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733B1 -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 Google Patents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733B1
KR100947733B1 KR1020080021445A KR20080021445A KR100947733B1 KR 100947733 B1 KR100947733 B1 KR 100947733B1 KR 1020080021445 A KR1020080021445 A KR 1020080021445A KR 20080021445 A KR20080021445 A KR 20080021445A KR 100947733 B1 KR100947733 B1 KR 100947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zeolite
improving
weight
product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083A (ko
Inventor
이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08002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7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C09K17/46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the inorganic compound being a water-soluble silic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1/00Agricultural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산물비료와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토양개량재로서, 여기에 피트모스가 포함된 토양개량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토질과 유기물이 부족하고 직간접적인 염류 피해로 식물생육이 불량한 토양을 개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양개량재, 부산물비료, 제올라이트, 피트모스

Description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Soil conditioner for improving coast planting}
본 발명은 토양개량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토질과 유기물이 부족하고 직간접적인 염류 피해로 식물생육이 불량한 토양, 예를 들어 해안사구 등을 개량하고, 나아가 식물의 정착을 도모하여 바람에 의한 먼지 또는 모래의 비산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토양개량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개량이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건전하지 못한 토양을 개선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식물의 생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토양에서의 물의 이동, 공기의 유통 등 원활한 물질순환을 위해 토양골격을 개량하는 자재인 유기질 자재, 광물 및 무기질 자재, 미생물 자재,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등을 총칭해서 토양개량재(土壤改良材)라고 한다(류순호, 2003, 토양사전).
토양개량재로 주로 사용되는 자재로는 유기질비료, 퇴비, 피트, 코코피트, 피트모스 등의 유기질 자재와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황토 등의 무기질 자재, 그리고 Na-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등의 고분자물질 등이 있다. 이들 자재들은 토양의 입단구성을 촉진하여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하거나,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켜 유기물에 의한 순기능을 강화시키거나, 토양의 입자분포가 식물 생육에 유리하게 변화하도록 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것들이다. 또한 하수슬러지, 맥주오니, 석탄회 등 생활 및 산업폐기물을 토양개량재로 재활용하기도 한다.
이들 토양개량재는 보통 단독의 소재만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 자재와 무기물 자재를 적절히 혼합하여 여러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토양개량재에 관한 기술과 특허 출원과 관련한 동향은 다음과 같다.
“토양개량재 제조방법 및 그 토양개량재 (등록번호 10-0465625)”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버텀 애쉬를 선별하여 운반한 뒤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공정, 건조된 버텀 애쉬를 미립자로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는 공정, 토양개량재의 조건에 맞는 광물질을 선별하여 운반하고 세척한 뒤 건조시키는 공정, 건조된 광물질을 미립자로 분쇄하여 분말화 시키는 공정 그리고 이들 버텀 애쉬 분말과 광물질 분말을 혼합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되 토양개량재의 성분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는 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물자원을 이용한 토양개량재 및 그 제조방법 (등록번호 10-0699008)”은 가용성 규산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작물의 성장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분을 직접 공급하여 작물의 품질 개선 및 수확량을 증대함을 목적으로 6㎜이하의 입도를 갖는 규산염광물, 각각 Ca, Mg, S, Mn, Cu, Zn, Mo, Cl 중 하나 이상을 갖는 황화광물 및 탄산염붕산염광물이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각각 85~90중량%, 5~10중량%, 5~1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토양개량재 제조방법 (등록번호 10-0599241)”은 제올라이트를 주체로 이를 분쇄하여 분말을 만들고 여기에 약간의 보조재료를 첨가한 후 과립으로 성형하여 소성함으로써 투수성을 극대화하고 아울러 보수성과 보비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셀레늄 및 님오일을 이용한 유기농산물의 친환경 재배방법 (등록번호 10-0760240)”은 셀레늄(Selenium)과 님 케이크(NEEM-CAKE :분말)를 1 : 1 혼합하여 토양에 1차 시비하는 단계와 1차 시비된 토양에 야채류 또는 과실류를 파종 또는 