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090B1 - 듀얼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090B1
KR100946090B1 KR1020080065431A KR20080065431A KR100946090B1 KR 100946090 B1 KR100946090 B1 KR 100946090B1 KR 1020080065431 A KR1020080065431 A KR 1020080065431A KR 20080065431 A KR20080065431 A KR 20080065431A KR 100946090 B1 KR100946090 B1 KR 10094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opening
camera
guide wall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409A (ko
Inventor
이정윤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0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탑재되며, 일단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굴곡성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도록 제1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상기 제1 수용부와 반대면에 마련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는 양면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카메라 모듈{DUAL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장착하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 많은 전자기기에는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이 하나의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전자기기도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앞뒤로 촬영할 수 있게 하거나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는 등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여러 가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휴대폰, PDA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과 일반적인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등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모듈과 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모듈들을 개별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실장 공간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도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두 카메라 모듈을 하나의 굴곡성 기판에 장착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두 카메라 모듈을 굴곡성 회로기판에 접착제로 붙일 때 그 접착면이 일정치 않게 되므로 카메라 모듈들의 틸트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유연한 굴곡성 회로기판에 두 카메라 모듈을 접착할 때에 고정이 어렵고, 이러한 작업의 곤란함에 의한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가지는 양면 하우징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함께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탑재되며, 일단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굴곡성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도록 제1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상기 제1 수용부와 반대면에 마련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는 양면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1 안내벽부, 상기 제1 안내벽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을 연결하는 제1 연결 기판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1 개방부에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메인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 연결 기판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개방부는 상기 제1 연결 기판 영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개방부는 상기 제2 연결 기판 영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면 하우징은 상기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2 안내벽부, 상기 제1 연결 기판 영역가 상기 제2 수용부로 굴곡되도록 상기 제2 안내벽부에 형성되는 제3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면 하우징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안내벽부에는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보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굴곡성 회로 기판에 장착하여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가진 양면 하우징에 수용함으로써 듀얼 카메라 모듈의 실장 공간을 줄이고, 듀얼 카메라 모듈이 양면 하우징에 의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그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카메라 모듈들의 틸트 불량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듀얼 카메라 모듈의 양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사 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듀얼 카메라 모듈의 양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하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110), 제2 카메라 모듈(120), 굴곡성 회로기판(130) 및 양면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듀얼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PDA 등과 같은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개인휴대단말기 이외의 전자기기에 장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10)은 굴곡성 회로기판(130)의 제1 커넥터(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카메라 모듈(110)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하며, 촬영된 이미지를 메인 회로에 전달하도록 메인 커넥터(1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카메라 모듈(110)은 제1 커넥터(132)에 장착된 후에 양면 하우징(140)에 마련된 제1 수용부(142)에 수용되며, 양면 하우징(140)에 형성된 제1 안내벽부(144)의 내측에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밀착된다.
제2 카메라 모듈(120)은 굴곡성 회로기판(130)의 제2 커넥터(1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카메라 모듈(120)로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화상 통화용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제2 커넥터(134)에 장착된 후에는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실장한 굴곡성 회로기판(130)이 제1 카메라 모듈(110)의 후방으로 절곡 되며, 절곡된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제2 수용부(152)에 수용되도록 위치시킨다.
굴곡성 회로기판(130)은 제1 커넥터(132), 제2 커넥터(134), 메인 커넥터(136), 제1 연결 기판 영역(138) 및 제2 연결 기판 영역(139)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32)는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커넥터(134)는 제2 카메라 모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커넥터(132) 및 제2 커넥터(134)는 제1 연결 기판 영역(138)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제1 연결 기판 영역(138)는 제1 커넥터(132)와 제2 커넥터(134)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커넥터(132) 및 메인 커넥터(136)는 제2 연결 기판 영역(139)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연결 기판 영역(139)은 제1 연결 기판 영역(138)과 마찬가지로 제1 커넥터(132) 및 메인 커넥터(136)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136)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메인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을 메인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굴곡성 회로기판(130)의 형상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커넥터들과 연결 기판 영역들을 조합해서 다양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하우징(140)은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을 함께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양면 하우징(140)은 제1 수용부(142), 제1 안내벽부(144), 제1 면(146), 제1 개방부(148), 제2 개방부(150), 제2 수용부(152), 제2 안내벽부(154), 제2 면(156), 제3 개방부(158) 및 스토퍼(160)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142)는 제1 면(146) 상부에 마련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제1 카메라 모듈(110)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1 수용부(142)는 제1 면(146)과 제1 면(146)의 네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안내벽부(144)에 의해서 마련된다.
