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862B1 -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862B1
KR100944862B1 KR1020080006497A KR20080006497A KR100944862B1 KR 100944862 B1 KR100944862 B1 KR 100944862B1 KR 1020080006497 A KR1020080006497 A KR 1020080006497A KR 20080006497 A KR20080006497 A KR 20080006497A KR 100944862 B1 KR100944862 B1 KR 10094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mall
operation mode
buttons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0631A (en
Inventor
차봉준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862B1/en
Publication of KR2009008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 keyboard, e.g. pivoting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등의 입력 장치에 대해 평상 시에 문서 작성에 적합한 키보드 버튼으로 구성하고 있다가 3D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경우에 게임을 위한 키보드 버튼의 구성으로 변경함으로써, 키입력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형태의 버튼 갯수와 위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device such as a computer is configured as a keyboard button suitable for writing a document in general, and then changed to a configuration of a keyboard button for a game when playing a 3D online g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form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input thereof, to provide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most suitable type of buttons.

본 발명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는,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각각의 소버튼들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소버튼들이 하나의 버튼을 구성하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소버튼을 상 또는 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형태를 변경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될 상기 소버튼들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입력 프로그램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할 소버튼들이 상하 움직임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상태에서 상기 소버튼들의 입력을 처리하여 그 결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form changeabl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spective small buttons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one or more of the small buttons constitute one button, and the small button is moved up or down according to a selected operation mode. An input unit for changing a shape by moving; An input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nput program for activating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be activated by up and down movement, to process the input of the small buttons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state, and to output a result thereof.

형태 변경, 입력 장치, 컴퓨터, 키보드, 소버튼, 문서 작성, 온라인 게임 Change form, input device, computer, keyboard, button, document creation, online game

Description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변경 방법{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본 발명은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등의 입력 장치에 대해 평상 시에 문서 작성에 적합한 키보드 버튼으로 구성하고 있다가 3D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경우에 게임을 위한 키보드 버튼의 구성으로 변경함으로써, 키입력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형태의 버튼 갯수와 위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form and an input changing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such as a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 changeable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changing an input thereof,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board button for a game to provide a number and position of a button most suitable for a purpose of using a key input.

일반적으로, 컴퓨터 장치는 본체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로 구성된다. 각각의 장치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 중에서 입력 장치는 그 입력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Generally, a computer device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Each device is evolving in various forms as technology advances. Among them, input devices use different types of input devices according to their input uses.

예를 들면, 일반적인 문서 작성을 위해서 컴퓨터 장치에 숫자나 기호, 문자 등의 키버튼이 구비된 키보드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3D 온라인 게임을 위해서 는 조이스틱이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컴퓨터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For example, a keyboard device equipped with key buttons such as numbers, symbols, and letters may be connected to a computer device for general document writing, and an input device such as a joystick or a mouse may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device for 3D online games. I use it.

그런데,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를 각각의 용도에 따라 이용할 때는, 사용 용도에 따른 각각의 입력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가, 사용 용도의 변경 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는 입력 장치로 교체해서 연결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By the way, when a user uses a computer device for each purpose, the user needs to separately provide ea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and then change the connection to an input device suitable for the intended use. There is a hassle.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문서 작성을 위해 키보드 장치를 컴퓨터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3D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장치를 제거하고 게임을 위한 조이스틱이나 게임 전용 입력장치를 컴퓨터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if a user connects a keyboard device to a computer device for writing a document, and then wants to play a 3D online game, remove the keyboard device from the computer device and insert a joystick or game-only input device for the computer device.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o connect to and us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작은 소버튼들이 사용 목적에 맞는 버튼의 갯수와 형태를 형성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소버튼 조합이 하나의 버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small small buttons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can be adjusted to form the number and shape of buttons to suit the purpose of use, so that the small button combination can form a single butt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a shape.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소버튼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버튼이 입력의 용도에 맞는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버튼 조합의 각 버튼들이 입력 용도에 맞게 입력 구성을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변경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ne butt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ll button combinations display a button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input, each button of the small butto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of changing an input that allows the input configuration to be chang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는,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각각의 소버튼들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소버튼들이 하나의 버튼을 구성하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소버튼을 상 또는 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형태를 변경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될 상기 소버튼들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입력 프로그램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할 소버튼들이 상하 움직임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상태에서 상기 소버튼들의 입력을 처리하여 그 결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orm changeable input device includes respective small button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one or more of the small buttons constitute one button, and according to a selected operation mode. An input unit for changing a shape by moving the small button up or down; An input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nput program for activating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be activated by up and down movement, to process the input of the small buttons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state, and to output a result thereof.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소버튼들을 위로 올라와 있도록 하고 사용되지 않는 소버튼들이 아래로 내려가 있도록 하여, 위로 올라와 있는 상기 소버튼들만 활성화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causes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up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to be raised and unused small buttons to be lowered to activate only the small buttons that are up.

