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085B1 - Supervisory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Supervisory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085B1
KR100950085B1 KR1020090135452A KR20090135452A KR100950085B1 KR 100950085 B1 KR100950085 B1 KR 100950085B1 KR 1020090135452 A KR1020090135452 A KR 1020090135452A KR 20090135452 A KR20090135452 A KR 20090135452A KR 100950085 B1 KR100950085 B1 KR 10095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power line
signal
load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제원
Original Assignee
비콤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83924&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00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콤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콤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0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3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using dynamo-electri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PURPOSE: A supervisory control system is provided to control effectively a driving state of a field device by installing a supervisory control system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STITUTION: A plurality of signal sensing modules(120) are connected to a power line of a terminal without contacting. A magnetic field by the current flow of the power line is sensed. A relay control module(140) generates the state data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electric signal. The generates status information is outputted to an integrated control module(150). The integration control module stor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tatus information.

Description

감시제어시스템{Supervisory control system}Supervisor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 설비 내지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 중단 등과 같은 침습적인 설치를 지양하고, 종래 구축된 인프라 구조 그대로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위한 감지센서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고, 이를 기초로 현장 장치의 구동 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지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void invasive installation such as power supply interruption to existing facilities or devices, and to easily attach and detach a detection sensor for monitoring by utilizing an existing infra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and controlling a driving state of an on-site device based on this.

현장에 설치되는 다양한 장비 구동 등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계층적 구조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원격 거리에 위치하는 소정의 중앙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물리적 또는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장치는 통상적으로 현장에 설치된 모터, 발전기, 전류 제어 장치 등이 되며 이들의 작동이나 구동 여부, 누설 전류 발생 등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기 장치에 적용된다.A network structure for detecting a state of driving various equipment installed in a field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predetermined central control server physically located at a remote distance by a hierarchical structure is used in various forms. Conventionally, a device corresponding to a lower layer in such a physical or network structure is typically a motor, a generator, or a current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field,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r driving thereof, leakage current, etc. is applied to the device. do.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모터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모터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전압, 전류 또는 저항 등의 전기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정상적인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로데이터(raw data)를 생성 제공한다.For example, the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device, and senses the magnitude of power supplied to the motor device by using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 such as voltage, current, or resistanc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normal power is being supplied. Produce and provide raw data.

상기 센서는 전기적 특성값을 센싱하여야 하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전력 라인을 절단하거나 피복을 탈피시킨 후 센서와 직렬 또는 병렬에 의한 배선 작업과 전기적 접점 확보 작업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 설치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급 전력을 차단하는 작업이 전처리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구동이 필연적으로 중단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24시간 동작이 유지되어야 하는 설치 환경에서는 상당히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다.Since the sensor needs to sense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 in the prior art, the wiring work and the electrical contact securing work in series or parallel with the sensor should be further performed after cutting the power line or peeling the coating. 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and accuracy of the installation, the operation to cut off the power supply must be performed as a pretreatment,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must be inevitably interrupted. May result.

또한, 모니터링과 제어의 대상이 되는 현장의 장치는 설치 환경에 따라 상당히 많은 개수로 분포되거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증설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종래의 방법은 센서를 설치할 때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낭비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on-site devices that are subject to monitoring and control can be distributed in a considerable numb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r can be expanded in various ways as needed. In this state, the conventional method performs the above operations every time the sensor is installed. It has to be done, which can result in significant waste.

또한, 상기 센서들로부터 취합된 다양한 상태 데이터는 중개 단말, 게이트 웨이(gateway) 등의 계층 구조를 거쳐 소정의 중앙 관제 서버로 전달되게 되는데, 종래 소정의 프로토콜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는 메모리 주소 내지 저장 번지(address)가 지정되어 중개 장치 등에 저장되게 되는데, 특정 장치의 한 메모리에 구분되어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는 다른 장치로 이동전송될 때, 동일한 주소가 유지되도록 운용되지 않은 한 데이터가 이동된 다른 장치에서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가 추가로 확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state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s are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a hierarchical structure such as an intermediary terminal, a gateway, and the like. An address is designated and stored in an intermediary device. The data stored separately in one memory of a specific device is transferred to another device, and the other device is moved unless the data is operated so that the same address is mainta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data is stored must be secured.

