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835B1 -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835B1
KR100946835B1 KR1020070130233A KR20070130233A KR100946835B1 KR 100946835 B1 KR100946835 B1 KR 100946835B1 KR 1020070130233 A KR1020070130233 A KR 1020070130233A KR 20070130233 A KR20070130233 A KR 20070130233A KR 100946835 B1 KR100946835 B1 KR 100946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minate film
bare cell
cros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795A (ko
Inventor
시모야마 요시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7013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8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의 전극의 단면을 라운드 처리하거나 예각 처리함으로써 라이네이트 필름의 밀착부와 전극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라미네이트 필름의 밀봉작업시 생산성 향상 및 시장에서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극, 라미네이트 필름, 밀착성, 베어셀, 전극조립체, 예각

Description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Bare cell using laminate film}
이 발명은 이차전지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의 전극의 단면을 라운드 처리하거나 예각 처리함으로써 라이네이트 필름의 밀착부와 전극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라미네이트 필름의 밀봉작업시 생산성 향상 및 시장에서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전자 제품들은 상용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구동전원으로서 전지 팩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한 전지 팩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를 채용하고 있는데, 상기한 이차전지로서는 니켈-카드늄(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Li) 전지, 리튬 이온(Li-ion)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상기한 이차 전지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충방전 가능한 베어셀과, 상기 베어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충방전을 제어하고 또한 과충방전시 회로를 차단하는 보호회로기판과, 상기 베어셀과 보호회로기판 사이의 틈에 충진되어 보호회로기판이 베어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수지와, 상기 베어셀과 보호회로기판과 수지를 팩킹하여 외부 세트에 장착가능한 형태로 성형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차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베어셀의 정극에 리드를 접속하고, 또한 부극에 피티씨 서미스터(PTC thermistor)를 접속한 상태에서, 보호회로기판을 상기 리드 및 피티씨 서미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이 베어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회로기판과 베어셀 사이의 틈에 수지를 충진하여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다음에 외부장치에 장착 가능한 형태를 갖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일체의 베어셀과 보호회로기판을 팩킹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어셀과 보호회로기판과 수지와 함께 다른 수지로 몰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각각 준비하고 그 사이에 상기 일체의 베어셀 및 보호회로기판을 수납한 후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상호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차 전지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형화, 경량화, 대용량화, 고에너지밀도화, 고성능화, 코스트 다운 등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서 상기한 이차전지의 형상을 원통형, 버튼형으로부터 수납시 체적효율이 우수한 장원형, 각형으로 바꾸기도 하고, 정극활물질과 음극활물질 등의 전극재료를 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것으로 바꾸기도 하고, 세퍼레이터를 보다 얇게 하기도 하 고, 외장재를 스테인리스, 철로부터 알루미늄, 수지의 라미네이트 필름(라미네이트 시트)으로 바꾸기도 하는 등의 기술적 개선이 진행되고 있다.
참고로, 일본국 특개2002-203534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필름(라미네이트 시트)을 이용한 베어셀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전극조립체(10)에는 정극(14)과 부극(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전극조립체(10)와 정극(14)과 부극(15)을 접혀진 라미네이트 필름(22)의 사이에 놓은 뒤에, 상기한 라미네이트 필름(22)의 가장자리의 개구된 3변을 밀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16은 절연필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필름(라미네이트 시트)을 이용한 베어셀의 구조에서는, 전극조립체(10)와 연결되는 정극(14) 또는 부극(15)의 전극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22a, 22b)에 의해서 밀봉되는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14) 또는 부극(15)의 단면형상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은, 위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정극(14) 또는 부극(15)의 전극의 단면형상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어서, 라미네이트 필름(22a, 22b)에 의해서 전극의 밑부분이 밀봉되는 경우에, 라미네이트 필름(22a, 22b)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 밀착부(22c)와 전극(14, 15)과의 사이에 큰 틈(22d)이 생겨 밀착성이 나빠지게 됨으로써 전지로부터 전해액이 누설되거나 라미네이트 필름이 벗겨지게 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은, 라미네이트 필름의 밀봉 작업시 밀봉상태 관리로 인한 생산성 악화 및 시장에서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의 전극의 단면을 라운드 처리하거나 예각 처리함으로써 라이네이트 필름의 밀착부와 전극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이네이트 필름의 밀착부와 전극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높여서 라미네이트 필름의 밀봉작업시 생산성 향상 및 시장에서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이 라운드 처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의 전극의 단면을 라운드 처리하거나 예각 처리함으로써 라이네이트 필름의 밀착부와 전극과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라미네이트 필름의 밀봉작업시 생산성 향상 및 시장에서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 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구성의 요부인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극의 단면 형상을 제외한 베어셀의 전체적인 모습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베어셀의 구성을 따른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은, 전극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전극(31)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32a, 32b)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31)의 단면은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지며, 전극(31)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32a, 32b)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32c)와 전극(31)이 만나게 되는 부위(32d)에서의 전극(31)의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극(31)의 예각 부위는 라미네이트 필름(32a, 32b)의 밀착부(32c)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전극(31)과 라미네이트 필름(32a, 32b)의 밀착부(32c)와의 틈이 최소화된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구성의 요부인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극의 단면 형상을 제외한 베어셀의 전체적인 모습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베어셀의 구성을 따른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은, 전극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전극(41)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42a, 42b)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41)의 단면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전극(41)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42a, 42b)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42c)와 전극(41)이 만나게 되는 부위(42d)에서의 전극(41)의 단면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극(41)의 예각 부위는 라미네이트 필름(42a, 42b)의 밀착부(42c)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전극(41)과 라미네이트 필름(42a, 42b)의 밀착부(42c)와의 틈이 최소화된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구성의 요부인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극의 단면 형상을 제외한 베어셀의 전체적인 모습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베어셀의 구성을 따른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은, 전극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전극(51)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52a, 52b)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51)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극(51)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52a, 52b)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52c)와 전극(51)이 만나게 되는 부위(52d)에서의 전극(51)의 단면이 라운드 처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극(51)의 라운드 처리된 부위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 보다는 못하지만, 라미네이트 필름(52a, 52b)의 밀착부(52c)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전극(51)과 라미네이트 필름(52a, 52b)의 밀착부(52c)와의 틈이 최소화된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구성의 요부인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극의 단면 형상을 제외한 베어셀의 전체적인 모습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베어셀의 구성을 따른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은, 전극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전극(61)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62a, 62b)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61)의 단면은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전극(61)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62a, 62b)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62c)와 전극(61)이 만나게 되는 부위(62d)의 양쪽 주변의 전극(61)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극(61)의 라운드 처리된 부위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보다는 못하지만, 라미네이트 필름(62a, 62b)의 밀착부(62c)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전극(61)과 라미네이트 필름(62a, 62b)의 밀착부(62c)와의 틈이 최소화된다.
도 1은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의 요부 단면 구조도이다.

