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394B1 -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94B1
KR100952394B1 KR1020070137939A KR20070137939A KR100952394B1 KR 100952394 B1 KR100952394 B1 KR 100952394B1 KR 1020070137939 A KR1020070137939 A KR 1020070137939A KR 20070137939 A KR20070137939 A KR 20070137939A KR 100952394 B1 KR100952394 B1 KR 10095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ser
public
virtual reality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065A (ko
Inventor
김채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타인이 방문하는 공개 공간과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개인 공간을 분리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노출 특성과 개인화 특성이 공존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주어진 공간을 사용자 접속에 무관하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 접속 시에만 공개되는 개인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공개 특성과 접속 기반 특성을 가상현실의 현실감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상 현실, 아바타, 커뮤니티, 공간, 공간 분할, 포스팅, 게이트

Description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본 발명은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타인이 방문하는 공개 공간과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개인 공간을 분리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공개 특성의 커뮤니티 서비스와 사용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가상현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컴퓨터 연산 기능 및 그래픽 처리 능력의 발전과 고속 인터넷 선로의 대중화에 따라 다양한 3차원 온라인 게임이 일반화되었으며, 특정한 게임의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게임과 달리 실제 생활 공간의 3차원 구현과 이를 통한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체험형 가상 현실" 서비스도 상용화되어 점차 규모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체험형 가상 현실 서비스는 실제 생활에 대한 유사성을 강조한 서비 스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 기능을 특화시키고 그 외의 기능은 생략한 서비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즉, 실제 현실과 유사하도록 물리적 법칙이 대부분 유지되도록 하고, 실제 생활 패턴 또한 대부분 유지되도록 하여 마치 새로운 세계에 온 것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미팅이나 오디션, 파티 등과 같은 특정한 기능을 강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커뮤니티 기능에 가상현실 기능을 부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너무 실제와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서 구현되는 세계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을 경우 서비스의 이용이 쉽지 않고 지루해질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생황 패턴과 유사한 제한이 있어 실제 생활의 복잡성이 그대로 반영된다. 예를 들어, 집을 사려면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고, 사람을 만나려면 낮선 사람들이 북적이는 거리를 지나 특정한 약속 장소에 가야 하거나 모임을 가지려면 물리적으로 공간을 이동하여 모든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모여야 한다거나 하는 실생활에서 발생되는 불편함도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특히, 특정한 목적이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 재미있는 장소를 찾아가거나 사람들과 마주치면서 관계를 형성하는 등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다면 지루함을 느낄 수 있고, 서비스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잘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특정한 목적을 위한 가상현실 서비스는 해당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강조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며, 대부분 상용 서비스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분포도 한정되어 있 다.
따라서, 기존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과 같은 커뮤니티 기능에 가상현실 기능을 도입한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가 체험형 가상현실 서비스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도입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를 통한 현실감과 커뮤니티 서비스의 정보 공유 특징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서비스와 같이 3차원 공간을 여행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가 게시한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특별한 목적이 없더라도 지루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자신의 공간이 부여되므로 해당 공간을 꾸며서 방문자에게 공개하고자 하는 즐거움도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는 3차원 공간에 자신의 공간(집)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맵을 멀리서 내려다보면서 이동하는 네비게이션 방식을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로 적용하여 사용자들의 공간이 배치된 맵(Map)을 여행하다가 마음에 드는 사용자 공간을 발견한 경우 해당 사용자 공간을 선택하여 관련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사용자 공간을 선택할 경우 제시되는 화면의 예를 보인 것으로, 자신의 공간을 꾸미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미니홈피'(싸이월드)와 블로그를 결합한 것 같은 컨텐츠가 제공된다. 즉, 사용자는 3차원 맵 상에 자신의 땅을 구하고 집을 지어 가상현실 서비스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자신의 집을 선택하면 편집 가능한 특정 공간과 사용자가 공유하는 각종 자료들을 게시판이나 자료실 형태로 제공하는 일종의 블로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편집 가능한 특정 공간은 사용자가 다양한 공간 아이템들로 꾸밀 수 있으며, 사용자 아바타 역시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없는 단순한 공간 아이템의 일부에 불과하여 사용자의 접속이나 이동에 무관하게 항상 그 자리에 존재하게 된다.
