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689B1 -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689B1
KR100948689B1 KR1020070136073A KR20070136073A KR100948689B1 KR 100948689 B1 KR100948689 B1 KR 100948689B1 KR 1020070136073 A KR1020070136073 A KR 1020070136073A KR 20070136073 A KR20070136073 A KR 20070136073A KR 100948689 B1 KR100948689 B1 KR 10094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active
terminal
e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453A (ko
Inventor
박순기
김형섭
신연승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689B1/ko
Priority to EP08160015A priority patent/EP2076081A1/en
Publication of KR2009006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according to average transmission signal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절감하기 위하여 무선 액세스 모듈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와 전용무선채널을 설정한 상태에서 기지국이 처리하는 무선접속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 해당 단말기와의 트래픽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모드를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간에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해당 단말기로 전환을 명령하는 명령과 전환 주기에 관련된 타이밍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전용무선접속, 접속제어, 기지국, 패킷, 트래픽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access control method in an active acess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제어 기술에 관련되며, 특히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절감하기 위하여 무선 액세스 모듈의 활성/비활성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접속 모드는 휴지(IDLE) 상태와 전용접속 (ACTIVE) 상태 모드로 구별된다. WCDMA의 경우 접속상태모드는 CELL_DCH, CELL_FACH, CELL_PCH, URA_PCH로 구분된다.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는 기지국과 전용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IDLE, CELL_PCH, URA_PCH 상태에서 무선 접속 모듈의 전원을 온/오프 시킴에 의해 전력소모를 절감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지국과의 전용무선접속이 없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파워 온 되어 특정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가 있는지를 보고 자신에 해당되는 메시지인지를 분별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가 음성중심이 아닌 멀티미디어 트래픽 중심으로 변경되면서 전용무선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파워를 절감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웹에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전용 무선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웹페이지를 장시간 동안 읽고 있거나, 접속을 끊지 않고 다른 일을 계속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다운링크 트래픽이 없는데도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접속모듈의 파워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배터리가 낭비된다.
전용접속상태에서도 불연속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이 있다. 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DRX 싸이클 길이를 포함하는 DRX 서비스를 위한 구성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최초의 패킷이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DRX 싸이클의 시작시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시작시점으로부터 활성화기간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활성화기간의 종료시점을 시작시점으로 하고 상기 활성화기간의 시작시점으로부터 상기 싸이클 길이에 의해 정해지는 시점을 종료시점으로 하는 수면기간으로 전환하여 패킷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면주기가 고정적일 뿐 아니라 DRX 싸이클의 시작 시점과 종료시점이 고정적이어서 트래픽 상태에 적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트래픽이 빈번한 경우에는 과도한 지연을 초래하게 되고, 트래픽이 매우 드문 경우에는 과도하게 자주 활성화되어 파워 소모 절감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전용 무선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와의 트래픽의 특성을 판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접속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단말기의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용 무선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트래픽 특성에 적응적으로 무선 접속 상태를 제어하여 파워 소모를 절감하는 것과 데이터 전송의 평균적인 지연을 저감시키는 것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와 전용무선채널을 설정한 상태에서 기지국이 처리하는 무선접속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 해당 단말기와의 트래픽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모드를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간에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해당 단말기로 전환을 명령하는 명령과 전환 주기에 관련된 타이밍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지국의 메시지(들)이 기지국의 무선 네 트워크 계층(RNL)에 의해 전송된다. 또다른 양상에 따라, 메시지(들)은 기지국의 매체접근제어(MAC : Media Access Control) 계층 (L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단말기에서 측정된 패킷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패킷 트래픽 정보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모드를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간에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한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기가 측정할 파라메터를 먼저 송신한다.
본 발명의 구성과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전용 무선 접속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하향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수신기의 파워의 온/오프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파워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3GPP Long Term Evolution (LTE)시스템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eNB(20-1, 20-n)는 evolved NodeB로 기지국을 의미하며 WCDMA에서는 NodeB/RNC와 유사한 노드이다. aGW(30)는 access Gateway를 의미하며 이 aGW는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AE Gateway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WCDMA에서의 SGSSN과 GGSN과 유사한 노드이다. OP IP Serv는 operational IP 서비스 네트워크로 IMS (IP Multimedia Service)와 PSS 등을 포함한다. LTE에서 eNodeB와 MME간의 인터페이스를 S1이라 호칭하고, eNodeB간의 인터페이스를 X2 인터페이스라 하고, eNodeB와 이동통신단말기(UE; User Equipment)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XU라 호칭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지상태모드에서 시간에 따른 무선접속모듈의 전력소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LTE_IDLE' 상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eNB)와의 사이에 논리적인 전용 무선 접속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LTE_ACTIVE' 상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eNB)간의 전용 무선 접속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용 무선 접속'은 특정 주파수나 특정 시간 혹은 특정코드를 점유해 사용하는 형태와, 물리적으로 공용 채널을 사용하더라도 스케 줄러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에 특정한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논리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논리적인 전용 채널을 유지시키는 것의 의미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해석된다.