또한, 상기 입력부는 4 개 또는 9 개의 상기 소버튼들이 하나의 버튼을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4 개의 소버튼이나 상기 9 개의 소버튼 중 하나의 소버튼만 입력되더라도 상기 하나의 버튼의 입력으로 인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comprises four or nine small buttons constitute one button, and the control unit inputs the one button even if only one small button among the four small buttons or the nine small buttons is input. Will be recognized.

또한,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소버튼들에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사용 목적에 맞는 용도가 표시된다.In addition, the small buttons in the input unit display usage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그리고, 상기 소버튼 상에는 LED 또는 작은 LCD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 목적에 맞는 용도가 상기 소버튼 상의 LED로 또는 상기 소버튼 상의 작은 LCD로 표시된다.On the small button, an LED or a small LCD is provided, and an application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is indicated by the LED on the small button or the small LCD on the small button.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은,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각각의 소버튼들을 구비하고,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소버튼을 상 또는 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형태를 변경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동작 모드 선택을 입력받는 (a) 단계;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으며,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될 상기 소버튼들을 활성화시키는 (b) 단계; 및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로 활성화 된 상기 소버튼들을 입력받는 (c)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change method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small button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nd to move the small button up or down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 method of changing an input of an input device having an input unit for changing a metho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operation mode selection from the input unit; (B) activating the small buttons that are up on the input and that are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c) receiving the small buttons activated while being up on the input unit.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사용 목적에 맞는 용도를 상기 소버튼들 상에 표시하게 된다.Also, in the step (b), the usages corresponding to the intended use purpose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re displayed on the small buttons.

또한, 상기 (b) 단계는, 활성화시키는 상기 소버튼들 중에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지 않은 소버튼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사용하게 될 소버튼들이 아직 구성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ep (b) i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for the selected operation mode is not yet configured when there are small buttons that are not raised on the input unit among the small buttons to be activated. Will print

또한,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로 활성화 된 상기 소버튼들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소버튼에 대응된 결과를 처리하여 표시 출력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 processing and displaying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mall button when receiving the small buttons activated while being up on the input unit.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활성화 된 소버튼들의 키입력 구성에 따른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를 상기 입력부 상의 특정 소버튼에 구비된 LED 또는 LCD를 통해 표시해 주게 된다.In the step (b),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key input configuration of the activated small buttons is displayed through an LED or an LCD provided in a specific small button on the input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형태 변경이 가능한 컴퓨터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입력 장치에 대해 가장 적합한 형태의 버튼 개수와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서 작성 시에 기존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키보드를 제공하다가 3D 온라인 게임 실행 시에 10 개 미만의 버튼으로 키보드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키보드 버튼만을 제공하므로, 더욱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해당 특정 프로그램에 맞게 버튼의 개수와 위치를 구성하여 키보드를 변경시키므로 컴퓨 터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하고 인체공학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편리한 컴퓨터의 사용이 가능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 input system capable of changing for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compu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buttons most suitable for the input device. In addition, the keyboard is provided in the same form as the existing form when the document is written, but when the 3D online game is executed, the keyboard is composed of less than 10 buttons, thereby providing only the keyboard buttons necessary for the user, thereby realizing a more convenient interface environment. have. In addition, when a specific program of the computer is executed, the keyboard is changed by configur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buttons according to the specific program, thereby providing the most suitable and ergonomic input interfa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mputer. Therefore, the use of a very convenient computer becomes possible.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s of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가 적용된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puter device to which an in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가 적용된 컴퓨터 장치(100)는, 하나의 버튼이 4 개 또는 9 개의 개별 버튼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입력 장치(110), 입력 장치(11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본체부(120) 및 본체부(120)로부터 출력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3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puter device 100 to which the form changeabl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input device 110 and an input device in which one button is divided into four or nine individual buttons. And a display unit 130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110 and outputting the result, and 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the result output from the main body 120.