그러므로 종래에는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관리자가 네트워크 계층을 이루는 각 장치마다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를 소정의 매뉴얼(manual)로 각각 작성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기본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는 방법이므로 부정확함은 물론, 데이터 액세스(access)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데이터 처리에 상당한 지연을 초래하게 되며, 또한,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마다 수작업이 추가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절차, 시간, 비용의 낭비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n administrator in charge of a network writes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corresponding data is stored for each device forming a network layer as a manual, and utilizes the same.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is basically a manual process. Because it depends on the independence, the time required for data access (access) is relatively long, which causes considerable delay in data processing, and additional manual work is required whenever data update is required. The waste of procedures, time, and costs involved is consider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부하 단말의 상태 감지를 위한 센서를 무접점 내지 비접촉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시킴으로써, 센서 장치의 더욱 편리한 설치 환경과 용이 확장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감지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load terminal to be monitored is implement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 contactless or non-contact type, thereby making the sensor device more conveni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tection control system that can realize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easy scal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목적은 데이터가 중개되는 각 수행 장치마다 해당 데이터의 메모리 저장 위치에 대한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 및 활용하여 데이터의 더욱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more efficient processing of data by generating and utilizing address map information on a memory storage location of the data for each performing device on which data is mediated. .

본 발명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an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shown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시제어시스템은 부하 단말 각각의 전력 라인에 무접점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력 라인의 전류 흐름에 의한 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신호감지모듈; 상기 복수 개 신호감지모듈 각각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부하 단말을 구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상태 데이터가 상호 연계된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를 통합관제모듈로 출력하는 중개제어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중개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상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중개제어모듈을 구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상태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입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하 단말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nitor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contactless coupled to each of the power line of the load terminal to detect a magnetic field due to the current flow of the power line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agnetic field Signal detection module;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modules, st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nd an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load terminal and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state data are interconnected are stored and generated. A mediation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state information to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And when the status information is input from a plurality of the mediation control modules, the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and the status information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status of each load terminal is monitored using the input status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또한, 상기 중개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합관제모듈의 제어명령 신호가 상기 중개제어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mediary control module and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the load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when a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mediary control module. Can be.

여기에서, 상기 통합관제모듈은 상기 상태정보를 파싱하여 검출한 식별코드와 명령 인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부하 단말의 식별코드와 상기 중개제어모듈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중개제어모듈로 상기 생성된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합관제모듈은 상기 식별코드와 상태 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할 때, 상기 연계된 데이터의 메모리 저장 위치에 대한 제1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어드레스 맵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상태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generates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command argument detected by pars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loa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termediate control module. The control command signal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intermediary control module,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stores a first address for a memory storage location of the associated data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tate information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generate map information and parse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using the first address map information.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중개제어모듈은 상기 상태정보의 메모리 저장 위치에 대한 제2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어드레스 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해당하는 부하 단말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부하 단말에 해당하는 제어모듈로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implement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generates second address map information on a memory storage loc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and uses the second address map information to provide a loa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And selecting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signal to a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ad terminal.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감지모듈은 상기 전력 라인의 전류 흐름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하는 원통 형상의 감지플레이트;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 구 비되며, 일단은 상기 감지플레이트의 내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전력 라인과 맞닿아 상기 전력 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봉; 및 상기 감지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플레이트에서 감지된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회전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수단의 반대 방향에는 상기 감지플레이트의 개폐를 단속하는 체결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signal sensing module comprises a cylindrical sensing plate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for the current flow of the power line; 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directio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nsing plate,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line to support the power lin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plat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sensing plate, wherein the sensing plate is provided with hinge means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inge means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nsing plate.

또한, 상기 지지봉은 상기 감지플레이트 내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탄성 부재가 구비된 가이딩지지체;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상기 가이딩지지체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전력 라인과 맞닿아 상기 전력 라인을 지지하는 가이딩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nsing plate, the guiding support having an elastic member in the hollow formed therein; And a guiding ro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fitted into the guiding support and having one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power line to support the power line.

더욱이,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봉 및 신호처리부가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 섹션 상호 간은 힌지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urther, the sensing plat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tions each provided with the support rod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means.

우선, 본 발명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부하 단말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전력 공급 라인에 비파괴 형식으로 무접점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 인프라 구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센서 설치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power supply line to detect the state of the load terminal to be monitored by a non-destructive contact in a non-destructive form can utilize the conventional infrastructure as it i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sensor installation environment Can be.