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UE,20-1, 20-n)는 어떤 셀에 소속되어 있고 그 이동통신단말기(20-1, 20-n)가 휴지(IDLE) 상태라면 그 이동통신단말기는 자신의 고유번호, 예를 들면 IMSI 값을 바탕으로 특정한 이동통신단말기 그룹 (IDLE UE Group)에 속하게 된다. 특정 그룹 (IDLE UE Group)에 속한 이동통신단말기 (UE)는 기지국이 보내는 정보에 의하여 그 그룹에 할당된 주기 T(idle)를 알아서 주기 T 를 근거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i,wk) 시간 동안 깨어나는 것을 반복한다. 깨어있는 동안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들어온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가 존재한다면 그 메시지를 파싱한다. 파싱 결과 자신을 가리키는 메시지이면 온/오프를 반복하지 않고 무선접속모듈을 온상태로 유지한다. 아니면 다시 T(idle) 주기를 근거로 T(i,wk)동안 깨는 파워 온/오프를 반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휴지 상태, 혹은 '오프' 상태라고 표현된 것은 단말기가 무선통신에 필요한 무선접속모듈의 전원을 전원절감모드 혹은 완전한 오프 상태로 하여 대기하는 것을 말하며, '온' 상태 혹은 '깨어난 상태'는 그 반대로 무선접속모듈의 전원을 정상 상태로하여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셀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면. IMSI를 근거로 UE Group Index가 정해지고 이 UE Group Index에 따라 T(idle), T(I,wk)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셀에서 동일한 UE Group Index에 속한 이동통신단말기들은 이러한 동일한 정보를 근거로 공용 채널을 리스닝하는 형태로 도 2의 1)로 도시된 'power saving' 구간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접속방법이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율과, 무선접속모듈의 전력소모량의 일 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이나 발신형태로 L3 시그널링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전용 무선접속을 갖게 되는 것을 'LTE_ACTIVE' 라 정의할 수 있다. 종래 LTE_ACTIVE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접속모듈의 파워를 온 상태로 두게 되어 있다. 그러나, 하향 트래픽 전송이 이루어 지고 있는 중에, 예를 들어 도 3에서 점선표시 원형으로 둘러싸인 a 상황에서 12660ms에 하향 트래픽이 없는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비활성 상태(Inactivity)를 기지국이 체크하여 13340ms 부터 이동통신단말기 수신기의 파워를 소정의 주기 T(sleep)를 기초로 T(s,wk)동안 깨는 식으로 온/오프 시킴으로써 도면부호 (320)으로 도시된 구간에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power saving)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LTE_ACTIVE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접속모듈의 파워가 온 되어 있는 상태인 'LTE_ACTIVE_ACTIVE' 모드와, 전력소모 를 저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접속모듈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상태인 'LTE_ACTIVE_SLEEP'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3에서 점선표시 원형으로 둘러싸인 b 상황에서 15850ms에 하향 트래픽이 다시 발생하면 그 트래픽은 기지국에서 버퍼링된다. 15780ms로부터 시작한 주기 동안 하향 트래픽의 발생 사실은 단말기에서 인지되지 않는다. 다음 주기의 활성화 기간 중에, 즉 15780ms로부터 p)= 400ms후인 16180ms 부터 이동통신단말기는 LTE_ACTIVE_SLEEP 모드에서 LTE_ACTIVE_ACTIVE 모드로 전환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접속모듈의 파워를 온 시킨다.
도 3에서 점선표시 원형으로 둘러싸인 c 상황에는 트래픽의 비활성 상태 (Inactivity)가 순간적으로 발생했지만 조건에 맞지 않아서 LTE_ACTIVE_ACTIVE에서 LTE_ACTIVE_SLEEP 모드로 빠져들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전용 무선접속채널이 있는 상태에서 기지국에서 트래픽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LTE_ACTIVE_ACTIVE, LTE_ACTIVE_SLEEP 모드 전환을 관리하고 T(sleep)와 T(s.wk)의 시간을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와 제어 방법이 달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모드의 제어 방법과 관련된 프레임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eNB(20-1)에서 RNL(21)은 무선 네트워크 계층(Radio Network Layer)을 의미하며 RRC(XU), S1, X2 를 통칭한다. L1과 L2는 무선상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 과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을 의미하고 TNL은 Transport Network Layer로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간 혹은 이동통신단말기와 서버와의 서비스 트래픽을 연결하는 무선액세스 전송 네트워크 계층을 의미한다.
어떤 셀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UE)가 LTE_IDLE상태라면 착신을 위한 RNL의 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T(idle), T(I,wk)을 고려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 때의 채널은 도 4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은 공통채널이다. 공통채널의 경우 그 셀에 있는 UE라면 모두 리스닝하게 된다. 이러한 채널을 LTE에서는 CCCH(211)라는 논리채널, CommonTrCH(213)라는 전송채널, 그리고 CommonPhyCh (215)이라는 물리채널로 정의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LTE_ACTIVE 상태가 되면 도 4의 B)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전용채널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LTE 구조에서 프래임워크에는 RNL과 매핑되는 DCCH(212)라는 논리채널 그리고 TNL과 매핑되는 DTCH(231)라는 논리채널들이 구비된다. 이 논리채널들(212,231)은 UL-SCH, DL-SCH (233)라는 전송채널에 매핑되고 이는 PUSCH, PDSCH (235)라는 물리채널에 각각 매핑되어 논리적인 전용 채널을 구성한다. 이 논리적인 전용채널을 업링크와 다운링크로하여, RNL-RRC(XU) 신호 메시지와 트래픽 데이터를 상하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LTE_IDLE 모드에서 LTE_ACTIVE_ACTIVE 모드로 들어가거나, LTE_ACTIVE_ACTIVE상태에서 LTE_IDLE 모드로 천이하거나, 또는 LTE_ACTIVE_SLEEP 모드에서 LTE_IDLE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은 정상적인 경우 기지국 RNL-RNL(XU)와 이동통신단말기 L3 (RRC)간의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 진다. 이동통신단말기의 LTE_ACTIVE_ACTIVE 모드와 LTE_ACTIVE_SLEEP 모드 간의 상호 천이는 기지국에서 트래픽 특성을 파악하여 결정하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LTE_ACTIVE_ACTIVE 모드와 LTE_ACTIVE_SLEEP 모드간에 상호 천이할 것을 명령하고 LTE_ACTIVE_SLEEP 모드에서의 T(sleep)와 T(s,wk)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4에서 CSAP이라는 것은 Control Service Access Point를 의미한다. CSAP-L2는 RNL에서 L2에게 L2 자원에 대한 구성을 지시하고 혹은 측정종류와 기준을 주고 각각 구성에 대한 ACK 정보 및 측정정보를 RNL에 제공하는 논리적인 채널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CSAP-L1은 RNL에서 L1에게 지시하고 L1에서 지시에 대한 ACK 및 측정정보를 제공하는 논리적인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CSAP-TNL 채널은 트래픽관련 구성의 제어를 지시하고 측정 종류와 기준을 주고 각각 구성에 대한 ACK 정보 및 측정정보를 RNL에 제공하는 논리적인 채널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워크 하에서 구현 가능한 모드간의 천이 및 관리에 관련된 보다 구체화된 프레임워크들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의 x(LTE_ACTIVE_ACTIVE 모드에서 LTE_ACTIVE_SLEEP 모드로의 천이)와 y(LTE_ACTIVE_SLEEP 모드에서 LTE_ACTIVE_ACTIVE 모드로의 천이)를 제어하고 LTE_ACTIVE_SLEEP 모드에서의 관리를 위한 두 가지 프레임워크인 FRAMEWORK TYPE A와 FRAMEWORK TYPE B를 설명한다.