여기서, 입력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소버튼 4 개가 하나의 입력 버튼을 구성하며, 각 소버튼과 소버튼의 간격을 주지 않고 빽빽하게 구성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four small buttons constitute one input button, and the input device 110 is densely configured without giving a gap between each small button and the small button.

입력 장치(110)에서, 각각의 소버튼들은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며,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라 형태 변경을 해야 할 경우에,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소버튼들은 위로 올라와 있고 사용되지 않는 소버튼들은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가 된다.In the input device 110, each of the small buttons can move up and down, and when the shape change is to be made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are raised up and are not used. They go down.

따라서, 소버튼들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컴퓨터 장치(100)의 사용 목적에 맞는 입력 버튼의 개수와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number and shape of input button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uter device 100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mall buttons.

또한, 입력 장치(110)는 컴퓨터 장치(100)의 사용 목적에 맞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장치(110)는 문서 입력을 위한 문서 입력 모드 버튼이나, 게임을 위한 게임 입력 모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선택 버튼의 위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입력 장치(110) 상에 어느 곳에나 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110 may include a mode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uter device 100.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110 may include a document input mode button for document input or a game input mode button for game. Here, the position of the mode selection button may be located anywhere on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본체부(12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된 동작 모드를 입력받으면, 입력 장치(110)의 소버튼들이 사용 목적에 맞게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을 제어한다. 또한, 본체부(120)는 사용 목적에 맞게 구성된 소버튼들의 입력을 처리하여 그 결과 값을 표시부(130)로 전달한다.When the main body 120 receives an operation mod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purpose of use from the input device 110, the main body 120 controls the input so that the small buttons of the input device 110 can b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se. In addition, the main body 120 processes the input of the small buttons configured for the purpose of us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display unit 130.

표시부(130)는 CRT나 LCD 등의 표시 장치로 구성되며, 입력 장치(110)의 소버튼들의 입력에 대응된 결과 값을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a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or LCD, and displays a resul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small buttons of the input device 11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사용 목적에 맞게 형태 변경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in sha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10)는 각각의 소버튼들이 컴퓨터 장치(100)의 사용 목적에 맞게 (가)와 (나) 및 (다)와 같이 올라와 있 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사용할 수 있는 소버튼들만 남고 나머지 소버튼들은 내려 앉은 형태를 갖는다.2, in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mall buttons are raised as (a), (b) and (c)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uter device 100. Only the small buttons available for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are left, and the other small buttons have a form of sitting down.

도 2에서, (가)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동작 모드에 사용될 입력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 동작 모드에 사용될 소버튼들만 올라와 있으며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이고, 나머지 소버튼들은 내려 앉아 있으며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들이다.In FIG. 2, (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110 to be us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and only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for the first operation mode are raised and shown in solid lines, and the remaining small buttons are lowered. It is sitting and dotted lines.

도 2에서, (나)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2 동작 모드에 사용될 입력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예컨대, 게임 동작 모드에 사용될 입력 장치(110)에 대해 방향 버튼으로 사용할 소버튼들과 기능 버튼으로 사용할 소버튼들을 올라와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FIG. 2, (b)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110 to be us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s direction buttons for the input device 110 to be used in the game operation mode and You can configure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s function buttons.

도 2에서, (다)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3 동작 모드에 사용될 입력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예컨대, 문서 작성 모드나 그래픽 작성 모드에 사용될 입력 장치(110)의 소버튼들을 구성할 수 있다.In FIG. 2, (c)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110 to be used in the third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mall buttons of the input device 110 to be used in the document creation mode or the graphic creation mode may be configured. Can b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각 소버튼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each small button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10)에서 하나의 버튼을 이루는 각 소버튼은 버튼(310)과 지지대(320), 받침부(330), 스프링(340) 및 걸림턱(35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small buttons constituting one button in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310, a support 320, a support 330, a spring 340, and a locking jaw 350. ), And the like.