Claims (6)

  1.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4. 전극조립체와 연결되는 전극의 밑부분이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밀봉되는 베어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이 라운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의 양측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접촉하는 밀착부와 전극이 만나게 되는 부위에서의 전극의 단면은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KR1020070130233A 2007-12-13 2007-12-13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KR10094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233A KR100946835B1 (ko) 2007-12-13 2007-12-13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233A KR100946835B1 (ko) 2007-12-13 2007-12-13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95A KR20090062795A (ko) 2009-06-17
KR100946835B1 true KR100946835B1 (ko) 2010-03-09

Family

ID=4099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233A KR100946835B1 (ko) 2007-12-13 2007-12-13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0103B2 (en) 2017-06-14 2021-06-29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Llc Pouch cell and method of form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097A (ko) * 2000-11-20 2002-05-25 이원재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전극 탭
KR20060126106A (ko) * 2005-06-03 2006-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070104918A (ko) * 2005-02-24 2007-10-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097A (ko) * 2000-11-20 2002-05-25 이원재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전극 탭
KR20070104918A (ko) * 2005-02-24 2007-10-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지
KR20060126106A (ko) * 2005-06-03 2006-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0103B2 (en) 2017-06-14 2021-06-29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Llc Pouch cell and method of 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95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856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342045B1 (ko) 2차전지
KR100319108B1 (ko) 이차 전지의 케이스
KR101264430B1 (ko) 이차전지의 파우치
EP2083460B1 (en) Battery pack
KR100289541B1 (ko) 이차전지
KR100846972B1 (ko) 이차전지의 외장케이스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59626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JP2007035638A (ja) 二次電池
KR20040066412A (ko) 전지부 유니트와,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1735512B1 (ko) 개선된 전극 리드 구조를 갖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5358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0635743B1 (ko) 이차 전지
KR100601510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31436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US9012070B2 (en) Secondary battery
KR101825007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242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946835B1 (ko)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KR100659887B1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0394701Y1 (ko)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KR100614401B1 (ko) 이차 전지
KR101014141B1 (ko)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베어셀
EP2916365A1 (en) Electric device comprising round corner
US20140227573A1 (en) Electric device having round co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