두 프레임워크의 주요 특징은 기지국 RNL-RRC(XU)(21)와 UE L3(RRC)(11)간의 메시지로 x, y가 이루어지느냐 아니면 기지국 RNL-L2(25)와 UE L2(15)간에 x,y가 이루어지느냐의 주요한 차이가 있다. 전자(타입 A)의 경우 후자보다 메시지 전달의 신뢰도는 높일 수 있는 반면 L3 전달 메시지의 전송이 느리고, 후자의 경우(타입 B)는 전자보다 메시지 전달의 신뢰도는 낮은 반면 L2 신호 메시지의 전송이 빠른 장점이 있다. 이러한 두 실시예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T(sleep)와 T(s,wk)를 하드웨어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작게 가져갈 수 있느냐는 구현상의 제한에 따라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두 가지 프레임워크의 공통점은 x, y 천이 및 LTE_ACTIVE_SLEEP에서의 Tsleep, Ts,wk의 조정은 결국 기지국 RNL(21)에서의 지시에 근거한다는 점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타입 A의 무선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전용무선채널을 설정한 상태에서 기지국이 처리하는 무선접속제어방법은 해당 단말기와의 트래픽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모드를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간에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해당 단말기로 전환을 명령하는 명령과 전환 주기에 관련된 타이밍 파 라메터를 포함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UE, 10)의 LTE_ACTIVE_ACTIVE 모드와 LTE_ACTIVE_SLEEP 모드 사이에서의 상태천이가 eNB RNL-RRC(XU) 대 UE L3-RRC(XU) 메시지로 상호 전달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이동단말기에 대한 x, y로의 상태천이 결정은 eNB RNL-RRC(XU)(21)에서 이루어진다.
eNB RNL-RRC(XU)는 CSAP L2 채널의 1.1.1 메시지를 통하여 eNB L2(25)가 트래픽 특성에 대하여 측정할 파라미터 (M ActivationTime,Tresolution, Tttt, Tmo, Tinactivity, TIATmargin, Tmo, Pattern, Repetiton, ReportMethod)들을 제공한다. 이때 파라메터는 아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측시작시점값(M ActivationTime)과, 패킷특성관찰주기값(Tmo)과, 활성상태전환임계값(Tinactivity)을 포함한다. 이를 받은 L2(25)는 CSAP_L2 채널의 1.2.1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M ActivationTime에 eNB RNL-RRC(XU)(21)가 내린 측정조건 및 보고방법에 따라 주기적으로 혹은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보고를 한다. 아래 신호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때 보고하는 패킷 트래픽 정보는 일정 기간안에 도달한 패킷의 샘플간 도착시간간격의 평균값과, 그 표준편차값을 포함한다. eNB RNL-RRC(XU)(21)가 이러한 1.2.1의 측정보고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x 혹은 y 상태천이가 필요하면 2. B채널의 2.1.1, 2.1.2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태천이 정보를 UE L3-RRC(XU)(11)에게 상태천이를 지시한다. 이를 받은 UE L3-RRC(XU)(11)는 CSAP_UE_L2 채널 3.1.1, 3.1.2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x, y 상태천이를 지시한다. UE L2(15)가 이 상태천이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받았으면 3.1.1, 3.1.2에 대한 응답으로 3.2.1 프리미티브를 통해 UE L3-RRC(XU)(11)에게 응답한다. 이 응답을 받은 UE L3-RRC(XU)(11)는 2. B채널 2.2.1의 RRC 메시지를 통해 eNB RNL-RRC(XU)(21)의 2.1.1, 2.1.2에 대한 응답을 한다. 이러한 응답을 받은 eNB RNL-RRC(XU)(21)는 CSAP_L2 채널 1.1.2, 1.1.3을 통하여 단말의 상태천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를 받은 eNB L2는 CSAP_L2 채널을 이용하여 1.2.2 프리미티브를 통하여 1.1.2, 1.1.3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된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신호들에 대해 계층적인 구조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1. eNB CASP_L2 채널 : eNB RNL-RRC(XU) ↔ eNB L2 간 프리미티브 정의
1.1 eNB RNL-RRC(XU) → eNB L2 : CSAP_L2_Dn 시그널 리스트
1.1.1 CL2_Measurement_Control 시그널
Tresolution, Tmo, Tinactivity, M ActivationTime, Tttt, Pattern,
Repetition, ReportMethod, ReportInterval, alpha_coefficient
1.1.2 CL2_TransitionInfoFromActiveActiveToActiveSleep 시그널
Activation Time, Tsleep, Ts.wk, Pattern
1.1.3 CL2_TransitionInfoActiveSleepToActiveActive 시그널
Activation Time
1.2 eNB L2 -→ eNB RNL-RRC(XU) : CSAP_L2_Up 시그널 리스트