제1 안내벽부(144)는 제1 면(146)의 네 모서리를 따라 제1 면(146)에 수직하게 제공되며, 제1 안내벽부가 제1 카메라 모듈(110)의 위치를 제1 수용부(142)에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안내벽부(144)가 네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있지만, 제1 카메라 모듈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의 모서리를 따라 마련되거나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안내벽부(144)의 일면에는 제1 개방부(148)가 형성되며, 제1 개방부(148)는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제1 면(146)에 접착될 때에 제1 연결 기판 영역(138)가 외부로 노출되는 기능을 한다.
제1 면(146) 상에는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1 면(146)은 제1 카메라 모듈(110)을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법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접착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146)은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장착된 제1 커넥터(132)의 크기를 수용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제1 개방부(148)는 제1 연결 기판 영역(138)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개방부(148)의 폭을 넓게 형성시키는 것은 제1 카메라 모 듈(110)을 제1 면(146)에 접착시킬 때 접착제가 제1 개방부(148)로 넓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제2 개방부(150)는 제1 안내벽부(144)의 마주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개방부(150)는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제2 면(156)에 접착될 때에 메인 커넥터(136)와 연결된 제2 연결 기판 영역(139)이 외부로 노출되는 기능을 한다.
제2 개방부(150)는 제2 연결 기판 영역(139)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제2 면(156)에 접착시킬 때 접착제가 제2 개방부(150)로 넓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수용부(152)는 제2 면(156) 상에 마련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제2 카메라 모듈(120)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제1 카메라 모듈(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이므로 제2 수용부(152)는 제2 면(156)의 전체 면적이 아니라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수용할 수 있는 부분적인 면적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수용부의 크기는 제2 카메라 모듈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2 안내벽부(154)는 제2 수용부(152)로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며, 제2 면(156)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안내벽부(154)는 제2 수용부(152)의 마주하는 양 모서리를 따라 제2 면(156)에 별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안내벽부(154)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 즉 제2 수용부(152)의 일모서리에는 스토퍼(16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안내벽부(154)는 두 측벽으로 형성되지만, 하나의 연속된 측벽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스토퍼의 구성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면(156) 상에는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되어 고정되며, 제2 면(156)은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장착된 제2 커넥터(134)의 크기를 수용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면(146) 및 제2 면(156)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제1 면(146)은 프레임의 일면이고, 제2 면(156)은 같은 프레임의 타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면(146) 및 제2 면(156)은 별도의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면(146)과 제2 면(156)은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등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마련될 수 있다.
제3 개방부(158)는 제1 개방부(148)에 인접한 제1 면(146) 및 제2 면(156)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제1 연결 기판 영역(138)이 제3 개방부(158)로 굴곡되어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제2 수용부(152)에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토퍼(160)는 제2 면(156)에 형성되며, 제2 안내벽부(154)인 두 측벽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 기판 영역(138)를 절곡하여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제2 수용부(152)로 밀어 넣을 때, 스토퍼(160)는 제2 카메라 모듈(120)을 미는 힘을 막아 제2 수용부(152)에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160)는 제2 안내벽부(154)인 두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120)의 위치를 정해주기 위한 가이드 편(160a)과 가이드 편(160a)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편(160b)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160)는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안내벽부(154)에는 제2 안내벽부(154)의 구조를 유지하도록 외부의 힘을 버티도록 보강하기 위한 보강편(154a)이 일체로 연결된다. 그러나, 보강편(154a)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굴곡성 회로기판을 굴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제1 수용부(142)에 장착되도록 굴곡성 회로기판(130)을 양면 하우징(140)에 배치한 후에,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 기판 영역(138)를 제1 카메라 모듈(110)의 후방을 향하여 절곡시킨다(화살표).
그리고,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제2 수용부(152)에 수용되도록 밀어 넣으며,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제2 수용부(152) 상에 안착시킨다.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제1 면(146)과 제2 면(156)에 각각 접착시킨다.