도 1 및 2를 통해 예를 든 종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는 3차원 공간에 집을 마련하고 해당 집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용자 정보를 블로그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치 가상현실 서비스를 일부 차용한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까지 사용자의 접속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공간의 정보를 공개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기능에 치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서비스는 사용자 아바타가 서비스의 중심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아바타가 보일 수 없으며, 대부분의 서비스가 사용자 아바타를 기준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시된 서비스에서 아바타는 단순히 특정 공간 내부에만 고정 배치되는 장식물에 불과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고 사용자의 정보를 반영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현실감이나 몰입감은 현저히 낮을 뿐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서비스는 단순히 '미니홈피'의 주소를 고정된 3차원 맵 상에 '집' 형태로 배치한 것뿐이며, 실질적인 가상현실 서비스라고 하기 어렵다.
즉, 커뮤니티 서비스는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하지만 가상현실 서비 스는 사용자 아바타가 항상 서비스의 중심이며 사용자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설정한 정보들은 공개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모순되는 서비스의 특성 때문에 도 1 및 2에 도시한 서비스는 커뮤니티 서비스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도시된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가 되지 못하고 단순한 장식의 역할을 할 수밖에 없고, 블로그에 포함되는 공간 역시 일정한 규격으로 제한된다.
하지만, 실질적인 가상현실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을 나타내는 아바타를 조작하여 서비스 전반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아바타를 주체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공개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공개 특성의 커뮤니티 서비스와 사용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아바타를 조작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접속 상태와 무관하게 방문자에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가 접속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공유되는 개인 공간을 구성하여 공개 공간의 개방을 통해 자료나 공간 구성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 제공하고, 개인 공간 활용을 통해 방문자 접대와 개인적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주어진 공간을 사용자의 접속에 무관하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의 접속 시에만 공개되는 개인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뮤니티 서비스의 공개 특성과 사용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의 배타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 공간을 방문하기 전에 해당 상대방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여 공개 공간 혹은 개인 공간으로 방문 종류를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할 공간에 대한 종류를 사용자 접속 여부에 따라 달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개 공간과 개인 공간을 전혀 다른 컨 셉의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공간 구성을 통한 만족감을 제공하고 일반 방문자와 개인 공간으로 초대한 방문자에게 서로 다른 공간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부재중 방문자 정보,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전달한 메모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하고 공개 공간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방문자 중 일부를 선별하여 초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공간에서의 관리를 사용자 아바타를 통해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사용자 아바타가 서비스 제공의 중심이 되도록 하여 현실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서로를 인지할 수 없도록 설정하여 낮선 공간에서 마주치는 사용자들 간의 서먹함을 줄이고 자유롭게 임의의 공간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가상현실 서비스에서 편집 가능한 자신의 공간을 할당받는 공간 할당 단계와; 상기 할당받은 공간을 상기 사용자 접속에 무관하게 모든 방문자에게 공개하는 공개 공간과 상기 사용자 접속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공간을 개별적으로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두 종류의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두 종류의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이 설정된 경우 해당 공간에 대한 방문 및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이 설정된 경우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과 해당 공간으로의 방문이 가능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열쇠 정보 또는 암호 정보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이 설정된 경우 해당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가 공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및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서 상기 공개 공간의 부재중 방문자 수,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남긴 정보, 공개 공간에 대한 시각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더 배치하여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사용자 지정에 따라 해당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상호인지 가능한 정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공간의 목적에 맞추어 방문자들이 편안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할당받은 공간을 항상 모든 방문자에게 개방된 공개 공간과 사용자 접속시에만 사용 가능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상기 각 공간에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배치를 포함하는 공간 구성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와; 상기 각 공간 또는 상기 배치된 디지털 컨텐츠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방문자가 공유 컨텐츠를 게시하는 게시 단계와; 아바타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개인 또는 공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상기 공개 공간 또는 개인 공간을 방문하는 방문자를 맞이하는 이동 및 방문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상에 배치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아바타가 직접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통해서만 공간 이동 및 방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실감을 높이고 몰입감을 극대화 한다.