1.2.1 CL2_Measurement_Report (L2-> RNL(RRC)) 시그널
Event trigged(1A, 1D, 1F) Report, Periodical Report,
Mean(IAT)forTmo, Var(IAT)forTmo
1.2.2 CL2_TransitionAck (x ack, y ack) 시그널
1.2.3 CL2_TransitionRequestToLTE_IDLE 시그널
2. B 채널 : eNB RNL-RRC(XU) ↔ UE L3 RRC(XU) 간 메시지 정의 : eNB RNL-RRC(XU) 입장에서는 LOCH_CTRL 채널
2.1 eNB RNL-RRC(XU) -> UE L3-RRC(XU) : eNB RNL-RRC(XU) 입장에서는 LOCH_CTRL_Dn 시그널 리스트
전달경로 : eNB RNL-RRC(XU)→loch_ctrl_dn→DCCH→trch_ctrl_dn→DL-SCH→phy_dn→PDSCH→B_dn→UE(B_dn)→PDSCH→phy_dn→DL-SCH→trch_ctrl_dn→trch_ctrl_dn→DCCH→loch_ctrl_dn→ UE L3-RRC(XU)
2.1.1 RRC_TrasitionFromActiveActiveToActiveSleep 시그널
Activation Time, Tsleep, Ts,wk, Pattern
2.1.2 RRC_TransitionFromActiveSleepToActiveActive 시그널
Activation Time
2.2 UE L3 RRC(XU) → eNB RNL-RRC(XU) : eNB RNL-RRC(XU) 입장에서는 LOCH_CTRL_Up 시그널리스트
전달경로는 2.1 전달경로의 반대 방향
2.2.1 RRC_TransitionAck
메시지 정상 수신 및 적용 완료 (x ack ,y ack)
3. CSAP_UE_L2 채널 : UE L3-RRC ↔ UE L2 간 프리미티브 정의
3.1 UE L3-RRC → UE L2
3.1.1 CL2_TransitionFromActiveActiveToActiveSleep
Activation Time, Tsleep, Ts.wk, Pattern, Repetition.
3.1.2 CL2_TransitionActiveSleepToActiveActive
Activation Time
3.2 UE L2 → UE L3-RRC
3.2.1 CL2_TransitionAck
프리미티브 정상 수신 및 적용 완료(x ack,y ack)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프레임워크 타입 B의 무선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UE(10)의 LTE_ACTIVE_ACTIVE 모드와 LTE_ACTIVE_SLEEP 모드 사이에서 상태천이가 eNB L2(25) 대 UE L2(15)간에 L1/L2 Control Channel 혹은 MAC ControlPDU로 MAC-to-MAC으로 전달되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전달의 기본적인 프레임은 전술한 프레임워크 타입 A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지,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신호들은 논리적인 계층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CASP_L2 채널 : eNB RNL-RRC(XU) ↔ eNB L2간 프리미티브 정의
1.1 eNB RNL-RRC(XU) → eNB L2 : CSAP_L2_Dn 시그널 리스트
1.1.1 CL2_Measurement_Control 시그널
M Activation Time, Tresolution, Tttt, Tmo, Tinactivity,
TIATmargin, Tmo, Pattern, Repetition
1.2 eNB L2 → eNB RNL-RRC(XU) : CSAP_L2_Up 시그널 리스트
1.2.1 CL2_Measurement_Ack 시그널
프리미티브 정상 수신 및 적용 완료(x ack,y ack)
2.B 채널 : eNB L2 ↔ UE L2 간 Control PDU 혹은 L2 전용 채널간 신호 정의 전달경로 : eNB L2→trch_ctrl_dn→DL-SCH→phy_dn→PDSCH→B_dn→UE(B_up) →PDSCH→phy_dn→DL-SCH→trch_ctrl_dn→trch_ctrl_dn→UE L2로의 Control PDU 혹은 L2 전용 제어 채널을 사용할 수 있음 : eNB L2 입장에서는 TRCH_CTRL 채널
2.1 eNB L2 → UE L2 : eNB L2 입장에서는 LOCH_CTRL_Dn 시그널리스트
2.1.1 MACtoMAC_TrasitionFromActiveActiveToActiveSleep
Tsleep (약 13bit), Ts.wk (약 13 bit), Pattern(약 8bit),
ActivationTime
2.1.2 MACtoMAC_TransitionFromActiveSleepToActiveActive
ActivationTime
2.2 UE L2 → eNB L2 : eNB L2 입장에서는 TRCH_CTRL_Up 시그널 리스트
전달경로는 2 전달경로의 역순형태로 Control PDU 혹은 L2 전용 채널 이용가능함
2.2.1 MACtoMAC_TrasitionAck 시그널
Control PDU내 정상 수신 및 적용 완료(x ack,y ack) 혹은 HARQ
ACK로 기지국에서 2.1.1과 2.1.2에 대한 ACK를 처리할 수도 있음
이동통신단말기의 LTE_ACTIVE 상태에서의 파워 절약을 지원하기 위한 위 두 실시예는 단독으로 뿐 아니라, 각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워크 A, B 를 하이브리드 형태로 혼용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 A에서 정의된 프리미티브나 메시지 정의를 B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형태라면 eNB RNL-RRC(XU) 뿐만 아니라 eNB L2에서도 x, y 상태천이를 지시할 수 있다. 단, eNB RNL-RRC(XU)의 지시를 우선하여 처리하는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앞서 기술한 두가지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워크들에서의 용어를 아래와 같이 공통적으로 정의한다.
