상에 그릴 망을 배치하고, 그 위에 각접시 등을 배치하고, 이 각접시에 쿠키나 피자 등의 피가열물을 넣고 조리를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용하는 기구가 많으므로, 조리에 수고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턴테이블 외에, 그릴 망 및 각접시를 수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열실의 대형화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리 후에 그릴 망을 청소할 필요가 있으므로, 메인터넌스에 수고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가열물을 상측으로부터만 가열해서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턴테이블에 피가열물이 직접 배치되므로, 그릴 망은 필요없게 되어 가열 조리기 밖에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 조리기 밖에 그릴 망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또한 가열 조리기 밖에 배치된 그릴 망이 방해되어 번잡한 인상을 부여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리 내용에 따라 사용 기구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조리의 수고의 삭감과 대형화의 방지를 행할 수 있고, 게다가 가열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그릴 망과 같은 보조구를 이용하지 않고, 적은 수고로 피가열물의 상하 양측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가열 조리기는,
가열 유체를 발생하는 가열 유체 발생부와,
천장면과 2개의 대향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유체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상기 2개의 측면 중 적어도 1개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유체를 가열실 내를 향해서 분출하는 분출구와,
상기 가열실의 상기 각 측면에 설치된 걸림부와,
표면과 이면을 갖고, 상기 표면과 이면의 어느 한 쪽에 상기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저부와, 이 저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홈부와, 이 홈부에 이어지는 측벽부와, 이 측벽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저부의 표면이 상기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하도록 상기 걸림부에 걸릴 때, 상기 측벽부의 관통 구멍이 상기 분출구에 대향하여, 이 분출구로부터의 가열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저부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한 쪽으로 흘리는 한편, 상기 저부의 이면이 상기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하도록 상기 걸림부에 걸려 있을 때, 상기 홈부의 개구가 상기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저부의 표면이 상기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열실의 걸림부에 걸려 있을 때, 상기 트레이의 측벽부의 관통 구멍이 상기 분출구에 대향한다.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어 분출구로부터 뿜어 나온 가열 유체의 일부가, 분출구에 대한 트레이의 위치(즉 걸림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관통 구멍을 통해서 저부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유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분출구가 트레이의 표면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분출구로부터의 가열 유체의 일부가 관통 구멍을 통해서 트레이의 이면측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분출구로부터의 가열 유체의 다른 부분이 관통 구멍을 거치지 않고 트레이의 표면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분출구가 트레이의 이면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분출구로부터의 가열 유체의 일부가 관통 구멍을 통해서 트레이의 표면측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분출구로부터의 가열 유체의 다른 부분이 관통 구멍을 거치지 않고 트레이의 이면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레이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가열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표면에 피가열물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공급되는 가열 유체에 의해, 상기 피가열물이 상측과 하측 사이에서 치우침 없이 가열된다. 상기 피가열물이, 예를 들어 쿠키나 피자일 경우, 종래와 같은 그릴 망을 이용하지 않고, 상하 양측을 치우침 없이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저부의 이면이 상기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열실의 걸림부에 걸릴 때, 상기 홈부의 개구가 상기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이면에 피가열물을 배치함으로써, 이 피가열물이,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어 분출구로부터 뿜어 나온 가열 유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피가열물이, 예를 들어 고기일 경우, 가열에 수반하여 배어 나온 육즙이나 기름이, 상기 홈부에 모아진다. 따라서, 상기 고기가 육즙이나 기름에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그릴 망을 이용해서 피가열물을 저부의 이면으로부터 떨어뜨리고, 이 피가열부의 하측에도 가열 유체를 흘려, 피가열물의 상하 양측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표면을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한 경우에는, 피가열물을 상하 양측의 불균일이 없는 상태에서 가열할 수 있는 한편,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이면을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한 경우에는, 피가열물의 가열에 수반하여 배어 나온 즙을 홈부에 모을 수 있다. 따라서, 피가열물의 종류에 따라 트레이의 표리면 중 어느 하나에 피가열물을 배치함으로써, 조리에 이용되는 기구수를 종래보다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조리의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실 내에서 이용하는 기구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가열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는, 가열 유체로서의 과열 증기를 발생하는 스팀 모드와, 가열 유체로서의 고온 공기를 발생하는 열풍 모드를 갖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피가열물의 종류에 따라,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 유체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의 모드는,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표리면의 어느 하나를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할지에 따라 절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적은 기구의 사용 아래, 피가열물에 알맞는 가열을 행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이면이 상기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하도록 상기 트레이가 걸림부에 걸려 있을 때, 상기 트레이의 관통 구멍이,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고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부의 이면보다도 천장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이면에 피가열물을 배치해서 가열할 때, 상기 피가열물이, 예를 들어 고기일 경우, 가열에 수반하여 배어 나온 육즙이나 기름이 상기 홈부에 모아진다. 이 때,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트레이의 저부의 고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부의 이면보다도 천장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홈부에 모아진 육즙이나 기름이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실의 저면이 육즙이나 기름으로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는, 천장면과 2개의 대향하는 측면을 갖고, 가열 유체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상기 2개의 측면 중 적어도 1개에 설치되고, 가열 유체를 가열실 내를 향해서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피가열물을 지지하는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이며,
표면과 이면을 갖고, 상기 표면과 이면의 어느 한 쪽에 상기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대략 사각 형상의 저부와,