또한, 전력 공급 라인에서 누설 전류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절곡된 형태의 전력 공급 라인에도 효과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장치 확장성과 적용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더욱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센싱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effectively mounted on a bent power supply line where leakage current can frequently occur in the power supply line, thereby providing device expandability and application convenience, and implementing a simpler and more accurate sensing mechanism.

이와 함께,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부하 단말에 무접점으로 장착되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태 데이터를 각 상태 데이터를 구분하는 아이디(ID)정보와 함께 연계하여 생성 및 저장하고, 이와 함께 상기 연계된 데이터의 메모리 저장 위치에 대한 어드레스 맵 정보를 중개 장치 또는 통합관제서버 각각마다 생성하여 데이터 파싱 등에 이용함으로써 부하 단말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te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 that is mounted on the load terminal to be monitored is generated and stored in association with ID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state data,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associated state data. By generating the address map information for each memory storage location of the intermediate apparatus or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each data parsing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utilize the state data of the load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시제어시스템은 복 수 개의 부하 단말(110), 신호감지모듈(120), 제어모듈(130), 중계제어모듈(140) 및 통합관제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monitor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ad terminals 110, a signal sensing module 120, a control module 130, a relay control module 140, and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부하 단말(110)은 현장에 설치된 모터, 변압기, 안정기, 변압기, 정류기 등 정상 상태의 동작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단말을 의미하며,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ad terminal 110 refers to a terminal to be monitored for the operation of the normal state, such as a motor, a transformer, a ballast, a transformer, a rectifier installed in the field,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은 상기 부하 단말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 내지 전력라인에 무접점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력 라인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유도되는 자기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자기장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발생(S200)시키는 모듈에 해당한다.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or a power line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load terminals in a non-contact manner to detect a magnetic field induced by a current flowing in the power line, and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agnetic field. Corresponds to the module generating (S200).

도선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 나사 법칙에 의한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신호 감지모듈(120)은 이러한 전류에 의하여 유도되는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자기장 크기에 함수적으로 대응되는 해당 전력 라인의 전기적 특성값을 역으로 추지하여 감지하게 된다.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wire,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crew law, which i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magnetic field induced by such a current and detect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 of the corresponding power lin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in reverse.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에 대한 상세 구성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 설명 후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후단에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tc. 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ther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부하 단말(110)에 대한 전기 신호가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에서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전기 신호는 본 발명의 중개제어모듈(140)로 입력된다.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은 상기 부하 단말(110) 복수 개 즉, 상기 부하 단말을 감지하는 신호감지모듈(120) 복수 개와 유무선을 통하여 연결되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다른 영역을 담당하는 다른 신호감지모듈과도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load terminal 110 is generated in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load terminal 110, that is,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module 120 for detecting the load terminal via wired or wireless, and other signal detection that is responsible for different area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course,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module.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은 일종의 복수 개 노드(node)로서 상기 중개제어모듈(140)과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은 상기 복수 개 신호감지모듈(120) 각각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 데이터를 생성(S210)한다.The signal sensing module 1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being connected to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as a plurality of nodes, and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signal sensing modules 120.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input from each of them generates the st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S210).

상기 상태 데이터의 일 실시예로서 특정 기준을 넘는 자기장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해당 부하 단말(110)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상징하는 이진수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양자화하여(quantization)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양자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전기적 특성값의 크기를 다양하게 디지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어 모니터링 및 제어에 더욱 정밀성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As an example of the state data, digital data such as binary numbers representing on or off of the load terminal 110 may be selected based on whether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a magnetic field exceeding a specific criterion is input. The digital data may be generated by quantizing an input electrical signal. When the signal quantization process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 can be utilized as various digital data, thereby adding more precision to monitoring and control.

이와 같이 상태 데이터가 생성(S210)되면,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은 상기 전기 신호 생성의 근거가 되는 부하 단말(110)을 구분하는 식별코드를 입력되는 포트 또는 스위치의 구분에 의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와 상기 상태 데이터를 상호 연계시킨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합관제모듈(150)로 출력한다(S220). 상기 상태 정보는 전송의 필요성 또는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의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중개제어모듈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모듈(S220)을 거쳐 통합관제모듈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state data is generated in this way (S210),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checks the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load terminal 110, which is the basis for generating the electrical signal,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input port or switch, Generate and store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tate data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and output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S220). The stat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via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or gateway module S220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yer of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transmission 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