a. Tresolution : eNB L2 계층에서 제어할 수 있는 최소시간 (예, 하드웨어 적으로 1ms 인터럽트 받아서 처리하는 수준이라면 Treolution=1ms) 으로 SFN (예 : 0에서 4095)과 같은 시간 값을 반복하는 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0,1,2,...,4095,0,1,...,4095,...). 시간관리의 최대값(위 예에서 4095)은 파워 절약을 위한 최대주기에 맞추어 별도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b. Tmo : 하향 패킷특성 관측을 위한 인터벌로 항상 Tresolution의 양의 정수배가 된다. 예를 들어, Tresolution이 1ms 이고 n=100이라하면 Tmo는 100 ms으로 0.1초의 관측시간이다. 반대로 n=1이면 Tresolution과 Tmo는 1ms로 서로 같다.
c. Tinactivity : eNB RNL-RRC(XU)와 UE L3-RRC와의 시그널링에 의해 B 채널이 열린 직 후에 Tinactivity 시간동안의 INACTIVITY Timer를 셋 시키고 이 타이머에 의한 시그널이 오는 동안 패킷이 한 개도 도착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LTE_ACTIVE_ACTIVE 혹은 LTE_ACTIVE_SLEEP상태에서 LTE_IDLE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나 타이머에 의한 시그널이 도착하기 전에 패킷이 도착하면 그 시점에서 과거의 INACTIVITY Timer는 리셋되고 다시 그 시점부터 다시 INACTIVITY Timer를 설정한다.
d. M ActivationTime : eNB L2가 관측을 시작하는 시점으로 0이면 관련 프리미티브를 받은 시점부터 적용하고 그 이외의 값은 Tresolution 를 통해 얻어지는 시간 관리 값을 기준으로 M Activation값과 시간관리 값이 일치하는 경우부터 하향 트래픽 관측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프리미티브를 받은 시점이 SFN 200이고 M Activation Time이 300이면 100ms 후부터 관측을 수행한다.
e. Mean(IAT)forTmo : Tmo 기간 동안에 도착한 패킷의 총 샘플에서 샘플간 상호도착시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f. Var(IAT)forTmo : 현재 관측시점을 포함한 현재관측시점에서 이전 Tmo 기간동안 도착한 패킷의 총 샘플을 대상으로 한 표준편차이다.
g. Tttt : Mean(IAT)forTmo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한 이벤트 1A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TimeToTrigger 마진 시간값이다.
h. Mean(IAT)margin : Mean(IAT)forTmo가 충분한 변화를 반영하여 이벤트 1D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 히스테리시스 평균 마진 값이다.
i. Mean(IAT)threshold : 측정된 Mean(IAT)forTmo 값을 관측하면서 이 값이 Mean(IAT)threshold 보다 커지면 LTE_ACTIVE_SLEEP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임계값.
i. Event의 정의 - Event 1D Hysteresis
현재 관측시점에서의 Mean(IAT)forTmo값이 Mean(IAT)threshold + Delta(IAT)margin 값보다 커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j. Event의 정의 - Event 1A (Time-to-Trigger)
현재 관측시점에서 Mean(IAT)forTmo값이 Mean(IAT)threshold 값보다 작아진 시점에서 Tttt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작아진 경우
k. Pattern : 8bit로 정의하여 (0..255)까지 256개의 패턴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패턴 0 은 Tsleep을 처음 결정된 시간을 고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1부터 255까지는 각각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이 상호 약정한 패턴들을 정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1번 패턴은 Tsleep*n을 두고 n=1, n=3, n=5식으로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패턴으로 정의할 수 있다.
l. Repetition : 예를 들어 Pattern 1이 Tsleep*n에서 n을 1, 3, 5 라는 패턴으로 변화시킬 때 n=1인 Tsleep을 몇 번 반복시키느냐에 관한 파라메터이다. 예를 들어 이 값은 (0..255)의 값을 가지는 8비트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술한 Pattern 1을 사용하고 Repetition을 3이고 Tsleep 초기값이 10ms이면 Tsleep의 변화는 10, 10, 10, 30, 30, 30, 50, 50, 50….의 형태로 조정된다.
m. ReportMethod : 기지국 L2가 L3에게 보고하는 지침으로 0이면 주기적으로 1이면 Event Trigger 방식으로 한다.
n. ReportInterval : ReportMethod를 periodic으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기지국 L2가 L3에게 보고하는 시간 주기를 의미한다.
o. Activation Time : x (LTE_ACTIVE_ACTIVE->LTE_ACTIVE_SLEEP) 상태천이 y(x의 반대) 상태천이가 일어나는 시점.
p. alpha_coefficient :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Mean(IAT)forTmo *계수값”과 현재 시점에서의 Delta(IAT)forTmo 값 비교를 위한 계수값으로 IAT의 규칙성을 보기 위한 것이다.
q.Event의 정의 - Event 1F Distribution
현재 관측시점에서의 “Mean(IAT)forTmo *계수값”과 현재 시점에서의 Delta(IAT)forTmo과 비교하여 후자가 전자보다 작아지는 경우의 Event 1F 가 발생한다.
실시예 1에 따른 프레임워크 A 이든지 실시예 2에 따른 프레임워크 B이든지 그리고 그 혼용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든지 핵심적인 부분은 하향 트래픽 패턴의 특성에 따라 x, y 로의 상태천이를 결정하는 방법과 Tsleep를 어떻게 조정하는가의 방법이다.