상기 저부의 서로 마주 보는 2변 중 적어도 1개에 이어지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가열실의 소정 개소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분출구의 측을 향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가열실의 소정 개소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분출구로부터 가열실 내로 공급된 가열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저부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한 쪽으로 흘리는 제1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는, 가열 조리기의 가열실 내에 걸리고, 상기 저부의 표면에 피가열물이 재치된다. 상기 가열실의 측면에 형성된 분출구로부터 가열 유체가 공급되면, 이 가열 유체의 일부는, 상기 분출구의 측을 향한 측벽부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을 흘러, 분출구에 대한 트레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저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 중 한 쪽으로 흐른다. 상기 가열 유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1 관통 구멍을 흐르지 않고, 상기 저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 중의 다른 쪽이며, 상기 분출구가 형성된 측으로 흐른다. 상기 저부의 표면측으로 흐른 가열 유체에 의해, 이 저부 상에 적재되는 피가열물의 상측이 가열된다. 또한, 상기 저부의 이면측으로 흐른 가열 유체에 의해, 상기 피가열물의 하측이 가열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키 높이 그릴 망을 이용하지 않고,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저부의 표리면의 양측으로 가열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 피가열물의 상하 양측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전에 그릴 망을 배치하는 수고나, 조리 후에 그릴 망을 청소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그릴 망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가열 조리기의 주위에 확보할 필요가 없어, 사용하지 않는 그릴 망이 가열 조리기의 주변을 번잡하게 하지 않는다. 또한, 피가열물을 상측으로부터만 가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를 가열실의 저면에 배치하고, 이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상에 피가열물을 배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를 이용함으로써, 1개의 분출구로부터의 가열 유체를 트레이의 상하 양측으로 흘릴 수 있으므로, 상기 분출구는 적어도 1개 형성하면 되므로, 가열 조리기의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유체란, 기체나 액체에 한정되지 않고, 증기와 같은 기액 혼합 유체도 의미한다. 즉, 피가열물의 가열이 가능하며, 유동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는, 상기 저부의 상기 측벽부가 이어지는 변과 대략 직교하는 2변 중, 적어도 한 쪽의 변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저부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한 쪽으로 흐른 가열 유체를 상기 저부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다른 쪽으로 흘리는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의 저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 중 한 쪽의 가열 유체가, 상기 제2 관통 구멍을 흘러, 상기 저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 중의 다른 쪽으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서, 가열 유체를 효율적으로 순환시켜 가열 유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상에 배치된 피가열물에 대해서, 상측과 하측 사이의 가열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출구가 형성된 측에 가열 유체의 흡인구를 형성한 경우, 상기 저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 중 한 쪽의 가열 유체를, 상기 저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 중의 다른 쪽으로 되돌려, 상기 흡인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가열 조리기의 도어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a는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3b는 도3a의 3B-3B선 단부면도이다.
도4a는 트레이의 표면을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가열실의 상측 걸림부에 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b는 트레이의 이면을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가열실의 상측 걸림부에 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트레이가 걸림부에 걸리는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부면도이다.
도6a는 트레이의 표면을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가열실의 하측 걸림부에 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b는 트레이의 이면을 가열실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가열실의 하측 걸림부에 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가열 조리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며, 그릴 망을 이용해서 증기 조리를 행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8은 가열 조리기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9는 도1의 가열 조리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그릴 망을 이용하지 않고 증기 조리를 행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7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 형태에 따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가열 조리기(1)는, 직방체 형상의 캐비닛(10)의 정면의 상부에 조작 패널(11)을 설치하고, 캐비닛(10)의 정면에 있어서의 조작 패널(11)의 하측에는, 하단측의 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12)를 설치해서 개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2)의 상부에는 핸들(13)이 설치되고, 도어(12)에는 내열 유리로 만든 창(14)이 끼워져 있다.
도2는, 상기 가열 조리기(1)의 도어(12)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캐비닛(10) 내에, 직방체 형상의 가열실(20)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20)은, 도어(12)로 개폐되는 개구(20a)와, 이 개구(20a)에 대향하는 깊이측면(20b)과, 이 깊이측면(20b)의 좌우 양측에 이어져 서로 대향하는 좌측면(20c) 및 우측면(20e)과, 이 좌측면(20c)의 상단부와 우측면(20e)의 상단부 사이로 연장되는 천장면(20f)과, 좌측면(20c)의 하단부와 우측면(20e)의 하단부 사이로 연장되는 저면(20d)을 갖는다. 가열실(20)의 깊이측면(20b), 좌우 양 측면(20c, 20e), 저면(20d) 및 천장면(20f)은,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20a)를 개폐하는 도어(12)는, 가열실(20)에 면하는 측이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열 실(20)의 주위 및 도어(12)의 내측에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재치되어 있어, 가열실(20) 내부와 외부가 단열되어 있다.
상기 가열실(20)의 좌측면(20c)과 우측면(20e)의 양방에는,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분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도2에서는 한 쪽에만 도시되어 있음). 이 좌측면(20c)과 우측면(20e)에는, 분출구(22)의 하방 근방에, 이 분출구(22)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측 걸림부(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걸림부(3)보다도 하측에, 하측 걸림부(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측 및 하측 걸림부(3a, 3b)는, 가열실(20)의 좌우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좌우 각 측면으로부터 대강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부면과, 이 상단부면의 선단으로부터 좌우 각 측면을 향해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는다(도4a, 도4b 참조). 이 상측 또는 하측 걸림부(3a, 3b)의 상단부면에, 트레이의 후술하는 테두리부(4a)가 접촉하여, 트레이(4)가 상측 또는 하측 걸림부(3a, 3b)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도3a, 도3b는, 상기 걸림부(3a)에 걸리는 트레이(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3a는, 트레이(4)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3b는, 도3a의 3B-3B선에 있어서의 트레이(4)의 단부면도이다. 이하, 도3b에 있어서 상측을 트레이(4)의 표면측으로 하고, 하측을 트레이(4)의 이면측으로 한다.