모종하는 단계, 셀레늄(Selenium)과 님오일(NEEM-OIL)을 1 : 1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1 : 500의 비율로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희석액을 토양에 1차 엽면시비하는 단계와 1차 엽면시비후 5내지 6일 간격으로 3 내지 4회 엽면시비하여 병충해 방지 및 성장촉진시키는 셀레늄 및 님(NEEM)성분을 이용한 유기농작물의 친환경 재배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수분조절제 및 팽화제로 해조류 부산물을 첨가한 부산물 비료 제조방법 (등록번호 10-0779758)”은 해조류 부산물을 부산물비료 제조공정의 수분조절제·팽화제로 이용함으로써 해조류 부산물로 인한 연안 해양환경 오염부하 경감, 부산물비료 제조공정에서 톱밥이나 수피와 같은 유기질 자원 대체 효과 그리고 사용가능한 양질의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순환시스템을 구축과 관련된 발명으로서, 육상에 서 얻을 수 있는 부산물비료 유기재료에 비해서 다양한 무기성분 뿐만 아니라 옥신과 사이토키닌과 같은 식물생장호르몬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일반 부산물비료 보다 식물영양학적, 토양물리·화학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양질의 부산물비료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기술 이외에도 토양개량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재료와 재료의 구성 비율, 가공방법에 따라 무수히 많기 때문에 일일이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토양개량재가 적용되는 토양은 농업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없어 그 특성이나 관리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지역의 식재지 조성을 위한 토양개량재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유사한 것으로 임해매립지용이나 간척지용 토양개량재가 있다. 하지만 임해매립지나 간척지는 구조가 치밀하고 투수성이 불량하고, 주변의 산에서 캐온 토양으로 복토되어 있어 해안가의 사질 토양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 토양개량재가 적용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농촌진흥청 토양분류를 근거로 해안토양은 하해범람지(토양부호, BRS)로 분류되고 있는 곳으로 주로 해안선의 모래사장에서 경작지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구간에 위치한다. 하해범람지는 경작을 할 만한 경제성이 없어 토양관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해안토양과 가장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토양을 찾는다면 해리통(海里統, Haeri Series, 토양부호 Hu)으로 분류되는 지역이 된다. 해리통은 하해혼성충적층을 모재로 하며 해안사구에 분포되어 있는 퇴적토로서 mixed, mesic family of typic quartzipsamments로 분류된다. 금진통과 서로 인접하여 있고 토양배수는 매우 양호하며 유효토심은 10~30cm로 얕다. 표토는 갈색의 양질세사토이며 심토는 담황갈색의 세사토이다. 자연비옥도는 보통이고 유기물함량은 1.0% 이하로 매우 적다. pH 5.0~6.0의 약한 산성이고 양이온교환용량은 5 cmolc kg-1 이하로 매우 낮다. 염기포화도는 60% 이상으로 높고 유효인산함량은 120 mg kg- 1으로 높은 편이다. 해리통에 속하는 토양의 특성을 간단히 요약하면, 토양배수가 매우 양호하고 투수성은 매우 빠르며 유거는 느리거나 매우 느리다는 것과 대부분 불모지이며 약간은 밭으로 이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토양을 관리할 때 양분 및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낮은 사질이므로 유기물의 다량시용으로 물리적 성질을 개량하고, 건조와 강풍에 강한 작물을 선택하며, 부초, 피복작물의 선택 등으로 항상 땅이 피복되게 하여 바람에 의한 침식(모래 비산)이 없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류순호, 2000, 토양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한편 해안가 토양은 상기의 해리통 토양과 토양생성과정이 거의 같으나 바닷가에 더 근접하고 있어 해리통 토양 보다 더 불모지로 방치되어 있으며, 듬성듬성 자라는 해안가 식물과 해송과 같은 방풍림 정도가 자라고 있다.
해안가 토양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들 토양은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형태적으로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평지와 바람에 의하여 날아온 느슨하고 균일한 모래 입자로 이루어진 낮은 봉우리, 산등성이, 제방 또는 언덕 즉 사구(sand dune, dune)를 형성한다. 이 때 해안사구(maritime dune)는 항상 부는 바람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대칭형이며 경사는 바람방향으로 완만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해안사구는 바람에 의해 불안정하게 전진하며 매년 수 m씩 움직인다. 따라서 식생이 없는 사구는 이곳저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 때문에 해안가에는 풍식에 의한 모래의 비산으로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은 물론 식물의 정착을 어렵게 하여 주변의 경관을 개선하려는 시도에도 어려움을 준다. 또한 해안가 토양은 일반토양에 비해 모래함량이 높아 토양의 투수성은 현저히 높은데 비해 보수력은 반대로 매우 낮고, 보비력도 상당히 떨어진다. 그리고 바닷바람에 실려 오는 염분의 영향과 때때로 해수의 범람으로 직접적인 해수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기존의 해안토양에 관한 연구는 주로 생태학적으로 접근하였기 때문에 해안사구 토양의 자체 특성과 그 위에 자라는 자생식물의 분포와의 상관관계 등 현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대부분이었고 식생복원을 위한 적극적인 토양개량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점토질과 유기물이 부족하고 직간접적인 염류 피해로 식물생육이 불량한 토양, 예를 들어 해안사구 등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개량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부산물비료와 제올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피트모스를 포함하는 토양개량재.