상기 통합관제모듈(150)은 복수 개의 상기 중개제어모듈(14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을 구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상태정보 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하며(S240), 상기 입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하 단말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When the status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mediation control modules 140,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stores the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and the status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S240), The state of each of the load terminals is monitored using the input state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은 해당하는 부하 단말(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부하 단말(110)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 제어, 전력 차단, 위상 제어 등과 같이 부하 단말의 구동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로서, 네트워크 상으로 상기 중개제어모듈(140)과 유무선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통합관제모듈(150)의 제어명령신호가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 단말(1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module 1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oad terminal 110, the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siz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terminal 110 As a fact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oad terminal, such as power interruption, phase control, etc.,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being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control module 140 by wire or wireless over a network. When is received through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load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상기에서 설명된 과정에서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어드레스 맵 정보는 해당 중개제어모듈(140)이 4개의 부하 단말(4개의 신호감지모듈)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may generate predetermined address map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 The address map information shown in FIG. Illustrates as being in charge of four load terminals (four signal sensing modules).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제어모듈(140)은 복수 개의 신호감지모듈(120) 즉, 복수 개의 해당 부하 단말(11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때, 각 부하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가 메모리에서 저장되는 위치 정보를 해당 부하 단말(110)의 식별코드와 해당 상태데이터 등과 상호 연계시킨 정보인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S230)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generates and stores stat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modules 120, that is, the plurality of load terminals 110, the state for each load terminal. It is more preferable to generate address map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is correla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load terminal 110 and the corresponding state data (S230).

이와 같이 해당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코드(ID정보)와 메모리 저장 위치 정보가 상호 연계된 어드레스 맵 정보를 해당 중개제어모듈(140) 자체에서 생성하여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관리자) 측면에서는 각 데이터가 저장되는 설정 위치 정보에 대한 매뉴얼을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되며, 차제 통합관제모듈(150)로부터 제어명령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해당하는 부하 단말(110)을 더욱 용이하게 선별하여 선별된 부하 단말에 해당하는 제어모듈(130)로 해당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As such, each data is stored on the user (administrator) side by generating and maintaining address map informa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ID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ata and the memory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manual for setting position information, and when a control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the load terminal 110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more easily selected and selected. The control module 130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can be transmitted.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통합관제모듈(150)은 복수 개 중개제어모듈(140)로부터 상태 정보가 수신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어드레스 맵 정보와 같이 해당 중개제어모듈(140)을 구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중개제어모듈(140)에 해당하는 각 부하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부하 단말 식별코드 및 상태 데이터가 포함된 정보)가 상호 연계된 정보인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 및 저장될 때,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위치 정보에 대한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S250)한다.In a similar view,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mediation control modules 140. The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such as the address map information shown in FIG. When the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ad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tate data) for each loa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ry control module 140 is generated and stored as integrated state information that is interrelated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data is stored. Address map information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mory is generated (S250).

이와 같이 어드레스 맵 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관리자) 등으로부터 해당 부하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맵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부하 단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address map information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when a request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load terminal is received from a user (administrator) or the like, th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load terminal is parsed using the address map information and the user is parsed. Can be provided to

이와 함께, 상기 통합관제모듈(150)은 사용자 등으로부터 해당 부하 단말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어드레스 맵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하는 부하 단말에 대한 식별코드를 선별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해당하는 명령 인자를 포함하여 도 5와 같은 제어명령신호 체계를 생성하여 해당 중개제어모듈로 전송(S260)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receiv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ad terminal from the user,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selects an identification code for the corresponding load terminal by using the address map information, and inputs a command input by the user. The control command signal system as shown in FIG. 5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mmand argumen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ediation control module (S260).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 5에 예시된 형태의 프로토콜로 형성된 제어명령신호가 통합관제모듈(150)에 연결된 중개제어모듈(140)로 전송되면, 식별 코드 등을 기준으로 동기화된 중개제어모듈이 이에 응답하여 후속 프로세싱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후속 프로세싱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개제어모듈에 저장된 어드레스 맵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해당하는 부하단말을 선별하고 선별된 부하단말을 담당하는 제어모듈에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전송(S270)하게 된다. As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command signal formed by the protocol of the type illustrated in FIG. 5 is transmitted to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150,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synchroniz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ode, etc. In response to this, further processing is performed. The subsequent processing selects a loa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by using the address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mediate control module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in charge of the selected load terminal (S27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감지모듈(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감지모듈(120)은 감지플레이트(121), 지지봉(123), 신호처리부(125) 및 체결수단(1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자기장 감지를 위한 소자로서 외부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간섭 효과를 일으키는 자기저항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 라인(10)의 전류 흐름에 의하여 야기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원통 형상의 플레이트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 6, the signal sensing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ing plate 121, a support rod 123, a signal processor 125, and a fastening means 129. The sensing plate is composed of a magnetoresistive element that generates an interference effect by an externally generated magnetic field as an element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and is a cylinder that is responsible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caused by current flow in the power line 10. Corresponds to the plate of the shape.