이 트레이(4)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가열실(20)의 내법 치수보다도 다소 작은 외형 치수를 갖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갖고, 코너부가 라운딩을 띠고 있다. 이 트레이(4)는, 외주연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말림(컬) 가공된 테두리 부(4a)와, 내측 또한 표면측(도3b에서 상측)을 향해서 경사진 측벽부(4b)와, 이 측벽부(4b)의 상단에 이어지는 평탄면부(4c)와, 이 평탄면부(4c)로부터 내측 또한 이면측(도3b에서 하측)을 향해 경사진 내벽부(4d)와, 표리면 방향(도3b에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테두리부(4a)와 평탄면부(4c) 사이로 연장되는 저부(4e)를 갖는다. 이 트레이(4)의 4변의 근방에는, 각 변과 평행하며 가늘고 긴 관통 구멍(4f)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3b의 단부면도에 있어서 측벽부(4b)의 하단 근방[도3a의 평면도에서는 측벽부(4b)의 외주연 근방]에, 이 측벽부(4b)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늘고 긴 관통 구멍(4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4f)은, 1변에 대해서 4개씩 형성되어 있다. 저부(4e)에는, 내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측에 약간 경사진 고리 형상의 경사면(4g)과, 이 경사면(4g)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평탄면(4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4)는, 측벽부(4b)의 저부(4e)보다도 표면측의 부분과, 평탄면부(4c)와, 내벽부(4d)에 의해, 홈부(4i)를 형성하고 있다. 이 홈부(4i)는, 이면측이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가열실(20) 내에 설치된 경우, 이 가열실(20)의 천장면측에 개구가 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4)는, 저부(4e) 표면측과 이면측 중 어느 쪽에도 피가열물이 재치 가능하며, 피가열물의 크기에 따라, 가열실(20)의 상측 걸림부(3a) 및 하측 걸림부(3b)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도4a, 도4b는, 상기 트레이(4)를 가열실(20)의 상측 걸림부(3a)에 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4a는, 트레이(4)의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 장면측을 향해서 가열실(20) 내에 건 모습이며, 도4b는 트레이(4)의 이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가열실(20) 내에 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4a와 같이 트레이(4)의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해서 건 경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의 측벽부(4b)에 형성된 관통 구멍(4f)이, 분출구(22)의 하단 근방에 대향한다. 이 분출구(22)에 대향하는 관통 구멍(제1 관통 구멍)(4f)을 통하여,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 증기나 열풍의 일부가, 트레이(4)의 이면측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트레이(4)를 배치한 경우, 트레이(4)에 피가열물을 직접 재치하고, 분출구(22)로부터 분출한 열풍에 의해 피가열물의 가열을 행한다.
한편, 도4b와 같이 트레이(4)의 이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해서 건 경우, 트레이의 측벽부의 관통 구멍(4f)은 분출구(22)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이 분출구(22)로부터의 증기나 열풍이 트레이(4)의 하측으로 유통하는 양은, 트레이(4)의 표면측을 천장면측을 향해서 배치한 경우보다도 적어진다. 트레이의 이면측을 천장면측을 향해서 배치한 경우, 필요에 따라, 천장면측을 향하는 트레이의 홈부(4i)에 다리부가 위치하도록 그릴 망(5)을 배치하고, 이 그릴 망(5) 상에 피가열물을 배치함으로써, 피가열물의 상하 양측으로 증기 및 열풍을 공급하도록 한다. 전형적으로는, 분출구(22)로부터 증기를 공급해서 그릴 망(5) 상의 피가열물의 가열을 행하는 동시에, 이 피가열물로부터 배어 나온 즙이나 응축수를 트레이의 홈부(4i)에 수집한다.
도6a, 도6b는, 상기 트레이(4)를 가열실(20)의 하측 걸림부(3a)에 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6a는, 트레이(4)의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해서 가열실(20) 내에 건 모습이며, 도6b는 트레이(4)의 이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해서 가열실(20) 내에 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4)를 가열실(20)의 하측 걸림부(3a)에 걺으로써, 트레이(4) 또는 그릴 망(5) 상에 대형의 피가열물을 재치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가열 조리기(1)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가열 조리기(1)는, 가열실(20)과, 증기용의 물을 담은 물탱크(30)와, 물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을 증발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 장치(40)와, 증기 발생 장치(40)로부터의 증기나 가열실(20) 내의 유체를 가열하는 승온 장치(50)와, 증기 발생 장치(40)나 승온 장치(5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도7에서는, 상기 가열실(20) 내에, 트레이(4)의 이면측을 천장면측을 향해서 설치하고, 이 트레이(4) 상에 배치한 그릴 망(5) 상에, 피가열물(90)이 놓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30)의 하측에 설치된 접속부(30a)는, 제1 급수 파이프(31)의 일단에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수납구(31a)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급수 파이프(32)의 단부에는 펌프(35)의 흡입측이 접속되고, 그 펌프(35)의 토출측에는 제3 급수 파이프(3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위 센서용 파이프(38)의 상단에는, 물탱크용 수위 센서(3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급수 파이프(31)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배기 덕트(65)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급수 파이프(33)는, 수직으로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굴곡하는 L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3 급수 파이프(33)의 타단에는 보조 탱크(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조 탱크(39)의 하단에는 제4 급수 파이프(34)의 일단이 접속되고, 그 제4 급수 파이프(34)의 타단에는 증기 발생 장치(40)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발생 장치(40)에 있어서의 제4 급수 파이프(34)의 접속점보다도 하측에는, 배수 밸브(7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밸브(70)의 타단에는 배수 파이프(71)의 일단이 접속되고, 배수 파이프(71)의 타단에는 배수 탱크(7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조 탱크(39)의 상부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와 배기 덕트(65)를 통해서 대기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30)가 제1 급수 파이프(31)의 수납구(31a)에 접속되면, 물탱크(30) 내의 물은, 물탱크(30)와 동일 수위가 될 때까지 대기 개방용 파이프(37) 내로 상승한다. 