상기 게시 단계는 상기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의 게시를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남기는 메모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접속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의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 아바타가 생성되는 형태로 접속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공개 공간의 방문자에게 투명한 상태로 공개 공간으로 진입하는 접속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을 편리하고 자유롭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게 주어진 공간을 사용자의 접속에 무관하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의 접속 시에만 공개되는 개인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공개 특성과 사용자 종속 특성을 가상현실의 현실감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아바타를 조작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접속 상태와 무관하게 방문자에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가 접속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공유되는 개인 공간을 구성하여 공개 공간의 개방을 통해 자료나 공간 구성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 제공하고, 개인 공간 활용을 통해 방문자 접대와 개인적 공간 활용이 가능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상대방 공간을 방문하기 전에 해당 사용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여 공개 공간 혹은 개인 공간으로 방문 종류를 구분하도록 하여 이동할 공간에 대한 종류를 사용자 접속여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공개 공 간과 개인 공간을 컨셉이 다른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공간 구성을 통한 만족감을 제공하고 일반 방문자와 개인 공간으로 초대하는 방문자에게 서로 다른 공간을 공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부재중 방문자 정보,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전달한 메모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하고 공개 공간 접속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방문자 중 일부를 선별하여 초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여 임의의 방문자와 직접 대면하기를 꺼리는 경우에도 활발한 서비스 참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공간 이동이나 방문자 접대, 개인 공간에서의 공개 공간 설정 등을 모두 사용자 아바타를 통해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사용자 아바타가 서비스 제공의 중심이 되도록 하여 현실감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서로를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공간 사용자가 조절하여 낮선 공간에서 마주치는 사용자들 간의 서먹함을 줄이기 위해 인지 정도를 낮추고, 낮선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마주치는 공간에서는 새로운 사용자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인지 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목적에 따른 편안한 공간 방문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가상현실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들의 방문을 통해 자신이 꾸민 공간을 소개하고 해당 공간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채팅이나 다양한 체감 활동을 실시하는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는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편집이나 아바타의 자유로운 표현과 함께 다양한 사용자 공간 및 서비스 제공 공간 혹은 광고를 위한 기업(스폰서) 공간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하는 기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바타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공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현실감을 지속할 수 있고 물리적 이동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뮤니티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볼 경우 각 사용자가 꾸며 놓은 공간이나 해당 사용자가 포스팅(게시)한 각종 공유 자료들을 방문을 통해 구경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기능 역시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나, 가상현실의 몰입감을 위해 사용자 아바타를 서비스의 중심으로 할 경우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 공간을 개방하는 것은 마치 빈 집을 열어 두는 것과 같아 사용자 입장에서는 환영할 바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 공간을 폐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개방적 커뮤티니 정신이 어긋나고 공간을 무조건 개방할 경우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에도 임의의 방문자들이 사용자 공간을 방문하여 공간 아이템들을 흐트려 놓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할 수 있고, 특정 사용자는 자신의 공간이 무단히 공개되는 것 자체를 꺼려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충되는 원인을 해소해야만 현실감 있는 커뮤티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아바타들을 초대하는 과정이나 모임이 진행중인 경우 초대받지 않은 임의의 방문자가 해당 공간에 방문하여 서로 어색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등 아바타에 의한 현실감 제공이 오히려 서비스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어 이러한 경우도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공간을 공개 공간과 개인 공간으로 분리하여 일반 방문자들을 위한 공간과 개인적 용도나 친목을 위한 용도 등으로 활용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3은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각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공간(100)을 구분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공간(100)을 공개 공간(110)과 개인 공간(120)으로 구분 설정한 경우이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체 할당 공간(100)을 공개 공간(110)으로 설정하거나 개인 공간(12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폰서 공간이나 전시장 등과 같은 용도의 공간일 경우 전체를 공개 공간(11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자신의 원하는 사용자들만 선별적으로 초청하여 폐쇄된 관계에 의한 교류만을 원할 경우 전체를 개인 공간(12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공간의 범위를 유/무료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종류의 공간을 추후 추가할 수 있고, 기존 공간의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시된 구성의 예를 보면, 우선 공개 공간(110)은 사용자의 접속에 무관하게 항상 방문자들에게 공개되는 공간으로, 해당 공간(110)에는 방문자들이나 사용자의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가 배치된다. 도시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는 게이트의 형태로 표현되며, 이러한 구성은 공간 편집 단계에서 그 위치를 이동하거나 다른 표현으로 변경되는 식으로 편집될 수 있다.