도 6a는 기지국인 eNB L2(20-1)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중 초기화 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프레임워크 A를 기반으로 한다. 도 6a에서 eNB L2의 상태는 eNB_L2_DRX_ACTIVE 모드와 eNB_L2_DRX_ACTIVE_ACTIVE 모드와 eNB_DRX_ACTIVE_SLEEP 모드의 세가지 상태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 L2 DRX 관리 태스크가 시작되어 필요한 변수들을 초기화하고 나면 기지국은 eNB_L2_DRX_ACTIVE 상태에 있게 된다. 초기화 과정에서 downlink_inacktivity_flag, downlink_toggle_flag, M_ActivationTime_flag, SLEEP_DL_SCHEDULING_FLAG 의 플래그들이 초기화된다. eNB_L2_DRX_ACTIVE 상태에서 eNB_L2-DRX 관리 태스크의 ACTIVE 상태 천이가 이루어진다.
도 6c에서는 도 4의 하단부 상태 변화 중 1 transition (LTE_IDLE->LTE_ACTIVE_ACTIVE)가 되면 eNB L2 DRX 태스크는 LTE_ACTIVE_ACTIVE 상태에서 eNB L3 RNL-RRC로부터 CL2_MeasurementControl이라는 프리미티브를 받게 된다. 이 프리미티브를 받은 eNB L2 DRX 태스크는 이 프리미티브로부터 온 파라미터 들을 내부 변수에 저장(Store 0)하며 특히 CL2_Measurement_Control_Flag 를 1로 셋팅한다. 이 플래그가 0 이면 특정 UE의 한 세션에서 그 트래픽 특성에 대한 측정기준값을 지시하는 CL2_MeasurementControl 프리미티브를 안 받았다는 의미이고 반대로 1이면 받았다는 의미이다.
도 6b에서 eNB L2 DRX 태스크는 모든 상태(eNB_L2_DRX_ACTIVE, eNB_L2_DRX_ACTIVE_ACTIVE, eNB_DRX_ACTIVE_SLEEP)에서 시간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HW Interrupt가 1ms의 주기로 발생한다면 이를 가지고 SFN을 0에서 4095로 연속 계산하여 시스템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HW Interrupt는 포괄적 개념으로 구현에서는 클록 자체의 펄스폭으로 SFN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SFN을 알 수 있는 상황을 전제로 CL2_Measurement_Control_Flag가 1인지를 본다. 이 플래그는 eNB L2 DRX 태스크가 그 UE의 세션에 대하여 CL2_MeasurementControl이라는 프리미티브를 한번이라도 받았는가를 의미한다 (도 6c 참조). CL2_Measurement_Control_Flag가 1이면 M_ActivationTime_Flag가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M_ActivationTimeFlag는 CL2_MeasurementControl 프리미티브에서 지시한 M_ActivationTime (측정시작시간)이 이미 지났는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플래그로 0면 안 지난 것이고 1이면 지나지 않은 것이다. 도 6b에서 M_ActivationTime과 SFN(시스템 관리시간)이 같으면 M_ActivationTime_Flag를 1로 셋팅하여 Caculation_A를 수행한다. M_ActivationTime_Flag가 1로 셋팅되면 M_ActivationTime_Flag 비교루틴에서 False가 되고 Tresolution_IncrementOfSFN에서 CL2_MeasurementControl 프리미티브에서 온 Tresolution의 증가 시간이 되면 Calculation_A를 수행하고 아니면 Calculation_A를 수행하지 않는다. Caculation_A에서는 아래와 같은 측정을 수행하여 Event 1A, Event 1B, Event 1F를 결정하여 CL2_Measurement_Report라는 프리미티브를 통해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eNB RNL-RRC(XU)에게 보고한다.
<<Calculation_A>>
단계 1. 현재 시간을 포함하여 이전 Tmo 동안 온 다운링크 패킷간 IATi를 Mean(IAT)forTmo를 구하고 Var(IAT)forTmo를 구한다.
단계 2. Mean(IAT)forTmo가 “Mean(IAT)threshold+Mean(IAT)margin”보다 크면 Event 1D로 인식한다.
단계 3. Mean(IAT)forTmo가 “Mean(IAT)threshold” 초과하면 TimeToTriggerFlag=1로 셋팅한다. 이하이면 TimeToTriggerFlag=0로 셋팅한다. TimeToTriggerFlag가 =1로 셋팅된 시점의 ”TTT 시스템시간”을 기록한다.
단계 4. ”TTT 시스템시간”- 현재 시스템시간이 ”이 Tttt보다 크고 TimeToTriggerFlag가 1이면 Event 1A로 인식한다.
단계 5. “Mean(IAT)forTmo *alpha_coefficient”와 현재 시점에서의 Delta(IAT)forTmo과 비교하여 후자가 전자보다 작아지는 경우의 Event 1F 발생한다.
eNB RNL-RRC(XU)가 eNB L2 DRX 태스크로부터 도 6b와 같이 CL2_MeasurementReport를 통해 Event, Mean(IAT)forTmo, Var(IAT)forTmo을 받으면 도 6f과 같은 CL2_TransitionInfoFromActiveActiveToActiveSleep 혹은 CL2_TransitionInfoFromActiveSleepToActiveActive와 같은 프리미티브로 이동단말기의 상태천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의 B)채널을 통한 2.1.1과 2.1.2 신호들을 통해 eNB RNL-RRC(XU)의 상태천이를 지시를 받는다. eNB L2 DRX 태스크가 CL2_TransitionInfoFromActiveActiveToActiveSleep정보를 받으면 SLEEP_DL_SCHEDULING_FLAG가 1로 셋팅되고 다운링크 스케줄러는 단말이 Tsleep이 실행되는 ActivationTime, Tsleep, Ts.wk, Pattern을 고려하여 다운링크 패킷을 관리하며 이 때 상태는 eNB_L2_DRX_ACTIVE_SLLEP상태로 천이한다. eNB_L2_DRX_ACTIVE_SLEEP상태에서 eNB_L2_DRX_ACTIVE_ACTIVE상태로 천이하기 위해서는 eNB RNL-RRC(XU)가 CL2_TransitionInfoFromActiveSleepToActiveSleep 프리미티브를 받아야 한다. 이 프리미티브를 받으면 SLEEP_DL_SCHEDULING_FLAG를 0로 셋팅함으로서 다운링크 스케줄러가 이동통신단말기가 ActivationTime부터 LTE_ACTIVE_ACTIVE상태가 된다는 것을 알고 SLEEP모드에서의 스케줄링 방식에서 빠져 나온다.