버튼(310)은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용도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누름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힘을 직접 받는다. 여기서, 각 버튼(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용도를 표시하기 위해 1 개 이상의 LED를 구비하여 설정된 동작 모드에 사용될 버튼(310)의 용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각 소버튼에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버튼의 용도를 LED로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소버튼에 4 개의 LED를 구비하고, 4 개의 소버튼이 하나의 입력 버튼을 구성하므로, 하나의 입력 버튼을 이루는 4 개의 소버튼 상에 구비된 16 개의 LED가 좌측 화살표를 표시함으로써, 4 개의 소버튼을 통해 4 개의 소버튼 중 하나의 소버튼만 눌려져도 좌측 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버튼에 아주 작은 LCD 화면을 구비하여, 하나의 입력 버튼을 이루는 4 개의 소버튼 상에 구비된 4 개의 LCD 화면의 조합으로 각 동작 모드에 따른 입력 버튼의 용도를 표시할 수 있다.The button 310 indicates a use to be us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and is a part pressed by the user, and receives a force directly from the user as the user presses the finger or the like. Here, each button 310 may indicate the use of the button 310 to be used in the operation mod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LEDs to indicate the use to be us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se of the button to b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n each of the small buttons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LED. As shown in FIG. 4, since four LEDs are provided on one small button, and four small buttons constitute one input button, 16 LEDs are provided on four small buttons forming one input button. By displaying the left arrow, the left shift command can be input even if only one small button of the four small buttons is pressed through the four small buttons. In addition, a small LCD screen is provided on one small button, and a combination of four LCD screens provided on four small buttons forming one input button can indicate the use of the input button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

지지대(320)는 버튼(310)을 지지하며, 버튼(31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받은 힘이 미치는 부분으로, 직접 받은 힘에 의해 받침부(330)로 이동하게 된다.The support 320 supports the button 310 and is a portion of the force directly received from the user by the button 310 and moves to the support part 330 by the force directly received.

받침부(330)는 버튼(310)으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대(320)를 수용하며, 버튼(310)이 연결된 지지대(320)에 대응된 접점을 구비하여, 접점에 지지대(320)가 맞닿게 되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 신호로 본체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즉, 받침부(330)는 내부에 각 버튼(310)에 대응된 접점을 회로로 구성하며, 각 버튼(310)에 연결된 지지대(320)가 각 접점에 접촉할 때마다 각 동작 모드 상태에 따라 정해진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The supporting part 330 accommodates the support 320 which is moved by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button 310, and has a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320 to which the button 310 is connected, and the support 320 at the contact point. When abuts,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ody portion 120 as an input signal. That is, the supporting unit 330 is configured as a circuit for the contact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310 therein, and each support mode 320 connected to each button 310 in accordance with each operation mode state in accordance with each contact It generates a fixed input signal.

스프링(340)은 지지대(320)가 받침부(330)로 이동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지지대(32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spring 340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n the support 320 is moved to the support 330 to restore the support 320 to its original state.

걸림턱(350)은 지지대(320)와 일체로 구성되어, 지지대(32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받침부(330)로 이동된 후 그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즉 지지대(320)가 받침부(330)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atching jaw 35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320, so that the support 320 is moved to the support 330 by the user's force and then maintains the moved state, that is, the support 320 is supported. It serves to be caught in the portion 3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10)는 각 소버튼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되,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소버튼들은 올라와 있는 상태로 있고, 이러한 상태를 "ON" 상태로 하며,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소버튼들은 지지대(320)가 받침부(330)로 내려와 걸려 있는 상태로 "OFF" 상태로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small button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and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are in a raised state, and this state is turned on. And, the small buttons not to be us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may be in the "OFF" state in the state that the support 320 is hanging down to the support 3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연결된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본체부(12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입력 프로그램 저장부(530), 표시 구동부(540), 저장부(550) 및 전원부(56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ain body 12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input interface unit 510, a control unit 520, an input program storage unit 530, a display driver 540, a storage unit 550, and a power supply unit. 560 and the like.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520)로 전달한다.The input interface unit 510 converts an input signal applied from the input device 110 into input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20.