(2) 상기 (1)에 의한 토양개량재에 하이드로볼이 더 포함된 토양개량재.
(3) 상기 (1)에 의한 토양개량재에 켈프밀이 더 포함된 토양개량재.
(4) 상기 (1) 또는 (2)에 의한 토양개량재에 님유박이 더 포함된 토양개량재.
(5) 상기 (3)에 의한 토양개량재에 고흡수성폴리머가 더 포함된 토양개량재.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점토질과 유기물이 부족하고 직간접적인 염류 피해로 식물생육이 토양, 예를 들어 해안사구 등을 개량할 수 있다. 나아가 식물의 정착을 도모하여 바람에 의한 모래의 비산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 게 조성된 녹지로 인해 주변 경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부산물비료와 제올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피트모스를 함유하는 해안토양 개량용 토양개량재를 제공한다.
상기 부산물 비료는 농림축수산업, 제조업 또는 판매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 인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등 비료성능이 있는 물질로서 농림부장관이 지정한 것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퇴비를 말한다. 이 부산물 비료는 본 발명의 토양개량재의 주요 구성자재로 유기물과 질소, 인산, 칼리 등의 대량원소와 기타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서 축분과 수분조절제인 톱밥을 주성분으로 하며, 충분한 부숙기간을 거쳐 안정된 퇴비로 생산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나아가 부숙과정에서 한약재 부산물 또는 채종유박 등이 더 첨가되어도 좋다.
다른 주성분으로서 제올라이트는 미세한 다공질의 규산염 광물질로 천연 및 합성 제올라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천연 제올라이트는 클리놉틸로라이트, 모오데나이트, 휼란다이트, 페리어라이트, 에리오나이트 등이 있고, 합성 제올라이트로는 X형 또는 Y형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올라이트는 수분과 비료를 흙보다 20배 정도 보관하는 능력을 갖고 있어 해안토양에 투입했을 때 보수력 및 보비력의 향상과 함께 토양의 완충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개량재는 상기 제올라이트가 부산물비료에 배합된 혼합 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이때 첨가되는 제올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부산물비료와의 혼합물 전체 부피대비 10~20% 배합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와 함께 소정량의 하이드로볼이 더 첨가되는 것이 좋다. 하이드로볼은 흙을 특수고열처리하여 입자내에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성, 보비력, 통기성, 및 보수성이 우수하여 혼용시 상승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치환될 수 있는 양에 특별한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한 부산물비료와의 혼합물 전체 부피대비 1~5% 정도이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피트모스는 염류의 집적을 막아주고 수분의 보수력을 개선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토양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피트모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 함유 부산물비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개량재는 해안토양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켈프밀이 더 첨가되는 것이 좋다.
켈프밀은 해조류에는 육상식물에서 보다 많은 70여종 이상의 미량원소를 함유되어 있고 유기구성성분 중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및 항균특성과 식물생육을 촉진하는 물질과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토양과 작물에 시용함으로서 토양미생물의 활성증진, 토양과 양분유실 억제, 수분유지, 비옥도 증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적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켈프밀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생장조절물질, 즉 옥신(auxin)과 사이토키닌(cytokinin)은 환경 스트레스가 큰 해안토양에서 식물이 건전하게 생육하는데 매 우 유용한 천연호르몬이다.
켈프밀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 함유 부산물비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 첨가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해안 토양개량재는 상기 님유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님은 인도, 베트남 등지의 아열대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로 식물체 자체에 살충과 살균능력이 뛰어난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천연 살충제 및 살균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님은 오일을 짜고 남은 유박을 활용하여 토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유해 미생물과 토양선충과 같은 유해 소동물로부터 식물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님유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 함유 부산물비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중량% 첨가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해안 토양개량재는 고흡수성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폴리머는 토양의 수분조건을 개선하고 입단구조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양개량재로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의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폴리머는 긴 사슬 사이에 수분을 보유하게 되는데, 보통 자체 무게의 100~200배의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이때 저장된 물은 식물의 뿌리가 99% 사용할 수 있는 힘으로 잡혀 있어 토양의 유효수분을 극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액상으로 처리되는 폴리머는 토양 입자를 결합시켜 입단 형성을 촉진하며, 표토의 침식을 막아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고흡수성폴리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 이트 함유 부산물비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첨가된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올라이트 함유 부산물비료 배합물(필요에 따라 하이드로볼 포함)에 피트모스, 켈프밀, 님유박, 고흡수성 폴리머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 좋다.