따라서,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하나의 굴곡성 회로기판(130)에 두 카메라 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에,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모듈과 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모듈들을 개별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실장 공간 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도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을 굴곡성 회로 기판에 장착하여 제1 수용부(142)와 제2 수용부(152)를 가진 양면 하우징(140)에 수용함으로써 듀얼 카메라 모듈의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두 카메라 모듈을 하나의 굴곡성 회로기판에 장착하는 경우에, 두 카메라 모듈을 접착제로 붙일 때 굴곡성 회로기판의 접착면이 일정치 않게 되므로 카메라 모듈의 틸트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의 곤란함에 의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양면 하우징에 의해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접착 시에도 수평한 제1 면(146) 및 제2 면(156)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들의 틸트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고, 카메라 모듈들의 접착 시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카메라 모듈의 양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듀얼 카메라 모듈의 양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하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굴곡성 회로기판을 굴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 카메라 모듈 120.... 제2 카메라 모듈
130.... 굴곡성 회로기판 140.... 양면 하우징

Claims (8)

  1.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탑재되며, 일단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굴곡성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도록 제1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상기 제1 수용부와 반대면에 마련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일치하는 양면 하우징;
    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하우징은,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1 안내벽부, 상기 제1 안내벽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을 연결하는 제1 연결 기판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1 개방부에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메인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 연결 기판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부는 상기 제1 연결 기판 영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부는 상기 제2 연결 기판 영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하우징은,
    상기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2 안내벽부,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3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하우징은 굴곡되는 상기 굴곡성 회로기판에 의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2 수용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벽부에는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보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0080065431A 2008-07-07 2008-07-07 듀얼 카메라 모듈 KR10094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31A KR100946090B1 (ko) 2008-07-07 2008-07-07 듀얼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31A KR100946090B1 (ko) 2008-07-07 2008-07-07 듀얼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09A KR20100005409A (ko) 2010-01-15
KR100946090B1 true KR100946090B1 (ko) 2010-03-10

Family

ID=4181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31A KR100946090B1 (ko) 2008-07-07 2008-07-07 듀얼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21B1 (ko) * 2010-10-08 2012-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차원 촬상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651115B1 (ko) * 2015-07-22 2016-09-05 성우전자 주식회사 2개의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
CN213479569U (zh) * 2020-05-20 2021-06-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装配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7515A (ja) 2003-08-05 200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回路複合モジュール
KR20060036954A (ko) * 2004-10-27 2006-05-03 (주)아이디에스 카메라 모듈
KR20060116095A (ko) * 2005-05-09 2006-11-1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복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7365794B2 (en) * 2002-07-31 2008-04-29 Nec Corporation Built-in camera module suitable for cameras built in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5794B2 (en) * 2002-07-31 2008-04-29 Nec Corporation Built-in camera module suitable for cameras built in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camera module
JP2005057515A (ja) 2003-08-05 200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回路複合モジュール
KR20060036954A (ko) * 2004-10-27 2006-05-03 (주)아이디에스 카메라 모듈
KR20060116095A (ko) * 2005-05-09 2006-11-1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복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09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5862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モバイル端末
US8018527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digital camera module employing the same
US11272088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JP5117967B2 (ja) 電子機器および撮像機能付き電子機器
US9215360B2 (en) Camera module having shield can
CN108353116A (zh) 摄像机模块
KR102186788B1 (ko) 카메라용 ois 모듈 조립 키트
CN113366384B (zh) 相机模块
KR102617367B1 (ko) 카메라 모듈
KR102587990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0946090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JP5203272B2 (ja) 撮像装置
US20110065292A1 (en) Connector and assembly having same
JP200508634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装置の生産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ケース構成用ケース
US10250787B2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terminal
JP2012185246A (ja) 撮像ユニット
CN213342406U (zh) 摄像头组件以及电子设备
KR102382859B1 (ko) 카메라용 ois 모듈 조립 키트
TWI812334B (zh) 相機模組
KR102637777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0722618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240041158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05136877A (ja) 配置構造、及び、携帯通信機器
KR20140095363A (ko) 카메라 모듈
KR101009147B1 (ko) 측면 커넥터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