상기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는 이동할 공간을 선택한 후 사용자 혹은 방문자 아바타가 직접 물리적으로 조작(게이트를 열고 다른 공간에 진입하는 동작 등)하여 공간을 이동하고, 물리적 행동(게이트를 열고 해당 공간에 진입)을 통해 방문하도록 설정될 수 있어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개 공간(110)은 방문자들이 방문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공간 아이템이나 공간 요소들 같은 디지털 컨텐츠(112)로 구성한 공간을 구경할 수 있으며, 특정한 디지털 컨텐츠에 연동시켜 포스팅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경우 액자나 메모판으로 표현되는 디지털 컨텐츠(112)를 통해 사진이나 사용자가 남긴 메세지를 제공하고, 텔레비젼을 표현하는 디지털 컨텐츠(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포스팅한 UCC(사용자 생성 컨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며, 다이어리나 앨범 등과 같은 다양한 표현으로 된 디지털 컨텐츠(미도시)를 통해 다양한 게시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다이어리나 앨범 등과 같은 표현의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포스팅 내용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감과 정보 공유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문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나 디지털 컨텐츠를 포스팅하거나, 사용자가 포스팅한 내용에 댓글을 추가할 수도 있어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게시물 서비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개인 공간(120)은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아바타가 생성되는 장소로서,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활성화되는 공간이다. 상기 공간(120)은 사용자가 개인적인 공간으로 활용하여 방문자들과 직접 마주치지 않을 여유를 준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공간(120)에서 원하는 방문자를 선택하여 해당 공간으로 초정하거나 직접 공개 공간(110)에 가서 해당 공간(120)으로 안내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개인적 모임을 해당 공간(120)에서 하는 경우 공개 공간(110)의 방문자에 의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인 공간(120)에도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자주 찾는 공간에 대한 이동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한 허가된 방문자의 방문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방문자는 상기 공개 공간(110)에 위치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를 통해 방문하여 사용자의 안내나 허락에 의해 개인 공간(120)에 진입하는 과정을 거치지만, 밀접도가 높은 사람의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직접 개인 공간(120)의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21)를 통해 방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경우는 열쇠로 표현되는 인증 아이템(123)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암호등의 다른 인증 정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증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추가하여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인증 정보나 허가된 사용자 정보 등은 개인 공간 사용자가 상기 공간 이동 컨텐츠(121)를 배치할 경우 혹은 편집할 경우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가상현실 커뮤티니 서비스의 경우 아바타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진행되 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인 공간(120)에 위치할 경우 해당 공간을 핵심적으로 표시하게 되므로, 해당 개인 공간(120)에서 공개 공간(1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인 공간(120)에는 공개 공간(110)에 위치한 방문자 정보를 문자 정보나 멀티미디어 정보(방문자 아바타, 방문자 공간 정보 등) 혹은 해당 공개 공간(11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해당 공간 설정시, 혹은 편집시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개인 공간(120)에 있더라도 공개 공간(110)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방문자를 선별하여 초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격으로 해당 공간의 방문자를 배제시키거나 방문을 일시 차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방문자에게 정체를 알리고 싶지 않을 경우 자신의 아바타가 공개 공간(110)에서는 투명하게 보이도록 설정하거나 다른 방문자처럼 보이도록 한 후 해당 공개 공간(11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공개 공간(110)과 개인 공간(120)은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 121)를 통해서 왕래할 수 있으나, 내부적인 연결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5)를 게이트 표현 방식으로 양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115)는 사용자는 임의로 이용할 수 있으나 방문자는 사용자의 허락이 있어야만 이용할 수 있고(초인종이나 노크, 메세지 전달 등을 통해 사용자와 대면하고 싶음을 알릴 수 있음), 사용자가 접속상태가 아닌 경우 공개 공간(110)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다는 표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공간(120)에서 비공개 컨텐츠(122)를 포스팅하여 해당 공 간(120)에 진입한 방문자에게만 해당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같은 내부적 연결을 위한 게이트 표현의 디지털 컨텐츠(115) 대신 계단 표현의 디지털 컨텐츠(116)를 통해 개인 공간과 공개 공간을 분리한 경우의 예를 보인 것으로, 실질적으로 개인 공간(120)과 공개 공간(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인접한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인접한 것이며, 비연속성 공간으로 파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사용자가 공개 공간에 위치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이하, 공간 이동 게이트라 칭함)나 개인 공간에 위치한 공간 이동 게이트를 통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공간 이동 게이트(130)가 제공하는 정보의 예를 보인 것이다. 