상기 감지플레이트(121)는 신호처리부(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처리부(125)는 상기 감지플레이트(121)에서 감지된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된 전기 신호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개제어모듈(140)로 전송된다.The sensing plate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or 125, and the signal processor 125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sensing plate 121, and generates electricity.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또한, 이미 구축된 전력 라인(10)을 대상으로 전력 공급 중단 내지 접점 형 성 등과 같은 어떠한 추가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을 그대로 전력 라인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감지플레이트(121)의 양 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플레이트(121)에는 회전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수단(127)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plate 121 to couple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to the power line without performing any further work such as power supply interruption or contact formation for the already established power line 10. I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oth sides of the, for this purpose, the sensing plate 121 is provided with a hinge means 127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by rotation.

또한, 상기 힌지수단(127)의 반대 방향 측에는 상기 감지플레이트의 개폐를 단속하는 체결수단(129)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수단(129)은 신호감지모듈(120)이 전력 라인에 결합된 후 감지플레이트(121)의 개방이 단속 내지 억제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means 127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129 for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nsing plate, the fastening means 129 is a sensing plate after the signal sensing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power line The opening of 121 performs a function that can be interrupted or suppressed.

이와 함께, 상기 지지봉(123)은 상기 전력 라인(10)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이 전력 라인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이 상기 전력 라인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에 해당하며, 상기 감지플레이트(121)과 전력 라인(10)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자기장을 감지하는 감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rod 123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ower line 10 so that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is supported on the power line when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power line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sensing plate 121 and the power line 10 is maintained so that the sensitivity to detect the magnetic field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또한, 물리적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신호감지모듈(120)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플레이트(121)의 내측에 연결된 상기 지지봉(23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호 상면하는 네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지지봉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s 230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sensing plate 121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preferably in order to enhance physical support and effectively induce detachable coupling of the signal sensing module 12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a direction and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formation of the support r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6은 전력 라인에 결합되기 전 본 발명의 신호감지모듈(1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전력 라인에 결합되기 전에는 체결수단(129)을 해제시켜 감지플레이트(121)의 양 면을 개방시키고, 상기 지지봉(123)의 일부가 전력 라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결합을 위한 사전 작업을 수행한다.6 shows the signal sensing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coupled to the power line, and before coupling to the power line, release the fastening means 129 to open both sides of the sensing plate 121. In addition, a preliminary operation for coupling is per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support rod 123 is positioned above the power line.

도 7은 전력 라인에 결합된 본 발명의 신호감지모듈(1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조로 구성된 지지봉(230)은 전력 라인(10)의 선단과 후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력 라인(10)과 상기 신호감지모듈(120)을 물리적으로 지지한다.FIG. 7 shows the signal sensing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power line.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rods 230 having two sets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ower line 10, respectively. To physically support the power line 10 and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이와 같이 신호감지모듈(120)을 구성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전력 라인(10)에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어떠한 배선 공정도 전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더욱 장치 확장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signal sensing module 12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no wiring process is required at all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to the power line 10 installed in the related art, the device expandability and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23)을 가이딩지지체(1231), 탄성 부재(1233) 및 가이딩봉(1235)으로 구성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8, the support rod 123 may include a guiding support 1231, an elastic member 1233, and a guiding rod 1235.

상기 가이딩지지체(1231)은 상기 감지플레이트(121) 내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탄성 부재(1233)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딩지지체(1231)는 후술되는 가이딩봉(1235)의 이동을 가이딩하며 물리적 지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guiding support 123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nsing plate 121 and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233 in a hollow formed therein, and the guiding support 1231 moves the guiding rod 1235 to be described later. It guides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physical support.

상기 가이딩봉(1235)은 상기 가이딩지지체(123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가이딩지지체(1231)의 내측 중공에 구비된 탄성 부재(123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이딩봉(1235)의 일단은 상기 전력라인(10)과 맞닿아 전력 라인(10)을 물리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 guiding rod 1235 is fitted into the guiding support 1231,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coupled by an elastic member 1233 provid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guiding support 1231. One end of the ding rod 1235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line 10 to physically support the power line 10.