그 때에, 물탱크용 수위 센서(36)에 연결되는 수위 센서용 파이프(38)는 선단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수위는 오르지 않지만,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수위 센서용 파이프(38)의 밀폐된 공간의 압력은 대기압으로부터 상승한다. 이 압력 변화를, 물탱크용 수위 센서(36) 내의 압력 검출 소자(도시하지 않음)로 검출함으로써, 물탱크(30) 내의 수위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펌프(35)가 정지 중일 때의 수위 측정에서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는 불필요하지만, 펌프(35)의 흡인 압력이 직접 압력 검출 소자에 작용해서 물탱크(30)의 수위 검출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단을 갖는 대기 개방용 파이프(3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는, 하측에 제4 급수 파이프(34)의 타단이 접속된 포트(41)와, 포트(41) 내의 저면 근방에 배치된 증기 발생 히터(42)와, 포트(41) 내의 증기 발생 히터(42)의 상측 근방에 배치된 수위 센서(43)와, 포트(41)의 상측에 설치된 증기 흡인 이젝터(44)를 갖고 있다. 또한, 가열실(2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25)의 외측에는, 팬 케이싱(26)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팬 케이싱(26)에 설치된 송풍 팬(28)에 의해, 가열실(20) 내의 유체는, 흡입구(25)로부터 빨아들여져, 제1 파이프(61) 및 제2 파이프(62)를 통해서 증기 발생 장치(40)의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입구측으로 보내진다. 제1 파이프(61)는, 일단이 팬 케이싱(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파이프(62)는, 일단이 제1 파이프(61)의 타단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이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이너 노즐(45)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증기 흡인 이젝터(44)는, 이너 노즐(45)의 외측을 감싸는 아우터 노즐(4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너 노즐(45)의 토출측이 포트(4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아우터 노즐(46)의 토출측에는 제3 파이프(63)의 일단이 접속되고, 그 제3 파이프(63)의 타단에는 승온 장치(5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팬 케이싱(26), 제1 파이프(61), 제2 파이프(62), 증기 흡인 이젝터(44), 제3 파이프(63) 및 승온 장치(50)로 외부 순환로(6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열실(20)의 측면의 하측에 형성된 방출구(27)에는 방출 통로(64)의 일단이 접속되고, 방출 통로(64)의 타단에는 배기 덕트(6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기 덕트(65)의 타단에는 배기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방출 통로(64)의 배기 덕트(65)측에는, 라디에이터(69)가 외부 삽입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순환로(60)를 형성하는 제1 파이프(61)와 제2 파이프(62)의 접속부에는, 배기 통로(67)를 통해서 배기 덕트(6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기 통로(67)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파이프(61, 62)의 접속측에는, 배기 통로(67)를 개폐하는 댐퍼(6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온 장치(50)는, 가열실(20)의 천장측이며 또한 대략 중앙에, 개구를 하측으로 해서 배치된 접시형 케이스(51)와, 이 접시형 케이스(51) 내에 배치된 제1 가열 히터(52)와, 접시형 케이스(51) 내에 배치된 제2 가열 히터(53)를 갖고 있다. 접시형 케이스(51)의 저면은, 가열실(20)의 천장면(20f)에 설치된 금속으로 만든 천장 패널(54)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 패널(54)에는, 복수의 천장 분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천장 패널(54)은, 상하 양면이 도장 등에 의해 암색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또한, 사용을 거듭함으로써 암색으로 변색되는 금속 소재나 암색의 세라믹 성형품에 의해, 천장 패널(54)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승온 장치(50)는, 가열실(20)의 상부에, 도4a,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공급 통로(23)(도7에서는 한 쪽에만 도시하어 있음)의 일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통로(23)는 가열실(20)의 좌우 양 측면을 따라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가열실(20)의 좌우 양 측면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분출구(2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가열 조리기(1)의 제어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80)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입출력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팬(28)과, 제1 가열 히터(52)와, 제2 가열 히터(53)와, 댐퍼(68)와, 배수 밸브(70)와, 증기 발생 히터(42)와, 조작 패널(11)과, 물탱크용 수위 센서(36)와, 수위 센서(43)와, 가열실(20)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81)와, 가열실(20) 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센서(82)와, 펌프(3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물탱크용 수위 센서(36), 수위 센서(43), 온도 센서(81) 및 습도 센서(8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송풍 팬(28), 제1 가열 히터(52), 제2 가열 히터(53), 댐퍼(68), 배수 밸브(70), 증기 발생 히터(42), 조작 패널(11) 및 펌프(35)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가열 조리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 패널(11)의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눌러지면 전원이 온되어, 조작 패널(11)에의 조작자의 입력 내용에 따라 가열 조리의 운전이 개시된다. 이 조작 패널(11)에의 입력 내용에 따라, 가열 유체로서의 과열 증기를 이용한 증기 조리와, 가열 유체로서의 고온 공기를 이용한 열풍 조리를 행한다.
우선, 증기 조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증기 조리에서는, 전형적으로는, 도4b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를, 이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해서 상측 걸림부(3a)에 걸리게 하는 동시에, 이 트레이(4) 상에 그릴 망(5)을 배치하고, 이 그릴 망(5) 상에 피가열물(90)을 배치한다. 조작 패널(11)에 증기 조리 를 행하는 내용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80)는, 배수 밸브(70)를 폐쇄하고, 댐퍼(68)에 의해 배기 통로(67)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35)의 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펌프(35)에 의해, 물탱크(30)로부터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 내로 제1 내지 제4 급수 파이프(31 내지 34)를 통해서 급수된다. 그 후에 포트(41)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에 달한 것을 수위 센서(43)가 검출하면, 펌프(35)를 정지해서 급수를 멈춘다.