도 4에서 2 혹은 3의 상태천이는 도 6a와 같은 플로우에 의해 트리거 될 수 있다. downlink_inacktivity_flag는 초기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0로 셋팅되고 도 6c에서와 같이 eNB CL2_MeasurmentControl 프리미티브가 도착하면 이 프리미티브로 부터 오는 Tinactivity에 의해 Tinactivity 시간만큼의 TimerTinactivity를 셋팅한다. 도 6d와 같이 eNB L2 DRX 태스크의 eNB_L2_DRX_ACTIVE_ACTIVE, eNB_L2_DRX_ACTIVE_SLEEP상태에서 Downlink 패킷 (DownlinkPacket_From_LOCH_DATA_DN )이 도착하면 downlink_inacktivity_flag를 1로 셋팅하고 Store_A를 수행하는 데 이는 이러한 채널로 들어 온 이전 패킷저장시간에서 현재패킷저장시간의 차인 IAT(Inter Arrival Time)을 저장한다. 그리고 TimerTinactivity를 리셋하고 다시 다운링크 패킷을 받은 시점에서 TimerTinactivity를 셋하고 downlink_inacitivity_flag를 0로 설정한다. 도 6e에서 TimerTinactivity 시그널이 eNB_L2_DRX_ACTIVE_ACTIVE, eNB_L2_DRX_ACTIVE_SLEEP 상태에서 도착하면 downlink_inactivity_flag가 0면 eNB RNL-RRC(XU)로 CL2_TransitionRequestToLTE_IDLE이란 프리미티브를 전송하고 eNB RNL-RRC(XU)는 그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무선 채널을 고려하여 Inactivity를 결정하면 UE L3-RRC와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도 4의 1 혹은 3번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천이를 만든다.
FRAMEWORK B 타입에서는 도 6a에서 transitionToActiveFlag가 추가되어 도 7a와 같이 0로 초기화되며 도 6e의 과정없이 도 6b와 도 6d가 도 7b와 도 7d로 바뀐다. 도 7d에서 와 같이 eNB L2 DRX 태스크 eNB_L2_DRX_ACTIVE_SLEEP상태에서 DownlinkPacket_From_LOCH_DATA_DN이 오면 transitionToActiveFlag를 1로 셋팅하고 이 패킷을 받은 시점이 Ts.wk이 아니면 eNB_L2_DRX_ACTIVE_SLEEP상태를 유지하고 Ts.wk이었다면 도 5의 B_dn 채널로 MACtoMAC_TransitionFromActiveSleepToActiveActive를 통해 이동단말기의 State를 x 상태천이 시킨다. 도 7b에서 SLEEP_DL_SCHEDULING_FLAG값 0면 현재 상태가 eNB_L2_DRX_ACTIVE_ACTIVE상태를 의미하고 1이면 현재 상태가 eNB_L2_DRX_ACTIVE_SLEEP상태를 의미한다. eNB_L2_DRX_ACTIVE_ACTIVE상태에서는 추가도니 플로우는 Event를 보고 받고 TransitionDecision을 결정하여 이동단말기의 y 천이를 결정하면 Tsleep, Ts.wk, Pattern을 결정하고 SLEEP_DL_SCHEDULING_FLAG를 1로 셋팅하고 도 5의 B_dn 채널을 이용하여 MACtoMAC_TransitionFromActiveActiveToActiveSleep 시그널을 이용하여 Tsleep, Ts.wk, Pattern을 이동단말기로 내려 보낸다. 반면에 eNB L2 DRX 태스크의 상태가 SLEEP_DL_SCHEDULING_FLAG=1(eNB_L2_ACTIVE_SLEEP)이라면 transitionToActiveFlag를 보고 1이면 현재 시점이 Ts.wk인지를 파악하여 transitionToActiveSleepFlag를 0으로 설정하고 이때 이동단말기로 MACtoMAC 시그널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MACtoMAC_TransitionFromActiveSleepToActiveActive 시그널을 보낸다. 이 시그널에는 ActivationTime이 포함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y 상태천이 시점을 맞출 수 있다.
FRAMWORK A 기반의 도 6d와 FRAMEWORK B 기반의 도 7d가 다른 점은 eNB_L2_DRX_ACTIVE_SLEEP 상태에서 DownlinkPacket_From_LOCH_DATA_DN 패킷을 받은면 transitionToActiveFlag를 0로 셋팅하고 Calculation_A를 리셋시키고 Ts.wk 포 인트라면 그림 5의 B_dn채널로 MACtoMAC_TrasitionFromActiveSleepToActiveActive을 이동단말기의 L2로 보낸다. 이 시그널에는 ActivationTime이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에 LTE_ACTIVE_ACTIVE되는 시점을 맞출 수 있다.
아래의 기술은 플로우 차트에서 빠져 있는 x transition의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며 이것은 FRAMEWORK A의 eNB RNL-RRC(XU)와 FRAMEWORK B eNB L2에 적용할 수 있다.