이때 제올라이트 함유 부산물비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피트모스 0.1~10중량%, 켈프밀 5~10중량%, 님유박 0.1~1중량%, 고흡수성폴리머 1~10중량% 함유하는 토양개량재가 바람직하다.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는 해안식생 개량용으로 특히 적합하며, 해안 토양 10㎡를 개량하기에 적합한 양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토양개량재를 구성하는 상기의 재료들의 개개의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고 상호보완하여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부산물비료는 축분과 수분조절제인 톱밥을 주성분으로 하며, 충분한 부숙기간을 거쳐 안정된 퇴비로 생산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올라이트(X형 제올라이트)는 전체 부피의 20%를 혼합하였다. 이렇게 생산된 제올라이트 첨가 부산물비료 50kg에 피트모스 5kg, 켈프밀 5kg, 님유박 0.5kg,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4kg을 가하고 골고루 혼합하여 본 발명의 토양개량재를 완성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토양개량재는 해안토양 10m2를 개량하기에 적합한 양이 된다.
이와 같이 제조한 토양개량재를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오산리 해변지역 중 도 1과 같이 듬성듬성 식물이 자라나 있는 전이지역과 식물이 전혀 자라지 않는 완전노출지역에 적용하고, 토양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 1 및 2에서와 같다.
토양조사는 식생이 자리 잡은 지역 (식생지역 1(A), 식생지역 2(B))과 식생이 사라지면서 모래사장으로 전이되는 지역 (전이지역 (C)), 그리고 식생이 전혀 없는 모래사장 지역 (완전노출지역 (D))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각의 지역에서 토양 깊이를 0~15cm, 15~30cm, 30~45cm로 나누어 토양을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토양은 풍건시켜 분석용 시료로 만들어 pH, 전기전도도(EC), 유기물함량, 치환성 무기태 질소함량(NH4 +-N, NO3 --N), 유효인산함량, 그리고 치환성 양이온함량(Ca2 +, Mg2+, Na+, K+)을 측정하였다.
<표 1> 유기물 함량의 측정결과 (0~15cm 구간)
구분 식생지역1 식생지역2 전이지역 완전노출지역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유기물함량 (%) 1.14 1.13 0.52 0.54 0.27 0.71 0.03 0.67
<표 2> 무기물 함량의 측정결과 [괄호안의 값은 처리후 6개월 후의 측정결과]
토양 샘플  깊이 Ca Mg K Na
············cmol/kg············
A 0~15 2.25(2.34) 1.67(1.48) 0.31(0.32) 0.42(0.45)
15~30 1.37(1.47) 0.94(0.80) 0.26(0.21) 0.41(0.42)
30~45 0.85(0.84) 0.60(0.57) 0.10(0.12) 0.36(0.38)
B 0~15 0.88(0.83) 0.42(0.36) 0.18(0.20) 0.41(0.39)
15~30 2.05(2.28) 0.41(0.38) 0.23(0.21) 0.40(0.41)
30~45 0.86(0.91) 0.42(0.41) 0.16(0.14) 0.42(0.40)
C 0~15 0.75(1.98) 0.34(1.42) 0.03(0.21) 0.44(0.42)
15~30 0.78(1.36) 0.25(0.67) 0.16(0.25) 0.35(0.41)
30~45 1.45(1.01) 0.31(0.48) 0.10(0.22) 0.48(0.45)
D 0~15 1.02(1.84) 0.39(1.32) 0.12(0.29) 0.50(0.47)
15~30 0.45(1.38) 0.41(0.95) 0.12(0.22) 0.41(0.43)
30~45 1.62(1.12) 0.37(0.60) 0.11(0.18) 0.39(0.42)
이에 의하면 전이지역과 완전노출지역에서의 토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식생지역 1 및 2와 비교할 때 동등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토양개량재에 하이드로볼을 제올라이트를 부피비로 20% 대체하여 동일한 조건하에 토양개량재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개량재는 전이지역(C)와 완전노출지역 (D)에 적용한 결과 하기 표 3 및 4와 같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3> 유기물 함량의 측정결과 (0~15cm 구간)
구분 전이지역 완전노출지역
처리전 처리후 처리전 처리후
유기물함량 (%) 0.27 0.78 0.03 0.74
<표 4> 무기물 함량의 측정결과 [괄호안의 값은 처리후 6개월 후의 측정결과]
토양 샘플  깊이 Ca Mg K Na
············cmol/kg············
C 0~15 0.75(1.99) 0.34(1.52) 0.03(0.32) 0.44(0.54)
15~30 0.78(1.42) 0.25(1.01) 0.16(0.34) 0.35(0.37)
30~45 1.45(1.12) 0.31(0.94) 0.10(0.29) 0.48(0.43)
D 0~15 1.02(1.95) 0.39(1.46) 0.12(0.37) 0.50(0.51)
15~30 0.45(1.51) 0.41(1.10) 0.12(0.34) 0.41(0.40)
30~45 1.62(1.33) 0.37(0.96) 0.11(0.20) 0.39(0.3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해안지역에서의 식생분포를 보여주는 토양단면의 예시도.