당연히, 도시된 구체적인 정보 제공 방식이나 표현으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사용자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공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이동 전에 기본적인 공간 정보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이동할 공간의 사용자 정보와 접속 유무(우측 사각형의 표현)를 알리는 수단(132)과, 공개 공간의 방문자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단(131)과, 해당 공간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133)이 상기 공간 이동 게이트(13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할 공간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는 카드 표현(134)으로 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방문하거나 만난 횟수, 밀접도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 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정보가 아닌 공간 이동 게이트(130)에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이동할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인터페이스가 아닌 아바타를 통해서 공간 내부에서 정보를 취할 수 있어 현실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인 공간과 공개 공간을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이하, 연결 게이트라 칭함)(140)는 공개 공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141)과 공개 공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개 공간에 관련된 정보는 도시된 표현 외에 다른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공개 공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145)은 전체 방문자 수와,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방문한 방문자 수(혹은 정보), 방문자가 남긴 메모(댓글, 방문 요청, 초대 요청, 방명록 등), 현재 방문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어 사용자는 부재중의 상황과 현재의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개 공간의 설정이나 방문자 차단 여부 등과 같은 설정을 위한 수단(예를 들어, 공개 공간에 대한 방문자 차단은 공개 공간의 조명 스위치를 끄는 방식 등)들이 개인 공간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상황의 예를 보인 것으로, 공개 공간(150)과 개인 공간(160)의 구성 및 디지털 컨 텐츠의 배치 및 사용자와 방문자의 상황을 보인 것이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화면이 동시에 제공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화면은 각 공간의 일부만을 표시하고 있는 것임에 주의한다.
먼저, 공개 공간(150)과 개인 공간(160)은 공간을 꾸민 컨셉이 틀린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공개 공간(150)과 개인 공간(160)을 완전히 다른 형태로 꾸밀 수 있어 방문자에게 다양한 공간을 소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서비스에 있어 공간상에 배치되는 다양한 아이템(디지털 컨텐츠들)들은 아바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실감을 높여야 하지만 임의의 방문자들에 의해 공개 공간(150)의 아이템(153, 154)이 흐트러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의 정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개 공간(160)에서는 방문자가 공간 아이템과 상호 작용은 가능하나 위치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위치가 이동된 경우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하는 등의 제한이 일부 공간 아이템에 적용될 수 있고, 개인 공간(160)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없도록 하여 현실감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개인 공간(160)은 공간을 꾸미는 다양한 공간 아이템들로 실외의 한 공간을 나타내고 있으며, 해당 공간에서 사용자가 방문자 중 하나와 아바타를 이용하여 모임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공개 공간(150)에도 복수의 방문자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들은 임의로 개인 공간(160)에 진입할 수 없어 이러한 모임을 방해하지 못한다. 상기 개인 공간(160)에 위치한 사용자는 연결 게이트(161)를 통해 공개 공간(15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원하는 방문자를 선택하여 개인 공간(160)으로 초대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직접 공개 공간(150)에 진입하여 방문 자들과 만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개 공간(150)은 사용자의 접속에 관계없이 방문자들(170~172)에게 공개된 공간으로 공간 아이템 중 하나인 텔레비젼(153)을 통해 사용자가 포스팅한 UCC를 감상할 수 있고, 해당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으로 다른 종류의 포스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창으로 해당 내용을 선택한 방문자에게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다양한 방문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 같은 경우 소정 방문자가 선택한 음악이 다른 방문자들에게도 같이 들릴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포스팅들은 다이어리 형태의 공간 아이템(154)을 선택하는 것으로 다양한 게시판을 활용하여 포스팅 내용을 확인하거나 자신이 직접 포스팅할 수도 있고, 기존 포스팅에 댓글을 달거나 별도의 메세지를 남길 수도 있다.