Event_1F 발생 - Persistent Scheduling으로 판단하여 Tsleep를 Mean(IAT)forTmo 수준에서 결정하고 Pattern, Repetiton은 각각 0, 0로 하여 패턴이 없고 패턴 Repetition도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Event_1A 발생 - Dynamic Scheduling으로 판단하여 Tsleep를 Mean(IAT)forTmo 수준에서 결정하고 Pattern을 주며 Repetiton을 크게 한다. (즉, Tsleep의 주기가 작은 속도로 커짐)
Event_1D 발생 - Dynamic Scheduling으로 판단하여 Tsleep를 Mean(IAT)forTmo 수준에서 결정하고 Pattern을 주며 Repetition을 짧게 한다. (즉, Tsleep의 주기가 빠른 속도로 커짐)
FRAMEWORK A를 기반으로 한 플로우 차트 도 7에서 FRAMEWORK B와의 차이점은 도 7-2와 도 8-2로 대체하고 도 7-6을 없애면 된다. 이는 실질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x, y transition을 eNB L2가 결정하여 MAC-To-MAC 신호로 전달한다는 점에 차이 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지상태모드에서 시간에 따른 무선접속모듈의 전력소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접속방법이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율과, 무선접속모듈의 전력소모량의 일 예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모드의 제어 방법과 관련된 프레임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워크 하에서 구현 가능한 모드간의 천이 및 관리에 관련된 보다 구체화된 프레임워크들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이동통신단말기와 전용무선채널을 설정한 상태에서 기지국이 처리하는 무선접속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
    a2) 단말기에서 측정된 기지국과 해당 단말기와의 트래픽 특성을 나타내는 패킷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a3) 수신한 패킷 트래픽 정보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모드를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간에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b) 해당 단말기로 전환을 명령하는 명령과 전환 주기에 관련된 타이밍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메시지(들)이 기지국의 무선 네트워크 계층(RNL)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메시지(들)이 기지국의 매체접근제어(MAC : Media Access Control) 계층 (L2)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4. 삭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트래픽 정보는 :
    일정 기간안에 도달한 패킷의 샘플간 도착시간간격의 평균값과, 그 표준편차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단계 a2) 이전에
    a1) 단말기가 측정할 파라메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는 :
    관측시작시점값(M ActivationTime)과, 패킷특성관찰주기값(Tmo)과, 활성상태전환임계값(Tinactivit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메시지(들)이 기지국의 물리계층과 MAC계층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9. 기지국과 무선채널을 설정한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무선접속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
    s)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측정에 관련된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t) 수신한 파라메터에 따라 패킷 트래픽을 측정하는 단계와;
    u) 측정된 패킷 트래픽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v) 기지국으로부터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간에 전환하라는 모드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w) 수신한 명령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태를 천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무선접속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v)에서 수신한 모드전환 명령이 :
    전환 주기에 관련된 타이밍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무선접속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에서 수신한 파라메터는 :
    관측시작시점값(M ActivationTime)과, 패킷특성관찰주기값(Tmo)과, 활성상태전환임계값(Tinactivit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제어방법.
KR1020070136073A 2007-12-24 2007-12-24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KR10094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73A KR100948689B1 (ko) 2007-12-24 2007-12-24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EP08160015A EP2076081A1 (en) 2007-12-24 2008-07-09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73A KR100948689B1 (ko) 2007-12-24 2007-12-24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453A KR20090068453A (ko) 2009-06-29
KR100948689B1 true KR100948689B1 (ko) 2010-03-24

Family

ID=4051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073A KR100948689B1 (ko) 2007-12-24 2007-12-24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076081A1 (ko)
KR (1) KR100948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4816B (zh) * 2009-07-23 2015-07-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控制移动无线电接收器接收送往多个接收器的信号
GB2484347A (en) * 2010-10-08 2012-04-11 Nec Corp Initiating energy saving mode based on the activity of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over an LTE-A interface
US9301251B2 (en) 2011-07-05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base station initiated energy savings within an associated user equipment
EP2869643A1 (en) * 2013-10-30 2015-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aving power in a user equipment
CN111436100B (zh) * 2019-01-11 2024-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14760922A (zh) * 2019-12-02 2022-07-1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排尿量测量装置、排尿量管理***、排尿量测量方法以及程序
WO2024019286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Twt 모드 또는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836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방법
KR20060131655A (ko) * 2005-06-15 2006-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의 상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60131049A (ko)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장치 및 방법
KR20070016452A (ko) * 2005-08-03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망에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67B1 (ko) * 2005-12-10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서 단말기의전력 절감 성능 개선을 위한 확장된 호출 지시자 기반의적응적 불연속 수신 방법
US7916675B2 (en) * 2006-06-20 2011-03-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im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836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방법
KR20060131655A (ko) * 2005-06-15 2006-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의 상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60131049A (ko)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장치 및 방법
KR20070016452A (ko) * 2005-08-03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망에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6081A1 (en) 2009-07-01
KR20090068453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9898B2 (en) Method and arrangments for an event triggered DRX cycle adjustment
EP2574136B1 (en) Implicit DRX cycle length adjustment control in LTE active mode
RU2414067C2 (ru) Способ для перехода между множественными уровнями приема
EP1964289B1 (en) Method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cellular system
US8452244B2 (en)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060153B2 (en)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equipment having variable measurement peri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4868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무선접속상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
KR2008008453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20160095065A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US8560025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cellular system
KR20150041012A (ko) 과잉 송신기 시그널링을 블록킹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65565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EP2749116B1 (en) Controlling radio connection states
Liu et al. Optimization of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peration during intra-LTE handover
KR101084125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전력소모방지모드에서의 하향트래픽 알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