이러한 구조에 의한 상기 가이딩봉(1235)은 전력 라인(10)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전력 라인(10)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설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 부재(1233)는 전력 라인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는 부재라면, 용수철 부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함은 자명하다.The guiding rods 1235 having such a structure can transmit elastic support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ower line 10, so that the guiding rods 1235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power line 10, thereby providing a more effective installation environment. Therefore, if the elastic member 1233 is a member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ower line,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cluding a spring member.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신호감지모듈(120)을 도시하고 있다.9 and 10 show a signal detection module 120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현장에 구비되는 장치 또는 이에 연결되는 전력 라인 등은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직선으로 배선이 이루어지는 경우뿐만 아니라 절곡된 배선 형태를 이루어지는 경우도 빈번하다.The device provided in the field or the power line connected thereto has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wiring is performed in a straight line, it is often performed in the form of a bent wiring.

통상적으로 누설 전류 등이 발생하여 전기적 오류 내지 고장이 발생될 확률은 이와 같은 절곡된 배선 행태에서 높다고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신호감지모듈(120)은 이러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상기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복수 개의 섹션(120a, 120b)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probability that an electrical error or a failure occurs due to leakage current or the like may be said to be high in such a bent wiring behavior. In order to effectively reflect such a situation, the signal detection module 120 of FIG. And it is configured to consist of a plurality of sections (120a, 120b) as shown in FIG.

상기 복수 개 섹션(120a, 120b)은 앞서 설명된 감지플레이트(121), 지지봉(123) 및 신호처리부(125)를 각각 구비하며, 또한 상기 복수 개 섹션 상호 간은 힌지 수단(126)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120a and 120b includes the sensing plate 121, the support rod 123,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5 described above, and 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means 126. Configure to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전력 라인(10)의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각각의 섹션을 결합시킬 수 있고, 절곡된 지점의 양 방향에서의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해당 부위의 고장 여부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 다. In such a configuration, each section may be coupled in both directions based on the bent point of the power line 10, and the magnetic field may be detec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bent point, and thus the corresponding part may be broken. Can be detected more effectively.

감지플레이트(121)의 단면이 원 형상을 이루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 개 섹션을 연결하는 힌지수단(126)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힌지수단의 회전체가 수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감지플레이트 또는 힌지수단의 지지부를 어느 정도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sensing plate 121 has a circular shape, the sensing plate or the hinge means may be horizontal so that the rotating body of the hinge means may be horizontal to secure the function of the hinge means 126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tions. It is preferable to shape | mold and comprise the support part to some ext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시스템의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인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으로 구분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nito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logical component rather than a physically divided component. That is, since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logically divided components to realiz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to be within the scope of.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감시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감시제어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monitor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개제어모듈에서의 어드레스 맵 정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ddress map information in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앙관제모듈에서의 어드레스 맵 정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ddress map information in the central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어드레스 맵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되는 제어명령신호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command signal generated by using address map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감지모듈이 전력 라인에 체결되지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ignal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astened to the power lin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감지모듈이 전력 라인에 체결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gnal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power line;

도 8은 도 7의 A-A`에 따른 절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 섹션으로 구성되는 신호감지모듈에 대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gnal detection mo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 섹션으로 구성되는 신호감지모듈이 절곡된 형태의 전력 라인에 결합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gnal detection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ent power line.

Claims (8)