상기 방문자들(170~172)은 사용자의 접속이 궁금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접속을 알 수 있는 경우 사용자의 초청을 원할 때 연결 게이트(151)를 노크하거나 별도 마련된 초인종(152)을 눌러 초청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이는 개인 공간(160)에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에게 초청을 요청한 방문자 정보와 함께 알려지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초청 또는 거부될 수 있다.
도시된 공개 공간(150)의 방문자들은 해당 공간의 설정에 따라 상호 간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전혀 인지할 수 없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아바타는 보이지만 개인 정보는 알 수 없도록 하거나, 모든 정보가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개 공간의 목적이나 성향에 따라 방문자들이 편안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개인 사용자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공개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들이 서로 윤곽만 알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공간의 인기도는 알 수 있도록 하면서 낮선 방문자와 서로 만나는 번거로움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공개 공간(150)의 예는 방문자(170)가 확인할 수 있는 방문자 표현을 나타낸 것이다.
이제, 상기 설명된 내용을 실질적인 공간 할당에서 공간 이동과 방문까지 예를 들어 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 가입하여 자신의 아바타를 설정한 후 자신의 공간을 할당받는다. 이렇게 할당받은 공간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개 공간과 개인 공간으로 분할하여 설정한다.
상기 공간을 분할하여 설정하는 과정에서 두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게이트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배치되는데, 그 위치와 표현의 종류는 각 공간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과정에서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와 표현의 종류 역시 공간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할된 공간은 각 공간마다 상이하거나 동일한 컨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간 아이템들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들을 획득, 수집, 구매 등의 방법으로 얻어 이들을 배치하여 공간을 꾸밀 수 있다. 각 공간 아이템들은 서로 혹은 아바타와 상호 작용을 하게 되며, 물리적 법칙도 일부 적용되도록 하여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 이동 게이트는 각 공간에 적어도 하나는 배치되어야 하므로 기본 형태가 기본 위치 에 미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이를 다른 위치에 다른 표현으로 변경할 수 있고, 추가하거나 복수인 경우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개인 공간에 이동 게이트를 배치할 경우 해당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나 인증을 위한 정보(암호나 인증용 아이템(열쇠 등))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공간 편집 단계에서 공개 공간을 방문하는 방문자들이 상대방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결정한다(이는 공간 설정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공간 편집이 완료되면 아바타를 이용하여 해당 공간 요소들이나 이동 게이트 혹은 연결 게이트를 통해 원하는 공간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전에 게이트를 통해 이동할 공간의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공개 공간이나 개인 공간에 컨텐츠를 포스팅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한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포스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인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가능하며, 특정한 경우 공간 편집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일반적인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컨텐츠를 포스팅하는 과정도 공간 편집의 일부로 간주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이동 게이트를 통해 방문자들이 방문하면 공개 공간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공간이 제공되며 배치된 공간 아이템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포스팅 내용을 확인하고 자신이 직접 소정의 정보를 포스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자신을 개인 공간으로 초대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방문자들 을 공개 공간에서 접대하거나 개인 공간에서 확인하고 일부 방문자를 초대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증 아이템을 제공받거나 인증을 위한 정보(암호 등)를 제공받은 경우 개인 공간에 배치된 이동 게이트를 통해 직접 개인 공간을 방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맵 구성.