제어부(52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특정 동작 모드에 관한 키입력이 있으면, 입력 장치(110)로부터 특정 동작 모드에 따른 키입력 수행되도록 입력 장치(110)의 키입력을 제어한다.If there is a key input related to a specific operation mode from the input device 110 through the input interface unit 510, the controller 520 performs a key input from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specific operation mode. Control keystrokes.

입력 프로그램 저장부(5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입력 장치(110)로부터 해당 동작 모드에 따른 입력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input program storage unit 530 stores an input program for input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from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표시 구동부(5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 상태에서 해당 동작 모드에 사용될 키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신호에 대응된 결과가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구동한다.If there is an input of a key button to be used for the operation mode in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driver 540 drive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resul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저장부(55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동작 모드에서 입력된 각각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550 temporarily stores each input data input in a specific operation mode set by the user.

전원부(560)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각 동작 모드에 따른 키입력이 수행되도록 입력 장치(110)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560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lso supplies power to the input device 110 to perform key input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 input of an input device in which a sh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10)가 적용된 컴퓨터 장치(100)는 제어부(520)가 입력 장치(110)로부터 입력 변경에 관한 키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입력 장치(110)에 대해 키 스캐닝을 수행한다(S610).Referring to FIG. 6, the computer device 100 to which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input interface unit for the controller 520 to check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related to an input change from the input device 110. In operation S610, key scanning is performed on the input device 110.

이때, 입력 장치(110)의 소버튼 상에는 특정 동작 모드를 위한 예컨대, 문서 작성 모드 또는 게임 실행 모드를 위한 특정 기능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mall button of the input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specific function button for a specific operation mode, for example, a document creation mode or a game execution mode.

사용자는 특정 동작 모드를 위한 예컨대, 게임 실행 모드를 위한 특정 기능 버튼을 입력하거나, 아니면 게임 실행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될 소버튼들을 입력 장치(110) 상에서 남겨두고 나머지 소버튼들을 눌러 놓아 특정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enter a specific function button for a specific operation mode, for example, a game execution mode, or leave the small buttons on the input device 110 to be used in the game execution mode and press and release the other small buttons to select a specific mode. Can be set.

입력 장치(110)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특정 모드 설정에 관한 키입력이 있으면(S620), 제어부(520)는 게임 실행 모드 상태에 사용하게 될 소버튼들이 입력 가능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해당 소버튼들을 활성화시킨다(S630).If there is a key input related to a specific mode setting by the input device 110 as described above (S620), the control unit 520 may input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in the game execution mode state. Activate the corresponding small buttons (S630).

즉, 제어부(520)는 입력 장치(110)에서 게임 실행 모드에 사용하게 될 소버튼들만 남기고 나머지 소버튼들이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110)에서 올라와 있는 소버튼들이 입력되도록 활성화시켜, 게임 실행에 따른 사용자의 키입력 동작에 따라 해당 소버튼들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ler 520 activates the small buttons raised from the input device 110 to be input in a state where only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in the game execution mode remain in the input device 110 and the other small buttons are press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corresponding small buttons are input.

또한, 제어부(520)는 게임 실행 모드에 사용하게 될 소버튼들마다 사용 목적에 맞는 키버튼의 용도가 소버튼 상의 LED 또는 LCD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use of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for each of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in the game execution mode to be displayed by the LED or LCD on the small button.

예컨대, 도 2의 (나)와 같이 게임 실행 모드에 사용될 소버튼들이 구성될 경우에, 사용자는 입력 장치(110)에서 올라와 있는 도 2의 (나)와 같은 소버튼들에 대해, 소버튼의 상부에 LED나 LCD를 통해 표시된 용도를 보고 그 용도에 맞게 조작하여 게임을 실행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small buttons to be used in the game execution mode are configured as shown in (b) of FIG. 2, the user may select small buttons such as (b) of FIG. 2 from the input device 110. You will see the usage displayed through the LED or LCD on the top and operate the game according to the usage.