다음에 상기 증기 발생 히터(42)에 통전하여, 포트(41) 내에 저장된 소정량의 물을 증기 발생 히터(42)에 의해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 발생 히터(42)의 통전과 동시에, 또는 포트(41) 내의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달하면, 송풍 팬(28)을 온하는 동시에, 승온 장치(50)의 제1 및 제2 가열 히터(52, 53)에 통전한다. 그렇게 하면, 송풍 팬(28)은, 가열실(20) 내의 공기(증기를 포함함)를 흡입구(25)로부터 빨아들여, 외부 순환로(60)로 공기(증기를 포함함)를 송출한다. 그 때, 송풍 팬(28)에 원심 팬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프로펠라 팬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고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팬(28)에 이용하는 원심 팬을 직류 모터로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순환 기류의 유속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증기 발생 장치(40)의 포트(41) 내의 물이 비등하면 포화 증기가 발생하고, 발생한 포화 증기는,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개소에서 외부 순환로(60)를 통하는 순환 기류에 합류한다. 그리고, 증기 흡인 이젝터(44)로부터 나온 증기는, 제3 파이프(63)를 통해서 고속으로 승온 장치(5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승온 장치(50)로 유입된 증기는, 제1 및 제2 가열 히터(52, 53)에 의해 가열되어, 대략 300℃(조리 내용에 의해 다름)의 과열 증기가 된다. 이와 같이, 증기 발생 장치(40) 및 승온 장치(50)에 의해, 본 발명의 가열 유체 발생부를 구성하고 있다. 승온 장치(50)에서 발생한 과열 증기의 일부는, 하측의 천장 패널(54)에 형성된 복수의 천장 분출구(55)로부터 가열실(20) 내의 하방을 향해서 분출된다. 또한, 과열 증기의 다른 부분은, 승온 장치(5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공급 통로(23)를 통하여,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다.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분출구(22)로부터의 과열 증기는, 그릴 망(5) 상의 피가열물(90)의 상하 양측으로 흐른다. 이렇게 해서, 상기 가열실(20)의 천장측으로부터 분출된 과열 증기가 중앙의 피가열물(90)측을 향해서 공급되는 동시에, 가열실(20)의 좌우의 측면측으로부터 과열 증기가 피가열물(90)을 향해서 공급된다. 그 결과, 가열실(20) 내의 트레이(4)의 상측에 있어서, 중앙부에서는 내리 불고, 그 외측에서는 상승하는 증기의 흐름이 생긴다. 그리고, 트레이(4)의 상측의 증기는, 순차적으로 흡입구(25)로 빨아들여져, 외부 순환로(60)를 통해서 다시 가열실(20) 내로 복귀한다는 순환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가열실(20) 내에 과열 증기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가열실(20) 내의 피가열물(90)의 상하 양측에 있어서 온도·습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피가열물(90)의 상하 양측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행해지는 증기 조리에서는, 가열에 수반하여, 예를 들어 고기인 피가열물(90)로부터 육즙이 배어 나오거나, 피가열물(90) 표면에서 과열 증 기가 응축되어 이루어지는 물방울이 생기거나 한다. 이들 육즙이나 물방울은, 그릴 망(5)으로부터 트레이(4) 상으로 적하되어, 트레이(4)의 홈부(4i)에 모아지므로, 조리 종료 후에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의 관통 구멍(4f)은, 트레이의 측벽부(4b)의 테두리부(4a)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홈부(4i)에 모아진 육즙 등이 관통 구멍(4f)으로부터 트레이(4)의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열 공기를 이용한 열풍 조리는 이하와 같이 행한다. 열풍 조리에서는, 전형적으로는, 도7과는 달리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를,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측을 향하여 상측 걸림부(3a)에 건다. 이 트레이의 저부(4e)의 표면측에 피가열물로서의, 예를 들어 쿠키나 피자 등을 배치한다. 상기 조작 패널(11)에 열풍 조리를 행하는 내용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80)는, 송풍 팬(28)을 온하는 동시에, 승온 장치(50)의 제1 및 제2 가열 히터(52, 53)에 통전한다. 그렇게 하면, 송풍 팬(28)은, 가열실(20) 내의 공기를 흡입구(25)로부터 빨아들여, 외부 순환로(60)로 공기를 송출한다.
외부 순환로(60)로 송출된 공기는, 제1 파이프(61) 및 제2 파이프(62)를 경유하여, 증기 흡인 이젝터(44)의 이너 노즐(45)로부터 제3 파이프(63)로 유입한다. 열풍 조리에서는 포트(41)에 의한 증기의 발생은 행하지 않으므로, 증기 흡인 이젝터(44)에서는, 포트(41)측으로부터 증기는 유입되지 않는다. 제3 파이프(63)로 유입된 공기는, 승온 장치(50)로 유입되어 제1 및 제2 가열 히터(52, 53)에 의해 가열되어, 대략 300℃(조리 내용에 따라 상이함)의 고온 공기로 된다. 이와 같이, 가열 유체 발생부를 구성하는 증기 발생 장치(40) 및 승온 장치(50) 중, 증기 발생 장치(40)가 정지함으로써, 승온 장치(50)의 동작에 의해, 가열 유체로서의 고온 공기가 발생한다. 이 고온 공기의 일부는, 하측의 천장 패널(54)에 형성된 복수의 천장 분출구(55)로부터 가열실(20) 내의 하방을 향해서 분출된다. 또한, 고온 공기의 다른 부분은, 승온 장치(5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공급 통로(23)를 통하여,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다.
상기 가열실(20)의 좌우의 측면측으로부터 분출된 고온 공기는, 도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가 트레이(4)의 증기 분출구(22)에 대향하는 제1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4f)으로부터 트레이(4)의 하측으로 흐르는 동시에, 다른 부분이 트레이(4)의 상측으로 흐른다. 이렇게 해서,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 고온 공기는, 트레이(4)의 상측과 하측으로 공급된다. 트레이(4)의 하측에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면, 가열실의 개구(20a)측에서 보아 트레이(4)의 전방과 깊이측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4f)을 통하여, 이 트레이(4)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흐름이 생긴다.