Claims (5)

  1. 축분과 톱밥으로 이루어진 부산물비료, 제올라이트, 피트모스, 켈프밀, 님유박, 하이드로볼 및 고흡수성폴리머를 포함하되,
    상기 제올라이트는 부산물비료와의 혼합물 전체 부피대비 10~20% 포함하고,
    제올라이트 함유 부산물 비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피트모스 1~10 중량%, 켈프밀 5~10 중량%, 님유박 0.1~1 중량%, 및 고흡수성폴리머 1~10중량%를 포함하며,
    제올라이트 함유 부산물 비료 전체 부피에 대하여 하이드로볼 1~5%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21445A 2008-03-07 2008-03-07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KR100947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45A KR100947733B1 (ko) 2008-03-07 2008-03-07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45A KR100947733B1 (ko) 2008-03-07 2008-03-07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083A KR20090096083A (ko) 2009-09-10
KR100947733B1 true KR100947733B1 (ko) 2010-03-17

Family

ID=4129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45A KR100947733B1 (ko) 2008-03-07 2008-03-07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7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689A (ko) * 2004-07-26 2006-02-01 (주)인비트로플랜트 발효 커피박을 함유하는 유기 토양개량제
KR100779756B1 (ko) * 2005-12-23 2007-11-28 조재영 해조류 부산물을 이용한 농업용 육묘상토 제조방법
KR100781388B1 (ko) 2005-12-22 2007-11-30 조재영 방사선조사기술을 이용한 육묘상토의 제조방법
KR20080105532A (ko) * 2007-05-31 2008-12-04 청화산영농조합법인 블루베리 재배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689A (ko) * 2004-07-26 2006-02-01 (주)인비트로플랜트 발효 커피박을 함유하는 유기 토양개량제
KR100781388B1 (ko) 2005-12-22 2007-11-30 조재영 방사선조사기술을 이용한 육묘상토의 제조방법
KR100779756B1 (ko) * 2005-12-23 2007-11-28 조재영 해조류 부산물을 이용한 농업용 육묘상토 제조방법
KR20080105532A (ko) * 2007-05-31 2008-12-04 청화산영농조합법인 블루베리 재배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083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ugna A review on impact of compost on soil properties, water use and crop productivity
CN103650692B (zh) 一种适合高风蚀、水蚀地区的沙地改良方法
Chatterjee et al. Recycling of organic wastes for sustainable soil health and crop growth
Biswas et al. Comprehensive approaches in rehabilitating salt affected soils: a review on Indian perspective
CN105900729A (zh) 一种客土喷播基质及其制备方法
US6419722B1 (en) Recycled soil
US6302936B1 (en) Recycled soil
KR101372905B1 (ko) 도시농업용 용토
KR20020056373A (ko) 무발효 퇴비, 유기질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220134B (zh) 一种以沼气发酵残余物制备的保水混剂土及其方法
CN106397017A (zh) 利用生物可降解废物制备的用于改良河套灌区次生盐碱地的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KR100947733B1 (ko) 해안식생 개량용 토양개량재
CN103283528A (zh) 一种底泥蚓粪复配茄果类蔬菜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Islam et al. Effect of solid waste slurry from biogas plant on soil parameters and yield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KR101403894B1 (ko)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조경용토 및 그 제조방법
JP2001086854A (ja) 培養土および緑化基盤材
KR100979414B1 (ko) 해안토양개량용 토양개량재 및 이를 이용한 해안토양개량방법
RU2301825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почва
Fahreza et al. Effect of sawdust biochar and cow manure application on soil fertility at peanut (Arachis hypogaea L.) land
Surendran Evaluation of Cow Peat as a Plant Growth Media
Shakywal et al. Role of Organic Manure for Improving Soil Health
Parkinson et al. Soils and plant nutrition
El-Maghraby et al. Ameliorating calcareous soil properties and agriculture methods for achieving the sustainable agriculture aspect
Law-Ogbomo et al. Agronomic efficacy of compost manure and NPK fertilizer on some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maize production in an ultisol environment
Shinde et al. Assessment of economic potentiality and employment generation through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in coconut-based crop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