따라서, 도 2의 (나)와 같이 구성된 게임 실행 모드에 따른 해당 소버튼들이 입력되면(S640), 제어부(520)는 입력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 장치(110)로부터 입력 된 소버튼에 대응된 결과를 표시 구동부(540)를 통해 처리하여 표시부(130)로 디스플레이한다(S650).Therefore, when the corresponding small buttons according to the game execution mode configured as shown in (b) of FIG. 2 are input (S640), the controller 520 receives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mall button input from the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input program. The process is processed through the display driver 54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S65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 목적에 맞는 입력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input devic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uter.

또한, 제어부(520)는 입력 장치(110)에 활성화시키는 소버튼들 중에 입력 장치(110) 상에 위로 올라와 있지 않은 소버튼이 있는 경우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 사용하게 될 소버튼들이 아직 구성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30)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소버튼이 올라와 있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20 may not be configured with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when there are small buttons that are not raised on the input device 110 among the small buttons that are activated in the input device 110.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message has not been outpu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0 to induce the user to raise the corresponding small button.

그리고, 제어부(520)는 활성화 된 소버튼들의 키입력 구성에 따른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를 입력 장치(110) 상의 특정 소버튼에 구비된 LED 또는 LCD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20 may display the currently selecte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key input configuration of the activated small buttons through an LED or an LCD provided in a specific small button on the input device 11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작은 소버튼들이 사용 목적에 맞는 버튼의 갯수와 형태를 형성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소버튼 조합이 하나의 버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 buttons that can move up and down can be adjusted to form the number and shape of the buttons to suit the purpose of use, so that the small button combination can form a single button, A changeable input device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소버튼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버튼이 입력의 용도에 맞는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버튼 조합의 각 버튼들이 입력 용도에 맞게 입력 구성을 변경하도록 하는, 입력 변경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ne butt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ll button combinations to display a button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input, so that each button of the small button combination to change the inpu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input change method can be realiz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했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You must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본 발명은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키입력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연결된 키입력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문서 작성을 위해 키입력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key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also to a key input device connected to a comput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key input device provided with key input buttons for creating a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가 적용된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puter device to which an in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사용 목적에 맞게 형태 변경된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in sha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각 소버튼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each small button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각 소버튼에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버튼의 용도를 LED로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se of the button to b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for each small button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L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연결된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 input of an input device in which a sh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컴퓨터 장치 110 : 입력 장치100: computer device 110: input device