이와 같이, 가열실(20) 내의 트레이(4)의 상측에 있어서, 중앙부에서는 내리 불고, 그 외측에서는 상승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또한, 가열실(20) 내의 트레이(4)의 하측에 있어서, 좌우로부터 전후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그리고, 트레이(4)의 상측의 공기는, 순차적으로 흡입구(25)로 빨아들여져, 외부 순환로(60)를 통해서 다시 가열실(20) 내로 복귀한다는 순환을 반복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가열실(20) 내의 트레이(4)의 상측과 하측의 양방에, 고온 공기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가열실(20) 내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트레이(4) 상의 피가열물(90)을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피가열물(90)의 상하 양측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4)의 하측의 고온 공기를, 가열실의 개구(20a)측 및 깊이측면(20b)측의 관통 구멍(4f)을 통하여, 트레이(4)의 상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이 트레이(4)의 하측에 새로운 고온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4)의 하측으로부터도, 효율적으로 피가열물(90)의 가열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증기 조리 또는 열풍 조리를 행하는 운전 시에 있어서, 시간이 경과하면, 가열실(20) 내의 증기량 또는 공기량이 증가하고, 양적으로 잉여가 된 만큼의 증기 또는 공기는, 방출구(27)로부터 방출 통로(64) 및 배기 덕트(65)를 통해서 배기구(66)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그 때에, 방출 통로(64)에 설치한 라디에이터(69)에 의해 방출 통로(64)를 통과하는 증기를 냉각해서 결로시킴으로써,혹은 방출 통로(64)를 통과하는 고온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외부로 증기 또는 고온 공기가 그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소정의 조리 시간이 경과해서 증기 조리 또는 열풍 조리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80)에 의해 조작 패널(11)에 조리 종료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또한 조작 패널(11)에 설치된 버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호음을 울린다. 이들 메시지나 버저에 의해 조리 종료를 알게 된 사용자가 도어(12)를 열면, 제어 장치(80)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어(12)가 열린 것을 검지하고, 배기 통로(67)의 댐퍼(68)를 순간적으로 연다. 그렇게 하면, 외부 순환로(60)의 제1 파이프(61)가 배기 통로(67)를 통해서 배기 덕트(65)에 연통하여, 가열실(20) 내의 증기 또는 공기 는, 송풍 팬(28)에 의해, 흡입구(25), 제1 파이프(61), 배기 통로(67) 및 배기 덕트(65)를 통해서 배기구(66)로부터 배출된다. 이 댐퍼 동작은, 조리 중에 사용자가 도어(12)를 열어도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증기나 고온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피가열물(90)을 가열실(20) 내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가열 조리기에 의하면, 증기 조리와 열풍 조리에 대응하여, 트레이(4)를 리버시블하게 이용함으로써, 조리 모드에 적합한 위치에 피가열물을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열풍 조리에 있어서, 그릴 망(5)을 이용하지 않아도 상하 양측으로 균일하게 가열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증기 조리에서는, 반드시 그릴 망(5)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열풍 조리에서 그릴 망(5)을 이용해도 된다. 즉, 그릴 망(5)은, 가열 조리기(1)에 있어서 옵션 부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기 조리와 가열 조리 모두, 트레이(4)를 상측 걸림부(3a)에 걸었지만,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걸림부(3b)에 트레이(4)를 걸어도 된다. 이 경우, 트레이(4) 또는 그릴 망(5) 상에 대형의 피가열물을 배치하고, 이 대형의 피가열물에 대하여 과열 증기 또는 고온 공기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분출구(22)의 하방에 상측 걸림부(3a)를 설치했지만, 분출구(22)의 상방에 상측 걸림부(3a)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4)를 이용함으로써, 분출구(22)로부터의 증기의 일부를 트레이(4)의 하측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증기의 다른 부분을 트레이의 관통 구멍(4f)을 통해서 트레이(4)의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천장 분출구(55)를 형성하지 않고, 좌우 양 측면의 분출구(22)에 의해서만 가열실(20) 내로 증기를 공급하여도 된다. 또한, 분출구(22)는, 좌우 양 측면 중 한 쪽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트레이(4)를 가열실(20) 내에 설치하기 위한 걸림부를 상하 2쌍(3a, 3b) 설치했지만, 3쌍 이상의 걸림부를 설치하여도 된다. 혹은, 도9에 도시하는 가열 조리기(101)와 같이, 1쌍의 걸림부(3)만을 설치하여도 된다.
도10은, 도1의 가열 조리기(1) 대신에 도9의 가열 조리기(101)를 사용하고, 그릴 망(5)을 이용하지 않고 증기 조리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7과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이 경우, 트레이(4)는, 상술한 그릴 망(5)을 이용하지 않는 열풍 조리시와 마찬가지로,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해서 걸림부(3)에 건다. 그리고, 가열실(20) 내에 설치된 트레이(4)의 저부(4e) 상에, 피가열물(90)이 놓인다.
가열 조리기(101)의 증기 조리 시의 기본 동작은, 도7에 관련되어 행한 가열 조리기(1)의 증기 조리 시의 동작과 동일하며, 과열 증기는, 천장 패널(54)에 형성된 복수의 천장 증기 분출구(55)로부터 가열실(20) 내의 하방을 향해서 분출되는 동시에, 승온 장치(5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증기 공급 통로(23)를 통하여,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증기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다.
단, 도10에 도시한 예에서는, 트레이(4)는 표면측을 가열실(20)의 천장면측 을 향해서 설치되므로, 상기 가열실(20)의 좌우의 측면측으로부터 분출된 과열 증기는, 상술한 가열 조리기(1)의 열풍 조리 시의 열풍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도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가 트레이(4)의 증기 분출구(22)에 대향하는 제1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4f)으로부터 트레이(4)의 하측으로 흐르는 동시에, 다른 부분이 트레이(4)의 상측으로 흐른다. 이렇게 해서, 가열실(20)의 양 측면의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 과열 증기는, 트레이(4)의 상측과 하측으로 공급된다. 트레이(4)의 하측에 충분한 증기가 공급되면, 가열실의 개구(20a)측에서 보아 트레이(4)의 전방측과 깊이측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4f)을 통하여, 이 트레이(4)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흐름이 생긴다.