도 2는 종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개인 공간 구성.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구조를 보인 예.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의 다른 구조를 보인 예.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게이트의 구성을 보인 예.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연결 게이트의 구성을 보인 예.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배치와 서비스 이용의 상태를 보인 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공개 공간 120: 개인 공간
111, 121: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112, 122: 공간 아이템
115,116: 공간 연결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150: 공개 공간
151, 161: 연결 게이트 153, 154:공간 아이템
170~172: 방문자

Claims (23)

  1.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가상현실 서비스에서 편집 가능한 자신의 공간을 할당받는 공간 할당 단계와;
    상기 할당받은 공간을 사용자 접속에 무관하게 모든 방문자에게 공개하는 공개 공간과 상기 사용자 접속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공간을 개별적으로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두 종류의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두 종류의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이 설정된 경우 해당 공간에 대한 방문 및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과 해당 개인 공간으로의 직접 방문이 가능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열쇠 정보 또는 암호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가 공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및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서 상기 공개 공간의 부재중 방문자 수,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남긴 정보, 공개 공간에 대한 시각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더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사용자 지정에 따라 해당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상호 인지 가능한 정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9.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할당받은 공간을 항상 모든 방문자에게 개방된 공개 공간과 사용자 접속시에만 사용 가능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상기 각 공간에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배치를 포함하는 공간 구성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와;
    상기 각 공간 또는 상기 배치된 디지털 컨텐츠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방문자가 공유 컨텐츠를 게시하는 게시 단계와;
    아바타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개인 또는 공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상기 공개 공간 또는 개인 공간을 방문하는 방문자를 맞이하는 이동 및 방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 상에 배치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아바타가 직접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통해서만 공간 이동 및 방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분할된 공간들을 상호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각 공간에 배치하고 게이트 형태로 표현하며,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공간 상 위치 및 표현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에서 상기 개인 공간을 방문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상태에서 방문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에서 상기 공개 공간의 현재 상태 및 부재중 공개 공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개인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상에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면서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통한 방문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상에 배치된 공간 이동 디지털 컨텐츠로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에 대해 상기 설정된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열쇠 형태의 아이템이나 암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에서, 상기 개인 공간은 해당 공간의 사용자가 미접속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 단계는 상기 각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의 게시를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남기는 메모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접속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할당받은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 아바타가 생성되는 형태로 접속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공개 공간의 방문자에게 투명한 상태로 공개 공간으로 진입하는 접속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1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공간은 상기 공개 공간의 방문자를 파악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인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는 공개 공간의 방문자 정보를 확인하여 원 하는 방문자만 상기 개인 공간으로 초대하거나 아바타를 이용하여 직접 개인 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2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상호 인지 가능한 정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70137939A 2007-12-26 2007-12-26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KR100952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39A KR100952394B1 (ko) 2007-12-26 2007-12-26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39A KR100952394B1 (ko) 2007-12-26 2007-12-26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65A KR20090070065A (ko) 2009-07-01
KR100952394B1 true KR100952394B1 (ko) 2010-04-14

Family

ID=4132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939A KR100952394B1 (ko) 2007-12-26 2007-12-26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50A (ko) 2018-05-18 2019-11-27 (주)씨소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22B1 (ko) * 2016-04-25 2018-08-31 장부다 Vr 공간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275950B1 (ko) * 2019-10-14 2021-07-12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WO2022102795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612A (ja) 2001-04-13 2002-10-25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 仮想空間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182331A (ja) * 2003-12-18 2005-07-07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612A (ja) 2001-04-13 2002-10-25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 仮想空間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182331A (ja) * 2003-12-18 2005-07-07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50A (ko) 2018-05-18 2019-11-27 (주)씨소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65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6132A1 (en) Virtual environment for computer game
Fornäs et al. Consuming media: Communication, shopping and everyday life
Varnelis et al. Place: The networking of public space
Munar et al. Tourism social media: Transformations in identity, community and culture
JP5368547B2 (ja) 共有仮想エリ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環境ベースの装置および方法
EP1423780B1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an iconic language communication tool
Jacobs Pornography in small places and other spaces
Moore The magic circle and the mobility of play
O’Regan Hypermobility in backpacker lifestyles: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café
IL296023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tive space to social worlds
KR100952394B1 (ko)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Bialski Home for hire: How the sharing economy commoditises our private sphere
Soukup Multimedia performance in a computer-mediated community: Communication as a virtual drama
WO2023142425A1 (zh) 社交互动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Ferreira et al. Designing ICT for thirdplaceness
KR20090070064A (ko)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이동 방법
Graiouid A place on the terrace: Café culture and the public sphere in Morocco
Säävälä Entangled in the imagination: New middle-class apprehensions in an Indian theme park
Diminescu et al. Study on social computing and immigrants and ethnic minorities: Usage trends and implications
Wakabayashi Urban space and cyberspace: Urban environment in the age of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
Stemmler Where tourists and locals meet: The empowerment of local culture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tourist (cultural organizations in Anjos, Lisbon)
Tunca et al. Defining Virtual Consumerism Through Content and Sentiment Analyses
Blanco-Fernández Queering the Metaverse: Queer Approaches to Virtual Reality in Contemporary Art
Gu From shopping mall to civic mall: An approach to construct public sphere in contemporary China
KR20240069428A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