120 : 본체부 130 : 표시부120: main body 130: display

310 : 버튼 320 : 지지대310: button 320: support

330 : 받침부 340 : 스프링330: base 340: spring

350 : 걸림턱 510 : 입력 인터페이스부350: engaging jaw 510: input interface unit

520 : 제어부 530 : 입력 프로그램 저장부520 control unit 530: input program storage unit

540 : 표시 구동부 550 : 저장부540: display driving unit 550: storage unit

560 : 전원부560: power supply

Claims (10)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사용 목적에 맞는 용도가 표시되어 있는 각각의 소버튼들을 구비하고,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소버튼을 상 또는 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형태를 변경하되,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될 소버튼들은 위로 올라와 있도록 하고 사용되지 않는 소버튼들은 아래로 내려가 있도록 하여, 위로 올라와 있는 상기 소버튼들만 활성화시키고, 4 개 또는 9 개의 상기 소버튼들이 하나의 버튼을 구성하는 입력부;Each of the small buttons which can move up and down and the use purpos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change the shape by moving the small buttons up or down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re raised up and the unused small buttons are lowered to activate only the small buttons that are up, and the four or nine small buttons are set to one button. An input unit to configure;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될 상기 소버튼들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입력 프로그램 저장부; 및An input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nput program for activating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할 소버튼들이 상하 움직임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4 개의 소버튼이나 상기 9 개의 소버튼 중 하나의 소버튼만 입력되더라도 상기 하나의 버튼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상태에서 상기 소버튼들의 입력을 처리하여 그 결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are activated by up and down movement, and even though only one small button among the four small buttons or the nine small buttons is input, the small buttons are recognized as input of the one button.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n input of the small buttons in a selected operation mode state and to output a result of the small buttons; 를 포함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Form changeable input device includ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버튼 상에는 LED 또는 작은 LCD가 구비되고,The small button is provided with an LED or a small LCD, 상기 사용 목적에 맞는 용도가 상기 소버튼 상의 LED로 또는 상기 소버튼 상의 작은 LCD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And a usag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is indicated by an LED on the small button or a small LCD on the small button.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한 각각의 소버튼들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소버튼들이 하나의 버튼을 구성하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소버튼을 상 또는 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형태를 변경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having respective small button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one or more of the small buttons constitute one button, and changing a shape by moving the small button up or down according to a selected operation mode;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될 상기 소버튼들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입력 프로그램 저장부; 및An input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nput program for activating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할 소버튼들이 상하 움직임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상태에서 상기 소버튼들의 입력을 처리하여 그 결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be activated by vertical movement, and processing the input of the small buttons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state to output a result; 를 포함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에 있어서,In the input change method of the in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comprising a, 상기 입력부로부터 동작 모드 선택을 입력받는 (a) 단계;(A) receiving an operation mode selection from the input unit;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으며,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될 상기 소버튼들을 활성화시키는 (b) 단계; 및(B) activating the small buttons that are up on the input and that are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로 활성화 된 상기 소버튼들을 입력받는 (c) 단계;(C) receiving the small buttons activated while being up on the input unit; 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Input change method of the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사용 목적에 맞는 용도를 상기 소버튼들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In the step (b), the input change method of th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on the small buttons the purpose that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b) 단계는, 활성화시키는 상기 소버튼들 중에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지 않은 소버튼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사용하게 될 소버튼들이 아직 구성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The step (b)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mall buttons to be used for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re not yet configured when there are small buttons which are not raised on the input unit among the small buttons to be activated. And changing the input of the input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입력부 상에 위로 올라와 있는 상태로 활성화 된 상기 소버튼들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소버튼에 대응된 결과를 처리하여 표시 출력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And (d) processing and outputting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mall button when receiving the small buttons activated in an up state on the input unit. .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b) 단계는, 상기 활성화 된 소버튼들의 키입력 구성에 따른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를 상기 입력부 상의 특정 소버튼에 구비된 LED 또는 LCD를 통해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의 입력 변경 방법.In the step (b), the input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key input configuration of the activated small buttons through the LED or LCD provided in a specific small button on the input unit.
KR1020080006497A 2008-01-22 2008-01-22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KR100944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97A KR100944862B1 (en) 2008-01-22 2008-01-22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97A KR100944862B1 (en) 2008-01-22 2008-01-22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31A KR20090080631A (en) 2009-07-27
KR100944862B1 true KR100944862B1 (en) 2010-03-04

Family

ID=4129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497A KR100944862B1 (en) 2008-01-22 2008-01-22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8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0841U (en) 1984-04-21 1985-11-12 神鋼電機株式会社 Key function switch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uters, etc.
JP2000293298A (en) * 1999-04-08 2000-10-20 Sega Enterp Ltd Operation devi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KR20030048697A (en) * 2001-12-12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key button selectively in key pad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0841U (en) 1984-04-21 1985-11-12 神鋼電機株式会社 Key function switch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uters, etc.
JP2000293298A (en) * 1999-04-08 2000-10-20 Sega Enterp Ltd Operation devi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KR20030048697A (en) * 2001-12-12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key button selectively in key pad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31A (en)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2056B2 (en) Keyboard having selectively viewable glyphs
CN101573673B (en) Back-side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s
US6580414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characters especially to a computer and an input device which functions according to this method
JP4553587B2 (en) Electronic equipment
US8552987B2 (en) System and/or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to input information
JP5513266B2 (en) Conversion device and program
CN1026090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sensations
KR20120047982A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evice
JP2004178551A (en) Input device
JP2015526828A (en) Ergonomic data input device
GB2477959A (en) Navigation and display of an array of selectable items
TW201025085A (en) Keyboard formed from a touch display, method of endowing a touch display with a keyboard function, and a device with functions of keyboard or writing pad input and image output
JP2011186819A (en) Information processor
KR20100094756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JP5403625B2 (en) Electronic blackboard
KR100944862B1 (en) Input device capable of transforming a for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n input
CN112740146A (en) Gesture recognition system
JP665472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9223532A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icon interface
JP6522719B2 (en) Image display method
TW200816035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82214B1 (en) an electric ink keyboard
JP2010204964A (en) Touch panel device
GB2577079A (en) Portable device and system
JPH10187025A (en) Mouse type touch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