이와 같이, 가열실(20) 내의 트레이(4)의 상측에 있어서, 중앙부에서는 내리 불고, 그 외측에서는 상승하는 증기의 흐름이 생긴다. 또한, 가열실(20) 내의 트레이(4)의 하측에 있어서, 좌우로부터 전후를 향하는 증기의 흐름이 생긴다. 그리고, 트레이(4)의 상측의 증기는, 순차적으로 흡입구(25)로 빨아들여져, 외부 순환로(60)를 통해서 다시 가열실(20) 내로 복귀한다는 순환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가열실(20) 내의 트레이(4)의 상측과 하측의 양방에, 과열 증기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가열실(20) 내의 온도·습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트레이(4) 상의 피가열물(90)을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피가열물(90)의 상하 양측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4)의 하측의 과열 증기를, 가열실의 개구(20a)측 및 깊이측면측(20b)의 관통 구멍(4f)을 통하여, 트레이(4)의 상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이 트레이(4)의 하측에 새로운 과열 증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4)의 하측으로부터도, 효율적으로 피가열물(90)의 가열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 조리기(101)는, 가열실(20)의 좌우 양 측면의 걸림부(3)에 트레이(4)를 걸고, 이 트레이의 관통 구멍(4f)을 분출구(22)에 대향시킨다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종래와 같은 키 높이 그릴 망을 이용하지 않고, 피가열물(9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전에 그릴 망을 가열실 내에 설치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조리 후에는 트레이(4)만을 청소하면 되므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한 예에서는, 트레이(4)를 걸림부(3)에 걸어 트레이(4)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열을 행하였지만, 트레이(4)의 상측으로부터만 가열을 행하는 경우에는, 트레이(4)를 가열실(20)의 저면(20d)에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그릴 망을 배치할 장소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또한 사용하지 않는 그릴 망이 방해되어 번잡한 인상을 부여하지도 않는다.
또한, 가열 조리기(101)에서는, 가열 조리기(1)의 상측 걸림부(3a)와 마찬가지로, 분출구(22)의 하측에 걸림부(3)를 설치했지만, 분출구(22)의 상측에 걸림부(3)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가열실(20) 내의 상부의 스페이스가 허용되면 트레이(4)의 표면측을 천장면(20f)측을 향해서 걸림부(3)에 걺으로써, 혹은 트레이(4)를 표리 반대 방향으로 걸림부(3)에 걺으로써, 트레이(4)의 관통 구멍(4f)을 증기 분출구(22)에 대향시켜, 이 증기 분출구(22)로부터의 증기의 일부를 트레이의 관통 구멍(4f)을 통해서 트레이(4)의 상측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증기의 다른 부분 을 트레이(4)의 하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트레이(4)의 4개의 변의 근방에 관통 구멍(4f)을 형성했지만, 가열실(20)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가열실의 개구(20a)측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4f)과, 깊이측면(20b)측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4f) 중 어느 한 쪽을 삭제하여도 된다. 또한, 각 변의 근방에 형성하는 관통 구멍(4f)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몇개이든 상관없다. 또한, 관통 구멍(4f)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 원형 혹은 타원형 등의 모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유체로서, 1기압에서 300℃ 정도의 과열 증기 혹은 고온의 공기를 이용했지만, 1기압에서 100℃ 정도의 증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요는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기체나 액체 등의 다른 가열 유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것은 여러가지 변경해도 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변경은 전부, 다음에 이어지는 클레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5)

  1. 가열 유체를 발생하는 가열 유체 발생부(40, 50)와,
    천장면(20f)과 2개의 대향하는 측면(20c, 20e)을 갖고,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40, 5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유체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0)과,
    상기 가열실(20)의 상기 2개의 측면(20c, 20e) 중 적어도 1개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40, 5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유체를 가열실 내를 향해서 분출하는 분출구(22)와,
    상기 가열실(20)의 상기 각 측면(20c, 20e)에 설치된 걸림부(3a, 3b, 3)와,
    표면과 이면을 갖고, 상기 표면과 이면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피가열물(90)이 재치되는 저부(4e)와, 이 저부(4e)의 모서리에 형성된 홈부(4i)와, 이 홈부(4i)에 이어지는 측벽부(4b)와, 이 측벽부(4b)에 형성된 관통 구멍(4f)을 갖고, 상기 걸림부(3a, 3b, 3)에 걸리는 트레이(4)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4)는,
    상기 저부(4e)의 표면이 상기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하도록 상기 걸림부(3a, 3)에 걸려 있을 때, 상기 측벽부(4b)의 관통 구멍(4f)이 상기 분출구(22)에 대향하여, 이 분출구(22)로부터의 가열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저부(4e)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한 쪽으로 흘리는 한편,
    상기 저부(4e)의 이면이 상기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하도록 상기 걸림부(3a, 3)에 걸려 있을 때, 상기 홈부(4i)의 개구가 상기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체 발생부(40, 50)는, 가열 유체로서의 과열 증기를 발생하는 스팀 모드와, 가열 유체로서의 고온 공기를 발생하는 열풍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4)의 저부(4e)의 이면이 상기 가열실(20)의 천장면(20f)측을 향하도록 상기 트레이(4)가 걸림부(3a, 3b, 3)에 걸려 있을 때, 상기 트레이의 관통 구멍(4f)이, 상기 트레이의 저부(4e)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저부(4e)의 이면보다도 천장면(20f)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천장면(20f)과 2개의 대향하는 측면(20c, 20e)을 갖고, 가열 유체에 의해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0)과, 상기 가열실(20)의 상기 2개의 측면(20c, 20e) 중 적어도 1개에 설치되고, 가열 유체를 가열실(20) 내를 향해서 분출하는 분출구(22)를 갖는 가열 조리기(1, 101)에 있어서 피가열물(90)을 지지하는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이며,
    표면과 이면을 갖고, 상기 표면과 이면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피가열물(90)이 재치되는 대략 사각 형상의 저부(4e)와,
    상기 저부(4e)의 서로 마주 보는 2변 중 적어도 1개에 이어지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가열실(20)의 소정 개소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분출구(22)의 측을 향하는 측벽부(4b)와,