부하 단말 각각의 전력 라인에 무접점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력 라인의 전류 흐름에 의한 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신호감지모듈;A plurality of signal sensing modules coupled to a power line of each load terminal in a non-contact manner to sense a magnetic field due to current flow of the power line an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magnetic field; 상기 복수 개 신호감지모듈 각각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기 신호에 대응되는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부하 단말을 구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상태 데이터가 상호 연계된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를 통합관제모듈로 출력하는 중개제어모듈; 및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modules, st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nd an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load terminal and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state data are interconnected are stored and generated. A mediation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state information to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And 복수 개의 상기 중개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상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중개제어모듈을 구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상태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입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하 단말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통합관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When the status information is input from a plurality of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the identif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and the status information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status of each load terminal is monitored using the input status information. Surveillance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개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합관제모듈의 제어명령 신호가 상기 중개제어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And a control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mediary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a driving of the load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when a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mediary control module. Supervisory control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모듈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상기 상태정보를 파싱하여 검출한 식별코드와 명령 인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부하 단말의 식별코드와 상기 중개제어모듈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중개제어모듈로 상기 생성된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generated by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command argument detected by parsing the state information, and generated by the corresponding mediation control module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loa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Surveillanc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모듈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module, 상기 식별코드와 상태 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할 때, 상기 연계된 데이터의 메모리 저장 위치에 대한 제1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어드레스 맵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상태정보를 파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When stor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tat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he first address map information for the memory storage location of the associated data is generated, and the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is parsed using the first address map information. Supervisory control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제어모듈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diation control module, 상기 상태정보의 메모리 저장 위치에 대한 제2 어드레스 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어드레스 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해당하는 부하 단말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부하 단말에 해당하는 제어모듈로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Generating second address map information on a memory storage loc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selecting a loa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using the second address map information, and a control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ad terminal. And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detection module, 상기 전력 라인의 전류 흐름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하는 원통 형상의 감지플 레이트;A cylindrical sensing plate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with respect to the current flow of the power line;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감지플레이트의 내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전력 라인과 맞닿아 상기 전력 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봉; 및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in different directio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nsing plate,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line to support the power line; And 상기 감지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플레이트에서 감지된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A signal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plat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sensing plate;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회전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수단의 반대 방향에는 상기 감지플레이트의 개폐를 단속하는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The sensing plate is provided with a hinge means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by rotation, the monitor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ans for intercep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nsing plate is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inge mean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rod, 상기 감지플레이트 내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탄성 부재가 구비된 가이딩지지체; 및A guiding suppo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nsing plate and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in a hollow formed therein; And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상기 가이딩지지체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전력 라인과 맞닿아 상기 전력 라인을 지지하는 가이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And a guiding ro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fitted into the guiding support and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power line to support the power lin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모듈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detection module, 상기 지지봉 및 신호처리부가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 섹션 상호 간은 힌지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제어시스템.And a plurality of sections each provided with the supporting rods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means.
KR1020090135452A 2009-12-31 2009-12-31 Supervisory control system KR100950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452A KR100950085B1 (en) 2009-12-31 2009-12-31 Supervisory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452A KR100950085B1 (en) 2009-12-31 2009-12-31 Supervisory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085B1 true KR100950085B1 (en) 2010-03-26

Family

ID=4218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452A KR100950085B1 (en) 2009-12-31 2009-12-31 Supervisory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0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02A (en)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Non-contact charger available of wireless data and power transmission, charging battery-pack and mobile divice using non-contact charger
KR20090030915A (en) * 2007-09-21 2009-03-25 전호진 Vehicle detection system using magnetic field sensor
KR20090055408A (en) * 2007-11-28 2009-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actless charging in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02A (en)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Non-contact charger available of wireless data and power transmission, charging battery-pack and mobile divice using non-contact charger
KR20090030915A (en) * 2007-09-21 2009-03-25 전호진 Vehicle detection system using magnetic field sensor
KR20090055408A (en) * 2007-11-28 2009-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actless charging in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5591B2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integrated testing and reporting functionality
KR20170112738A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integrating management based on IOT
US20080221707A1 (en) Control and monitor signal transmission system
CN102782595A (en) Control cabinet monitoring device
KR101340741B1 (en) Human-machine dialog system
JP2016525210A (en) Problem detection in cable systems with fuses
CN105359415B (en) Non-contact type approach switch for machine safety
KR100950085B1 (en) Supervisory control system
EP3217503B1 (en) Superimposed conveyance of data and electrical power
JP6205357B2 (en) Communication method for setting and / or query purposes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US8368528B2 (en) Configurable notification device
KR100935497B1 (en) System of cable observation based by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ethod thereof
RU191575U1 (en) Magnetic contact security detector
KR102066638B1 (en) Plc switch board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c switch board
CN1372229A (en) Danger signal reporting system
US2014000206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tal detection
US20150219719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current loop
CN204142860U (en) There is the device of HV live displaying and temperature-monitoring function
US9902376B2 (en) Control of a parking brake
JP2014514647A (en) Monitoring system
KR100802599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CN215641549U (en) Explosion-proof detection device
US20220234866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control device of a passenger-conveying system
CN109597115B (en) Apparatus for detecting beam loss
KR0173181B1 (en) Signal transferr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01006

Effective date: 201010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00330

Effective date: 201010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