    상기 측벽부(4b)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가열실(20)의 소정 개소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분출구(22)로부터 가열실(20) 내로 공급된 가열 유체의 일부를, 상기 저부(4e)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한 쪽으로 흘리는 제1 관통 구멍(4f)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4e)의 상기 측벽부(4b)가 이어지는 변과 대략 직교하는 2변 중, 적어도 한 쪽의 변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4f)을 통해서 상기 저부(4e)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한 쪽으로 흐른 가열 유체를 상기 저부(4e)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다른 쪽으로 흘리는 제2 관통 구멍(4f)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KR1020087004247A 2005-07-25 2006-07-24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KR100953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4602A JP4029099B2 (ja) 2005-07-25 2005-07-25 加熱調理器
JPJP-P-2005-00214602 2005-07-25
JP2005227612A JP3924582B2 (ja) 2005-08-05 2005-08-05 加熱調理器
JPJP-P-2005-00227612 2005-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504A KR20080028504A (ko) 2008-03-31
KR100953234B1 true KR100953234B1 (ko) 2010-04-16

Family

ID=3768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247A KR100953234B1 (ko) 2005-07-25 2006-07-24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2458B2 (ko)
EP (1) EP1965136A1 (ko)
KR (1) KR100953234B1 (ko)
WO (1) WO2007013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33349C1 (ru) * 2007-08-08 2011-11-1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Паро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WO2010126027A1 (ja) * 2009-04-28 2010-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20130206015A1 (en) * 2011-08-12 2013-08-15 Bret David Jacoby Solid Fuel Grill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8991383B2 (en) * 2012-05-02 2015-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vection oven using rack support ducts for air flow
US9060523B1 (en) * 2012-10-01 2015-06-23 Guy E Buller-Colthurst Thermal process for food enhancement
CN109589003A (zh) 2013-04-22 2019-04-09 坞司冬股份有限公司 披萨饼烤炉
EP3079541B1 (en) * 2013-12-13 2019-03-06 Koninklijke Philips N.V. Air guide member in an air-based fryer
JP6340581B2 (ja) * 2014-02-24 2018-06-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材容器入り食材と食材容器入り食材用加熱装置
DE102016215650A1 (de) * 2016-08-19 2018-02-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argerät
US11839230B2 (en) * 2018-06-08 2023-12-12 Bellwether Coffee Co.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substance processing
US11771099B2 (en) * 2018-06-25 2023-10-03 Blues Hog Llc Smoking apparatus and methods
US11226107B1 (en) * 2019-01-30 2022-01-18 Wood Stone Corporation Oven debris collection system
KR102628887B1 (ko) * 2020-07-07 2024-01-25 구병수 자동 타코야끼 기계
IT202200010814A1 (it) * 2022-05-24 2023-11-24 Candy Spa Accessorio griglia-vapore per un forno di cottura domestic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460A (en) 1977-06-24 197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Cooker
JP2000130770A (ja) * 1998-10-21 2000-05-12 Sanyo Electric Co Ltd 調理皿および加熱調理装置
JP2003217823A (ja) * 2002-01-28 2003-07-31 Sanyo Electric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2707U (ko) * 1979-05-29 1980-12-11
USRE31765E (en) * 1979-11-27 1984-12-11 Sunset Ltd. Counter-top oven
JPS56149531A (en) * 1980-04-22 1981-11-19 Sharp Corp Hot-air circulation type cooker
JP2674210B2 (ja) 1989-05-19 1997-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装置
JP3751057B2 (ja) * 1995-10-04 2006-03-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2004235162A (ja) * 2001-12-27 2004-08-19 Sanyo Electric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3853243B2 (ja) 2002-04-08 2006-12-06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ES2658067T3 (es) * 2002-07-05 2018-03-08 Turbochef Technologies, Inc. Horno de cocción rápida
JP4278502B2 (ja) * 2002-12-12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加熱調理器
JP2005061761A (ja) * 2003-08-19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5069521A (ja) * 2003-08-21 2005-03-17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蒸気調理器
JP2005155962A (ja) * 2003-11-21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3737094B2 (ja) 2004-01-07 2006-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蒸気調理器
KR100735183B1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460A (en) 1977-06-24 1979-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Cooker
JP2000130770A (ja) * 1998-10-21 2000-05-12 Sanyo Electric Co Ltd 調理皿および加熱調理装置
JP2003217823A (ja) * 2002-01-28 2003-07-31 Sanyo Electric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5136A1 (en) 2008-09-03
US20100126358A1 (en) 2010-05-27
US8042458B2 (en) 2011-10-25
WO2007013408A1 (ja) 2007-02-01
KR20080028504A (ko)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234B1 (ko) 가열 조리기 및 가열 조리기용 트레이
RU242273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авления выпускаемого пара и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RU2401960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ечь
US8042532B2 (en) Heat-cooking apparatus
CN110115515B (zh) 用于多区烤箱的蒸汽控制***
JP3764743B2 (ja) 蒸気調理器
KR100951207B1 (ko) 가열 조리기
US20110132346A1 (en) Cooking device
US7802564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WO2005012796A1 (ja) 蒸気調理器
CN110115514B (zh) 用于多区烤箱的清洁***
EP1729061A1 (en) Steam generator and steam cooker mounting it
JP4029099B2 (ja) 加熱調理器
JP4190549B2 (ja) 加熱調理器
JP4421952B2 (ja) 蒸気調理器
JP4416610B2 (ja) 過熱蒸気調理器
JP4563270B2 (ja) 加熱調理器
JP3924582B2 (ja) 加熱調理器
JP4405318B2 (ja) 蒸気調理器
JP4381189B2 (ja) 蒸気調理器
JP3868465B1 (ja) 加熱調理器
JP4229860B2 (ja) 蒸気調理器
JP4633009B2 (ja) 加熱調理器
JP4399388B2 (ja) 加熱調理器
JP2007187443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